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1899B1 - 옥시포러스 라테마지나투스 ef069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 Google Patents

옥시포러스 라테마지나투스 ef069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1899B1
KR100831899B1 KR1020060131142A KR20060131142A KR100831899B1 KR 100831899 B1 KR100831899 B1 KR 100831899B1 KR 1020060131142 A KR1020060131142 A KR 1020060131142A KR 20060131142 A KR20060131142 A KR 20060131142A KR 100831899 B1 KR100831899 B1 KR 100831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disease
plant
plant diseases
microbial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철
최경자
장경수
임희경
조광연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131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1899B1/ko
Priority to PCT/KR2007/006680 priority patent/WO200807590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30Microbial fungi;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irology (AREA)
  • Myc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시포러스 라테마지나투스(Oxyporus latemarginatus) EF069 균주, 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옥시포러스 라테마지나투스 EF069 균주는 배추 뿌리혹병, 무 모잘록병, 호접란 라이족토니아병 및 사과 잿빛곰팡이병과 같은 식물병에 대해 강한 길항작용을 나타내므로 이를 식물병 방제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옥시포러스 라테마지나투스 EF069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OXYPORUS LATEMARGINATUS EF069 STRAIN AND MICROORGANISM FORMULATION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CONTAINING THE SAME}
도 1은 EF069 균주가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의 균사생장을 억제하는 것을 대조군과 비교하여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옥시포러스 라테마지나투스(Oxyporus latemarginatus) EF069 균주를 감자덱스트로스 한천배지에서 관찰한 사진이고,
도 3은 EF069 균주의 사과 잿빛곰팡이병(Gray mold)에 대한 방제 효과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4는 EF069 균주의 호접란 라이족토니아병에 대한 방제 효과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5는 멸균한 고체 배양물의 GC(gas chromatography) 크로마토그램(a), EF069 균주가 생산하는 휘발성물질의 GC 크로마토그램(b) 및 질량스펙트럼(c)이다.
본 발명은 식물병에 대해 길항 활성을 갖는 옥시포러스 라테마지나투스(Oxyporus latemarginatus) EF069 균주, 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생물학적으로 방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작물을 재배하는 데 있어 농약의 사용은 필수적인 요소이며, 농약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일반적으로 작물의 수확량은 30%이상 감소할 수 있다. 하지만 합성농약의 오남용으로 인하여 환경오염 등 많은 문제가 발생되고 있어 이러한 합성농약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합성농약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수단 중 하나가 미생물과 생화학물질을 이용한 생물농약이다. 미생물농약에 사용되고 있는 길항미생물들은 항균활성, 유도저항성, 중복기생, 병원균과의 경쟁 등의 기작을 통해 식물병원균에 대한 길항작용을 나타낸다. 항균작용은 크게 휘발성 물질에 의한 작용과 비휘발성 물질에 의한 작용으로 나눌 수 있는데, 휘발성 물질을 생산하는 균주의 경우 균 배양물을 훈증제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메틸브로마이드(methyl bromide)의 대체제로 사용될 수 있는 친환경 작물보호제로 주목되고 있다. 