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0337B1 - Dc―dc 변환기 및 그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 Google Patents

Dc―dc 변환기 및 그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0337B1
KR100830337B1 KR1020060029233A KR20060029233A KR100830337B1 KR 100830337 B1 KR100830337 B1 KR 100830337B1 KR 1020060029233 A KR1020060029233 A KR 1020060029233A KR 20060029233 A KR20060029233 A KR 20060029233A KR 100830337 B1 KR100830337 B1 KR 100830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input
switch
comparator
referenc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8065A (ko
Inventor
신동용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9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0337B1/ko
Publication of KR20070098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5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2Improving the response sp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신호의 응답특성이 좋아지도록 하며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DC-DC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입력전압과 참조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입력전압과 상기 참조전압의 차이에 대응하여 출력이 결정되는 비교기에 있어서, 제 1 단으로 상기 입력전압을 전달하고, 제 2 단으로 상기 입력전압과 상기 참조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전달하는 입력부, 상기 제 1 단으로 전달되는 입력전압과 상기 제 2 단으로 전달되는 상기 입력전압과 상기 참조전압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버터를 포함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의 출력을 전달받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비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DC―DC 변환기 및 그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DC-DC CONVETER AND ORGANICLIGHT EMITTING DISPLAY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비교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로의 입출력 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유기발광표시장치에 채용된 DC-DC 컨버터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DC-DC 컨버터에 채용된 비교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DC-DC 컨버터에 채용된 비교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비교기의 입출력 특성파형을 나타내는 특성곡선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화소부 110: 화소
200: 데이터구동부 300: 주사구동부
400: DC-DC 컨버터 410: 차지펌프
420: 비교기 430: 클럭스위치
440: 클럭디바이더
본 발명을 DC-DC 변환기 및 그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입력된 전압과 참조전압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전압을 출력하는 DC-DC 변환기 및 그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비교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비교기는 입력부와 제 1, 2 및 3 인버터를 포함한다.
입력부는 입력전압(Vin)의 전달을 스위칭하는 제 1 스위치(SW1)와 참조전압(Vref)의 전달을 스위칭 하는 제 2 스위치(SW2)를 구비한다.
제 1 인버터는 P 모스 트랜지스터인 제 1 트랜지스터(M1)와 N 모스 트랜지스터인 제 2 트랜지스터(M2)를 구비하며 제 1 전원(Vdd)이 제 1 트랜지스터(M1)의 소스에 연결되어 하이 레벨의 전압을 출력하고, 제 2 트랜지스터(M1)는 소스가 접지(GND)에 연결되어 로우 레벨의 전압을 출력한다. 그리고, 제 1 노드(N1)를 통해 제 1 캐패시터(C1)와 제 3 스위치(SW3)가 연결된다.
제 2 인버터는 P 모스 트랜지스터인 제 3 트랜지스터(M3)와 N 모스 트랜지스 터인 제 4 트랜지스터(M4)를 구비하며 제 1 전원(Vdd)이 제 3 트랜지스터(M1)의 소스에 연결되어 하이 레벨의 전압을 출력하고, 제 4 트랜지스터(M4)의 소스에 접지가 연결되어 로우레벨의 전압을 출력한다. 그리고, 제 2 인버터는 제 2 캐패시터(C2)를 통해 제 1 인버터와 연결되며 제 2 노드(N2)를 통해 제 2 캐패시터(C2), 제 4 스위치(M4), 제 3 및 제 4 트랜지스터(M3,M4)의 소스가 연결된다.
제 3 인버터는 P 모스 트랜지스터인 제 5 트랜지스터(M5)와 N 모스 트랜지스터인 제 6 트랜지스터(M6)를 구비하며 제 1 전원(Vdd)이 제 5 트랜지스터(M5)의 소스에 연결되어 하이레벨의 전압을 출력하고 제 6 트랜지스터(M6)의 소스에 접지가 연결되어 로우레벨의 전압을 출력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로의 입출력 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비교부의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입력전압(Vin)은 전압레벨이 변동이 있으며 참조전압(Vref)과 비교한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제 5 스위치(SW1 내지 SW5)는 제 1 제어신호(P1)와 제 2 제어신호(P2)에 의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며, 제 1, 3 및 4 스위치(SW1,SW3,SW4)는 제 1 제어신호(P1)에 의해 동작하고 제 2 및 5 스위치(SW2,SW5)는 제 2 제어신호(P2)에 의해 동작한다.
