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848B1 -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장치와 재생방법, 데이터출력 제어방법, 데이터출력방법, 에러검출방법, 데이터 출력 및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장치와 재생방법, 데이터출력 제어방법, 데이터출력방법, 에러검출방법, 데이터 출력 및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848B1
KR100829848B1 KR1020027002103A KR20027002103A KR100829848B1 KR 100829848 B1 KR100829848 B1 KR 100829848B1 KR 1020027002103 A KR1020027002103 A KR 1020027002103A KR 20027002103 A KR20027002103 A KR 20027002103A KR 100829848 B1 KR100829848 B1 KR 100829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yndrome
management information
error
storag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5856A (ko
Inventor
사코요이치로
이노구찌타츠야
가와시마테츠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35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21Image watermark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88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watermark, i.e. a barely perceptible transformation of the original data which can nevertheless be recognised by an algorith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0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3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생방법은 적어도 복제관리에 대한 관리정보와 이 관리정보에 부가된 에러검출부호와 에러정정부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삽입된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는 저장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에 대해서 복조처리를 실행하는 단계와, 복조처리가 실행되는 출력신호로부터 부가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부가정보중 에러검출부호와 에러정정부호 중 하나에 대응하여 에러검출처리를 실행하는 단계와, 에러검출처리에서 에러가 발생하지 않을 때 관리정보에 대응하는 저장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데이터에 대한 복조처리가 실행되는 출력신호에 대한 출력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장치와 재생방법, 데이터출력 제어방법, 데이터출력방법, 에러검출방법, 데이터 출력 및 재생방법{Reproduc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method for record medium, data output controlling method, data outputting method, error detecting method, and data outputting and reproducing method}
본 발명은 부가정보가 포함된 콘텐츠의 데이터에 적합한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장치와 재생방법, 데이터출력 제어방법, 데이터출력방법, 에러검출방법, 데이터출력 및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저장매체에 저장된 오디오콘텐츠와 비디오콘텐츠의 데이터의 저작권보호를 위해, 복제관리정보가 부가정보로서 콘텐츠 데이터에 중첩되고, 삽입되어지는 워터마크가 개발되어 왔다. 그와 같은 워터마크의 일예로서, 그 콘텐츠 데이터의 하위비트에 부가적인 정보를 삽입하는 방법이 알려졌다.
오디오데이터의 저작권보호를 위해, 워터마크와 같이 콘텐츠에 포함되는 복제관리정보로서, SCMS(직렬복제관리시스템)가 사용되어 왔다. SCMS(직렬복제관리시스템)를 사용함으로서, 자유롭게 수행되는 복제작동에 따르는 복제관리와 복제작동을 방지하는 복제관리 뿐만 아니라, 다양한 세대에 있어서 복제관리가 수행된다.
그와 같이 하기 위해서,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콘텐츠 데이터의 하위비트에 포함된다. SCMS(직렬복제관리시스템)는 워터마크의 데이터에 저장된다.
그러나, SCMS(직렬복제관리시스템)를 사용하여 다양한 세대에 있어서 복제관리가 수행될 때, 그것을 재기록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예를 들면, SCMS 데이터는 2비트 정보로 표현된다. SCMS 데이터가 "00"일 때, 저장매체는 복제작동이 단일세대로 수행될 수 있는 원본 매체로 표현된다. SCMS 데이터가 "01"일 때, 저장매체는 더 이상의 복제작동이 금지되는 복제된매체로 표현된다. SCMS 데이터가 "11"일 때, 저장매체는 복제작동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는 저장매체로 표현된다. 복제작동이 SCMS 데이터가 "00"인 저장매체와 함께 수행되면, 복제작동이 단일세대로만 수행되기 위해 SCMS 데이터는 "00"에서 "01"로 재기록된다.
그와 같은 워터마크를 재기록하는 처리는 그와 같은 워터마크를 감지하는 처리보다 더 큰 부하를 요구한다.
게다가, 워터마크가 저장될 때, 예를 들면, 에러가 검출될 수 있게 CRC코드가 부가된다. SCMS 데이터가 바뀌어질 때(즉, 재기록될 때), CRC코드의 변경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특허출원인은 48비트로 구성된 패킷으로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진행되는 기술을 의도한 바 있다. 그 패킷에서는, 16-비트 에러검출 CRC코드가 부가된다. 이런 경우, 단일세대에서의 복제작동을 허락하기위해, 원본디스크가 복제될 때, SCMS 데이터는 "00"에서 "01"로 재기록된다. 그 점에서, SCMS 데이터의 재기록에 부가되어, 16-비트 CRC코드를 재기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요구되는 부하가 증가한다.
특별히, 워터마크를 사용하는 복제관리 기술은 범용 IC가 아니라, 요구되는 ROM에 기록된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펌웨어(Firmware)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나, 펌웨어의 수행용량이 매우 작음으로 인해, 워터마크를 재기록하기 위한 처리는 펌웨어에 큰 부하를 부가한다.
