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1363B1 -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비래해충 포충 장치 - Google Patents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비래해충 포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1363B1
KR100831363B1 KR1020070046776A KR20070046776A KR100831363B1 KR 100831363 B1 KR100831363 B1 KR 100831363B1 KR 1020070046776 A KR1020070046776 A KR 1020070046776A KR 20070046776 A KR20070046776 A KR 20070046776A KR 100831363 B1 KR100831363 B1 KR 100831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capture
unit
curren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to KR1020070046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13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45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해충 포충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광투과 물질로 형성되고 해충을 포획하는 포획부가 마련된 포획 유닛과, 포획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포획부를 투과한 광을 집광하여 포획량에 따라 변동하는 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 및, 기 태양전지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포획된 해충량을 검출하는 검출 유닛을 포함하는 해충 포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포획부를 투과한 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해충의 포획량과 포획부의 교체시기를 용이하게 알 수 있으며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포충, 해충, 태양전지

Description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비래해충 포충 장치{APPARTUS OF CAPTURING FLYING INSECTS USING SOLAR CELL}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포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포충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충 장치의 포획 유닛과 태양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충 장치의 검출 유닛을 도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포충 장치
102, 202 : 유인등
104, 214 : 포획부
108 : 제어부
120 : 포획 유닛
140, 240 : 태양 전지
160 : 검출 유닛
본 발명은 비래 해충을 포획하는 포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비래 해충의 포획량을 검출할 수 있는 포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리, 모기, 나방 등 날아다니는 해충을 특히 비래 해충이라 한다. 이 비래 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해충을 유인하여 끈끈이로 포획하는 포충등, 고전압을 이용하여 해충을 감전사시키는 전격살충기, 약재를 분사하여 해충을 포획하는 분사기 등이 이용된다.
이 중 끈끈이를 이용한 포충 장치의 경우 해충이 끈끈이에 포획된 정도나 끈끈이의 접착력이 약화되는 정도에 따라 끈끈이를 회수롤을 이용하여 감아주어야 하지만, 종래의 끈끈이를 이용한 포충 장치에는 포획된 해충량을 자동으로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도 1은 종래의 끈끈이를 이용한 포충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해충 포충 장치(10)는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등(12)과, 유인등(12)의 하부에 마련되어 유인등(12)에 의해 유인된 해충을 포획 하는 끈끈이(14)와, 끈끈이를 감는 모터부(16)와, 모터부(16)를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 유닛(18)과, 유인등(12), 끈끈이(14), 모터부(16) 및 제어유닛이 장착되는 하우징(20)을 포함한다.
끈끈이(14)에 포획되는 해충의 양이 많을수록 끈끈이(14)의 접착력이 떨어지며, 끈끈이(14)는 또한 그 접착물 자체의 성질에 의해 시간이 경과하면 자연 경화됨으로써 접착력이 떨어지게 된다.
종래 해충 포충 장치(10)는 이러한 끈끈이(14)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끈끈이(14)를 점검해여 해충의 포획량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비래 해충 장치를 관리자가 직접 체크하고 해충량을 분석하여 수기하고 지사 또는 본사로 복귀하여 해당 내용을 전산 입력하는 방식으로 업무 진행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업무진행은 관리자의 업무 능력, 성향에 따른 데이터의 편차가 발생하여 데이터의 신뢰도가 떨어지며 작업 효율성도 낮은 단점이 있다. 또한, 비래 해충이 갑작스럽게 많아지는 경우 초기 대응이 어려워 적절한 비래 해충의 방제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끈끈이 상의 해충 포획량을 검출할 수 있는 포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끈끈이의 교체시기를 검출할 수 있는 포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태양전지로 비상전력 가동이 가능한 포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투과 물질로 형성되고 해충을 포획하는 포획부가 마련된 포획 유닛과, 상기 포획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포획부를 투과한 광을 집광하여 포획량에 따라 변동하는 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 및, 상기 태양전지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포획된 해충량을 검출하는 검출 유닛을 포함하는 해충 포충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충 장치의 포충 유닛과 태양 전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충 장치(100)는 광투과 물질로 형성되고 해충을 포획하는 포획부(104)가 마련된 포획 유닛(120)과, 포획부(120)의 하부에 위치하여 포획부(120)를 투과한 광을 집광하여 포획량에 따라 변동하는 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140)와, 태양전지(14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포획된 해충량을 검출하는 검출 유닛(160)을 구비한다.
