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2550B1 - 녹화옹벽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녹화옹벽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550B1
KR100832550B1 KR1020070140839A KR20070140839A KR100832550B1 KR 100832550 B1 KR100832550 B1 KR 100832550B1 KR 1020070140839 A KR1020070140839 A KR 1020070140839A KR 20070140839 A KR20070140839 A KR 20070140839A KR 100832550 B1 KR100832550 B1 KR 100832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support frames
installation structure
steel strap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신철
강도묵
Original Assignee
(주)경동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동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경동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070140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25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4Sheets, multiple sheets or 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화옹벽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성토층 전방의 옹벽설치선을 따라 지면에 타설된 콘크리트 기초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옹벽구조물과, 상기 옹벽구조물 설치되어 상기 성토층에 매설되는 보강재로 구성되는 녹화옹벽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옹벽구조물에 연결되는 스틸스트랩과, 상기 스틸스트랩의 상면에 결합됨과 아울러 스틸스트랩의 너비보다 길게 형성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선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부로 이루어지는 저항돌기와, 상기 저항돌기의 수평부와 스틸스트랩을 관통하여 성토층에 수직으로 매설되는 쐐기볼트로 구성되어, 적은 강재량을 사용하고도 토압에 대한 저항능력은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옹벽, 와이어메쉬, 보강재, 토압

Description

녹화옹벽 설치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A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녹화옹벽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적은 강재량을 사용하고도 토압에 대한 저항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녹화옹벽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옹벽은 굴토면과 경계를 이루는 주택부지, 도로 등에 설치되어 토사가 자체무게에 의하여 또는 우수 등의 자연조건에 의하여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한 구조물이다.
이러한 옹벽구조물은 그 종류에 따라 블록쌓기 옹벽과 중력식 콘크리트 옹벽 및 철근 콘트리트 옹벽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블록쌓기 옹벽은 예로부터 널리 쓰이는 축벽이 그것에 속하며, 현재는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시공하고 있다.
상기 중력식 콘크리트 옹벽은 콘크리트 자체의 중량으로 지반의 붕괴를 막아내는 구조인데 비교적 높이가 낮은 경우에 채택되고, 상기 철근 콘크리트 옹벽은 옹벽의 높이가 커져서 중력식 콘크리트 옹벽으로는 경제적이지 않거나 벽면을 수직 으로 하여 용지의 이용을 유리하게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이용된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옹벽은 우수에 의해 옹벽의 붕괴가 발생되곤 하는데, 이는 옹벽 배면의 지반에 빗물이 침투하여 그 지반을 연약하게 함으로써 옹벽에 가해지는 토압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옹벽의 붕괴를 예방하기 위해 최근에는 배수가 용이한 와이어메쉬를 전면패널로 사용하고 보강재를 부가하여 옹벽 배면의 수압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토압에 대한 저항능력을 향상시킨 시킬 수 있는 옹벽을 축조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옹벽에 사용되는 보강재는 강재손실률이 커서 생산단가가 상승될 뿐만 아니라 토압에 대한 저항성능이 기대치보다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강재손실량을 줄인 보강재를 사용함으로써 생산단가가 절감되는 녹화옹벽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보강재의 형태를 개선하여 토압에 대한 저항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녹화옹벽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녹화옹벽 설치구조는 성토층 전방의 옹벽설치선을 따라 지면에 타설된 콘크리트 기초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옹벽구조물과, 상기 옹벽구조물 설치되어 상기 성토층에 매설되는 보강재로 구성되는 녹화옹벽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옹벽구조물에 연결되는 스틸스트랩과, 상기 스틸스트랩의 상면에 결합됨과 아울러 스틸스트랩의 너비보다 길게 형성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선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부로 이루어지는 저항돌기와, 상기 저항돌기의 수평부와 스틸스트랩을 관통하여 성토층에 수직으로 매설되는 쐐기볼트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옹벽구조물은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의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사이에 설치되어 지지프레임간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키는 수직간격부재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성토층의 토사유출을 방지하는 와이어메쉬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보강재와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그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그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공부에는 그라우팅 충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녹화옹벽 설치구조는 보강재의 저항돌기를 구성하는 수평부가 스틸스트랩보다 넓게 형성되고 수평부의 선단에 수직부가 형성 되어 토압에 대한 저항능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보강재의 저항돌기가 수평부가 수직부로 이루어지는 간단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강재손실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시키고 여기에 그라우팅 충진을 함으로써 지지프레임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강재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압에 의하여 지지프레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녹화옹벽 설치구조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녹화옹벽 설치구조의 일 실시예를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녹화옹벽 설치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녹화옹벽 설치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녹화옹벽 설치구조에 사용되는 연결부재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녹화옹벽 설치구조에 사용되는 보강재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녹화옹벽 설치구조에 사용되는 수직연결부재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녹화옹벽 설치구조는 도로나 주택가 등의 절개면이나 굴토면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개면 또는 굴토면의 전방에 시공된 성토층에 녹화옹벽을 설치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는 성토층(10) 전방의 옹벽설치선을 따라 지면에 타설된 콘크리트 기초부(20)와,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20)의 상면에 설치되는 옹벽구조물(30)과, 상기 옹벽구조물(30)에 설치되어 상기 성토층(10)에 매설되는 보강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20)는 소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앙카볼트(21)가 구비되고, 상기 앙카볼트(21)에는 앵글(22)이 체결된다.