먼저, 제 1 제어신호(P1)와 제 2 제어신호(P2)에 의해 제 1, 3 및 4 스위치(SW1,SW3,SW4)가 온상태가 되고 제 2 및 제 5 스위치(SW2,SW5)가 오프 상태가 되면, 제 1 캐패시터(C1)에 입력전압(Vin)이 전달되고, 제 2 캐패시터(C2)에는 제 1 인버터와 제 2 인버터의 문턱전압의 차이에 해당하는 전압이 저장된다.
그리고, 제 1 제어신호(P1)와 제 2 제어신호(P2)에 의해 제 1, 3 및 4 스위치(SW1,SW3,SW4)가 오프상태가 되고 제 2 및 제 5 스위치(SW2,SW5)가 온 상태가 되면, 제 1 캐패시터(C1)에 참조전압(Vref)이 전달되어 입력전압(Vin)과 참조전압(Vref)이 비교가 된다.
이때, 입력전압(Vin)이 참조전압(Vref)보다 더 큰 경우 제 3 인버터의 출력단은 로우 레벨의 전압을 출력하고 입력전압(Vin)이 참조전압(Vref)보다 낮은 경우 제 3 인버터의 출력단은 하이레벨의 전압을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비교기는 제 1 캐패시터(C1)에 참조전압(Vref)과 입력전압(Vin)의 차이에 대응하여 출력 전압이 결정되는데, 참조전압(Vref)과 입력전압(Vin)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경우 참조전압(Vref)과 입력전압(Vin)의 차이가 큰 경우보다 출력전압이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로 변하는데에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경우 캐패시터의 용량이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전류의 소모량이 커져 소비전력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호의 응답특성이 좋아지도록 하며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DC-DC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 1 측면은, 입력전압과 참조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입력전압과 상기 참조전압의 차이에 대응하여 출력이 결정되는 비교기에 있어서, 제 1 단으로 상기 입력전압을 전달하고, 제 2 단으로 상기 입력전압과 상기 참조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전달하는 입력부, 상기 제 1 단으로 전달되는 입력전압과 상기 제 2 단으로 전달되는 상기 입력전압과 상기 참조전압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버터를 포함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의 출력을 전달받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비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입력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입력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입력전압에 대응하는 제 1 전압을 저장하고 상기 제 1 전압이 저장된 상태에서 참조전압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전압을 입력받은 후에 상기 참조전압과 상기 제 1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입력전압과 상기 참조전압과 상기 제 1 전압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버터를 포함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의 출력을 전달받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비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은, 소정의 전압이 입력되는 전압입력단자와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는 신호 입력단자와 상기 신호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소정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전압을 가변하여 출력하는 전압출력단자를 포함하는 차지펌프 및 상기 신호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소정의 신호를 조절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며,
상기 비교기는 상기 제 1 측면 내지 상기 제 3 측면에 의한 비교기인 DC-DC 컨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은, 데이터신호와 주사신호에 대응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화소부, 상기 화소부에 데이터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구동부, 상기 화소부에 주사신호를 전달하는 주사구동부 및 상기 화소부, 상기 데이터구동부 및 상기 주사구동부에 전원을 전달하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하되,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3 측면에 의한 DC-DC 컨버터인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유기발광표시장치는 화소부(100), 데이터구동부(200), 주사구동부(300) 및 DC-DC 컨버터(400)를 구비한다.
화소부(100)는 복수의 데이터선(D1 내지 Dm)과 복수의 주사선(S1 내지 Sn)이 교차하며 데이터선(D1 내지 Dm)과 주사선(S1 내지 Sn)이 교차하는 영역에 화소(110)가 형성되며, 화소(110)는 데이터선(D1 내지 Dm)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신호와 주사선(S1 내지 Sn)을 통해 전달되는 주사신호에 대응하여 계조를 표현하여 화상을 표현한다.
데이터구동부(200)는 복수의 데이터선(D1 내지 Dm)과 연결되어 복수의 데이터선에 병렬로 데이터신호를 전달하여 화소부(100)의 행방향으로 배열된 화소열에 동시에 데이터신호가 전달되도록 한다.
주사구동부는 복수의 주사선(S1 내지 Sn)과 연결되어 주사신호가 전달된 화소(110)에 데이터신호가 전달되도록 하여 특정한 화소(110)에 데이터신호가 전달되도록 한다.
DC-DC 컨버터(400)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직류전원을 각각의 부하에 적합한 직류전원으로 조절하여 각 부하에 전달하는 것으로, DC-DC 컨버터(400)에서 생성된 직류전원은 화소부(100), 데이터구동부(200) 및 주사구동부(300) 등에 전달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유기발광표시장치에 채용된 DC-DC 컨버터의 구조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DC-DC 컨버터는 클럭스위치(430), 차지펌프(410), 클럭디바이더(440) 및 비교기(420)를 포함한다.
