KR100849651B1 -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얻어진 식물체 - Google Patents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얻어진 식물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651B1
KR100849651B1 KR1020070043089A KR20070043089A KR100849651B1 KR 100849651 B1 KR100849651 B1 KR 100849651B1 KR 1020070043089 A KR1020070043089 A KR 1020070043089A KR 20070043089 A KR20070043089 A KR 20070043089A KR 100849651 B1 KR100849651 B1 KR 100849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size
reducing
group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홍길
장영태
김준영
정수나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43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9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6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661,3,5-Triazines, not hydrogenated and not substituted at the ring nitrogen atoms
    • A01N43/681,3,5-Triazines, not hydrogenated and not substituted at the ring nitrogen atoms with two or three nit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식물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식물체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33266528-pat00001
상기에서 R은 H, 직쇄 또는 분쇄 알킬기, 직쇄 또는 분쇄 알케닐기, 직쇄 또는 분쇄 알키닐기, 시클로 알킬기, 시클로 알케닐기, 아릴기, 알카릴기 또는 아랄킬기이다.
식물체, 크기, 감소, 화합물

Description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식물체{Method for Decreasing Biomass of Plant and the Plant Obtained Thereby}
도 1은 화합물 plump3를 애기장대에 처리하였을 때 표현형이 변화가 유도된 변이체 plump3가 대조군 식물체(DMSO 처리군)에 비하여 잎의 크기, 절간, 뿌리의 크기 등이 작아진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화합물 plump3을 애기장대에 처리하였을 때 잎의 크기, 절간, 뿌리의 크기 등의 표현형의 변화를 유발하는 최소 농도를 대조군(DMSO 처리군)과 비교하여 보여주기 위한 사진이다.
도 3은 애기장대의 잎의 크기, 절간, 뿌리의 크기 등이 작아지는 효과를 가져오는 화합물 plump3의 화학식이다.
본 발명은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식물체에 관한 것이다.
식물의 생장은 식물체의 발아에서부터 죽음에 이르는 일생의 과정 동안 발생하는 전반적인 현상이다.
식물체는 발아가 시작되는 시점부터 묘조 정단분열조직(shoot apical meristem)과 뿌리 정단분열조직(root apical meristem)의 두 부위에서 계속적인 세포 분열을 통해 뿌리, 잎, 꽃 등의 전반적인 식물체를 이루는 부분을 만들어내고, 그 크기는 유전적으로 예정된 부분까지 생장하게 한다.
이러한 식물의 생장은 일련의 연속된 생화학적 및 생리학적 현상으로 유전적으로 계획되어 있어, 세포, 조직 및 기관의 수준에서 매우 정교하고, 능동적으로 진행된다.
식물의 생장 조절은 사회·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데, 그것은 농가의 수확의 증대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생명공학 종사자들이 식물의 생장 조절에 관하여는 유전자나 호르몬 기타 화학물질을 찾아내고자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한편, 생명체의 돌연변이 유도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생명체에 화학물질을 처리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생명체에 X-선 또는 감마선을 조사하는 방법이며, 세 번째는 특정 유전자를 활성화 또는 불활성화시키는 벡터를 생명체로 도입시키는 방법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 첫 번째 방법을 이용하여 식물의 크기가 감소된 돌연변이 식물체를 제작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크기가 감소된 식물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여타의 목적이나 구체적인 양태 등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는 미국 뉴욕대 화학부로부터 다양한 화합물을 제공받아 그 각각의 화합물을 식물체에 처리한 경우에, 특정 화합물에서 야생형 식물체 등에 비하여 잎의 크기, 절간(internode), 뿌리의 크기 등이 작아진 식물체가 얻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도 1 참조), 또한 그 화합물에 한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한 결과 동일한 결과가 재현됨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화합물에 대해서 이를 제공받았던 한국화합물은행에 의뢰하여 NMR 분석을 한 결과, 그 화합물은 그 IUPAC 명칭이 N-2-[2-(2-Amino-ethoxy)-ethoxy]-ethyl-3-4-[(4-methyl-cyclohexylmethyl)-amino]-6-phenethylamino-[1,3,5]triazin-2-ylamino-benzamide인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로 나타났다.
