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1001B1 - 홈 트레이딩 시스템의 거래량 유무에 따른 분봉 표현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홈 트레이딩 시스템의 거래량 유무에 따른 분봉 표현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1001B1
KR100831001B1 KR1020060070153A KR20060070153A KR100831001B1 KR 100831001 B1 KR100831001 B1 KR 100831001B1 KR 1020060070153 A KR1020060070153 A KR 1020060070153A KR 20060070153 A KR20060070153 A KR 20060070153A KR 100831001 B1 KR100831001 B1 KR 100831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distribution
volume
data
tr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0105A (ko
Inventor
김태술
정정용
Original Assignee
굿모닝신한증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굿모닝신한증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굿모닝신한증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0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1001B1/ko
Publication of KR20080010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트레이딩 시스템의 거래량 유무에 따른 분봉 표현 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서버와 접속하여 데이터를 접속하는 제 1 단계와; 제 1 단계 후 거래량 있는 분봉을 표현하고자 하는지 판별하는 제 2 단계와; 제 2 단계에서 거래량 있는 분봉을 표현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서버로부터 조회한 데이터 중 거래량 없는 데이터는 메모리에 로드하지 않고, 거래량 있는 데이터만 메모리에 로드하여 거래량 있는 데이터만 분봉으로 표시하는 제 3 단계; 및 제 2 단계에서 거래량 있는 분봉을 표현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면, 거래량 없는 데이터를 포함하여 분봉으로 표시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거래량 없는 봉은 제외한 차트를 구현하여 실거래 데이터만으로 훨씬 명확하게 주식 거래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홈 트레이딩 시스템, HTS, 거래량, 분봉, 주식, 증권

Description

홈 트레이딩 시스템의 거래량 유무에 따른 분봉 표현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the display of minute BAR as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volume in home trading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홈 트레이딩 시스템과 그 주변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봉 차트의 작성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홈 트레이딩 시스템의 거래량 유무에 따른 분봉 표현 제공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제 3 단계인 거래량 있는 분봉 표현의 상세동작을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거래량 없는 분봉의 표현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서 거래량 있는 분봉의 표현예를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거래소 서버
20 : 홈 트레이딩 시스템(HTS)
30 : 고객 단말
31 : 메모리
본 발명은 홈 트레이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거래량 없는 봉은 제외한 차트를 구현하여 실거래 데이터만으로 봉 차트를 표현하여 훨씬 명확하게 주식 거래 상황을 파악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홈 트레이딩 시스템의 거래량 유무에 따른 분봉 표현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증권사는 투자가가 댁 내에서 사이버 증권 거래를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인 홈 트레이딩 시스템(HTS)을 제공하고 있다. 그래서 각 증권사는 홈 트레이딩 시스템에 접속하여 사이버 증권 거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댁 내에 홈 트레이딩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증권사 시스템에 홈 트레이딩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홈 트레이딩 시스템과 그 주변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서 참조번호 10은 온라인을 통해 증권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거래소 서버이고, 20은 거래소 서버(10)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고객이 사이버 증권거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홈 트레이딩 시스템(HTS)이며, 30은 인터넷을 통해 홈 트레이딩 시스템(20)을 접속하여 거래소 서버(10)에서의 사이버 증권거래를 고객이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고객 단말이고, 31은 고객 단말(30)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그래서 개인은 고객 단말(30)을 통해 증권사의 홈 트레이딩 시스템(HTS)(2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투자 정보를 얻고, 거래소 서버(10)에 주문을 내며, 그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댁 내에서 증권 투자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홈 트레이딩 시스템(HTS)(20)을 이용한 주식 매매 주문 서비스는 홈 트레이딩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주문 창에 매매대상의 주식종목과 매매수량 및 매매가격을 입력하고 홈 트레이딩 프로그램이 이에 대응한 주식 매매 주문을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에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홈 트레이딩 프로그램에서의 주식 매매 주문 확인은 주문한 매매에 대한 체결이 이루어지는 즉시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으로부터 체결 결과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하여 투자자에게 알리게 된다.