상기 앵글(22)은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20)의 앙카볼트(21)에 관통되어 체결 고정되는 체결부(22-1)와, 상기 체결부(22-1)의 선단에서 상기 성토층(10)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절곡된 경사부(22-2)로 구성된다. 이렇게 앵글(22)의 경사부(22-2)가 소정각도로 절곡되므로 후술할 복수개의 지지프레임(31)도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때 상기 앵글(22) 경사부(22-2)의 절곡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옹벽구조물(30)은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20)의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31)과, 상기 지지프레임(31)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프레임(31)간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키는 수직간격부재(32)와, 상기 지지프레임(31) 사이에 설치되어 성토층(10)의 토사유출을 방지하는 와이어메쉬(33)와, 상기 지지프레임(31)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보강재(40)와 연결되는 연결부재(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31)은 그 내부에 중공부(31a)가 형성되고 그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구성된 강관이며, 복수개의 지지프레임(31) 중 가장 하측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은 상기 앵글(22)에 설치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가장 하측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은 상기 앵글(22)의 경사부(22-2) 외면에 면접되고 이렇게 면접된 앵글(22)의 경사부(22-2)와 지지프레임을 장볼트가 수직으로 관통하며 이 장볼트에 너트가 나선결합되어 지지프레임이 앵글(22)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31)이 성토층(10)의 토압에 의하여 변형이 발생될 염려가 있을 경우에는 지지프레임(31)의 중공부(31a)에 그라우팅 충진을 함으로써 토압에 대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직간격부재(32)는 양단에 나선이 형성된 수직연결봉(32-1)과, 상기 수직연결봉(32-1)의 나선에 결합되는 제 1,2너트(32-2,32-3)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메쉬(33)는 망구조로 형성되어 강우시 성토층(10)에 침투하는 우수를 신속하게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재(34)는 상기 지지프레임(31)의 외주면을 감싸고 양단이 절단된 몸체부(34-1)와, 상기 몸체부(34-1)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보강재(40)와 연결되는 결합부(34-2)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34-1)는 상기 지지프레임(31)의 단면이 4각형으로 구성되므로 지지프레임(31)을 밀착되게 감싸기 위해서는 이 역시 단면형태를 4각으로 구성해야 하고 이때 상기 결합부(34-2)와 연결되는 부분은 절개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34)는 탄성을 갖는 금속으로 제작하여 상기 몸체부(34-1)를 벌려 지지프레 임(31)에 끼울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것처럼 수직간격부재(32)는 나선이 양단에 형성된 수직연결봉(32-1)과 상기 수직연결봉(32-1)에 결합되는 제 1,2너트(32-2,32-3)로 구성되는데, 상기 수직연결봉(32-1)의 나선이 형성된 양단은 상기 지지프레임(31)과 상기 연결부재(34)의 몸체부(34-1)를 관통하고, 이렇게 관통된 수직연결봉(32-1)의 양단은 상기 연결부재(34)의 몸체부(34-1) 상면과 하면에서 각각 제 1너트(32-2)와 제 2너트(32-3)에 의하여 나선결합된다. 이로써,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31)의 이격거리가 견고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34)가 지지프레임(3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보강재(40)는 상기 옹벽구조물(30), 그 중에서도 상기 연결부재(34)의 결합부(34-2)에 일단이 볼트결합되는 스틸스트랩(41)과, 상기 스틸스트랩(41)의 상면에 볼트결합되는 저항돌기(42)와, 상기 저항돌기(42)와 스틸스트랩(41)을 관통하여 성토층(10)에 수직으로 매설되는 쐐기볼트(43)로 구성된다.