<화학식 2>
Figure 112007033266528-pat00002
본 발명자는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의 기본 골격을 유지하며,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메틸기를 치환·변형시키고 그 변형된 화합물을 식물체에 처리한 경우 그 변형된 화합물이 처리된 식물체도 야생형 식물체 등에 비하여 잎의 크기나 절간 등의 작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포함하여, 상기 변형된 화합물을 총괄적으로 표현하면,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33266528-pat00003
상기 화학식에서 R은 H, 직쇄 또는 분쇄 알킬기, 직쇄 또는 분쇄 알케닐기, 직쇄 또는 분쇄 알키닐기, 시클로 알킬기, 시클로 알케닐기, 아릴기, 알카릴기 또는 아랄킬기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발명의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식물체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그리고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이하에서, 상기 "식물체"란 그 크기가 작아짐으로써 인간에게 유용한 결과를 줄 수 있는 모든 식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가장 직접적인 예로 농작물의 생장을 저해하는 각종 잡초 식물이나 관상 목적의 분재 식물 등이 여기에 포함될 것이며, 인간이 식용으로 하고 있거나 할 수 있는 식물 등도 식용의 간편성, 운반의 편리성 등의 이유로 상기 식물체의 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물체에는 경작지 등의 잡초 식물, 장미, 소나무, 잣나 무, 대나무 등의 분재 식물, 벼, 밀, 보리, 옥수수, 콩, 감자, 밀, 팥, 귀리, 수수, 배추, 무, 고추, 딸기, 토마토, 수박, 오이, 양배추, 참외, 호박, 파, 양파, 당근, 인삼, 참깨, 사탕수수, 사탕무우, 들깨, 땅콩, 유채, 사과나무, 배나무, 대추나무, 복숭아, 양다래, 포도, 감귤, 감, 자두, 살구, 바나나 등의 식용 식물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식물체"는 성숙한 식물뿐만 아니라 성숙한 식물로 발육할 있는 식물 세포, 식물 조직, 식물의 종자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에서 활성물질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식물체에 접촉시킨다는 것은 그 화합물을 성숙한 식물체에 접촉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성숙한 식물체로 발육할 수 있는 식물 세포, 식물 조직, 식물 종자 등에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에서 그리고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이하에서, 상기 "식물체의 크기"란 생체량(biomass)으로 간편하게 이해될 수 있는데, 식물의 잎, 줄기, 뿌리 등의 기관의 무게 및/또는 크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된다. 그러므로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킨다"는 의미는 식물의 잎, 줄기, 뿌리 등의 기관의 무게 및/또는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그리고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이하에서, 상기 "식물체의 크기 감소"는 식물체의 생체량 감소 뿐만 아니라 식물체의 생장 억제 및 식물체의 생장 지연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그러므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이용하여 식물체의 생체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나 식물체의 생장을 억제시키는 방법 그리 고 식물체의 생장을 지연시키는 방법도 본 발명의 식물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에서 그리고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이하에서, 상기 "접촉"의 의미는 식물체에 직접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살포함에 의한 직접적인 접촉뿐만 아니라 식물체가 자라고 있는 토양 등에 살포함에 의한 간접적인 접촉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토양 등에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비료와 함께 살포하거나 비료에 포함시켜 살포하는 행위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에서, 활성물질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H, C1-C9 직쇄 또는 분쇄 알킬기, C2-C9 직쇄 또는 분쇄 알케닐기, C2-C9 직쇄 또는 분쇄 알키닐기인 화화물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H, C1-C9 직쇄 또는 분쇄 알킬기인 화합물이고,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R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1-C4 직쇄 또는 분쇄 알킬기인 화합물이고,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R은 H, C1-C4 직쇄 알킬기인 화합물이고,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R은 H 또는 CH3인 화합물로 파악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R가 CH3인 경우(즉 <화학식 2>의 화합물)이다.
한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몇 개의 비대칭 탄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가능한 한 이성질체, 예컨대 거울상이 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Z- 및 E- 이성질체 모두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또한, 화학적으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경우에는 라세미체가 통상적으로 제조된다는 점에서, 라세미체도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한편, 식물체의 크기를 억제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기 위하여 활성물질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어느 정도의 양(또는 농도; 이하 같음)으로 식물체에 살포하여야 하는가는 그 크기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식물체의 종류, 식물체가 자라는 토양의 환경,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고자 목적(예컨대, 분재용이라면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켜야 하는 정도가 높을 것이고, 그렇다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살포량은 많아야 할 것이다)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하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여지듯이, 식물의 생물학적 연구의 모델 식물인 애기장대의 경우 0.25μM 이상의 농도에서 그 크기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당업계의 공지된 기술에 기초하는 한, 당업자가 특정 식물체에 대해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어느 정도의 양으로 살포하여야 하는가의 결정은 그의 통상의 능력 범위에 속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살포량은 식물체의 종류를 불문하고 토지 1000m2당 0.1Kg 내지 30kg 범위가 될 것이다.