생물훈증제(biofumigant)는 토양전염병 및 저장곰팡이병의 방제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합성 훈증제의 경우 과일, 채소 등의 유통과정 중에는 사용할 수 없었지만 곰팡이 등을 이용한 생물훈증제는 이러한 과일 및 채소류의 유통과정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 아그라퀘스트사(AgraQuest, Inc)는 휘발성 물질을 생산 하는 곰팡이 뮤스코더 알브스(Muscodor albus)를 이용한 생물훈증으로 과일의 저장병과 토양병 방제 가능성을 연구한 바 있는데(Mercier와 Manker, 2002, Phytopathology 92:S55), 상기 뮤스코더 알브스 균주는 계피나무(Cinnamomum zeylanicum)에서 분리한 식물내생곰팡이로서 여러 종의 곰팡이, 난균, 세균을 억제하고 죽이는 28가지 휘발성 화합물을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뮤스코더 알브스 균주가 고체배지에서 생산하는 주요 휘발성 물질들은 2-메틸-1-부탄올과 이소부티르산인 것으로 분석되었다(Atmosukarta 등, 2005, Plant Science 169:854-861; Lacey와 Neven, 2006, Journal of Invertebrate Pathology 91:195-198). 그러나, 뮤스코더 알브스 균주는 포자를 형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배양물 또는 제제의 안정성(storage survival)에 문제가 있다. 즉, 제제화 하여도 상온에서는 2주 이상 저장하기가 어렵고, 저온 저장을 하더라도 4주 이상 보존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안정성이 높아 저장기간이 길며 다양한 식물병원균에 길항 활성을 나타내는 길항 미생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식물체 내에서 분리한 식물내생 미생물(endophyte)들 중에서 휘발성 항균물질을 생산하는 곰팡이를 선발하고자 하였으며, 고추에서 분리한 옥시포러스 라테마지나투스(Oxyporus latemarginatus) EF069 균주가 생산하는 휘발성 물질이 다양한 식물병에 대해 높은 방제활성을 보이며, 담포자를 형성함으로써 제제의 안정성 또한 우수하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병에 대해 길항작용을 갖는 신규 옥시포러스 라테마지나투스 EF069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식물병에 대해 길항작용을 갖는 옥시포러스 라테마지나투스(Oxyporus latemarginatus) EF069 균주(KCTC 11038BP)를 제공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균주 또는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균주는 고추 식물체, 바람직하게는 줄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균주의 형태적 특성 및 ITS1-5.8S-ITS2 염기서열 분석 결과에 따라 옥시포러스 라테마지나투스로 동정되었으며, 옥시포러스 라테마지나투스 EF069로 명명되어 2006년 11월 28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 자은행에 기탁번호 제 KCTC 11038BP 호로서 기탁되었다.
본 발명의 옥시포러스 라테마지나투스 EF069 균주(이하, EF069 균주로 기재함)는 다음과 같은 형태학적 및 생화학적 특징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의 EF069 균주는 감자덱스트로스 한천배지(PDA: potato dextrose agar) 상에서 흰색의 공중 균사를 다량으로 생성한다.
또한, ITS1-5.8S-ITS2의 염기서열(서열번호 1)을 분석한 결과 옥시포러스 라테마지나투스 AF232721 균주와 98%의 염기서열 상동성(sequence homology)을 보였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EF069 균주가 생산하는 휘발성 물질은 오이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 사과나무 점무늬낙엽병균(Alternaria alternata subsp. mali), 고추 탄저병균(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후자리움 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 벼 도열병균(Magnaporthe grisea) 및 벼 잎집무늬마름병균(Rhizoctonia solani)의 균사생장을 억제하며, 균주 배양물을 처리할 경우 배추 뿌리혹병, 호접란 라이족토니아병, 무 모잘록병 및 사과 잿빛곰팡이병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EF069 균주는 균주 자체, 이의 배양물, 추출물, 포자 또는 균사의 형태로 농약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분말, 펠렛, 과립 또는 용액 등으로 제형화하여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담체로는 물, 화이트 카르본, 카올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양물은 액체 배양물 및 고체 배양물을 포함한다.
