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1709B1 -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 Google Patents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1709B1
KR100831709B1 KR1020070019715A KR20070019715A KR100831709B1 KR 100831709 B1 KR100831709 B1 KR 100831709B1 KR 1020070019715 A KR1020070019715 A KR 1020070019715A KR 20070019715 A KR20070019715 A KR 20070019715A KR 100831709 B1 KR100831709 B1 KR 100831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rip
instantaneous
coupled
circuit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9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기
주철범
최정필
Original Assignee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9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17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4Electrothermal mechanisms
    • H01H71/16Electrothermal mechanisms with bimet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24Electromagnetic mechanisms
    • H01H71/2463Electromagnetic mechanisms with plunger type arm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4Conta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단자판 앞에 순시케이스와 더불어 상/하트립판의 트립바를 장착하여 빠른 속도로 차단이 가능하도록 함으로 제품의 신뢰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차단기 본체에 설치되는 순시 트립구조에서의 조작 핸들(10)에는 개폐기구의 취부판(40)에 결합설치되고, 이 취부판(40)은 전면으로 트립바(30)의 상트립판(31)의 취부되는 한편 후면으로 래치(45)가 내장되면서 크로스바(50)가 설치되도록 구비하여; 순시코일(21)과 플란자(23)가 설치된 순시케이스(20)는 하부에서 상기 취부판(40)에 설치된 트립바(30)의 하트립판(35)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크로스바(50)로는 2 개의 가동접점판(15)이 결합되면서 좌우 기둥(5, 6)에 취부된 바이메탈(17)은 상기 가동접점판(15)과 설치된 것을 포함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순시케이스, 차단기, 트립판, 순시트립장치, 트립바

Description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TRIP DEVICE FOR CIRCUIT BREAKER}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를 도시해 놓은 결힙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를 도시해 놓은 분리사시도,
도 3 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순시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트립바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에서 평상시 온상태의 작동도,
도 6 은 본 발명의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에서 순시코일부가 동작하여 플란자가 트립바를 당긴 상태의 작동도,
도 7 은 본 발명의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에서 순시코일부가 동작하여 플란자가 트립바를 당겨 트립된 상태의 작동도,
도 8 은 본 발명의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에서 트립된 다음 핸들을 리셋트한 상태의 작동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핸들 15 : 가동접점판
20 : 순시케이스 23 : 플란자
30 : 트립바 31 : 상트립판
35 : 하트립판 40 : 취부판
45 : 래치 50 : 크로스바
본 발명은 전원단자판 앞에 순시케이스와 더불어 상/하트립판의 트립바를 장착하여 빠른 속도로 차단이 가능하도록 함으로 제품의 신뢰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배전 계통이나 전기 회로에 있어서 부하를 개폐하거나 또는 접지·단락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 전류를 차단시키는 회로 차단기는 케이스상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조정다이얼을 돌려 원하는 트립전류 값에 셋팅시키면, 다이얼 하부에 설치된 스프링의 연동작용에 의해 인스턴트바가 회전하여 아마츄어를 회전 시키게 된다.