한편 홈 트레이딩 시스템에서는 차트(Chart)를 제공하는데, 이러한 차트는 기술적 분석의 기본도구이다. 주식시장에 대한 기술적 분석으로는 이동평균과 RSI (Relative Strength Index), 스토캐스틱과 같은 통계적인 방법을 이용하는 방법, 파동을 이용하는 방법과 패턴이나 추세를 이용하는 방법 등과 같이 여러 종류의 기술적 분석 방법이 있다. 이러한 많은 종류의 기술적 분석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봉차트(BAR Chart) 분석이다.
봉차트란 가격의 기본이 되는 시가, 고가, 저가, 종가를 이용하여 차트를 만드는 방법이다. 이러한 차트를 기본(Base) 차트라고 하면 기본(Base) 차트 내에서도 여러 가지 종류들이 있다. 봉 차트의 주요 종류로는 어떠한 방법에 따라 그리느냐에 따라 그 종류가 나뉘어진다.
기본적으로 봉차트라 하면 일본식 봉차트인 음양초봉(Candlestick) 차트가 있으며, 미국식 차트인 봉 차트와 Point & Figure 등이 있다.
또한 기본(Base) 차트들은 그리는 시간에 따라 일봉, 주봉, 월봉으로도 분류된다. 기본 차트를 그리는 시간에 관하여, 더욱 단기적으로는 틱봉, 초봉, 분봉, 시간봉으로까지 나뉘어진다. 가령 일봉차트라 하면 하루 중 처음 시작한 시가와 최고 높은 가격인 고가, 최저로 거래된 저가와 마지막에 형성된 종가로 하나의 봉이 완성되어지게 되며, 이러한 하나의 완성된 봉을 연속적으로 그려나가면 기본 차트가 되는 것이다. 주봉이나 월봉 역시 주간단위로 그렸느냐, 월간 단위로 그렸느냐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진다.
도 2는 일반적인 봉 차트의 작성예를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선차트(Line Chart)는 일명 연속(Continuous) 차트라고도 불려진다. 연속적으로 한 종류의 가격만을 연결해서 그려나가기 때문이다. 만약 종가 선 차트를 그린다면 매일 매일의 종가를 연결하여 선으로 계속 그려나가면 된다. 종가란 하루 중 거래된 가격 중 마지막 가격이다. 즉, 하루 중 거래된 수많은 가격 중에서 최종 가격인 종가를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어 그리는 차트이다.
또한 봉(BAR) 차트는 크게 일본식과 미국식이 있다. 흔히 봉 차트라고 하면 미국식을 의미하여, 일본식 BAR는 음양초봉이라고 한다. 미국식 봉 차트는 가장 오래되고 전 세계적으로는 널리 쓰이고 있는 차트 중의 하나이다.
봉(BAR) 차트는 일봉이라면 하루 중의 시가, 고가, 저가, 종가 등을 나타낸 차트이며, 주봉이라면 해당 주의 처음 시작한 가격인 시가와 주중 최고가인 고가, 최저가인 저가, 주의 마지막 날의 최종 가격인 종가로 그려진다. 분봉이라면 해당 분의 시가, 고가, 저가, 종가 등을 나타낸다.
그 작성법은 도 2의 가격 움직임에 따른 봉 차트와 같이,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1) 고가와 저가를 파악하여 저가와 고가를 수직으로 연결한 직선을 긋는다.
(2) 시가를 파악하여 고가와 저가를 연결한 직선상에 짧은 좌측선을 수평으로 긋는다.
(3) 종가를 파악하여 저가와 고가의 연결 직선상에 우측으로 짧은 수평선을 긋는다.
(4) 위의 방법으로 사용자의 기준(일별, 주별 등)에 따른 시간별 봉 차트를 계속 작성해 나간다.