제형화된 미생물 제제는 식물이 생장하고 있는 토양, 성장 중인 식물 표면 또는 성장/보관중인 공간에 처리함으로써 식물병에 의한 식물 성장의 억제 및 이로 인한 고사를 방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EF069 균주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는 대상식물에 대해 엽면살포할 경우에는 1.0×106 세포/㎖ 내지 1.0×1012 세포/㎖, 바람직하게는 3.7×107 세포/㎖ 내지 3.3×109 세포/㎖의 양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토양에 처리할 경우에는 고체 배양물을 기준으로 토양 무게에 대하여 0.1% 내지 10%의 양으로 처리할 수 있고, 훈증할 경우에는 1×103 g/㎥ 내지 1×105 g/㎥의 양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식물내생곰팡이의 분리
2001년 5월에 충청북도 지방을 중심으로 농가에서 재배하고 있는 다수의 고추 포장으로부터 한 포장당 3개의 건전한 고추 식물체를 한 개의 시료로 채취하였다. 총 8개의 포장으로부터 시료를 채취한 후 각 시료를 부위별로, 즉 잎, 줄기 및 뿌리 등 3개 조직으로 나눈 후 식물내생곰팡이(endophytic fungi)를 분리하기 위하여 24개의 시료를 대상으로 두 가지 표면 살균법을 실시하였다. 잎은 2% 차염 화나트륨(NaOCl)에 10초간 담근 후 멸균수로 2회 세척하고 작게 조각내어 50 ㎎/ℓ 클로람페니콜(시그마사)이 첨가된 한천배지(CMA배지: cornmeal malt extract agar medium: 17.0 g 옥수수가루, 20.0 g 맥아추출물, 2.0 g 효모추출물, 1.0 리터 증류수)에 치상하였다. 한편, 줄기와 뿌리 조직은 에탄올에 잠깐 담근 다음 화염살균한 후 클로람페니콜이 첨가된 CMA배지에 치상하였다. 이를 25℃ 항온조건 하에서 배양하면서 균 분리를 실시하였다. 분리한 균들에 대하여 다시 PDA배지 상에서 단 균사 분리를 실시하였다. 총 89개의 곰팡이를 분리하였으며, 균주의 장기 보관을 위하여 PDA배지에서 7일간 배양한 균주 선단부를 떼어내 멸균 증류수와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DMSO) 용액에 넣은 다음 실온과 -70℃에서 각각 보관하였다.
실시예 2: 휘발성 항균물질을 생산하는 식물내생곰팡이 선발
분리한 89개 균주들에 대하여 식물내생곰팡이가 생산하는 휘발성 물질의 항균활성을 검정하기 위해서 사과의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에 대하여 곰팡훈증 플레이트 분석(mycofumigation plate assay)(Strobel et al., 2001, Microbiology 147:2943-2950)을 실시하였다. PDA 배지(90×15 ㎜; Becton and Dickinson Co., Farnklins Lakes, NJ, USA)를 페트리디쉬에 분주한 다음 배지의 중앙으로부터 1 ㎝의 배지를 제거하여 양쪽으로 배지가 분리되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분리한 식물내생곰팡이를 한쪽 면의 배지에 접종하고 파라필름으로 밀봉한 다음 25℃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3일 후 다른 반대쪽에 잿빛곰팡이병균을 접종하고 다 시 파라필름으로 밀봉한 다음 25℃에서 배양하면서 잿빛곰팡이병균의 생장 억제 여부를 조사하였다.
스크리닝 결과 89개의 균주들 중에서 한 개의 균주(EF069로 명명함)가 잿빛곰팡이병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보이는 휘발성 물질을 생산하였으며, 이 균주를 분리하여 하기 실시예 3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도 1은 이 균주가 생산하는 휘발성 물질에 의하여 잿빛곰팡이병균 균주의 균사 생육이 억제된 모습을 나타낸다.
실시예 3: EF069 균주의 동정
실시예 1에서 분리한 EF069 균주의 동정은 여러 가지 형태적 특징 조사 및 ITS1-5.8S-ITS2의 염기서열 분석을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1) 배양적 및 형태적 특징
EF069 균주를 PDA배지에 배양한 결과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균사의 색은 흰색을 띠었으며 시간이 지나도 다른 색을 띠지 않았다.
(2) ITS1-5.8S-ITS2 염기서열 분석
균주의 정확한 동정을 위하여 EF069 균주를 셀로판지가 깔린 PDA배지 위에 접종하여 25℃에서 4일간 배양한 후 균사체로부터 DNA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DNA로부터 ITS4 및 ITS1 프라이머를 가지고(White et al., 1990,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 pp.315-322) 핵의 리보솜 DNA(nuclear rDNA)의 ITS1-5.8S-ITS2 염기서열(서열번호 1)을 증폭한 후 순도를 점검한 다음 ABI3700 자동 DNA 서열분석기(ABI3700 automated DNA sequencer, 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사)를 이용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분석 결과 옥시포러스 라테마지나투스 AF232721 균주와 98%의 염기서열 상동성(sequence homology)을 보여 상기 균주를 옥시포러스 라테마지나투스 EF069로 명명하였다.