상기 기술한 바에 의하면, 복제세대가 관리될 때, 워터마크를 재기록하는 것이 필요하다. 워터마크가 재기록될 때, CRC코드를 재기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워터마크를 재기록하기 위한 처리는 펌웨어에 과부하를 부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은 에러검출코드와 에러정정코드를 재기록할 필요없는 펌웨어에 의해 충분히 수행되는 콘텐츠가 포함된 워터마크의 재기록 요구관리를 허용하는 데이터에 적합한 저장매체에 대한 재생장치와 재생방법, 데이터출력 제어방법, 데이터출력방법, 에러검출방법, 데이터 출력 및 재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은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장치로서, 재생장치는:
적어도 복제관리에 관한 관리정보와 상기 관리정보에 부가된 에러검출부호와 에러정정부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삽입된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된 저장매체를 스캐닝(scanning)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의해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독출되는 데이터에 대해서 복조처리를 실행하는 복조처리부와;
상기 복조처리부의 출력신호로부터 부가정보를 검출하는 검출회로부와;
상기 검출회로에 의해 검출된 부가정보에 포함된 에러검출부호에 대응하는 상기 검출회로부로부터 공급된 검출결과에 대해 에러검출처리를 실행하고 에러검출처리에서 에러가 발생되지 않을 때 관리정보에 대응하는 저장매체로부터 독출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 상기 복조처리부의 출력신호에 대한 출력동작을 제어하는 판단회로부로 구성된다.
삭제
본 발명은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방법으로서, 재생방법은:
적어도 복제에 관한 관리정보와 상기 관리정보에 부가된 에러검출부호와 에러정정부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삽입된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된 저장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에 대해서 복조처리를 실행하는 단계와;
복조처리가 실행되는 출력신호로부터 부가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에러검출부호와 검출된 부가정보의 에러정정부호 중 하나에 대응하는 에러검출처리를 실행하는 단계와;
에러검출처리에서 에러가 발생하지 않을 때 관리정보에 대응하는 저장매체로부터 독출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 복조처리가 실행되는 출력신호에 대해서 출력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삭제
본 발명은 데이터출력 제어방법으로서,
적어도 복제에 관한 관리정보와 상기 관리정보에 부가된 에러검출부호와 에 러정정부호 중 하나에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삽입된 콘텐츠 데이터에서 부가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부가정보의 에러정정부호와 에러검출부호 중 하나에 대응하는 에러검출처리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에러검출처리에서 에러가 발생하지 않을 때 관리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출력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삭제
본 발명은 데이터출력방법으로서,
콘텐츠 데이터에 적어도 복제관리에 관한 관리정보와 상기 관리정보에 부가된 에러검출부호와 에러정정부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삽입하여 출력할 때, 관리정보를 재기록하고 상기 재기록된 관리정보에 에러검출부호와 에러정정부호 중 하나를 그대로 부가하고, 그 결과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데이터 출력 및 재생방법으로서,
에러검출부호와 에러정정부호 중 하나가 부가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재기록될 때, 상기 에러검출부호와 상기 에러정정부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데이터에 부가하고 그 결과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재기록되는 경우에 신드롬을 미리 구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가 재생될 때, 상기 에러검출부호와 에러정정부호의 일부에 대응 하여 신드롬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구한 신드롬 및 미리 구한 신드롬에 대응하여 에러가 발생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삭제
도 1은 워터마크의 데이터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a는 패킷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b는 패킷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c는 패킷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오프셋(offset) 정보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워터마크의 배열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워터마크의 배열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SCMS의 재기록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저장장치의 일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8은 워터마크 부호기의 일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9는 워터마크 복호기의 일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재생장치의 일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11은 워터마크에 관한 재생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SCMS를 이용한 관리의 일예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에러검출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워터마크 부가회로 4. 워터마크 발생회로
5. 에러정정 코드부호화회로 9,41. 광학 디스크
13. 랜더마이저 45. 에러정정회로
46. 워터마크 검출회로 47. 판단회로
48. 스위치회로 49. D/A 변환기
51. 워터마크 부가회로 52. 워터마크 발생회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기술할 것입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콘텐츠의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저장될 때에,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콘텐츠의 데이터에 포함된다.
도 1은 콘텐츠의 데이터가 포함된 워터마크의 구조를 도시한다. 콘텐츠의 데이터(예를 들면, 오디오데이터의 좌측(L)채널과 우측(R)채널)는 샘플(Sample)당 2바이트(16bit)로 처리된다. 워터마크(도 1에서 사선부분)의 데이터는 적어도 콘텐츠 데이터의 주요한 비트에 포함된다. 이와 같이,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각 좌측과 우측의 채널에서 한 샘플에 2비트의 비률로 콘텐츠의 데이터가 포함된다.(2 바이트 + 2바이트 = 4바이트)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한 정보단위(패킷)로서 각 48비트로 처리된다.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각 좌측과 우측 채널의 한 샘플로서 4바이트당 2비트의 비율로 콘텐츠의 데이터에 포함된다. 이와 같이, 워터마크의 데이터의 한 패킷(48비트)은 콘텐츠 데이터의 각 좌측와 우측 채널의 24샘플로 포함된다.(24샘플 ×4바이트 = 96바이트)
이후 기술될 내용은, 각 48비트로 구성된 두 개의 패킷형이다.
첫 번째 형은 페이로드(Payload)를 기술하는 패킷이다.
두 번째 형은 페이로드를 기술하는 패킷의 위치를 표현하는 패킷이다.(이후, 첫번째형 패킷은 페이로드 패킷에 관한 것이고, 반면 두번째형 패킷은 페이로드 패킷의 위치표현 패킷에 관한 것이다.) 페이로드 패킷과 페이로드 패킷의 위치표현 패킷을 구별하기 위해, 식별자(ID)가 부여된다. 페이로드 패킷의 식별자(ID)는 0이고(ID=0), 반면에, 페이로드 패킷의 위치표현 패킷의 식별자(ID)는 1이다(ID=1). 이런 예로, 패킷번호(PCK = 0)를 가지는 패킷은 페이로드 패킷이다(ID=0)이다. 패킷번호(PCK = 1 to 2449)를 가지는 패킷은 페이로드 패킷의 위치표현 패킷이다(ID=1). 페이로드 패킷(식별자(ID=0)를 가지는 패킷)은 2450패킷의 사이에 위치한다. 두 개의 식별자(ID=1)를 가지는 패킷사이에서, 페이로드 패킷의 위치표현 패킷(ID=1)이 위치된다.