상기 스틸스트랩(41)은 그 너비가 좁고 성토층(10)을 향하여 길이가 길게 형성된 얇은 강재띠로서, 그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34)의 결합부(34-2) 사이에 끼움되어 볼트결합됨으로써 연결부재(34)에 고정된다.
상기 저항돌기(42)는 상기 스틸스트랩(41)의 너비보다 길게 형성되는 수평부(42-1)와, 상기 수평부(42-1)의 선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부(42-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저항돌기(42)는 그 단면형태가 'ㄴ'자와 같은 형태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항돌기(42)는 다른 길이를 갖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토압이 커서 이에 대한 저항력이 커야 할 때는 길이가 긴 것을 사용하고, 토압이 작아서 이에 대한 저항력이 작아도 될 때는 길이가 작은 것을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재(40)는 상기와 같이 스틸스트랩(41)과, 저항돌기(42) 및 쐐기볼트(43)로 구성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지오그리드(Geogrid)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는 지오그리드를 상기 연결부재(34)의 결합부(34-2) 사이에 끼우고, 지오그리드에 규칙적으로 형성된 관통홀(40a)에 볼트가 지나가게 함으로써 연결부재(34)에 고정하면 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메쉬(33)와 성토층(10) 사이에는 부직포(50)가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메쉬(33)와 부직포(50) 사이에는 식생매트(6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식생매트(60)는 짧은 섬유가 얽혀 있는 형상의 구조를 갖고 투수성이 양호한 재질로 만들어진 것으로서, 성토층(10)에 강우가 침투하였을 때 옹벽구조물(30) 배면의 수압을 감소시키고 성토층(10)의 토사 유출을 방지하는 한편 식생성장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녹화옹벽 설치구조의 일 실시예를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녹화옹벽 설치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녹화옹벽 설치구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녹화옹벽 설치구조에 사용되는 연결부재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녹화옹벽 설치구조에 사용되는 보강재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녹화옹벽 설치구조에 사용되는 수직연결부재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성토층 20: 콘크리트 기초부
21: 앙카볼트 22: 앵글
30: 옹벽구조물 31: 지지프레임
32: 수직간격부재 33: 와이어메쉬
34: 연결부재 40: 보강재
41: 스틸스트랩 42: 저항돌기
43: 쐐기볼트 50: 부직포
60: 식생매트

Claims (8)

  1. 삭제
  2. 성토층(10) 전방의 옹벽설치선을 따라 지면에 타설된 콘크리트 기초부(20)의 상면에 설치되는 옹벽구조물(30)과; 상기 옹벽구조물(30)에 연결되는 스틸스트랩(41)과, 상기 스틸스트랩(41)의 상면에 결합됨과 아울러 스틸스트랩(41)의 너비보다 길게 형성되는 수평부(42-1)와 상기 수평부(42-1)의 선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부(42-2)로 이루어진 저항돌기(42)와, 상기 저항돌기(42)의 수평부(42-1)와 스틸스트랩(41)을 관통하여 성토층(10)에 수직으로 매설되는 쐐기볼트(43)로 구성되어 상기 성토층(10)에 매설되는 보강재(40)로 구성되는 녹화옹벽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옹벽구조물(30)은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20)의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31)과;
    상기 지지프레임(31)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프레임(31)간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키는 수직간격부재(32)와;
    상기 지지프레임(31) 사이에 설치되어 성토층(10)의 토사유출을 방지하는 와이어메쉬(33)와;
    상기 지지프레임(31)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보강재(40)와 연결되는 연결부재(3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옹벽 설치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20)에는 소정간격으로 앙카볼트(21)가 설치되고, 상기 앙카볼트(21)에는 앵글(22)이 체결되며, 상기 앵글(22)에는 상기 복수개의 지지프레임(31) 중 가장 하측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옹벽 설치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4)는 상기 지지프레임(31)의 외주면을 감싸고 양단이 절단된 몸체부(34-1)와;
    상기 몸체부(34-1)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보강재(40)의 스틸스트랩(41) 끝단에 연결되는 결합부(3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옹벽 설치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직간격부재(32)는 나선이 형성된 양단이 상기 지지프레임(31)과 연결부재(34)의 몸체부(34-1)를 관통하는 수직연결봉(32-1)과;
    상기 연결부재(34)의 몸체부(34-1) 상면과 하면에서 각각 상기 수직연결봉(32-1)의 양단에 나선결합되는 제 1,2너트(32-2,3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옹벽 설치구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31)은 그 내부에 중공부(31a)가 형성되고 그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공부(31a)에는 그라우팅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옹벽 설치구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메쉬(33)와 성토층(10) 사이에는 부직포(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옹벽 설치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메쉬(33)와 부직포(50) 사이에는 식생매트(6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옹벽 설치구조.