상기 결과에 따라 EF069 균주를 옥시포러스 라테마지나투스로 동정하였고, EF069 균주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에 2006년 11월 28일자로 기탁번호 제 KCTC 11038BP 호로 기탁하였다.
실시예 4: EF069 균주가 생산하는 휘발성 물질의 시험관 내( in vitro ) 항균활성 조사
EF069 균주가 생산하는 휘발성 항균물질이 여러 식물병원성 곰팡이의 균사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상 식물병원균으로는 벼 잎집무늬마름병균(Rhizoctonia solani), 벼 도열병균(Magnaporthe grisea), 후자리움 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 고추 탄저병균(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 및 사과나무 점무늬낙엽병균(Alternaria alternata subsp. mali)을 식물성 병원균으로 사용하였다(병원균 입수처: 경농). 대조구에는 배지의 한쪽 편에 병원성 균을 접종하였고, 다른 한쪽 편에는 아무것도 접종하지 않았다. 방제가는 식물성 병원균의 생장 거리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에 기재하였다.
방제가(%)= (대조구의 균사 생장거리 - 처리구의 균주 생장거리)/대조구의 균주 생장거리×100
Figure 112006094643107-pat00001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EF069 균주가 생산하는 휘발성 항균물질에 의해 식물병원균의 생장이 약 13% 내지 85% 억제되었으며, 특히 벼 도열병균과 잎집무늬마름병균의 생장이 크게 억제되었다.
실시예 5: EF069 균주의 사과 잿빛곰팡이병에 대한 생체 내( in vivo ) 항균활성 조사
EF069 균주를 밀기울-왕겨 배지(밀기울 200 ㎖, 왕겨 100 ㎖ 및 증류수 100 ㎖)에 8 mm 지름의 균사조각을 5개씩 떼어 접종하고 25℃로 14일간 배양한 뒤, 배양물을 50 g과 25 g씩 무게를 달아 음료수 컵에 담고 표면에 상처가 없는 사과의 한 부분에 인위적으로 상처를 내어 상처 부위에 잿빛곰팡이병균을 접종한 사과와 함께 플라스틱 상자(부피 = 7 L)에 넣은 후 밀봉하였다. 사과 표면에 상처를 낼 때에는 8 ㎜ 크기의 코르크 보러(cork borer)를 사용하였고, 모든 실험은 플라스틱 박스에 6개의 사과를 가지고 수행하였으며, 사과 밑에는 키친타월을 깔고 그 위에 물을 충분히 적셔주었다. 또한, 박스의 밀봉을 위해 뚜껑을 닫은 다음에는 랩으로 충분히 감아주었다. 상자는 잿빛곰팡이병균을 잘 발생시킬 수 있는 25℃, 암조건의 배양기에서 5일간 배양한 다음 병반의 크기로 병 발생률을 평가하였다. 이때, 잿빛곰팡이병균을 접종한 사과만 넣은 상자를 대조구로 하였다. 결과는 도 3에 표시하였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구에서는 병변이 심하게 나타난 반면에 EF069 고체 배양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거의 병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구체적으로 EF069 고체 배양물을 25 g 처리한 구에서는 사과 잿빛곰팡이병이 91% 억제되었으며, 50 g 처리한 구에서는 100% 억제되었다.