워터마크로 포함되는 패킷의 데이터(48비트)는 16비트의 싱크(SYNC)와 4비트의 식별자(ID)와 12비트의 데이터(DATA)와 16비트의 CRC코드로 구성된다.
싱크(SYNC)는 동기화를 위해 패킷의 시작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싱크(SYNC)는 예를 들면, "5555h"(여기서 h는 16진수 표기법을 말한다.)로 고정패턴을 가진다.
싱크(SYNC)는 패킷의 형을 구별하는 식별자(ID)의 앞에 배치된다. 상기 기술했듯이, 두 개의 패킷의 형이 있다. 첫번째 형은 페이로드 패킷이다.(도 2b 참조) 두번째 형은 페이로드 패킷의 위치표현 패킷이다(도 2c 참조). 페이로드 패킷의 식별자(ID)는 0이고(ID=0), 반면에, 페이로드 패킷의 위치표현 패킷의 식별자(ID)는 1이다(ID=1).
선택적으로, 식별자(ID)보다 싱크(SYNC)패턴을 가지고서, 페이로드 패킷(도 2b 참조)은 페이로드 패킷의 위치표현 패킷(도 2c 참조)과 구별된다. 예를 들면, 첫번째 형의 싱크(SYNC) 패턴은 "5555h"이고, 두번째 형의 싱크(SYNC) 패턴은 "9999h"이다.
식별자(ID)는, 패킷의 형을 식별하는데, 데이터(DATA)의 앞에 배치된다. 페이로드 패킷의 데이터의 구조는 페이로드 패킷의 위치표현 패킷의 데이터의 구조와 다르다.
도 2b는 페이로드 패킷의 데이터의 구조를 도시한다(ID=0의 패킷).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패킷은 12비트의 데이터와 같은 페이로드를 기술한다.
12비트 중 페이로드의 첫번째 8비트가 할당된다.
다음, 2비트는 원본저장매체의 형을 식별하는 OMD(원본매체 구별자)이다. OMD가 "00"일 때, 원본저장매체는 읽기전용매체(CD(Compact Disc) 또는 CD-ROM(CD-Read Only Memoly))이다. OMD가 "01"일 때, 원본저장매체는 읽기형저장매체(CD-R(Compact Disc Recordable)이다. OMD가 "10"일 때, 원본저장매체는 저장가능/재생가능 저장매체(CD-RW(Compact Disc Rewriter))이다. OMD가 "11"일 때, 원본저장매체는 어떠한 것도 된다.
OMD는 작동재생 등을 위한 요금부과처리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원본저장매체가 실제저장매체와 같을 때, 원본저장매체가 사용되어서, 요금부과처리는 수행되지 않는다. 원본저장매체가 실제저장매체와 다를 때, 복제된 저장매체가 사용되어서, 요금부과처리는 재생작동을 위해 수행된다. 이와 같이, 요금부과처리는 저장매체가 원본저장매체인지 복제된 저장매체인지에 따라 수행된다. 그 결과, 저작권 소유자의 권리가 보호될 수 있다.
다음, 2비트는 저작권 관리를 위한 SCMS(직렬복제관리시스템)데이터이다. SCMS 데이터가 "00"일 때, 디스크(Disc)는 단지 한 세대로 복제되는 것이 허용되어 콘텐츠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원본디스크(Disc)이다. SCMS 데이터가 "01"일 때, 디스크(Disc)는 복제가 금지되어 콘텐츠의 데이터가 읽혀지는 복제된 디스크이다. SCMS 데이터가 "11"일 때, 디스크는 지유롭게 복제되어 콘텐츠의 데이터가 읽혀지는 디스크이다.
SCMS를 사용하여, 상기 기술한 바에 의해 복제세대가 관리된다. 한번에 하나의 저장매체가 다른 저장매체로 복제될 때, 복제세대가 하나씩 진전된다. 이와 같이, 복제세대를 관리하기 위해, 언제 복제작동이 수행되더라도, SCMS 데이터를 재기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페이로드 패킷(ID=0)은 재기록될 패킷으로 시작될 수 있다.
도 2c는 페이로드 패킷의 위치표현 패킷(ID=1)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다. 페이로드 패킷의 위치표현 패킷은 페이로드 패킷(Offset_Info)의 거리를 표현하는 오프셋(Offset)정보를 기술한다.
그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로드 패킷(ID=0의 패킷)은 2450패킷의 사이에 위치한다. 패킷번호 PCK(PCK = 0)를 가지는 패킷은 페이로드 패킷이다(ID=0의 패킷). 패킷번호 PCK(PCK = 1 to 2449)를 가지는 패킷은 페이로드 패킷이다(ID=1의 패킷). 이와 같이, 오프셋(Offset)정보(Offset_Info)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Offset_Info = 2450 - PCK
PCK : 패킷 번호
페이로드 패킷(ID=0)은 재기록되는 패킷으로 시작되고, 반면에 페이로드 패킷의 위치표현 패킷(ID=1)은 재기록되지 않는 패킷이다.