포획 유닛(120)은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등(102)과,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유 인등(102)에 의해 유인되는 해충을 포획하는 포획부(104)와, 포획부(104)를 구동시켜 유인등(102)에 노출되는 접착면이 교체되게 하는 모터부(106)와, 모터부(106)에 구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108)와, 유인등(102), 모터부(106), 제어부(108)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110)와, 유인등(102), 포획부(104), 모터부(106), 제어부(108), 전원부(110) 및, 태양전지(140)가 장착되는 하우징(1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유인등(102)은 포획부(104)의 후방에 마련된 태양전지(140)에 충분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포획부(104)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충 장치(100)에서는 포획부(104)에 근접하게 위치한 유인등(102)은 하나이지만 포획부(104)와 유인등(102)의 위치 배치에 따라 유인등(102)은 수개가 포획부(104)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도 5에서 수개의 유인등(202)이 포획부(214)에 근접하게 마련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충장치(200)를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유인등(102)에서 조사되는 광은 해충을 유인하도록 전방으로 조명됨과 동시에 포획부(104)가 마련된 후방으로 조사되어야 한다. 후방으로 조사되는 광은 동시에 태양전지(140)를 향해 충분한 광량이 입사할 수 있어야 하므로 유인등(102)의 후방에 반사판(112)을 더 설치하여 광로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판(112)은 해충이 포획부(104)를 향해 진행할 수 있도록 물리적인 차단벽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유인등(102)은 곡면을 따라 곡선 배치되어 광의 조사범위를 확대할 수 있으며 광 간섭을 억제하여 태양전지(140)로 입사하는 광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유인등(102)은 일반적으로 340nm 내지 380nm 파장 대역의 자외선을 보다 강 하게 조사하는 광원을 이용한다. 해충의 종류별로 선호하는 파장대의 빛이 다르며, 구체적으로 파리와 벼멸구는 340nm 또는 575nm의 빛, 나방과 모기는 366nm의 빛, 일반해충은 340 내지 380 nm의 빛을 선호한다고 알려져 있다. 유인등(102)으로 박멸하고자 하는 해충에 적합한 파장대역의 형광램프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포획부(104)는 일반적으로 일면이 접착물질로 도포된 끈끈이가 사용된다. 포획부(104)의 구조를 보면, 일단은 미사용된 끈끈이가 감겨있는 공급롤이 타단에는 사용된 끈끈이가 회수되는 회수롤이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인 구조이다. 포획부(104)는 광투과 물질로 형성되어 포획부(104)의 후방에 마련된 태양전지(140)로 외부에서 입사되는 태양광이나 실내등으로부터 입사되는 실내광 및 유인등(102)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포함하는 광이 최대한 투과할 수 있도록 한다.
포획부(104)에 도포되는 접착물질은 시간에 따라 접착력이 떨어지고 유인등(102)에서 조사되는 광에 의해 투명도가 점차 떨어지는 성질을 가진다. 따라서, 포획부(104)의 접착면 교체 시기는 포획부(104)에 포획되는 해충량과 접착물질의 상술한 성질에 의한 자연적인 경화에 의한 두 가지 원인이 함께 작용하여 그 시기가 결정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충 장치(100)에서 이러한 포획부(104)의 접착면 교체 시기를 아래에 설명하는 태양전지(140)와 검출 유닛(160)의 작용을 통해 알아낸다.
모터부(106)는 공급롤과 회수롤을 구동하여 유인등(102)에 노출되는 접착면이 교체될 수 있도록 한다. 모터부(106)는 공급롤 또는 회수롤을 회전시켜 포획부(104)를 당기는 롤러의 기계력으로 공급롤에 감겨있던 미사용된 포획부(104)가 권출되고 사용된 포획부(104)는 권입되게 하여 유인등(102)에 노출되는 접착면을 교체시킨다.
제어부(108)는 포획부(104)의 접착면을 교체해야 할 시점에 모터부(106)를 구동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부(108)는 또한 전원부(110)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비상 시점에 이를 인식하여 태양 전지(140)에 연결되어 있는 밧데리(144)로부터 전원부(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전원부(110)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었음을 알리는 경고 신호를 울릴 수도 있다.