이때 셋팅되는 트립전류 값에 따라 인스턴트바 및 아마츄어는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코어와 아마츄어와의 간극(Gap) 또한 변화하게 된다. 종래의 회로 차단기의 전로를 따라 흐르는 전류값이 셋팅된 트립전류 값 이상이 되면 자화된 코어의 흡인력에 의해 아마츄어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코어에 붙게된다. 상기 아마츄어는 개폐기구를 연동시키도록 크로스바를 동작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개폐기구는 가동접촉자를 고정접촉자로 부터 개리시켜 전 류의 흐름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배선용 차단기는 전기적으로 과부하 상태시 또는 단락시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하여 회로 및 부하를 보호하는 전기기로서, 크게 전원측과 부하측을 연결하는 단자부와, 배선용차단기 내의 고정자와 가동자의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개폐시키는 기구부와, 전원측에서 과전류나 순시전류 및 단락전류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개폐 기구부에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트립을 유도하는 트립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선용차단기는 전원과 부하 사이에서 이상전류 즉 과전류나 순시 전류 및 단락전류가 발생시 이를 차단하여 부하 및 회로를 보호하여 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상전류 발생시 인위적인 개폐와는 상관없이 배선용 차단기 내에서 이를 인지하여 자동으로 전류를 차단시켜 주게 되는데 이를 통상의 트립이라 지칭한다. 순시 전류 통과시 발생되는 트립은 배선용 차단기에 인가되는 전류가 순간적으로 정격전류의 일정 배율로 인가될 때 이를 감지하여 일정 배율에 적당한 시간에 트립을 시켜주는 것이며 이러한 기능을 순시 트립기능인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순시트립 구조에 있어서는 보편적으로 트립소자부에 장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래서 순시 트립기능에 맞게 순시구조를 변경하여 보다 빠른 속도로 차단이 가능함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정격전류의 일정한 배율에 대한 순사전류로 동작하는 순시트립구조를 전원단자판 앞에서 순시케이스와 더불어 상/하트립판의 트립바가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 빠른 속도로 차단이 가능하도록 개선한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단기본체의 후방에 있던 순시트립구조를 옮겨줌으로 차단 동작의 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후방의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다른 부속품을 추가할 수 있는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단기 본체에 설치되는 순시 트립구조에서의 조작 핸들(10)은 개폐기구의 취부판(40)에 결합설치되고, 이 취부판(40)은 전면으로 트립바(30)의 상트립판(31)의 취부되는 한편 후면으로 래치(45)가 내장되면서 크로스바(50)가 설치되도록 구비하여; 순시코일(21)과 플란자(23)가 설치된 순시케이스(20)는 하부에서 상기 취부판(40)에 설치된 트립바(30)의 하트립판(35)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크로스바(50)로는 2 개의 가동접점판(15)이 결합되면서 좌우 기둥(5, 6)에 취부된 바이메탈(17)은 상기 가동접점판(15)과 설치된 것을 포함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를 도시해 놓은 결합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를 도시해 놓은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전원단자판(22)앞에 순시케이스(20)와 더불어 상/하트립판(31, 35)의 트립바(30)를 장착하여 빠른 속도로 차단이 가능하도록 함으로 제품의 신뢰 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인 것이다.
차단기본체에 설치되는 순시트립구조에서의 조작 핸들(10)은 개폐기구의 취부판(40)에 결합설치되고, 이 취부판(40)은 전면으로 트립바(30)의 상트립판(31)의 취부되는 한편, 후면으로 래치(45)가 내장되면서 크로스바(50)가 설치된다. 순시코일(21)과 플란자(23)가 설치된 순시케이스(20)는 하부에서 상기 취부판(40)에 설치된 트립바(30)의 하트립판(35)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크로스바(50)로는 2 개의 가동접점판(15)이 결합되면서 좌우 기둥(5, 6)에 취부된 바이메탈(17)은 상기 가동접점판(15)과 설치된다.
상기 조작핸들(10)에서 하부 양쪽의 중앙축(12)에다 취부판(40)에 있는 상부 돌출부(44)의 결합공(42)들을 결합되어 앞뒤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취부판(40)의 상부돌출부(44)밑에 있는 후면 공간에 래치(45)가 결합되고, 이 래치(45)의 중앙 좌우 결합공(47)이 결합핀에 의해 상기 취부판(40)의 안내홈(46)에 결합되도록 설치되고 있다. 상기 래치(45)에는 상기 크로스바(50)의 중앙돌기(53)에 의해 위로 올라가게 움직이는 경사판(46)이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핸들(10)에 결합된 취부판(40)과 래치(45)는 링크부재를 통해 상기 핸들(10)의 구멍(14)에 의해 결합핀과 연결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10)은 내부의 상기 래치(45)를 매개로 취부판(40)의 상부 돌출부(44)에 설치됨과 동시에 크로스바(50)에 의해 작동되도록 설치되고 있다. 상기 크로스바(50)는 좌우 요홈(51)에 가동접촉판(15)이 각각 결합되어 이 가동접촉판(15)에 의해 위로 작동되어 상기 취부판(40)내에서 래치(45)의 결합공(47)을 축으로 경사판(46)을 위로 울라가게 해 준다.