도 2a에서, 에러검출 CRC코드는 한 패킷의 데이터에 추가된다. CRC에서는, 다음의 세대다항식이 사용된다.
G(x) = x16 + x15 + x2 + 1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48비트의 한 패킷으로 콘텐츠의 데이터에 포함된다. 한 패킷의 48비트는 콘텐츠의 데이터의 24샘플과 동일하다(96바이트). 페이로드 패킷(ID=0의 패킷)은 2450 패킷의 사이에 위치한다. 다른 패킷(ID=1의 패킷)은 페이로드 패킷의 위치를 표현하는 지시자이다.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복호화될 때, 적어도 콘텐츠 데이터의 주요한 비트로부터 48비트의 한 패킷의 데이터로 추출된다.
식별자(ID)는 패킷형을 식별하기 위해 읽혀지는 워터마크의 데이터로 부터 검출된다.
검출된 식별자(ID)가 ID = 0 일때, 패킷은 페이로드 패킷이어서(도 2b 참조 ), 패킷의 기술에 관계되는 처리가 수행된다.
검출된 식별자(ID)가 ID = 1 일때, 패킷은 페이로드 패킷의 위치표현 패킷이므로(도 2c 참조), 오프셋정보(Offset_Info)가 읽혀진다. 이와 같이, 오프셋정보(Offset_Info)에 관계되는 거리에 의해 페이로드 패킷의 위치표현 패킷과 떨어져서 패킷이 읽혀진다. 오프셋정보(Offset_Info)에 관계되는 거리에 의해 페이로드 패킷의 위치표현 패킷과 떨어진 패킷은 페이로드 패킷이므로(도 2b 참조), 페이로드 패킷의 기술과 관계되는 처리가 수행된다.
다시 말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킷번호 PCK(PCK = 0)를 가지는 패킷은 페이로드 패킷이다. 패킷번호 PCK(PCK = 0)를 가지는 패킷은 페이로드 패킷을 표현하는 식별자(ID)가 할당된다. 패킷의 페이로드는 원본저장매체의 형을 식별하기 위한 OMD와 저작권 관리를 위한 SCMS 데이터를 포함한다.
페이로드 패킷은 페이로드 패킷의 위치표현 패킷에 의하여 따르게 된다. 이들 패킷은 패킷번호 PCK( PCK = 1 to 2449 )가 할당된다. 이들 패킷은 식별자 (ID=1)가 할당된다. 오프셋정보(Offset_Info)는 이들 패킷에 기록된다. 오프셋정보(Offset_Info)는 페이로드 패킷(ID=0의 패킷)의 위치를 표현한다.
다시 말하면, 오프셋정보(Offset_Info)에서 다음 페이로드 패킷까지로서(2450 - 1 = 2449)는 패킷번호(PCK = 1)를 가진 패킷에 기록된다. 게다가, 오프셋정보(Offset_Info)에서 다음 페이로드 패킷까지로서(2450 - 2 = 2448)는 패킷번호(PCK = 2)를 가진 패킷에 기록된다. 게다가, 오프셋정보(Offset_Info)에서 다음 페이로드 패킷까지로서(2450 - 3 = 2447)는 패킷번호(PCK = 3)를 가진 패킷에 기록된다.
이와 같이, 페이로드 패킷의 위치표현 패킷(ID=1의 패킷)이 있을 때, 페이로드 패킷의 위치표현 패킷의 패킷번호(PCK)와 오프셋정보(Offset_Info)의 오프셋이 추가되는 위치에서의 페이로드 패킷(ID=0의 패킷)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그 예로서,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48비트의 한 패킷으로 콘텐츠의 데이터에 포함된다. 48비트의 한 패킷은 콘텐츠의 데이터의 24샘플(96바이트)과 같다. 2450 패킷의 사이에, 페이로드 패킷(ID=0의 패킷)이 위치된다. 다른 패킷은 페이로드 패킷의 위치표현 패킷(ID=1의 패킷)이다. 재기록되어야 할 패킷은 페이로드 패킷(ID=0의 패킷)이다. 반대로, 페이로드 패킷의 위치표현 패킷(ID=1의 패킷)은 재기록될 필요없는 패킷이다. 이와 같이, 2450 패킷의 사이에 재기록되어야할 패킷이 있다.
2450 패킷은 다음과 같다.
24 샘플 ×2450 패킷 = 58800 샘플
한 샘플은 4바이트로 구성되고, 다음 관계가 만족된다.
58800 샘플 ×4 바이트 = 235200 바이트
CD(Compact Disc)에서, 98 프레임은 하나의 섹터(Sector)(하부코드블록)로 처리된다. 이와 같이, 페이로드 패킷(ID=0의 패킷)은 콘텐츠 데이터의 100섹터 (Sector)와 같다.
이와 같이, 2450 패킷의 사이에 기록되어져야 할 패킷이 있을 때, 한 패킷당 100섹터에 대한 처리가 요구된다. 이것은 각 2섹터당 1비트에 대한 처리이다. 이런 처리는 펌웨어에 의해 충분히 처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페이로드 패킷(ID=0의 패킷)은 펌웨에 의해 충분히 처리될 수 있는 페이로드의 사이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페이로드를 재기록하는 처리는 펌웨어에 의해 충분히 수행된다. 페이로드 패킷(ID=0의 패킷) 사이의 패킷은 페이로드 패킷의 위치표현 패킷(ID=1의 패킷)이므로, 페이로드 패킷은 신속히 접근되고, 처리된다.