봉 차트의 작성에 있어 고려해야 할 중요한 점은 봉 차트의 작성 기준 시간이라 할 수 있다. 즉, 봉 차트는 기술적 분석가의 의도에 의해 1개 차트가 포함하는 시간(작성 기준시간)에 따라 그 시간이 3분이면 3분 차트, 하루이면 일봉 차트, 1주일이면 주간차트, 1개월이면 월봉 차트 등과 같이 작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기거래일 경우에는 1분, 5분, 15분 30분 차트 등의 분 차트가 주요 사용되며 중기일 경우에는 일봉이 주료 사용되고, 장기일 경우에는 주봉과 월봉이 주로 사용된다. 봉 차트를 이용한 기술적 분석에서는 단일 종목에 대해서도 기준 시간이 다른 다양한 차트를 사용하는데, 이는 중장기 추세와 더불어 단기적인 가격동향을 파악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아주 초 단기적인 거래에서는 일명 틱(Tick) 차트도 사용되는데, 시간개념의 분봉이나 일봉과는 달리 틱(Tick) 봉은 시장에서 체결된 가격 기준으로 차트를 만들어 나가는 체결 개념의 차트이다. 즉 10 틱 봉 차트를 그린다면, 10 개의 체결된 가격만을 모아서 한 개의 봉 차트를 그리는 것이다. 맨 처음 체결된 가격을 시가로 정의하고, 10 개의 체결된 가격 중 가장 높게 체결된 가격을 고가, 가장 적은 가격에 체결된 가격을 저가, 그리고 마지막으로 체결된 가격을 종가로 정의하여 하나의 봉 차트를 연속적으로 그려나가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홈 트레이딩 시스템에서는 거래량 없는 분봉과 거래량 있는 분봉을 구별하지 않고, 거래량 없는 분봉에 표현함으로서 실 거래량을 반영한 거래 상황을 한 눈에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그에 따라 기술적 분석가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거래량 없는 봉은 제외한 차트를 구현하여 실거래 데이터만으로 봉 차트를 표현하여 훨씬 명확하게 주식 거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홈 트레이딩 시스템의 거래량 유무에 따른 분봉 표현 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분석가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홈 트레이 딩 시스템의 거래량 유무에 따른 분봉 표현 제공방법은, 서버와 접속하여 데이터를 접속하는 제 1 단계와; 제 1 단계 후 거래량 있는 분봉을 표현하고자 하는지 판별하는 제 2 단계와; 제 2 단계에서 거래량 있는 분봉을 표현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서버로부터 조회한 데이터 중 거래량 없는 데이터는 메모리에 로드하지 않고, 거래량 있는 데이터만 메모리에 로드하여 거래량 있는 데이터만 분봉으로 표시하는 제 3 단계; 및 제 2 단계에서 거래량 있는 분봉을 표현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면, 거래량 없는 데이터를 포함하여 분봉으로 표시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홈 트레이딩 시스템의 거래량 유무에 따른 분봉 표현 제공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홈 트레이딩 시스템의 거래량 유무에 따른 분봉 표현 제공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와 접속하여 데이터를 접속하는 제 1 단계(ST1)와; 제 1 단계 후 거래량 있는 분봉을 표현하고자 하는지 판별하는 제 2 단계(ST2)와; 제 2 단계에서 거래량 있는 분봉을 표현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서버(20)로부터 조회한 데이터 중 거래량 없는 데이터는 메모리(31)에 로드하지 않고, 거래량 있는 데이터만 메모리(31)에 로드하여 거래량 있는 데이터만 분봉으로 표시하는 제 3 단계(ST3); 및 제 2 단계에서 거래량 있는 분봉을 표현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면, 거래량 없는 데이터를 포함하여 분봉으로 표시하는 제 4 단계(ST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는 도 3에서 제 3 단계인 거래량 있는 분봉 표현의 상세동작을 보인 