클럭스위치(430)는 클럭발생부(CLK)로 부터 클럭을 입력받으며, 인버터(450)을 통해 전달되는 제 1 클럭(CLK1)과 제 2 클럭(CLK2)에 의해 클럭발생부(CLK)에서 발생되는 클럭을 조절한다.
차지펌프(410)는 제 1 클럭(CLK1)과 제 2 클럭(CLK2)에 동기하며 컨덴서에 전하를 충전하여 입력전압보다 높은 전압 또는 역전압을 생성하는 수단으로, 차지펌프(410)에 의해 생성된 전압을 출력하여 각 구동부에 전달한다. 차지펌프(420)의 회로와 동작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것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클럭디바이더(440)는 클럭발생부(CLK)으로부터 클럭(CLK,CLKB)을 전달하여 클럭(CLK,CLKB)을 비교부(420)에 전달하여 비교부(420)가 동작하도록 한다.
비교기(420)는 클럭(CLK,CLKB)에 의해 동기하며 차지펌프(410)의 출력단으로 부터 입력전압(Vin)을 전달받고 참조전압원을 통해 참조전압(ref)를 전달받아 참조전압(ref)와 입력전압(Vin)을 비교하고 비교된 신호를 인버터(450)을 통해 클럭스위치(430)에 전달하여 클럭스위치(430)이 제 1 클럭(CLK1)과 제 2 클럭(CLK2)에 의해 동작하도록 하여 차지펌프가 제 1 클럭(CLK1)과 제 2 클럭(CLK2)에 대응하여 출력전압을 조절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DC-DC 컨버터에 채용된 비교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비교기는 입력부와 제 1 내지 제 3 인버터를 구비하며, 제 1 내지 제 3 인버터는 도 1에 도시된 비교기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입력부는 입력전압이 제 1 스위치(SW11)를 통해 제 1 캐패시터(C11)와 연결되고 참조전압(Vref)이 제 2 및 제 6 스위치(SW12,SW16)와 제 3 캐패시터(C13)를 통해 제 1 캐패시터(C11)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 3 캐패시터(C13)와 제 6 스위치(SW16) 사이에 접지(GND)와 연결되는 제 7 스위치(SW17)가 연결된다. 또한, 입력전압이 제 8 스위치(SW10)를 통해 제 2 스위치(SW12)와 제 3 캐패시터(C13)의 사이에 연결된다. 이때, 참조전압의 크기는 제 1 전원(Vdd)의 절반과 같다.
제 1 제어신호(P1)에 의해 제 1 스위치(SW11), 제 7 스위치(SW17) 및 제 8 스위치(SW10)가 스위칭동작을 수행하며 제 2 제어신호(P2)에 의해 제 2 및 6 스위치(SW12,SW16)가 스위칭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신호가 입력되면, 먼저, 제 1 제어신호(P1)에 의해 제 1 스위치(SW11), 제 7 스위치(SW17) 및 제 8 스위치(SW10)가 온상태가 되고 제 2 제어신호(P2)에 의해 제 2 및 6 스위치(SW12,SW16)가 오프상태가 되면, 제 1 캐패시터(C11)와 제 3 캐패시터(C13)에는 입력전압이 전달된다. 그리고, 제 1 제어신호(P1)에 의해 제 1 스위치(SW11), 제 7 스위치(SW17) 및 제 8 스위치(SW10)가 오프상태가 되고 제 2 제어신호(P2)에 의해 제 2 및 6 스위치(SW12,SW16)가 온상태가 되면, 제 1 캐패서터(C11)는 하기의 수학식 1 에 해당하는 전압의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Figure 112006022598657-pat00001
여기서 Vdd의 전압은 참조전압(Vref)의 두배이고 ΔV는 제 1 캐패시터(C11)에 입력되는 전압의 차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제 1 캐패시터(C11)의 전압차이가 종래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제 3 인버터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전압의 변동폭이 더욱 커져 신호의 응답특성이 좋아지게 된다. 그리고, 제 7 스위치(SW17)를 통해 누설전류가 흐르게 되면 출력전압의 전압이 높아지게 되는데, 이러한 누설전류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제 7 스위치(SW17)는 N 모스 트랜지스터를 통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DC-DC 컨버터에 채용된 비교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 내는 회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비교기는 입력부와 제 1 내지 제 3 인버터를 구비하며, 제 1 내지 제 3 인버터는 도 1에 도시된 비교기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입력부는 입력전압(Vin)이 제 1 스위치(SW21)를 통해 제 1 캐패시터(C21)와 연결되고 제 6 스위치와 제 7 스위치(SW26,SW27)를 통해 접지(GND)와 연결된다. 그리고, 참조전압(Vref)은 제 2 스위치(SW22)와 제 8 스위치(SW28)를 통해 제 1 캐패시터(C21)와 연결되고 제 7 스위치(SW27), 제 8 스위치(SW28) 및 제 3 캐패시터(C23)를 통해 접지(GND)와 연결된다.