그 예로서, 2450바이트의 사이에서, 페이로드 패킷(ID=0의 패킷)이 위치된다. 그러나, 그 사이는 제한이 없다. 다시 말하면, 페이로드 패킷(ID=0의 패킷)의 사이는 워터마크의 재기록처리의 시간에 고려하여 설계된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콘텐츠의 데이터의 각 샘플에 포함된다. 그러나,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콘텐츠의 데이터의 각 샘플에 포함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콘텐츠 데이터의 24샘플의 한 패킷에 포함된 후에,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콘텐츠 데이터의 몇 개의 패킷에 포함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콘텐츠 데이터의 24샘플의 한 패킷에 포함된 후에,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콘텐츠 데이터의 9패킷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런 경우,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24 ×10 = 240)샘플의 사이에서 콘텐츠의 데이터에 포함된다. 한 샘플이 4바이트로 구성됨으로 인해, 다음의 관계가 만족된다.
24샘플 ×10패킷 ×4바이트 = 960바이트
상기 기술된 예에서, 페이로드 패킷(ID=0의 패킷)이 콘텐츠 데이터의 100섹터의 사이에 위치한다고 가정하면, 페이로드 패킷(ID=0의 패킷)은 245패킷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패킷번호 PCK(PCK = 0 to 244)가 할당된다.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콘텐츠 데이터의 24샘플의 한 패킷에 포함된 후에,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콘텐츠의 데이터의 몇 개의 패킷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런 경우, 워터마크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콘텐츠의 데이터 샘플의 수가 증가 함으로 인하여, 오디오의 품질이 향상된다. 다시 말하면,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콘텐츠 데이터의 하위비트에 포함된다. 특별히,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고정패턴을 포함한다. 고정패턴은 잡음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콘텐츠의 데이터의 샘플 수가 증가할 때, 그와 같은 잡음의 발생은 경감된다.
물론,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콘텐츠의 데이터의 샘플 수가 증가함으로인해, 페이로드 패킷의 위치표현 패킷(ID=1의 패킷)의 수는 감소한다. 이와 같이, 페이로드 패킷(ID=0의 패킷)의 접근시간은 길게 된다. 그러나, 최악의 경우, 페이로드 패킷의 위치표현 패킷(ID=1의 패킷)은 페이로드 패킷의 위치표현 패킷(ID=1의 패킷)의 사이에서(이 예에서 100섹터안에서) 검출된다. 이와 같이, 페이로드 패킷(ID=0의 패킷)이 접근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처리시간은 대게 느려지지 않는다.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패킷의 사이는 접근시간과 오디오의 품질(콘텐츠의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상기 기술한 바에 의해,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콘텐츠 데이터의 24샘플의 한 패킷이 포함된 후에,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콘텐츠 데이터의 몇 개의 패킷에 포함되지 않는다면,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샘플이 있게된다. 이 부분을 사용하여, 다른 타입의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그와 같은 부분을 사용한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포함된 정보로인하여, 전하정보, 암호화키정보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예에서,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사이간격은 선결정된 패킷의 수와 동일하다. 그러나, 그 사이 간격은 항상 고정된 것은 아니다. 다시말하면,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사이 간격이 N패킷, (N+2)패킷, (N-2)패킷, (N+4)패킷, (N-4)패킷과 같은 선결정된 패턴에서 변할 수 있다.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사이간격은 무작위적으로 발생되는 무작위번호처럼 설계될 수 있다.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사이간격이 일정할 때에, 그 구성요소는 잡음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했듯이,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사이간격이 변화될 때에, 잡음발생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예에서,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사이간격은 콘텐츠 데이터의 24샘플의 한 패킷으로 설계된다.
그러나,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사이간격은 콘텐츠 데이터의 24샘플의 한 샘플로 설계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콘텐츠의 데이터에 하위비트에 삽입될 때에,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한 샘플의 유닛에 삽입됨으로 인하여, 그 사이간격은 한 샘플의 유닛에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의 데이터는 한 섹터(2352바이트)의 유닛에서 처리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5는 한 패킷의 사이간격이 한 섹터와 부합되는 하나의 예를 보여준다. 이 경우, 패킷의 사이간격은 다음과 같다.
2352바이트 = (2352/96) = 24.5패킷
페이로드 패킷(ID=0의 패킷)이 콘텐츠 데이터의 100섹터의 사이간격에 위치된 때를 가정하면, 패킷번호 PCK(PCK= 0 to 99)가 할당된다.
이와 같이, 워터마크 데이터의 48비트의 한 패킷은 각 섹터에 삽입된다. 이 경우, 워터마크 데이터의 48비트의 한 패킷의 사이간격은 24.5패킷이 된다. 그러나, 워터마크의 데이터를 동일하게 삽입하는 것이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워터마크의 데이터의 48비트의 한 패킷은 한 섹터에 의해 떨어진 위치에 삽입된다. 그 다음, 워터마크의 데이터의 48비트의 한 패킷은 (1섹터 + 2패킷)에 의해 떨어진 위치에 삽입된다. 그 다음, 워터마크의 데이터의 48비트의 한 패킷은 (1섹터 - 2패킷)에의해 떨어진 위치에 삽입된다. 그와 같은 방식으로,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사이 간격의 길이는 선결정된 패턴에서 변화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사이간격의 길이는 무작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SCMS 데이터를 사용하는 세대복제 관리를 위해, 워터마크는 재기록되어 질 수 있다. 워터마크는 페이로드 패킷(ID=0의 패킷)을 사용하여 재기록된다.