상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단계는, 서버(20)에서 조회해 온 데이터를 지수 시간축을 이용하여 차트 상에 그리고, 일정 시간(n분) 동안의 거래유무를 판단하여 일정 시간(n분) 동안 거래가 없는지 판별하는 제 11 단계(ST11 ~ ST15); 및 제 11 단계에서 일정 시간 동안 거래가 없으면, 거래량 없는 봉을 생성하는 제 12 단계(ST16, ST1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1 단계는, 서버(20)에서 조회해 온 데이터를 지수 시간축을 이용하여 차트 상에 그리는 제 21 단계(ST11)와; 제 21 단계 후 거래소 서버(10)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지수 데이터(10초 단위)를 수신하여 시간을 획득하는 제 22 단계(ST12)와; 제 22 단계 후 획득된 시간을 기준으로 최종 거래시간과의 차이를 계산하는 제 23 단계(ST13); 및 제 23 단계 후 일정 시간(n분) 동안의 거래 유무를 판단하여 일정 시간 동안 거래가 없는지 판별하는 제 24 단계(ST14, ST1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2 단계는, 제 11 단계에서 일정 시간 동안 거래가 없으면, 이전 종가로 시고저종을 생성하고, 연속성이 있는 데이터는 이전값을 그대로 유지시키는 제 31 단계(ST16); 및 제 31 단계 후 이전 봉의 종가를 가지고 거래량이 없는 봉을 생성 시키는 제 32 단계(ST17);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홈 트레이딩 시스템의 거래량 유무에 따른 분봉 표현 제공방법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제 41 단계(ST1) 내지 제 49 단계(ST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 제 41 단계(ST1) : 서버(20)와 접속하여 데이터를 접속;
* 제 42 단계(ST2) : 거래량 있는 분봉을 표현하고자 하는지 판별;
* 제 43 단계(ST11) : 제 42 단계의 판별 결과, 거래량 있는 분봉을 표현하는 경우라면, 서버(20)에서 조회해 온 데이터를 지수 시간축을 이용하여 차트 상에 표시;
* 제 44 단계(ST12) : 거래소 서버(10)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지수 데이터(10초 단위)를 수신하여 시간을 획득;
* 제 45 단계(ST13) : 위 획득된 시간을 기준으로 최종 거래시간과의 차이를 계산;
* 제 46 단계(ST14, ST15) : 일정 시간(n분) 동안의 거래 유무를 판단하여 일정 시간 동안 거래가 없는지 판별;
* 제 47 단계(ST16) : 제 46 단계의 판별 결과, 일정 시간 동안 거래가 없으면, 이전 종가로 시고저종을 생성하고, 연속성이 있는 데이터는 이전값을 그대로 유지;
* 제 48 단계(ST17) : 이전 봉의 종가를 가지고 거래량이 없는 봉을 생성;
* 제 49 단계(ST4) : 제 42 단계의 판별 결과, 거래량 있는 분봉을 표현하지 않는 경우라면, 거래량 없는 데이터를 포함하여 분봉으로 표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홈 트레이딩 시스템의 거래량 유무에 따른 분봉 표현 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거래량 없는 봉은 제외한 차트를 구현하여 실거래 데이터만으로 봉 차트를 표현하여 훨씬 명확하게 주식 거래 상황을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여기서 '분봉'은 분 단위로 표시한 봉인데, 본 발명의 구성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재된 본봉의 의미는 분 단위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틱봉, 초봉, 분봉, 시간봉 등의 의미를 포함한다.
그리고 '거래량 있는 분봉'이란 실 거래 데이터만을 갖고 만든 봉을 말하고, '거래량 없는 분봉'이란 연속적인 시간을 보는 관점에서 유효한 것으로 거래가 일어나지 않았던 시간도 채워준 봉을 말한다.
그래서 거래량 없는 분봉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서버인 홈 트레이딩 시스템(20) 상에서 동작되는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이 동작되도록 한다.