제어부(108)는 또한 통신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외부 관제 센터나 관리자의 단말기로 수신된 접착면 교체를 위한 모터부(106)의 구동신호를 송신하거나 전원부의 전원 중단 신호를 송신하고 이에 따른 제어신호를 해당 외부 센터나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여 원격으로 포획 유닛(120)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전원부(110)는 포충 장치(100)의 성격상 24시간 사용을 위해 일반적으로 공급되는 교류전력을 사용한다. 전원부(110)에는 스위치가 장착되어 온-오프 제어가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전 등의 원인으로 전원부(110)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태양전지(140)의 충전된 밧데리(144)가 예비 전력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112)은 포획부(104)와 마찬가지로 광투과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유인공(116)이 있는 전방으로 최대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우징(112)의 전면만이 광투과 재질로 형성되지만 하우징(112)의 상면 및 하면도 광투과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 태양광, 실내광 등을 최대한 태양전지(140)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12)은 곡선 배치되는 유인등(102)의 배치에 따라 전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의 형태는 포획량을 증가시키고 투과광을 최대화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충이 포획 유닛(120)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하우징(112)에는 유인공(116)이 마련된다. 유인공(116)은 하우징(112)의 전방에 형성되어 유인공(116)을 통해 진입한 해충은 광로를 따라 포획부(104)로 향한다. 유인공(116)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해충이 한 번 유인되어 하우징(112) 내로 진입하면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없도록 한다.
태양전지(140)는 태양광을 반도체 성질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140)에서 생산되는 전기에너지를 전원으로 이용하지만, 본 발명의 포충 장치에서는 외부 광의 광량 변화에 따라 태양전지(140)가 생성하는 전기에너지의 변화를 검출하여 포획부(140) 상에 포획된 해충의 포획량이나 접착면의 교체시기를 결정한다.
태양전지(140)는 포획부(104)의 후방에 마련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충 장치(100)에서 태양전지(140)로 입사하는 광량의 대부분은 하우징(112) 내에 설치된 유인등(102)에서 조사되는 광이 된다. 특히 포획부(104)에 근접하게 위치한 유인등(102)의 광량이 태양전지(140)의 출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입사 광량이 될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태양전지(140)는 또한 충전컨트롤러(142)와 밧데리(144)가 더 연결되어 전원부(110)의 전력 미공급시 비상 전력으로 이용된다. 검출 유닛(160)에서 모니터링을 위해 태양전지(140)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에너지를 분석하지 않을 때에 태양전지(140)로부터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충전컨트롤러(142)를 통해 밧데리(144)에 축적된다. 축적된 전기에너지는 전원부(110)의 전력공급이 중단되는 시점에 전원부(110)의 전력 공급이 중단됨을 인식한 제어부(108)에 의해 비상전력으로 작동된다.
태양전지(140)의 종류는 포충 장치(100)를 설치하는 환경에 따라 필요한 출력을 알아보고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외에 설치하는 경우 충분한 태양광이 입사한다는 가정이 성립하여 다소 낮은 출력을 나타내는 태양전지(140)를 사용하여 경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실내에 설치하는 경우 출력이 높은 태양전지(140)를 선택하여 보다 정확하게 포획량 산출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양전지(140)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검출유닛(160)으로 전달된다.
검출유닛(160)은 태양전지(140)로부터 생성되는 전기에너지로부터 전압 또는 전류를 검출하는 검출기(162), 저장된 포획량 테이블로부터 상기 검출된 전압값 또는 전류값에 해당하는 포획량을 산출하는 산출기(164)를 포함한다.
검출유닛(160)의 산출기(164)는 상기 검출된 전압값 또는 전류값이 저장된 문턱(threshold) 전압값 또는 전류값에 도달하면 포획유닛(120)의 제어부(108)에 모터부(106)를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전달한다. 제어부(108)는 전달된 구동신호에 따라 모터부(106)를 구동시켜 포획부(104)의 접착면이 교체되게 한다. 바람직하게 는 검출유닛(160)에 통신모듈(미도시)을 더 구비하여 외부 관제센터나 관리자의 단말기와 정보전달신호를 송수신한다. 이 경우 원격으로 해충 포획량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제어 신호를 검출유닛(160)으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포획량 테이블은 검출되는 전압값 또는 전류값의 크기에 따라 포획량을 대, 중, 소 또는 많음, 적음 등으로 간단히 테이블화하거나, 상세히 전류값 또는 전압값의 수치에 따른 포획량을 수치로 데이터 테이블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해충 장치의 태양전지(140)의 최고 출력 전류가 4(A)이고 3.5~4(A)의 전류는 포획량 소, 3~3.5(A)의 전류는 포획량 중, 2.5~3(A)의 전류는 포획량 대로 설정하고, 2.5A의 전류를 문턱 전류값으로 하는 포획량 테이블을 산출기(164)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검출된 전류값이 2.7(A)이면 포획량을 대로 분석한다. 만약 전류가 2.5(A)로 검출되면 포획부(104)를 교체하는 신호를 제어부(108)로 발송한다.