다시 말하면,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이로드 패킷(ID=0의 패킷)은 SCMS 데이터를 포함한다. SCMS 데이터가 "00"이면, 콘텐츠의 데이터가 복제될 때, SCMS 데이터는 콘텐츠의 데이터가 단 한세대에 복제될 수 있게 "00"에서 "01"로 재기록된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러검출 CRC코드가 한 패킷에 부가된다. 이와 같이, 페이로드 패킷(ID=0의 패킷)의 페이로드가 재기록될 때, CRC코드를 재획득과 재기록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CRC코드를 재획득과 재기록하는 처리과정은 큰 부하를 요구한다. 이와 같이, 펌웨어가 그것을 처리하기에는 어렵다.
본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SCMS 데이터가 재기록될 때, CRC코드가 변화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저장매체가 재생될 때, 재기록되는 페이로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신드롬(syndrome)들이 저장된다. 저장된 하나의 신드롬이 발생될 때에, 에러발생이 없다는 것이 결정된다. 이와 같이, CRC코드를 재획득과 재기록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 그 결과, 요구되는 처리가 경감된다.
다시 말하면, 페이로드 패킷의 데이터는 12비트로 구성된다. 이들 비트에서, 도 6a와 6b에 도시된 SCMS의 비트(b0)는 페이로드의 정보처럼 재기록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원본저장매체가 복제될 때, 도 6a에 도시된 SCMS데이터는 도 6a에 도시된 "00"로부터 도 6b에 도시된 "01"로 재기록된다. 다시 말하면, 비트(b0)는 콘텐츠의 테이터가 저장된 저장매체가 원본저장매체인지, 복제저장매체(비원본저장매체)인지를 표현한다.
상기 기술했듯이, CRC에 대한 세대 다항식으로, 다음의 표현이 사용된다.
G(x) = x16 + x15 + x2 + 1
저장매체가 재생될 때, 에러를 검지하기 위해 CRC 계산이 수행된다. 그 시점에서, 에러가 발생되지 않을 때, 그 신드롬은 "0"이 된다.
그러나, 도 6a와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CMS 데이터는 "00"에서 "01"로 재기록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SCMS 데이터가 재기록될 때, CRC코드가 변화되지 않고, 변화되지 않음이 유지된다면, 에러가 발생되지 않더라도, CRC 계산에서 획득된 신드롬은 "0"보다 다른 것이 된다.
그러나, SCMS 데이터의 비트(b0)가 재기록될 수 있다. 게다가, 재기록된 비트(b0)에 관하여 발생되는 신드롬의 값이 알려진다.
다시 말하면, CRC 계산이 상기 기술된 세대 다항식과 함께 수행되고, 그 원본 CRC 코드는 변화되지 않음이 유지된다. 만약 비트(b0)가 "0"에서 "1"로 재기록된다면, 그 신드롬은 다음과 같다.
x15 + x2 + 1 = 8005h
이와 같이, SCMS 데이터가 재기록될 때를 가정하고, CRC 코드가 변화되지 않게 유지되고, 저장매체가 재생산될 때, CRC 계산에서 에러가 없다면, 그 신드롬은 "0"나 "8005h"가 된다. SCMS 데이터의 비트(b0)가 "0"에서 "1"로 재기록될 때만, 신드롬은 "8005h"로 된다.
이와 같이, 저장매체가 재생산될 때 수행되는 CRC 계산에서 신드롬이 "0"나 소정치(즉, "8005h")이라고 가정하면, 에러가 발생하지 않음이 결정되고, SCMS 데이터가 재기록될 때, CRC코드를 변화함이 필요치 않다. CRC코드를 변화함이 필요치 않을 때, 워터마크를 재기록하기위해 요구되는 처리과정이 경감된다.
게다가, 원본 저장매체가 복제되고, 그것에 의해 SCMS 데이터의 비트(b0)가 "0"이나 "1"로 재기록될 때만의 소정치처럼 신드롬은 "8005h"가 된다. 이와 같이, 소정치와 같이 신드롬이 "8005h"일 때, 비트(b0)가 "0"이나 "1"이 결정된다.
다시 말하면, 소정치와 같이 신드롬이 "8005h"일 때, 비트(b0)가 "0"이나 "1"이 결정된다.
소정치와 같이 신드롬이 "8005h"이고, 비트(b0)가 "1"일 때, 원본저장매체가 복제되고, SCMS 데이터의 비트(b0)가 "0"이나 "1"로 재기록되고, 에러가 발생되지 않음이 결정된다.
반면에, 소정치와 같이 신드롬이 "8005h"일 때, 비트(b0)가 "0"으로 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 경우, SCMS 데이터가 에러를 가지고 있음이 결정된다.
다시 말하면, SCMS 데이터가 "00"이고, 저장매체가 원본 디스크일 때, 비트(b0)가 "0"이 된다. 저장매체가 원본디스크일 때, SCMS 데이터가 재기록되지 않음으로 인해, 틀림없이 그 신드롬은 "0"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소정치와 같이 신드롬이 "8005h"일 때, 비트(b0)가 "0"일 때, 에러가 발생되거나, SCMS 데이터가 불합리하게 기록된다.