즉, 서버(20)에서 n분의 분봉 데이터를 생성할 때, n분 동안 거래가 없어서 봉의 데이터가 없을 때 이전 봉의 종가를 가지고 거래량이 없는 봉을 생성한다. 그리고 거래량 없이 생성되는 봉에서 시고저종은 이전 종가로 설정되며, 연속성이 있는 데이터는 이전 값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클라이언트인 고객 단말(30)의 프로그램 구현은 다음과 같이 한다.
(1) 서버(20)에서 조회해온 데이터를 차트 상에 그린 이후의 실시간 처리는 지수 시간축을 이용하여 처리한다.
(2)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서는 정확한 시간정보를 알기 힘들고, 순간순간 시간을 체크하게 되면 프로그램에 많은 부하를 주기 때문에, 거래소에서 제공되는 지수(10초 단위)를 이용하여 시간을 판단한다.
(3) 실시간 지수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간을 획득하고, 그 시간을 기준으로 최종 거래 시간과의 갭을 계산하여 실제로 n분 동안의 거래 유무를 판단한다.
(4) n분 동안 거래가 없을 경우, 이전 종가로 시고저종을 생성하고, 연속성이 있는 데이터는 이전 값을 그대로 유지한다.
또한, 거래량 있는 분봉을 표현하기 위한 서버(20)와 클라이언트(30)의 데이터 처리 방식은 다음과 같다.
즉, 서버(20) 프로그램은 거래량 없는 분봉 데이터 생성과 동일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30)의 프로그램 구현은 다음과 같이 한다.
(1) 서버로부터 조회해온 데이터 중 거래량이 0인 데이터들은 메모리(31)에 로드하지 않고 차트를 그린다.
(2) 실시간 처리시는 지수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도록 한다. 그러면 거래량 없는 분봉 계산함수가 호출되지 않아, 거래량 없는 분봉을 그리지 않게 된다.
도 5는 도 3에서 거래량 없는 분봉의 표현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는 HTS(20)에서의 기본 차트 표현방식으로서, X축을 시간축으로 고정시켜놓음에 따라, 거래량이 발생하지 않은 분봉 역시 거래량이 발생된 마지막 종가를 기준으로 봉 표시를 해주고 있다(예 5/25 14:08).
이에 따라 발생되는 이동평균선 및 기타 보조지표 역시 거래량 없는 분봉의 생성을 기준으로 표현되고 있다.
따라서 5/25 12:00 부터 봉이 표현된다.
도 6은 도 3에서 거래량 있는 분봉의 표현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에서와 같은 분봉 표현은 새로 개발된 방식으로서, 설정창의 옵션을 통해 거래량 없는 봉은 제외한 차트를 구현한다.
그래서 X축을 시간축으로 고정시켜 놓지 않고 거래량이 발생한 봉만을 표시해주고 있다. 따라서 거래량 없는 봉도 표시해주는 도 5의 차트에서의 예시 시간인 5/25 14:08 은 표현해주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발생되는 이동평균선 및 기타 보조지표 역시 거래량 없는 분봉을 제외한 기준으로 표현되고 있다.
따라서 5/25 09:00 부터 봉이 표현된다.
이를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여시서 설정창에 거래량 없는 분봉 보기에 상관없이 서버(20)와의 데이터 통신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즉, 클라이언트(30)에서 거래량 있는 분봉 보기와 거래량 없는 분봉 보기를 서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1) 거래량 없는 분봉 보기
서버(20)에서 내려주는 데이터를 그대로 사용하고, 지수시간을 이용하여 거래량 없는 분봉을 실시간으로 처리한다.
(2) 거래량 없는 분봉 제외
서버(20)에서 내려주는 데이터 중, 거래량 없는 것을 삭제하고 차트 메모리(31)에 저장하여 표현한다.
또한 실시간 시세 처리시 지수 시간축을 사용하지 않는다.