실시예 6: EF069 균주의 무 모잘록병에 대한 생체 내 항균활성 조사
EF069 균주의 토양전염병에 대한 방제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무 모잘록병(Rhizoctonia solani)에 대한 방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시예 5와 같이 준비한 EF069 균주의 밀기울-왕겨 배지 배양물을 일반토양에 5% 및 10% 수준으로 혼합하고, 포트(지름 4.4 cm)에 담아 무(희락무; 흥농종묘) 종자를 파종하였다. 무처리구와 대조약제 처리구를 위한 무 포트에는 멸균한 밀기울-왕겨 배지를 5% 및 10%로 혼합한 흙을 사용하였다. 1주간 온실에서 생육시킨 다음 식물체 뿌리로부터 주위의 흙을 멸균수로 모두 제거한 다음 무 모잘록병원균(Rhizoctonia solani; 한국화학연구원)이 접종된 토양에 이식하였다. 병원균인 무 모잘록병원균주를 2주간 배양한 호밀 배양체 1 g을 토양 100 ㎖에 혼합함으로서 이병토를 준비하였다. 대조약제로는 상업용 살균제인 플루톨라닐(Flutolanil; 경농) 용액(100 ㎍/㎖) 10 ㎖을 각각의 포트에 처리하였다. 10일 후에 식물체 고사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94643107-pat00002
그 결과 표 2에서와 같이 EF069균주의 고체 배양물을 5% 처리한 구와 10% 처리한 구의 방제가는 각각 80% 및 85%로 나타나 방제효과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조약제의 방제가는 고체배지를 5% 및 10% 혼합한 처리구에서 각각 33% 및 23%로 나타났다. 무 유묘를 이식할 때 고체 배양물을 완전히 제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방제효과를 보인 것은 EF069균주가 무 유묘의 뿌리에 침투하여 내생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되었다.
실시예 7: EF069 균주의 호접란 라이족토니아병에 대한 생체 내 항균활성 조사
자연적으로 감염된 2-3엽기의 호접란(Phalaenopsis sp.) 유묘를 선발한 후, 실시예 5와 같이 준비한 EF069 균주의 2주된 밀기울-왕겨 배양물을 지름 4.4 cm의 포트에 5 g씩 담아 호접란 포트 밑에 끼워 놓은 다음 파라필름을 이용하여 이음새 부위를 밀봉해 주었다. 대조약제로 플루톨라닐 100 ㎍/㎖ 용액을 포트당 10 ㎖씩 관주처리하였다. 무처리구의 경우에는 물을 포트당 10 ㎖씩 처리하였다. 관행농업으로 재배하였고, 두 달 후에 새로운 EF069 균주 배양물로 교체하였으며, 대조약제도 관주처리하였다. 무처리구의 경우에는 물을 처리하였다. 2차 처리 두 달 후에 발병도와 호접란의 생육정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3 및 도 4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06094643107-pat00003
표 3에 표시된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EF069 균주 배양물 처리구는 호접란 라이족토니아병을 73% 억제하였고, 대조약제인 플루톨라닐은 68% 억제하였다. 발병이 억제됨으로서 호접란의 생육도 무처리구에 비하여 양호하였는데, 잎의 수를 조사한 결과 무처리구의 평균 잎의 수는 3.8엽인데 비하여 EF069균주 처리구와 플루톨라닐 처리구의 잎의 수는 각각 4.6과 5.0이었다. 또한, 도 4에서 나타나 있듯이, 무처리구의 경우 발병에 의해 생육이 저조하지만 EF069균주 처리구와 플루톨라닐 처리구의 경우에는 생육이 양호한 것을 확실히 알 수 있다.
실시예 8: 포장에서 EF069 균주의 배추 뿌리혹병에 대한 방제효과 조사
실시예 5와 같이 준비한 EF069의 밀기울-왕겨 배양물을 일반토양에 10% 수준으로 혼합하고, 포트(지름 4.4 cm)에 담아 배추 종자(노랑김장배추; 흥농종묘)를 파종하였다. 3주간 온실에서 생육시킨 다음 배추 뿌리혹병균이 접종되어 있는 토양에 이식하였다. 이를 5개의 셀로 나눈 다음 각 셀 당 20개의 배추를 심었다. 5개 배추를 한 세트로 하여 균주 당 4개의 세트를 준비한 다음 난괴법으로 배추를 배치하였다. 포장에 배추 이식 후 4주 후에 병 발생률과 배추 생산량 증가를 평가하였다. 대조약제로는 상업용 살균제인 후론사이드(동부한농) 0.5%를 배추 이식 전에 토양에 처리하는 방법으로 준비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EF069 균주 처리구와 대조약제의 방제가는 각각 82%와 78%로 나타났다. 한편, 무처리구와 비교할 때 EF069 균주 처리구와 대조약제 처리구는 각각 86%와 121%의 수확량 증가를 효과를 나타냈다.