KR1020070140839A 2007-12-28 2007-12-28 녹화옹벽 설치구조 KR100832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839A KR100832550B1 (ko) 2007-12-28 2007-12-28 녹화옹벽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839A KR100832550B1 (ko) 2007-12-28 2007-12-28 녹화옹벽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2550B1 true KR100832550B1 (ko) 2008-05-26

Family

ID=39665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839A KR100832550B1 (ko) 2007-12-28 2007-12-28 녹화옹벽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5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633B1 (ko) * 2009-07-17 2010-02-11 (주)콘스틸네츄럴 호안용 그릴 시공방법
CN110387893A (zh) * 2019-08-02 2019-10-29 水利部牧区水利科学研究所 一种防治水土流失用护坡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8406A (ko) * 1987-11-23 1989-07-10 엉리비달 흙 구조물
JP2002227206A (ja) * 2001-01-30 2002-08-14 Gamagoori Hyakka Center:Kk 補強盛土構造体
KR100448442B1 (ko) * 2001-09-20 2004-09-13 주식회사 포스코 볼트접합강재를 구비한 옹벽보강재
KR100458928B1 (ko) * 2001-11-28 2004-12-03 (주)용마공영 강재 전면틀과 지오그리드 보강재를 사용한 보강토 옹벽
KR200429312Y1 (ko) 2006-08-03 2006-10-20 (주)용마공영 보강토옹벽의 보강재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8406A (ko) * 1987-11-23 1989-07-10 엉리비달 흙 구조물
JP2002227206A (ja) * 2001-01-30 2002-08-14 Gamagoori Hyakka Center:Kk 補強盛土構造体
KR100448442B1 (ko) * 2001-09-20 2004-09-13 주식회사 포스코 볼트접합강재를 구비한 옹벽보강재
KR100458928B1 (ko) * 2001-11-28 2004-12-03 (주)용마공영 강재 전면틀과 지오그리드 보강재를 사용한 보강토 옹벽
KR200429312Y1 (ko) 2006-08-03 2006-10-20 (주)용마공영 보강토옹벽의 보강재 연결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633B1 (ko) * 2009-07-17 2010-02-11 (주)콘스틸네츄럴 호안용 그릴 시공방법
CN110387893A (zh) * 2019-08-02 2019-10-29 水利部牧区水利科学研究所 一种防治水土流失用护坡装置
CN110387893B (zh) * 2019-08-02 2021-05-11 水利部牧区水利科学研究所 一种防治水土流失用护坡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258B1 (ko) 옹벽 시공을 위한 옹벽블록과 이 옹벽블록과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옹벽의 시공 방법
KR100917044B1 (ko) 앵커 일체형 이중 벽체 콘크리트 옹벽 시공방법
KR100832550B1 (ko) 녹화옹벽 설치구조
KR100764019B1 (ko) 식생 가능한 토사벽 설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83624B1 (ko) 자연석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230275B1 (ko) 토목 시공용 튜브 구조물
KR100966512B1 (ko) 식생토류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467234B1 (ko) 패널 삽입식 옹벽 및 옹벽시공방법
KR102560550B1 (ko) 엄지말뚝 시공용 강재 조립 파일
KR100440091B1 (ko) 블록식 옹벽의 축조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JP5280150B2 (ja) 山留擁壁及び山留擁壁形成方法
KR100603141B1 (ko) 녹화용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시공방법 및보수방법
KR100665338B1 (ko) 소일네일링(앵커)에 의하여 고정되는 격자형 조립식 옹벽
KR101300071B1 (ko) 비탈면 안정화용 콘크리트 보강블록
JP2013057217A (ja) 土砂災害防止方法
KR100725274B1 (ko) 사면보강용 격자구조틀
KR100779583B1 (ko) 보강블록 및 이를 이용한 비탈면안정 및 보강공법
KR100968518B1 (ko) 강화 녹화옹벽 시공방법
KR20090073330A (ko) 조경 옹벽구조물
JP2547946B2 (ja) 補強土構造
KR200406776Y1 (ko) 연약지반 상하수도관 침하방지용 방석매트 지지구조
JP3782055B2 (ja) 補強土構造物
KR102272258B1 (ko) 강관을 이용한 h파일의 변위 저항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CN220183971U (zh) 一种室外装配式排水机构
KR200424468Y1 (ko) 소일네일링에 의하여 고정되는 격자형 조립식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