삭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부가 동작을 하게 되면, 먼저, 제 1 제어신호(P1)에 의해 제 1 스위치(SW21)와 제 6 스위치(SW26)와 제 8 스위치(SW28)가 온상태가 되고 제 2 제어신호(P2)에 의해 제 2 스위치(SW22), 제 7 스위치(SW27)가 오프 상태가 된다. 이때, 제 1 캐패시터(C21)에 입력전압(Vref)가 전달되고 제 3 캐패시터(C23)에 입력전원(Vin)과 참조전압(Vref)의 차이에 해당하는 전압이 저장된다. 그리고, 제 1 전원(Vdd)의 크기는 참조전압(Vref)의 크기와 같은 레벨의 전압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제어신호(P1)에 의해 제 1 스위치(SW21)와 제 6 스위치(SW26)와 제 8 스위치(SW28)가 오프상태가 되고 제 2 제어신호(P2)에 의해 제 2 스위치(SW22), 제 7 스위치(SW27)가 온 상태가 되면 제 1 전원(Vdd)과 제 3 캐패시터(C23)에 저장되어 있는 전압이 제 1 캐패시터(C21)에 전달된다.
그러면, 제 1 캐패시터(C21)에는 수학식 1 에 해당하는 전압의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비교기의 입출력 특성파형을 나타내는 특성곡선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Vout은 인버터의 특성곡선을 나타내고, /Vout은 Vout를 수평축으로 회전시킨 곡선이다. 그리고, /Vout/은 /Vout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 곡선이다. Vout1은 도 1의 비교부의 출력의 특성곡선을 나타내고 Vout2는 도 5에 도시된 비교부의 출력의 특성곡선을 나타내며 Vout3는 도 6에 도시된 비교부의 출력의 특성곡선을 나타낸다. 그리고, 직선은 입력전압의 변화를 나타낸다.
각각의 특성곡선들은 2.5V의 부근에서 급격히 변화가 생기는데 도 1에 도시된 비교기의 출력전압의 특성곡선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비교기의 출력전압의 특성곡선의 변화가 더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비교기에서 출력 전압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비교기인 경우 전압변화가 더욱 빨리 나타나게 되어 응답특성이 더욱 좋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단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DC-DC 컨버터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표시장치에 의하면, 인버터에 입력되는 전압에 변화를 가하여 출력전압이 변하는 정도를 더 크게 하여 응답속도를 더욱 빨리 할 수 있도록 한다. 캐패시터의 크기를 작게 구현할 수 있어 DC-DC 컨버터의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어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14)

  1. 입력전압과 참조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입력전압과 상기 참조전압의 차이에 대응하여 출력이 결정되는 비교기에 있어서,
    제 1 단으로 상기 입력전압을 전달하고, 제 2 단으로 상기 입력전압과 상기 참조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전달하는 입력부;
    상기 제 1 단으로 전달되는 입력전압과 상기 제 2 단으로 전달되는 상기 입력전압과 상기 참조전압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버터를 포함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의 출력을 전달받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비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은 상기 입력전압이 입력되는 제 1 입력단과 상기 증폭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전압을 스위칭하는 제 1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은 상기 참조전압이 입력되는 제 2 입력단과 상기 증폭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 2 스위치와 상기 제 1 캐패시터와 제 3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단과 상기 제 2 스위치와 상기 제 1 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전압을 상기 제 1 캐패시터에 전달하는 제 4 스위치를 포함하는 비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캐패시터와 상기 제 3 스위치 사이에 일측이 연결되고 다른 한측은 접지에 연결되는 제 5 스위치를 포함하는 비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스위치는 N 모스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는 비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은 상기 입력전압이 입력되는 제 1 입력단과 상기 증폭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전압을 스위칭하는 제 1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은 상기 참조전압이 입력되는 제 2 입력단과 상기 증폭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 2 스위치 및 제 3 스위치와 제 3 스위치와 상기 제 1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 1 캐패시터 및 제 4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캐패시터는 상기 제 1 입력단을 통해 전달되는 입력전압을 저장하는 비교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제 1 캐패시터와 상기 제 3 스위치 사이에 연결되고 다른 한측은 접지에 연결되는 제 5 스위치를 포함하는 비교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스위치는 P 모스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는 비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참조전압과 상기 입력전압의 차이가 정이면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참조전압과 상기 입력전압의 차이가 부이면 하이레벨의 전압을 출력하는 비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적어도 2 개의 인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버터와 인버터 사이에 제 2 캐패시터가 연결되어 상기 인버터간의 문턱전압의 차이를 저장하는 비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상기 입력부와 캐패시터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캐패시터는 상기 제 1 단을 통해 전달되는 입력전압과 상기 제 2 단을 통해 전달되는 입력전압과 상기 참조전압의 차이에 대응한 전압을 순차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증폭부에 전달하는 비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전압은 상기 증폭부의 일측에 전달되는 제 1 전원인 비교기.