상기 취부판(40)의 하부 돌출부(48)에는 트립바(30)의 상트립판(31)에 있는 좌우 돌축(33)과 결합되고 있다. 도 4 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트립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상트립판(31)의 결합부(32)에는 순시연결판으로 하트립판(35)의 결합요홈(34)이 체결되어 트립바(30)로서 취부판(40)의 하부 돌출부(48)를 축으로 작동하게 된다. 상기 취부판(40)의 걸림부(49)는 위로 올라오는 크로스바(50)를 더 이상 이동하지 않게 해준다. 상기 트립바(30)의 상트립판(31)에는 래치걸이부(36)가 형성되어 래치(45)의 경사판(46) 타측을 안정되게 잡아주고 있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바(50)의 좌우 요홈(51)에는 좌우 기둥(5, 6)에 고정되는 가동접점판(15)이 결합되고 있는 바, 이 가동접점판(15)의 일측에는 바이메탈(17)이 설치되는 한편 순시케이스(20)에 장착될 전원단자판(22, 22')의 고정접점판(22a, 22a')이 맞닿고 있다. 도 3 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순시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따라서, 상기 트립바(30)에 있는 하트립판(35)의 결합홈(37)에는 순시케이스(20)의 플란자(23)가 결합되고 있으며, 이 플란자(23)의 일측에는 순시코일(21)내로 스프링을 통해 마그네트가 설치되어 순시케이스(20)의 하부개구부(24)에 장착되고 있다.
상기 순시케이스(20)는 일측으로 측면 요홈(26)이 형성되어 순시코일(21)내에 결합된 플란자(23)가 통과하여 하트립판(35)의 결합홈(37)을 잡아 당겨 트립바(30)가 상트립판(31)의 돌축(33)을 중심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전원단자판(22)은 순시케이스(20)의 결합돌기에 결합되면서 고정접점판(22a)이 측면개구부(25)에 결합고정되고, 나머지 고정접점판(22a')의 전원단자판(22')은 취부판(40)의 하부 측면에 고정설치된다.
가동접촉자를 접촉위치에서 분리 위치로 이동시켜 회로를 개폐시키는 개폐기구에 의해 개폐되는 가동접점판(15, 15)과 고정접점판(22a, 22a')간의 전자기 반발력에 의해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간의 개폐가 가능함으로, 단락시 전자기 반발력에 의해 트립소자부까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즉, 과전류가 전원단자판(22, 22')을 통해 순시케이스(20)내의 마그네트가 작동되어 플란자(23)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고정접점판(22a, 22a')과 가동접점판(15, 15)을 개리시키게 된다.
상기 가동접점판(15, 15)이 위로 올라가면서 크로스바(50)와 함께 이동시켜 중앙돌기(53)가 취부판(40)내에 있는 경사판(46)의 래치(45)를 작동시켜 상기 취부판(40)에 결합된 조작핸들(10)을 움직이게 해준다. 이와 동시에 순시케이스(20)의 플란자(23)가 트립바(30)의 하트립판(35)을 잡아당기게 되고, 하트립판(35)과 결합된 상트립판(31)의 돌축(33)이 취부판(40)의 하부 돌출부(48)에서 움직이게 됨으로 상기 트립바(30)와 함께 조작핸들(10)이 작동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작동을 도 5 내지 도 8 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에서 평상시 온상태의 작동도이다. 차단기 본체내에서 순시트립구조가 평상시 온상태에서는, 차단기본체의 전원단자판(22, 22')앞에 설치된 순시케이스(20)에서 순시코일(21)내의 플란자(23)가 트립바(30)의 하트립판(35)에 결합된 상태로 있고, 고정접점판(22a, 22a')과 가동접점 판(15, 15)이 접촉된 상태로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동접점판(15, 15)에 의해 결합된 크로스바(50)와 더불어 취부판(40)에 결합된 래치(45)와 조작핸들(10)이 온상태로 있으며, 상기 트립바(30)의 하트립판(35)과 결합된 상트립판(31)이 수직 상태로 되어 있다. 이때 래치(45)는 취부판(40)의 안내홈(46)에서 수평으로 놓여져 있고, 상기 가동접점판(15, 15)의 일측에 바이메탈(17, 17)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45)가 상트립판(31)의 래치걸이부(36)이 걸려져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에서 순시코일부가 동작하여 플란자가 트립바를 당긴 상태의 작동도이다. 과전류가 차단기본체의 전원단자판(22, 22')으로 흐르게 되면 순시코일(21)내의 마그네트가 작동되어 유도됨으로 플란자(23)가 트립바(30)의 하트립판(35)을 잡아당기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트립바(30)의 하트립판(35)과 결합된 상트립판(31)이 전방으로 움직이게 되고, 상기 상트립판(31)의 래치걸이부(36)에 걸려 있는 래치(45)와 떨어지게 된다. 상기 순시케이스(20)의 플란자(23)가 트립바(30)를 당긴 상태에서는 가동접점판(15, 15)에 의해 결합된 크로스바(50)와 더불어 취부판(40)에 결합된 래치(45)와 조작핸들(10)은 온상태로 있게 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에서 순시코일부가 동작하여 플란자가 트립바를 당겨 트립된 상태의 작동도이다. 순시케이스(20)의 플란자(23)가 트립바(30)의 하트립판(35)을 잡아당겨 상기 하트립판(35)과 결합된 상트립판(31)이 전방으로 움직임과 더불어 순시코일(21)이 유도되어 가동접점판(15, 15)과 고정접 점판(22a, 22a')간의 전자기 반발력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판(15, 15)이 크로스바(50)와 함께 위로 올라가게 된다.