한편, 활성물질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식물체에 접촉시킴에 있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만을 식물체에 접촉시켜도 무방하지만, 적합한 담체를 추가로 접촉시키거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혼합하여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식물체에 의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흡수나 그 화합물의 식물체의 접촉을 용이함으로써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적합한 담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바의 본 발명의 식물체의 크기 감소용 조성물에 대한 설명에서 구체화될 것이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크기가 감소된 식물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상기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이란 바람직한 양태를 포함하여 전술한 바의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에서 "식물체" 및 "식물체의 크기"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가 그대로 유효하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포함하는 식물체의 크기 감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물체의 크기 감소용 조성물은 이를 식물체에 접촉시킴으로써 식 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에서도, "식물체", "식물체의 크기" 및 "접촉"의 의미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가 그대로 유효하다.
또한 활성물질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양태에 대해서도 전술한 바가 그대로 유효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식물 크기 감소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가장 바람직한 양태의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식물체의 크기 감소용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외에도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다 높이기 위하여 적합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식물체에 의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흡수나 그 화합물의 식물체의 접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연산 또는 합성의 유기물질 또는 무기물질일 수 있다. 상기 담체는 고체(예들 들면, 점토, 자연산 또는 합성의 실리케이트, 실리카, 수지, 왁스 또는 고체 비료)일 수도 있고, 액체(예를 들면, 물, 알콜, 케톤, 석유 유분, 방향족 또는 파라핀족 탄화수소, 염소화 탄화수소, 또는 액화 가스)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체의 크기 감소용 조성물은 보호성 콜로이드, 접착제, 증점제, 요변성제, 침투제, 안정화제, 동결방지제, 방수제, 부식억제제, 건조제, UV-안정화제, 안료, 염료, 침강방지제 등과 같은 임의의 성분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 형태는 고체, 분산성 분말, 습윤성 분말, 분산성 과립 또는 용해성 과립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형태 중 고체나 분산성 분말의 경우,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함량은 최대 100%에 달할 수 있다.
습윤성 분말(또는 분무용 분말) 및 분산성 과립 형태의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약 20 중량% 내지 95 중량%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고, 약 0.1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습윤제, 약 3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분산제, 그리고 필요할 경우 안정화제, 안료, 염료, 침투제, 접착제 또는 침강방지제와 같은 다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윤성 분말 또는 분산성 과립 형태의 조성물은 최종 사용시에는 액상 조성물로 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체의 크기 감소용 조성물은 처음부터 액상 형태를 띨 수도 있는 데, 특히 수용성 농축물, 현탁 농축물 또는 페이스트(paste) 형태일 수 있다.
수용성 농축물은 통상 약 10 중량% 내지 약 80 중량%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할 것이다.
곧바로 사용할 수 있는 액상 형태의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 0.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분무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현탁 농축물은 저장 기간 동안 점도가 높아지거나 침강물을 형성하지 않아야 바람직한데, 일반적으로 약 10 중량% 내지 약 75 중량%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약 0.5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계면활성제, 요변성제, 안료, 염료, 부식억제제, 안정화제, 침투제, 접착제 등 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첨가제, 침강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plump3 변이체 선별을 위한 화합물의 수집
식물의 다양한 표현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화합물을 선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미국 뉴욕대 화학부로부터 다양한 화합물을 제공받아 스크리닝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애기 장대( Arabidopsis thaliana )로부터 생장 지연 돌연변이체의 선발
애기장대를 이용하여 식물체의 표현형에 영향을 주는 화합물을 탐색하기 위하여, 먼저 B5 배지(Duchefa 사, 미국)를 1/2로 희석한 1/2B5 배지를 24 웰 플레이트(24 well plate) 각 웰에 1.5㎖ 분주하여 굳혔다. 이 배지에 3개 정도의 애기장대의 종자를 점파하고 23℃로 온도 조절이 가능한 배양실에서 일주일 간 식물체를 키운 후, clean bench에서 식물체에 상기 제공받은 각각의 화합물(농도는 약 1mM)(DMSO라는 유기 용매에 녹아 있음)을 약 3㎕씩 분주하여 1.5㎖ 정도의 배지가 들어 있는 웰의 화합물 농도가 약 2μM이 되도록 하였다.
화합물을 처리한 후에는 이틀 간격으로, 식물체 뿌리의 생장 패턴, 잎의 형태, 개화 시기, 절간(internode)의 길이, 노화의 정도 등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식물체의 모든 표현형을, 대조군 식물체(DMSO)의 표현형과 대비·관찰하였다.