이와 같이, 소정치와 같이 신드롬이 "8005h"일 때, 비트(b0)가 "0"인지 "1"인지가 결정된다. 비트(b0)가 "1"일 때, 에러가 발생하지 않음이 결정된다. 비트(b0)가 "0"일 때, 에러가 발생함이 결정된다.
SCMS 데이터의 두 개의 비트(b0 b1) 가 재기록되는 것을 가정하면, 저장매체가 재생산될 때, 신드롬은 다음과 같다.
x3 + x = 000Ah
이와 같이, 비트(b0)나 비트(b0 b1)가 재기록될 가능성을 가정하면, 신드롬이 "0", "8005h" 또는 "000Ah"이고, 그것은 에러가 발생되지 않음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기술한 방법으로 콘텐츠의 데이터의 워터마크를 포함하는 저장매체와 저장매체에 대한 저장결과 데이터가 기술될 것이다.
도 7은 그와 같은 저장장치의 예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저장매체로서, CD-R이나 CD-RW와 같은 저장가능 광학디스크가 사용된다.
도 7에서, 콘텐츠의 데이터는 입력단말(1)에 제공된다. 콘텐츠의 데이터는 예로서, 좌측과 우측의 디지털오디오 데이터이고, 각 채널의 디지털오디오 데이터는 16비트로 디지털화된다. 콘텐츠의 데이터는 입력단말(1)에서 워터마크 부가회로(2)로 제공된다.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입력단말(3)에 제공된다.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워터마크 발생회로(4)에 제공된다. 워터마크 발생회로(4)의 출력은 워터마크 부가회로(2)에 제공된다.
워터마크 부가회로(2)는 입력단말(1)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의 데이터에 관한 워터마크 발생회로(4)로부터 제공되는 워터마크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워터마크는 48비트의 한 패킷의 한 유닛으로 처리된다. 페이로드 패킷(ID=0의 패킷)은 예를 들면 2450패킷의 사이에 위치한다. 페이로드 패킷 사이의 패킷은 페이로드 패킷 위치표현 패킷(ID=1의 패킷)이다. 워터마크 부가회로(2)는 그와 같은 패킷의 두가지 타입을 재생시킨다.
삭제
복제세대가 SCMS 데이터와 함께 발생됨으로 인해, 워터마크는 재기록될 가능성이 있다. 워터마크는 페이로드 패킷(ID=0의 패킷)을 사용하여 재기록된다.
다시 말하면, 페이로드 패킷(ID=0의 패킷)은 SCMS 데이터를 포함한다. SCMS 데이터가 "00"이면, 콘텐츠의 데이터가 복제될 때, 복제작동이 한 세대에서만 수행되기위해 SCMS 데이터가 "00"에서 "01"로 재기록된다.
에러검출 CRC코드는 한 패킷에 추가된다. 이와 같이, 페이로드 패킷(ID=0의 패킷)의 페이로드가 재기록될 때, CRC코드를 재획득과 재기록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CRC코드를 재획득과 재기록하는 처리는 펌웨어에 큰 부하를 부가한다. 이와 같이, 펌웨어는 그와 같은 처리를 수행할 수 없다.
상기 기술한 바에 따라, SCMS 데이터가 재기록될 때, CRC 코드는 재획득되지 않지만, 변화되지 않음이 유지된다. 저장매체가 재생될 때, 재기록된 페이로드에서 발생되는 모든 신드롬은 저장된다. 재기록된 페이로드에서 발생되는 신드롬이 어떤 저장된 신드롬과 부합될 때, SCMS 데이터가 에러를 가지고 있지 않음이 결정된다.
일 예로서,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콘텐츠의 데이터의 하위비트에 포함된다.
워터마크에 대한 다른 방법으로, 부가적인 정보가 콘텐츠의 압축 데이터의 상위계수에 삽입될 수 있다. 부가정보의 스펙트럼(spectrum)은 콘텐츠의 데이터에 부가정보의 스펙트럼을 부가하기 위해 콘텐츠의 데이터에 확장될 수 있다. 워터마크 데이터는 소정 범위 내의 제 1피크 또는 제 2피크 또는 그 근방에 삽입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워터마크가 사용될 수 있다.
삭제
그러나, SCMS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제세대를 관리하기 위해서, 워터마크를 재기록할 필요가 있다. 워터마크 재기록을 고려하면, 콘텐츠 데이터의 하위비트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방법 또는 콘텐츠 데이터의 압축시 고차계수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스펙트럼 확산을 이용하여 부가정보를 확산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스펙트럼 확산정보를 중첩하는 방법 또는 콘텐츠 데이터의 소정 범위 내의 제 1피크 또는 제 2피크 또는 그 근방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방법에 있어서, 워터마크가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여 부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워터마크 를 재기록하는 것이 어렵다. 콘텐츠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일 때는, 마스킹 효과를 이용해서, 재생된 워터마크 데이터의 영향으로부터 방지될 수 있다.
워터마크 부가회로(2)의 출력은 에러정정 코드부호화회로(5)에 공급된다. 에러정정 코드부호화회로(5)는 에러정정처리를 실행한다. 에러정정 코드부호화회로(5)의 출력은 변조회로(6)에 공급된다.
삭제
저장매체로서 광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필요한 변조처리는 변조회로(6)에 의해 실행된다. 변조회로(6)의 출력은 기록증폭기(7)를 통해서 광픽업 (8)에 공급된다. 광픽업(8)은 워터마크 데이터가 광디스크(9)에 삽입된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한다.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된 광디스크는 CD 또는 CD-ROM등과 같이 재생전용 디스크로서 팔리거나 배포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기술된 방법으로 제작된 광디스크를 마스터 디스크로 하여, 판매 또는 배포될 광디스크가 제작된다.