상기 플란자(23)가 하트립판(35)의 트립바(30)를 당겨 트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크로스바(50)의 중앙돌기(53)가 취부판(40)내에 있는 경사판(46)의 래치(45)를 작동시켜 상기 취부판(40)에 결합된 조작핸들(10)을 움직이게 해준다. 이때 상기 조작핸들(10)이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래치(45)가 취부판(40)에서 경사진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접점판(22a, 22a')과 가동접점판(15, 15)간을 개리시키게 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에서 트립된 다음 핸들을 리셋트한 상태의 작동도이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시케이스(20)의 플란자(23)가 트립바(30)를 당겨 트립시킨 다음 이를 사용자에 의해 조작핸들(10)을 조작하여 리셋트시키면 된다.
상기 핸들(10)을 리셋트한 상태에서는 상기 핸들(10)에 의해 취부판(40)내의 래치(45)가 수평으로 놓여지게 됨으로 가동접점판(15, 15)에 결합한 크로스바(50)가 위로 올려진 상태에서 트립바(30)가 수직으로 놓여지게 된다. 이때 상기 트립바(30)의 상트립판(31)에 결합된 하트립판(35)이 수직으로 돌아가서 순시케이스(20)의 플란자(23)를 원위치시키고, 고정접점판(22a, 22a')과 가동접점판(15, 15)간을 개리시켜놓은 상태로 있는다.
본 발명의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는 이극인 경우를 일례로하여 설명했지만, 기술적 요지가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트립바의 하트립판으로 순시연결판의 결합 홈을 다수개 추가하여 3 극 또는 4 극의 경우 각 상에 순시트립구조로 조립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단기본체의 후방에 있던 순시트립구조를 옮겨줌으로 차단 동작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그 후방의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부속품을 추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정격전류의 일정한 배율에 대한 순사전류로 동작하는 순시트립구조를 전원단자판 앞에서 순시케이스와 더불어 상/하트립판의 트립바가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 빠른 속도로 차단이 가능하도록 개선한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정확한 순시트립의 특성이 실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5)

  1. 차단기 본체에 설치되는 순시 트립구조에서의 조작 핸들(10)에는 개폐기구의 취부판(40)에 결합설치되고, 이 취부판(40)은 전면으로 트립바(30)의 상트립판(31)의 취부되는 한편 후면으로 래치(45)가 내장되면서 크로스바(50)가 설치되도록 구비하여;
    순시코일(21)과 플란자(23)가 설치된 순시케이스(20)는 하부에서 상기 취부판(40)에 설치된 트립바(30)의 하트립판(35)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크로스바(50)로는 2 개의 가동접점판(15)이 결합되면서 좌우 기둥(5, 6)에 취부된 바이메탈(17)은 상기 가동접점판(15)과 설치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판(40)의 하부 돌출부(48)에는 트립바(30)의 상트립판(31)에 있는 좌우 돌축(33)과 결합되고, 상기 상트립판(31)의 결합부(32)에는 순시연결판으로 하트립판(35)의 결합요홈(34)이 체결되어 트립바(30)로서 취부판(40)의 하부 돌출부(48)를 축으로 작동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립바(30)에 있는 하트립판(35)의 결합홈(37)에는 순시케이스(20)의 플란자(23)가 결합되고, 이 플란자(23)의 일측에는 순시코일(21)내로 스프링을 통해 마그네트가 설치되어 순시케이스(20)의 하부개구부(24)에 장착되며;
    상기 순시케이스(20)는 일측으로 측면 요홈(26)이 형성되어 순시코일(21)내에 결합된 플란자(23)가 통과하여 하트립판(35)의 결합홈(37)을 잡아 당겨 트립바(30)가 상트립판(31)의 돌축(33)을 중심으로 움직이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시케이스(20)와 더불어 상/하트립판(31, 35)의 트립바(30)가 전원단자판(22)앞에 장착하여 빠른 속도로 차단이 가능하고 후방 공간에 다른 부속품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KR1020070019715A 2007-02-27 2007-02-27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KR100831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715A KR100831709B1 (ko) 2007-02-27 2007-02-27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715A KR100831709B1 (ko) 2007-02-27 2007-02-27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1709B1 true KR100831709B1 (ko) 2008-05-22