검출 유닛(160)은 외부 관제 센터나 관리자의 단말기로 포획량 검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미도시)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자는 원격으로 포획량 검출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충 포획량을 간단히 모니터링할 수 있다.
검출 유닛(160)에 출력되는 검출 전압과 전류는 해충의 포획량과 접착면의 투명도라는 두 요소가 함께 영향을 주는 변수이다. 따라서, 포획량 테이블의 형성시 이에 대한 적절한 실험을 통해 그 값을 산출기(166)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포획량과 투명도라는 두 변수들은 설치 환경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적인 변수를 더 고려하여 검출유닛(160)에 태양전지(140)가 설 치되는 장소의 광량 변화에 따라 변동되는 전기에너지의 생성 초기값을 산출기(164)에 송신하는 보정기(16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산출기(164)는 보정기(166)에서 생성 초기값이 수신되면 저장된 포획량 테이블의 초기값을 조정하여 저장되어 있는 포획량 대, 중, 소 또는 포획량 많음, 적음을 나타내는 의미있는 전류값 또는 전압값을 초기값의 변화에 비례하여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좀 더 정확하게 포획량을 산출하고 교체시기를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획량 테이블에 출력 초기값이 4(V)로 설정되어 있고 3~4(V)를 포획량 적음, 2~3(V)를 포획량 많음, 2(V)를 문턱값 저장되어 있는데, 포충장치(100)를 설치한 환경의 태양전지(140) 첫 출력값이 3(V)인 경우 보정기(166)는 이 초기값을 산출기(164)로 송신한다.
보정기(166)는 3(V)를 초기값(164)으로 포획량 테이블의 초기값을 재설정하고 0.75~1(V)를 포획량 적음, 0.5~0.75(V)으로 포획량 많음으로 저장하여, 이후 포획량 산출에 적용한다. 문턱 전압값도 0.5(V)로 조정되어, 전압값이 0.5(V)로 검출되면 포획유닛(120)의 제어부(108)로 모터부(106)의 구동신호를 송신한다.
검출 유닛(160)에는 정확한 해충량의 계수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정밀 변류기(163), 전류-전압 변환기(165) 및, 분석기(16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초정밀 변류기(163)는 태양전지(140)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에너지의 미세한 전류를 전류에 비례하는 일정 크기의 전류로 변류한다. 초정밀 전류기로는 클램프 메터(Clamp Meter)를 예로 들 수 있다.
전류-전압 변환기(165)는 미세한 전류값을 전압값으로 변환시킨다. 전류-전 압 변환기(165)는 전류의 변화에 대한 측정이 어려울 때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시켜 변화된 전류의 량을 유추할 수 있다.
분석기(166)는 변환된 전압의 변화를 분석하여 의미있는 전압 분석 결과를 산출기(164)로 송신한다. 산출기(164)는 이 전압 분석 결과를 수신한 다음 저장되어 있는 포획량 테이블을 이용하여 정확한 포획량을 산출한다. 이를 위해 포획량 테이블은 전압값에 따른 포획량이 좀 더 세분화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태양전지로(140)로부터 생성되는 전기에너지의 변화가 갑작스럽게 줄어드는 경우 초정밀 전류기(163)를 통해 감소된 전류값은 좀 더 분석하기 쉬운 값으로 변류된다. 변류된 전류값은 전류-전압 변환기(165)를 통해 전압값으로 뚜렷이 나타나게 되고 분석기(166)를 통해 최종적으로 전압값의 변화량을 알 수 있다. 산출기(164)는 전압값의 변화량을 통해 광이 투과하지 못하는 포획부(104) 면적에 비례하는 포획량을 산출한다. 급작스럽게 많은 해충이 잡히는 경우 포획부(104) 상의 접착면을 투과하는 광량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출력 전류, 전압값도 급격히 감소되므로 급격한 변화를 나타내는 시점에 검출 유닛(160)에 검출되는 전류, 전압값의 변화로부터 포획량을 산출하는 것이다.