대조군 식물체는 상기 뉴욕대 화학부로부터 제공받은 화합물 대신에 DMSO를 처리한 배지에서 자란 식물체를 말한다. DMSO를 처리한 배지에서 자란 식물체를 대조군으로 하여 관찰한 이유는 상기 표현형의 변화가 상기 뉴욕대 화학부로부터 제공받은 화합물을 처리한 결과인지 아니면 그 화합물이 녹아 있는 유기 용매인 DMSO에 의한 결과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였다.
관찰 결과,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처리한 화합물 중 특정 화합물에 대해서 대조군 식물체에 비해서 잎의 크기, 절간, 뿌리의 크기 등이 작아진 식물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가 재현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표현형의 변화를 일으킨 화합물에 대해서 상기와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 표현형의 변화가 재현됨을 확인하고, 표현형이 변화된 변이체를 plump3 라 명명하고, 그 변이체를 유발한 화합물을 plump3 라 명명하였다.
<실시예 3> 농도별 화합물 처리에 따른 plump3 변이체의 반응성 조사
상기 <실시예 2>에서 식물체의 표현형의 변화를 일으킨 화합물 plump3 0.009375㎕, 0.01875㎕, 0.0375㎕, 0.075㎕, 0.15㎕, 0.3㎕, 0.6㎕, 1.2㎕을 취해 서 1.5㎖의 1/2B5배지에 떨어뜨리고 각 배지에서의 화합물의 농도가 각각 0.0625μM, 0.125μM, 0.25μM, 0.5μM, 1μM, 2μM, 4μM, 8μM이 되도록 하여, 상기 화합물 plump3가 식물체의 표현형의 변화를 유발하는 최소 농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화합물 plump3은 약 >0.25μM 이상의 농도에서 식물체의 표현형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실험은 상기한 바를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였으며, 또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DMSO를 처리한 배지에서 자란 식물체(DMSO)와 대비·관찰하였다.(도 2 참조)
<실시예 4> plump3 화합물 분석을 통한 구조 확인
전술한 바의 실험이 끝난 후 화합물 plump3를 제공받았던 뉴욕대 화학부에 의뢰하여 NMR 분석을 통해서 그 화합물의 구조를 분석한 결과, 도 3에서 보여지는 구조의 화합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동일한 구조의 화합물(미국공개특허 2005/0019831 A1)을 뉴욕대 화학부로부터 다시 제공받아 <실시예 2>와 동일한 실험을 반복한 결과 plump3 변이체와 동일한 표현형이 재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이용함으로써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크기가 감소된 식물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활성물질로 포함하는 식물체의 크기 감소용 조성물도 제공된다.

Claims (21)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식물체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7033266528-pat00004
    상기 화학식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H, 직쇄 또는 분쇄 알킬기, 직쇄 또는 분쇄 알케닐기, 직쇄 또는 분쇄 알키닐기, 시클로 알킬기, 시클로 알케닐기, 아릴기, 알카릴기 또는 아랄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체는 성숙한 식물, 성숙한 식물로 발육할 있는 식물 세포, 성숙한 식물로 발육할 수 있는 식물 조직 및 식물의 종자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계는 식물체에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살포함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수행되거나 식물체가 자라고 있는 토양에 살포함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은 H, C1-C9 직쇄 또는 분쇄 알킬기, C2-C9 직쇄 또는 분쇄 알케닐기, C2-C9 직쇄 또는 분쇄 알키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은 H, C1-C9 직쇄 또는 분쇄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은 H, C1-C4 직쇄 또는 분쇄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은 H, C1-C4 직쇄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은 H 또는 CH3인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은 CH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계와 함께 또는 상기 접촉 단계 후에 담체를 추가로 식물체에 접촉시키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
  11. 삭제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식물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식물체.
  13.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식물체의 크기 감소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7033266528-pat00005
    상기 화학식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H, 직쇄 또는 분쇄 알킬기, 직쇄 또는 분쇄 알케닐기, 직쇄 또는 분쇄 알키닐기, 시클로 알킬기, 시클로 알케닐기, 아릴기, 알카릴기 또는 아랄킬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R은 H, C1-C9 직쇄 또는 분쇄 알킬기, C2-C9 직쇄 또는 분쇄 알케닐기, C2-C9 직쇄 또는 분쇄 알키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크기 감소용 조성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R은 H, C1-C9 직쇄 또는 분쇄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크기 감소용 조성물.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R1, R2, R3,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4 직쇄 또는 분쇄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크기 감소용 조성물.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R은 H, C1-C4 직쇄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크기 감소용 조성물.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R은 H 또는 CH3인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크기 감소용 조성물.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R은 CH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크기 감소용 조성물.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식물의 크기 감소용 조성물.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보호성 콜로이드, 접착제, 증점제, 요변성제, 침투제, 안정화제, 동결방지제, 방수제, 부식 억제제, 건조제, UV-안정화제, 안료, 염료 및 침강방지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식물의 크기 감소용 조성물.