Family

ID=39664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9715A KR100831709B1 (ko) 2007-02-27 2007-02-27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170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850B1 (ko) 2010-01-19 2011-12-1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로차단기
KR101204979B1 (ko) 2011-05-06 2012-11-26 이관희 순시 트립 구조의 저압 차단기
KR200471559Y1 (ko) 2013-01-24 2014-03-13 김성곤 소형 배선용 차단기
KR102442505B1 (ko) * 2022-02-09 2022-09-13 주식회사 일렉스 단락 트립 기능을 갖춘 전원 차단기
KR102494983B1 (ko) * 2022-02-09 2023-02-06 주식회사 일렉스 순시 트립 기능을 갖춘 전원 차단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959Y1 (ko) 2005-10-08 2006-01-11 주식회사 대륙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KR20060101035A (ko) * 2005-03-18 2006-09-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1035A (ko) * 2005-03-18 2006-09-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KR200404959Y1 (ko) 2005-10-08 2006-01-11 주식회사 대륙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850B1 (ko) 2010-01-19 2011-12-1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로차단기
KR101204979B1 (ko) 2011-05-06 2012-11-26 이관희 순시 트립 구조의 저압 차단기
KR200471559Y1 (ko) 2013-01-24 2014-03-13 김성곤 소형 배선용 차단기
KR102442505B1 (ko) * 2022-02-09 2022-09-13 주식회사 일렉스 단락 트립 기능을 갖춘 전원 차단기
KR102494983B1 (ko) * 2022-02-09 2023-02-06 주식회사 일렉스 순시 트립 기능을 갖춘 전원 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05719B2 (ja) 配線用遮断器のプレッシャートリップ装置
US4489295A (en) Circuit interrupter with improved electro-mechanical undervoltage release mechanism
US6248970B1 (en) ARC chute for a molded case circuit breaker
US7843291B2 (en) Integrated maglatch accessory
US6867671B2 (en) Signal accessory for a molded case circuit breaker
KR100831709B1 (ko) 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JPS6229030A (ja) 回路断続器
US6222143B1 (en) Positive off toggle mechanism
US6441708B1 (en) Shunt trip device for a molded case circuit breaker
US6515569B2 (en) Circuit breaker with bypass conductor commutating current out of the bimetal during short circuit interruption and method of commutating current out of bimetal
EP0237355B1 (en) Circuit breaker with trip delay magnetic circuit
US6894594B2 (en) Circuit breaker including a cradle and a pivot pin therefor
KR102423488B1 (ko) 소형 차단기용 순시 트립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소형 차단기
US6727788B1 (en) Latch mechanism for a circuit breaker
JP4147347B2 (ja) 配線用遮断器
KR100557495B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가스압 트립장치
KR200471559Y1 (ko) 소형 배선용 차단기
KR102278777B1 (ko) 프레임 구조의 핑거 영역을 가진 회로 차단기
US6472965B2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accessory system
WO2013130044A1 (en) Circuit breaker thermal-magnetic trip units and methods
JP7293509B2 (ja) クロスバー組立体及びそれを含むトリップ装置
KR102017804B1 (ko) 차단기
KR20240054029A (ko)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KR20240000375U (ko) 압트립 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KR20240000676U (ko) 배선용 차단기의 가조정 트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