태양전지(140)를 이용한 포획량 모니터링은 실시간으로 진행할 수도 있고 일정 시간을 정해서 규칙적으로 태양 전지(140)의 출력 전압 또는 전류를 모니터링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조량이 가장 많은 시간대인 2시에서 4시 사이에 매일 접착면을 모니터링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출 유닛에 포함될 수 있는 소자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충 포획량을 정확히 검출하기 위한 어떠한 소자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태양전지의 출력 전기에너지에 따른 포획량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구비하여 설치 환경에 따른 해충의 포획 정보를 분석하는 데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충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충 장치(200)는 포획부(214)와 태양전지(240)가 유인등(202)의 배치와 나란하게 후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배치로 인해 포획부(214)에 근접하는 유인등(202)은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세 개가 되나 유인등(202)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포획부(214)에 좀 더 많은 광량이 투과될 수 있어 태양전지(240)의 출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충 장치(200)에서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충 장치(100)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유인등(202)에서 조사되는 광에 의해 하우징(212) 내로 진입한 해충은 포획부(214)에 포획된다. 포획부(214)에 포획된 해충의 증가에 따라 포획부(214)를 투과하는 광량은 점차 감소하게 되고 포획부(124)에 후방에 위치하는 태양전지(240)에서 출력되는 전기에너지도 약화된다. 태양전지(240)에서 생성되는 전기에너지의 변화에 따라 검출유닛(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포획량 테이블로부터 포획량을 알아내고 특히 그 전류값 또는 전압값이 문턱전류값 또는 전압값에 도달하는 경우 포획부(214)의 교체 신호를 포획 유닛의 제어부(미도시)로 출력한다. 제어부(미도시)는 포획부(214)에 연결된 모터부를 구동하여 포획부(214)의 접착면을 교체한다.
본 발명의 포충 장치는 태양 전지를 모니터링 장치로 이용하여 자동으로 포충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포획부를 투과한 광량의 변화를 센싱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자를 채용할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전지의 출력 전기에너지에 따라 용이하게 해충의 포획량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자의 확인 없이 자동으로 포획부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관리자가 원격으로 포충 장치의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9)

  1. 광투과 물질로 형성되고 해충을 포획하는 포획부가 마련된 포획 유닛;
    상기 포획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포획부를 투과한 광을 집광하여 포획량에 따라 변동하는 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 및
    상기 태양전지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포획된 해충량을 검출하는 검출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부는 접착물질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 유닛은
    상기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등;
    상기 포획부를 구동시켜 상기 유인등에 노출되는 부분을 교체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구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
    상기 유인등, 상기 모터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포획부, 상기 유인등, 상기 모터부, 상기 제어부, 상기 전원부 및, 상기태양전지가 장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등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포획부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등에 근접하여 반사판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망을 통해 정보 전달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광투과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는 상기 전원부의 전력 공급 중단시 비상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컨트롤러와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의 전력 공급 중단시 상기 배터리에 비상 전력 공급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은,
    상기 태양전지로부터 생성되는 전기에너지로부터 전압 또는 전류를 검출하는 검출기; 및
    저장된 포획량 테이블로부터 상기 검출된 전압값 또는 전류값에 해당하는 포획량을 산출하는 산출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은,
    상기 태양전지로부터 생성되는 전기에너지로부터 전압 또는 전류를 검출하는 검출기; 및
    저장된 포획량 테이블로부터 상기 검출된 전압값 또는 전류값에 해당하는 포획량을 산출하는 산출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기는 상기 검출된 전압값 또는 전류값이 문턱 전압값 또는 전류값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부의 구동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유닛은 통신망을 통해 정보전달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가 설치되는 장소의 광량 변화에 의해 변동되는 전기에너지의 생성 초기값을 상기 산출기로 송신하는 보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기는 상기 보정기로부터 수신되는 생성 초기값에 비례하여 포획량 테이블을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가 설치되는 장소의 광량 변화에 의해 변동되는 전기에너지의 생성 초기값을 상기 산출기로 송신하는 보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기는 상기 보정기로부터 수신되는 생성 초기값에 비례하여 포획량 테이블을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은
    상기 검출기에 검출된 전류를 증폭하는 초정밀 변류기;
    상기 증폭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류-전압 변환기; 및
    상기 전압의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산출기로 송신하는 분석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은
    상기 검출기에 검출된 전류를 증폭하는 초정밀 변류기;
    상기 증폭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류-전압 변환기; 및
    상기 전압의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산출기로 송신하는 분석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 장치.