(3) 옵션 변경시
재조회 한 후에 1), 2) 번의 로직에 따라 다시 표현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거래량 없는 봉은 제외한 차트를 구현하여 실 거래 데이터만으로 봉 차트를 표현하여 훨씬 명확하게 주식 거래 상황을 파악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홈 트레이딩 시스템의 거래량 유무에 따른 분봉 표현 제공방법은 거래량 없는 봉은 제외한 차트를 구현하여 실 거래 데이터만으로 봉 차트를 표현하여 훨씬 명확하게 주식 거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응용할 수 있고, 이러한 응용도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Claims (6)

  1. 서버와 접속하여 데이터를 접속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후 거래량 있는 분봉을 표현하고자 하는지 판별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거래량 있는 분봉을 표현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서버로부터 조회한 데이터 중 거래량 없는 데이터는 메모리에 로드하지 않고, 거래량 있는 데이터만 상기 메모리에 로드하여 거래량 있는 데이터만 분봉으로 표시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거래량 있는 분봉을 표현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면, 거래량 없는 데이터를 포함하여 분봉으로 표시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홈 트레이딩 시스템의 거래량 유무에 따른 분봉 표현 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조회해 온 데이터를 지수 시간축을 이용하여 차트 상에 그리고, 일정 시간 동안의 거래유무를 판단하여 일정 시간 동안 거래가 없는지 판별하는 제 11 단계; 및
    상기 제 11 단계에서 일정 시간 동안 거래가 없으면, 거래량 없는 봉을 생성 하는 제 12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트레이딩 시스템의 거래량 유무에 따른 분봉 표현 제공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1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조회해 온 데이터를 지수 시간축을 이용하여 차트 상에 그리는 제 21 단계와;
    상기 제 21 단계 후 거래소 서버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지수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간을 획득하는 제 22 단계와;
    상기 제 22 단계 후 획득된 시간을 기준으로 최종 거래시간과의 차이를 계산하는 제 23 단계; 및
    상기 제 23 단계 후 일정 시간 동안의 거래 유무를 판단하여 일정 시간 동안 거래가 없는지 판별하는 제 24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트레이딩 시스템의 거래량 유무에 따른 분봉 표현 제공방법.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2 단계는,
    상기 제 11 단계에서 일정 시간 동안 거래가 없으면, 이전 종가로 시고저종 을 생성하는 한편, 연속성이 있는 데이터는 이전 값을 그대로 유지시키는 제 31 단계; 및
    상기 제 31 단계 후 이전 봉의 종가를 가지고 거래량이 없는 봉을 생성시키는 제 32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트레이딩 시스템의 거래량 유무에 따른 분봉 표현 제공방법.
  5. 삭제
  6. 서버와 접속하여 데이터를 접속하는 제 41 단계와;
    상기 제 41 단계 후 거래량 있는 분봉을 표현하고자 하는지 판별하는 제 42 단계와;
    상기 제 42 단계에서 거래량 있는 분봉을 표현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서버에서 조회해 온 데이터를 지수 시간축을 이용하여 차트 상에 그리는 제 43 단계와;
    상기 제 43 단계 후 거래소 서버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지수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간을 획득하는 제 44 단계와;
    상기 제 44 단계 후 획득된 시간을 기준으로 최종 거래시간과의 차이를 계산하는 제 45 단계와;
    상기 제 45 단계 후 일정 시간 동안의 거래 유무를 판단하여 일정 시간 동안 거래가 없는지 판별하는 제 46 단계와;
    상기 제 46 단계에서 일정 시간 동안 거래가 없으면, 이전 종가로 시고저종을 생성하고, 연속성이 있는 데이터는 이전값을 그대로 유지시키는 제 47 단계와;
    상기 제 47 단계 후 이전 봉의 종가를 가지고 거래량이 없는 봉을 생성시키는 제 48 단계; 및
    상기 제 42 단계에서 거래량 있는 분봉을 표현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면, 거래량 없는 데이터를 포함하여 분봉으로 표시하는 제 49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홈 트레이딩 시스템의 거래량 유무에 따른 분봉 표현 제공방법.