  12. 입력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입력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입력전압에 대응하는 제 1 전압을 저장하고 상기 제 1 전압이 저장된 상태에서 참조전압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전압을 입력받은 후에 상기 참조전압과 상기 제 1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입력전압과 상기 참조전압과 상기 제 1 전압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버터를 포함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의 출력을 전달받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비교기.
  13. 소정의 전압이 입력되는 전압입력단자와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는 신호 입력단자와 상기 신호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소정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전압을 가변하여 출력하는 전압출력단자를 포함하는 차지펌프; 및
    상기 신호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소정의 신호를 조절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며,
    상기 비교기는 상기 제 1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비교기인 DC-DC 컨버터.
  14. 데이터신호와 주사신호에 대응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화소부;
    상기 화소부에 데이터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구동부;
    상기 화소부에 주사신호를 전달하는 주사구동부; 및
    상기 화소부, 상기 데이터구동부 및 상기 주사구동부에 전원을 전달하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하되,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제 13 항에 의한 DC-DC 컨버터인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0060029233A 2006-03-30 2006-03-30 Dc―dc 변환기 및 그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0830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233A KR100830337B1 (ko) 2006-03-30 2006-03-30 Dc―dc 변환기 및 그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233A KR100830337B1 (ko) 2006-03-30 2006-03-30 Dc―dc 변환기 및 그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065A KR20070098065A (ko) 2007-10-05
KR100830337B1 true KR100830337B1 (ko) 2008-05-16

Family

ID=38804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233A KR100830337B1 (ko) 2006-03-30 2006-03-30 Dc―dc 변환기 및 그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03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6143A (ja) 1998-04-07 1999-10-29 Toshiba Corp アナログバッファおよび表示装置
KR20050114058A (ko) * 2004-05-31 2005-12-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014795A (ko) * 2004-08-12 2006-02-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6143A (ja) 1998-04-07 1999-10-29 Toshiba Corp アナログバッファおよび表示装置
KR20050114058A (ko) * 2004-05-31 2005-12-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014795A (ko) * 2004-08-12 2006-02-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065A (ko) 200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04771A1 (en) Emission driv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548026B2 (en) Emission control driv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7982704B2 (en) Data driving circuit and electroluminescent display using the same
JP3368819B2 (ja) 液晶駆動回路
CN102142220A (zh) 显示设备和操作该显示设备的方法
US20110018518A1 (en) Boost/buck conver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it
US20140375703A1 (en) Method of driving a display panel, display panel driv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KR100637060B1 (ko) 아날로그 버퍼 및 그 구동 방법과, 그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12785955A (zh) 发光控制驱动部及包括其的显示装置
CN105938709B (zh) 驱动器、电光装置以及电子设备
US8223514B2 (en) DC-DC converter circuit, 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050012542A1 (en) Power supply
JP5217412B2 (ja) 電源回路、表示ドライバ、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762691B1 (ko) Dc­dc 변환기 및 그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0713995B1 (ko) Dc­dc 변환기 및 그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0703460B1 (ko) Dc­dc 변환기 및 그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CN105427801B (zh) 显示器装置
KR100830337B1 (ko) Dc―dc 변환기 및 그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JP5233272B2 (ja) 電源回路、表示ドライバ、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7598795B2 (en) Negative voltage converter
JP2005010697A (ja) 表示装置
KR20150073674A (ko)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및 그 구동방법
JP2004229440A (ja) チャージポンプ式dc−dcコンバータ
JP2008145632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