Figure 112006094643107-pat00004
실시예 9: EF069 균주가 생산하는 휘발성 물질의 분석
EF069 균주가 생산하는 휘발성 물질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예 5와 같이 준비한 밀기울-왕겨 2주 배양물을 이용하여 스트로벨 등(2001; Mirobiology 147:2943-2950)의 방법과 에즈라와 스트로벨(2003; Plant Science 88:239-247)의 방법을 수정하여 분석하였다. 휘발성 물질은 고체상 마이크로추출주사기(SPME; solid-phase micro-extraction syringe)를 이용하여 흡착하였다. 즉, 수펠코(Supelco)사의 SPME를 이용하였는데 화이버물질(fibre material)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위에 50/30 디비닐벤젠/카부렌(divinylbenzene/ carburen)을 사용하였다. 주사기를 고체 배양물이 담긴 플라스크의 면전 마개를 뚫고 45분간 흡착한 후 질량-선택 검출기(mass-selective detector)가 장착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기(JEOL QC5050)에 주입하였다. 이때 컬럼은 융합 실리카 모세 컬럼(fused silica capillary column) SPB-5(30 m×0.25 mm, 필름두께: 0.25 ㎛; Supelco Inc., Bellefonte, PA, USA)을 이용하였고, 주입기 온도는 240℃, 컬럼 온도는 30℃(2분)부터 5℃/분으로 220℃(9분)까지 올려 분석하였다. 인터페이스(interface)의 온도는 200℃였고, 가스는 고순도 헬륨가스를 이용하였으며, 초기 컬럼 헤드압력(initial column head pressure)은 50 KPa였다.
분석 결과,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3분에 단일 피크로 물질이 나타났으며(b), 이 물질의 질량스펙트럼(c)을 얻은 결과 분자량이 166이었다. 이때, (a)는 균주가 접종되지 않은 멸균한 고체 배양물의 휘발성물질 분석 결과로서 아무런 피크도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옥시포러스 라테마지나투스(Oxyporus latemarginatus) EF069 균주는 배추 뿌리혹병, 무 모잘록병, 호접란 라이족토니아병 및 사과 잿빛곰팡이병과 같은 식물병에 대해 강한 길항작용을 나타내므로 이를 식물병 방제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8)

  1. 옥시포러스 라테마지나투스(Oxyporus latemarginatus) EF069 균주(KCTC 11038BP).
  2. 옥시포러스 라테마지나투스(Oxyporus latemarginatus) EF069 균주(KCTC 11038BP), 이의 배양물, 추출물, 포자 또는 균사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3. 제 2항에 있어서,
    식물병이 오이 잿빛곰팡이병, 사과나무 점무늬낙엽병, 고추 탄저병, 후자리움 시들음병, 벼 도열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배추 뿌리혹병, 호접란 라이족토니아병, 무 모잘록병 및 사과 잿빛곰팡이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제제.