KR1020070046776A 2007-05-14 2007-05-14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비래해충 포충 장치 KR100831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776A KR100831363B1 (ko) 2007-05-14 2007-05-14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비래해충 포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776A KR100831363B1 (ko) 2007-05-14 2007-05-14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비래해충 포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1363B1 true KR100831363B1 (ko) 2008-05-22

Family

ID=39664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776A KR100831363B1 (ko) 2007-05-14 2007-05-14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비래해충 포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13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5018A (zh) * 2012-10-31 2013-01-23 无锡同春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以太阳能光伏发电作为供电源的孑孓收集装置
US20210392866A1 (en) * 2018-10-22 2021-12-23 Brandenburg Connect Limited Intelligent trap and consumables
GB2609311A (en) * 2021-08-20 2023-02-01 Univ Zhejiang Intelligent replacement device and method for trap board in tea garden based on image channel computa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1803A (ja) 2000-02-03 2001-08-07 Terada Seisakusho Co Ltd 稼動時間可変型自動カウントフェロモントラップ
KR200382885Y1 (ko) 2005-01-04 2005-04-27 한우용 태양광 발전 유해 곤충 및 유해 조수 퇴치용 주파수 가변 초음파 발생장치
KR200412143Y1 (ko) 2005-12-29 2006-03-23 알리그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태양광 해충 퇴치기
KR200425857Y1 (ko) 2006-06-19 2006-09-19 알버트 앤드 선 코., 엘티디. 태양전지 구동식 해충 포획 및 살충용 장치
KR20060100854A (ko) * 2005-03-18 2006-09-21 주식회사 파루 흡입식 포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1803A (ja) 2000-02-03 2001-08-07 Terada Seisakusho Co Ltd 稼動時間可変型自動カウントフェロモントラップ
KR200382885Y1 (ko) 2005-01-04 2005-04-27 한우용 태양광 발전 유해 곤충 및 유해 조수 퇴치용 주파수 가변 초음파 발생장치
KR20060100854A (ko) * 2005-03-18 2006-09-21 주식회사 파루 흡입식 포충기
KR200412143Y1 (ko) 2005-12-29 2006-03-23 알리그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태양광 해충 퇴치기
KR200425857Y1 (ko) 2006-06-19 2006-09-19 알버트 앤드 선 코., 엘티디. 태양전지 구동식 해충 포획 및 살충용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5018A (zh) * 2012-10-31 2013-01-23 无锡同春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以太阳能光伏发电作为供电源的孑孓收集装置
US20210392866A1 (en) * 2018-10-22 2021-12-23 Brandenburg Connect Limited Intelligent trap and consumables
US11974561B2 (en) * 2018-10-22 2024-05-07 Caucus Connect Limited Intelligent trap and consumables
GB2609311A (en) * 2021-08-20 2023-02-01 Univ Zhejiang Intelligent replacement device and method for trap board in tea garden based on image channel computation
GB2609311B (en) * 2021-08-20 2023-08-23 Univ Zhejiang Intelligent replacement device and method for trap boards in tea garden based on image channel comput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4331A (ko) 아이티 페로몬트랩 및 이를 이용한 무인 모니터링 시스템
KR100968199B1 (ko)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는 비래해충 포충 장치
CA24769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pest trap report generation and for recording additional trap parameter data
KR100831363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비래해충 포충 장치
CN105052866A (zh) 一种杀虫灯装置及杀虫监控网络系统
KR102295743B1 (ko) 야생동물 및 조류 퇴치용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WO2018195774A1 (zh) 捕鼠箱
KR20110122366A (ko) 포충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4094910A (zh) 一种智能连续灭虫器
KR101196386B1 (ko) 비래해충 포충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209711242U (zh) 一种电网塔杆驱鸟器
KR100895485B1 (ko) 감지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해충 포획장치
CN210610780U (zh) 一种物联网虫情测报装置
CN203860299U (zh) 一种全天候光触媒诱蚊装置
CN110447612A (zh) 一种带有杀虫计数功能的杀虫灯
KR102267962B1 (ko) 해충 포획 장치
KR100877552B1 (ko) 자동 감김 장치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CN207215093U (zh) 基于激光技术的变电站避雷针倾斜监测装置
CN204742303U (zh) 一种杀虫灯装置及杀虫监控网络系统
CN215224166U (zh) 一种农作物害虫定向诱捕与预警装置
KR102295742B1 (ko)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능동형 야생동물 및 조류 퇴치 시스템
CN204374705U (zh) 作物虫情自动监控系统
CN208937726U (zh) 一种复合式双对射光电传感器及相应的安检设备
CN202285954U (zh) 一种智能光波诱捕装置
KR100847012B1 (ko) 해충퇴치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