KR1020060070153A 2006-07-26 2006-07-26 홈 트레이딩 시스템의 거래량 유무에 따른 분봉 표현 제공방법 KR100831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153A KR100831001B1 (ko) 2006-07-26 2006-07-26 홈 트레이딩 시스템의 거래량 유무에 따른 분봉 표현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153A KR100831001B1 (ko) 2006-07-26 2006-07-26 홈 트레이딩 시스템의 거래량 유무에 따른 분봉 표현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105A KR20080010105A (ko) 2008-01-30
KR100831001B1 true KR100831001B1 (ko) 2008-05-20

Family

ID=39222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153A KR100831001B1 (ko) 2006-07-26 2006-07-26 홈 트레이딩 시스템의 거래량 유무에 따른 분봉 표현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10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7550A (ja) * 1994-09-16 1996-04-02 Kokusai Electric Co Ltd グラフデータ編集方法及び情報表示端末装置
KR20020073953A (ko) * 2001-03-17 2002-09-28 이토마토투자자문 주식회사 인터넷 상에서 실시간 주식 종목별 매매 지표 제공방법
KR20030026118A (ko) * 2001-09-24 2003-03-31 남진우 실시간 매매신호 서비스 시스템
KR20050082851A (ko) * 2004-02-20 2005-08-24 김동조 주식시세 분석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주식시세분석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7550A (ja) * 1994-09-16 1996-04-02 Kokusai Electric Co Ltd グラフデータ編集方法及び情報表示端末装置
KR20020073953A (ko) * 2001-03-17 2002-09-28 이토마토투자자문 주식회사 인터넷 상에서 실시간 주식 종목별 매매 지표 제공방법
KR20030026118A (ko) * 2001-09-24 2003-03-31 남진우 실시간 매매신호 서비스 시스템
KR20050082851A (ko) * 2004-02-20 2005-08-24 김동조 주식시세 분석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주식시세분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105A (ko) 200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040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Highest and Lowest Traded Prices of Tradable Objects
US7356501B2 (en) Integrated price and volume display of market traded securities using price-volume bars
Weron et al. Fractal market hypothesis and two power-laws
US201500124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nd displaying quantity information during user-configurable time periods
US20020073017A1 (en) Method and system of presenting data and analysis for use in stock market trading
Afiruddin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stock return and trading volume in Malaysian ACE market
Comerton-Forde Do trading rules impact on market efficiency? A comparison of opening procedures on the Australian and Jakarta Stock Exchanges
US69638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display of market activity
AU2019232776A1 (en) Order life-cycle visualization
Murg et al. The impact of analyst recommendations on stock prices in Austria (2000–2014): evidence from a small and thinly traded market
Verdickt et al. Dividend growth and return predictability: A long-run re-examination of conventional wisdom
KR20060125663A (ko) 기준시간별 거래량 분포를 표시하는 주가 차트의 생성방법
KR100831001B1 (ko) 홈 트레이딩 시스템의 거래량 유무에 따른 분봉 표현 제공방법
Chung The contagious effects of the Asian financial crisis: some evidence from ADR and country funds
KR102129491B1 (ko) 증권 분석 장치
US20070244806A1 (en) Data processing method for the automatic provision of data and data processing device
Kumar Adaptive market hypothesi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Wine Market
Wang The analysis of the financial market in china
KR20020073953A (ko) 인터넷 상에서 실시간 주식 종목별 매매 지표 제공방법
JP2003323546A (ja) L/sファンド運用システム
Fathiah Digital Tourism in Industry 4.0
Chaplin A Review of Term-Structure Models and Their Applications:[forms Part Of: Report of the Fixed-Interest Working Group, BAJ 4, II Pg. 213–383]
Anghelache et al. THE CONCEPT OF CERTAINTY IN THE CHOICE OF PORTFOLIOS-AN IMPORTANT ELEMENT IN THE MANAGEMENT OF THE ACTIVITY
CN108256719B (zh) 资源处理系统和方法
Boelen et al. Generalizing the winner's curse hypothesis: The case of the Belgian IPO mar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