KR1020070043089A 2007-05-03 2007-05-03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얻어진 식물체 KR100849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089A KR100849651B1 (ko) 2007-05-03 2007-05-03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얻어진 식물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089A KR100849651B1 (ko) 2007-05-03 2007-05-03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얻어진 식물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9651B1 true KR100849651B1 (ko) 2008-08-01

Family

ID=39881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089A KR100849651B1 (ko) 2007-05-03 2007-05-03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얻어진 식물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96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133B1 (ko) 2009-02-23 2012-04-1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개화를 억제하는 방법 및 그 조성물
WO2020103268A1 (zh) * 2018-11-20 2020-05-28 青岛睿鸿鑫环保科技有限公司 水溶性高分子在制备防护植物叶面免受盐雾伤害的植物保护剂中的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4078A (ko) * 1995-08-24 1999-06-25 슈미트 , 루츠 2,4-디아미노-1,3,5-트리아진, 이들의 제조 방법, 및 이들의 제초제 및 식물 성장 조절제로서의 용도
US20050019831A1 (en) 2003-05-05 2005-01-27 New York University Facilitated forward chemical genetics using tagged triazine librar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4078A (ko) * 1995-08-24 1999-06-25 슈미트 , 루츠 2,4-디아미노-1,3,5-트리아진, 이들의 제조 방법, 및 이들의 제초제 및 식물 성장 조절제로서의 용도
US20050019831A1 (en) 2003-05-05 2005-01-27 New York University Facilitated forward chemical genetics using tagged triazine librar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133B1 (ko) 2009-02-23 2012-04-1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개화를 억제하는 방법 및 그 조성물
WO2020103268A1 (zh) * 2018-11-20 2020-05-28 青岛睿鸿鑫环保科技有限公司 水溶性高分子在制备防护植物叶面免受盐雾伤害的植物保护剂中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zmjoo et al. Effect of salinity and drought stresses on growth parameters and essential oil content of Matricaria chamomile
Aldana et al. Effect of waterlogging stress on the growth, development and symptomatology of cape gooseberry (Physalis peruvianaL.) plants
Gautam et al. Submergence tolerance in relation to application time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 rice (Oryza sativa L.)
Wang et al. Morphological changes and resource allocation of Zizania latifolia (Griseb.) Stapf in response to different submergence depth and duration
KR20140037864A (ko) 식물 생장의 촉진 방법
KR20140028053A (ko) 식물 생장의 촉진 방법
Lahijani et al. Effect of 6-benzylaminopurine and abscisic acid on gas exchange, biochemical traits, and minituber production of two potato cultivars (Solanum tuberosum L.)
CN105052643A (zh) 有机水稻种植方法
Muhal et al. Effect of seeding dates and salicylic acid foliar spray on growth, yield, phenology and agrometeorological indices of Brassica species
Zabihi-e-Mahmoodabad et al. The study of effect salinity stress on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in five different genotypes of wheat
KR100849651B1 (ko)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얻어진 식물체
Anamayi et al. Effect of cow dung and NPK fertilizer at different levels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composition of Moringa oleifera
KR100688431B1 (ko)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얻어진 식물체
KR100833547B1 (ko)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얻어진 식물체
WO2020130145A1 (ja) 植物の耐熱性あるいは耐塩性向上剤
KR101135133B1 (ko)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개화를 억제하는 방법 및 그 조성물
Salman Impact of improved soil properties on establishment of Moringa peregrina seedlings and a trial to decrease its mortality rate
Gracie et al. Rhizome dormancy and shoot growth in myoga (Zingiber mioga Roscoe)
Dhanalakshmi et al. Is auxin a diffusible signal mediating abscission of recessive sinks?
JP6842082B2 (ja) 植物成長調整剤
JP7197888B2 (ja) 植物気孔開口抑制剤
UA127807C2 (uk) Спосіб підвищення стійкості злакової рослини
Alp et al. The effect of gibberellic acid on germination of rosehip seeds (Rosa canina L.)
WO2021172594A1 (ja) 植物の耐熱性あるいは耐乾燥性向上剤、耐塩性向上剤、活性向上剤
Li et al. Response patterns of root sprouting and the clonal dispersal ability of Hippophae rhamnoides ssp. sinensis in relation to stubble height and its nutrient accumulation and allocation strate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