  4. 제 2항의 미생물 제제를 식물에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물병의 방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식물병이 오이 잿빛곰팡이병, 사과나무 점무늬낙엽병, 고추 탄저병, 후자리움 시들음병, 벼 도열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배추 뿌리혹병, 호접란 라이족토니아병, 무 모잘록병 및 사과 잿빛곰팡이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미생물 제제를 1.0×106 세포/㎖ 내지 1.0×1012 세포/㎖의 양으로 대상식물에 엽면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미생물 제제를 고체 배양물을 기준으로 토양 무게에 대하여 0.1% 내지 10%의 양으로 토양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미생물 제제를 1×103 g/㎥ 내지 1×105 g/㎥의 양으로 대상식물에 훈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0131142A 2006-12-20 2006-12-20 옥시포러스 라테마지나투스 ef069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KR100831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142A KR100831899B1 (ko) 2006-12-20 2006-12-20 옥시포러스 라테마지나투스 ef069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PCT/KR2007/006680 WO2008075907A1 (en) 2006-12-20 2007-12-20 Oxyporus latemarginatus strain having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plant disea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142A KR100831899B1 (ko) 2006-12-20 2006-12-20 옥시포러스 라테마지나투스 ef069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1899B1 true KR100831899B1 (ko) 2008-05-23

Family

ID=39536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142A KR100831899B1 (ko) 2006-12-20 2006-12-20 옥시포러스 라테마지나투스 ef069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31899B1 (ko)
WO (1) WO20080759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61784B (zh) * 2021-02-18 2023-06-23 西北农林科技大学 一株内生链格孢菌Aa-Lcht及其在防治苹果树腐烂病中的用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4015A (en) 1977-01-29 1978-08-17 Kureha Chem Ind Co Ltd Preparation of anti-tumor polysaccharide
JPH07243184A (ja) * 1994-02-28 1995-09-19 Nippon Paper Ind Co Ltd 木材パルプの漂白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4015A (en) 1977-01-29 1978-08-17 Kureha Chem Ind Co Ltd Preparation of anti-tumor polysaccharide
JPH07243184A (ja) * 1994-02-28 1995-09-19 Nippon Paper Ind Co Ltd 木材パルプの漂白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CBI GenBank Accession No. AF 16304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75907A1 (en) 200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1571B2 (en) Isolated complex endophyt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ed plant traits
US11771090B2 (en) Fungal endophytes for improved crop yields and protection from pests
US11197457B2 (en) Designed complex endophyt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ed plant traits
CN111254086B (zh) 一株贝莱斯芽孢杆菌及其在生防中的应用
CN108135180A (zh) 用于生物保护的微生物组合物和方法
MX2007008234A (es) Una nueva cepa de trichoderma atroviride, un medio de cultivo conteniendola, asi como la utilizacion de dicha cepa en particular como estimulante de la germinacion y/o del crecimiento de las plantas.
Abada et al. Management Fusarium wilt of sweet pepper by Bacillus strains
Subash et al. Mass cultivation of Trichoderma harzianum using agricultural waste as a substrate for the management of damping off disease and growth promotion in chilli plants (Capsicum annuum L.)
Yang et al. Field application of wuyiencin against Sclerotinia stem rot in soybean
TWI444141B (zh) (LECANICILLIUM MUSCARIUM) V-5 strain, a pes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nd a microorganism pesticide containing the same
Lichtenzveig et al. Inoculation and growth with soil borne pathogenic fungi
JP2016135101A (ja) ボーベリア・バッシアナ12b菌株及び該菌株を用いた微生物農薬
KHAN et al. Screening of Trichoderma spp. against Rhizoctonia solani the causal agent of rice sheath blight
Whipps Biotechnology of fungi for improving plant growth
Utami et al. The potency of secondary metabolites endophytic fungi Trichoderma sp as biocontrol of Colletotrichum sp and Fusarium oxysporum causing disease in chili
JP2003531603A (ja) 新規のトリコデルマ属微生物菌株を利用した生物学的防除用微生物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31899B1 (ko) 옥시포러스 라테마지나투스 ef069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KR101044273B1 (ko) 비카베린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
KR100760526B1 (ko) 비카베린을 생산하는 후자리움 옥시스포룸 ef119 균주,비카베린 또는 ef119 균주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
JP5052873B2 (ja) ダイズ茎疫病を生物的に防除するための防除剤及び方法
CHEMITEI BIO-CONROL OF SELECTED BARLEY FUNGAL PATHOGENS USING Paenibacillus polymyxa KaI245 ISOLATED FROM SORGHUM RHIZOSPHERE IN WESTERN KENYA
KR100427410B1 (ko) 신균주 미로쎄시움 로리둠 f000252(kctc 0980bp)및 이를 함유한 생물농약
Kouo-N’Golo et al. Evaluation of four plants compost teas against fungi responsible for Corn damping-off in Côte d’Ivo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