도 8은 워터마크를 콘텐츠 데이터에 삽입하는 부호화기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낸 예에서, 워터마크 정보는 콘텐츠 데이터의 하위비트에 삽입된다. 예에서, 워터마크 정보는 콘텐츠 데이터가 재생될 때, 워터마크 정보의 성분이 청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콘텐츠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에 삽입된다. 이러한 엔코더는 도 2에 나타낸 워터마크 부가회로(2)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8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와 같은 원본 데이터는 입력단자(11)에 공급된다. 워터마크 데이터는 입력단자(12)에 공급된다.
입력단자(12)로부터 공급된 워터마크 데이터는 랜더마이저(randomizer)(13)에 공급된다. 랜더마이저(13)는 워터마크 데이터가 백색잡음이 되게 한다. 랜더마이저(13)의 출력은 감산회로(14) 및 가산회로(15) 양쪽에 공급된다.
입력단자(11)로부터 입력된 콘텐츠 데이터는 감산회로(16)에 공급된다. 감산회로(16)의 출력은 감산회로(14) 및 감산회로(17) 양쪽에 공급된다. 감산회로(14)의 출력은 양자화회로(18)에 공급된다. 양자화회로(18)의 출력은 가산회로(15)에 공급된다.
가산회로(15)는 양자화회로(18)의 출력과 랜더마이저(13)의 출력을 가산한다. 가산회로(15)의 출력은 출력단자(21)에서 출력된다. 또한, 가산회로 (15)의 출력은 감산회로(17)에 공급된다. 감산회로(17)는 가산회로(15)의 출력으로부터 감산회로(16)의 출력을 감산한다.
감산회로(17)의 출력은 잡음형 필터(20)에 공급된다. 잡음형 필터(20)의 출력은 감산회로(16)에 공급된다. 감산회로(16)는 입력단자(1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잡음형 필터(20)의 출력을 감산한다.
도 8에 나타낸 워터마크 엔코더는 워터마크 데이터를 데이터의 하위비트에 삽입한다. 노이즈 성분은 예를 들면 워터마크가 청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주파수대역에 놓인다.
즉, 도 8에 있어서, 입력단자(1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는 양자화회로(18)에 의해 양자화된다. 가산회로(15)는 랜더마이저(13)로부터 출력된 워터마크 데이터를 양자화회로(18)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의 하위비트에 삽입한다.
양자화회로(18)는 감산회로(14)보다 앞에 놓인다. 감산회로(14)는 입력단 자(1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워터마크 데이터를 감산한다. 따라서, 양자화회로(18)의 전단에서는, 입력단자(1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워터마크가 감산된다. 따라서, 양자화회로(18) 다음의 가산회로(15)는 콘텐츠 데이터에 삽입된 영향을 제거한다.
가산회로(15)는 워터마크 데이터가 부가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가산회로 (15)의 출력은 출력단자(21)에서 출력된다. 또한, 감산회로(17)는 양자화회로 (18)의 입력데이터로부터 양자화회로(18)의 출력데이터를 감산한다. 따라서, 양자화처리에서 발생하는 노이즈 성분은 제거된다. 노이즈 성분은 잡음형 필터(20)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장소로 이동되고 감산회로 (16)에 공급된다.
도 9는 상기 기술된 방법으로 삽입된 워터마크 정보를 복호화하는 워터마크 복호화기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9에 있어서, 도 8에 나타낸 엔코더의 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입력단자(31)에 공급된다. 엔코더의 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워터마크가 중첩된 콘텐츠 데이터이다. 입력단자(3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는 양자화회로 (32)에 공급된다. 양자화회로(32)의 출력은 출력단자(33)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양자화회로(33)의 출력은 하위비트 추출회로(34)에 공급된다.
하위비트 추출회로(34)는 양자화회로(32)의 출력데이터의 하위비트에 삽입된 워터마크 데이터를 추출한다. 하위비트 추출회로(34)에 의해 추출된 워터마크 데이터는 역랜더마이저(35)에 공급된다.
역랜더마이저(35)는 상기 기술된 엔코더의 랜더마이저(13)의 역처리를 실행한다. 역랜더마이저(35)는 랜덤화된 워터마크 정보를 원본 데이터로 복원한다. 역랜더마이저(35)로부터, 워터마크 정보가 얻어진다. 워터마크 정보는 출력단자(36)에서 출력된다.
도 10은 재생장치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0에 있어서, 광디스크(41)에 기록된 데이터는 광픽업(42)에 의해 독출된다. 광픽업(42)의 출력신호는 재생증폭기(43)를 통해서 복조회로(44)에 공급된다. 복조회로(44)는 변조회로(6)에 의해 실행된 변조처리의 역처리인 복조처리를 실행한다. 복조회로(44)의 출력데이터는 에러정정회로(45)에 공급된다. 에러정정회로(45)는 복조회로(44)의 출력데이터에 대한 에러정정처리를 실행한다.
에러정정회로(45)의 출력신호는 D/A변환기(49)에 공급된다. D/A변환기 (49)는 에러정정회로(45)의 출력신호로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한다. D/A변환기의 출력신호는 출력단자(50)로부터 출력된다.
에러정정회로(45)의 출력신호는 워터마크 검출회로(46) 및 워터마크 부가회로(51) 양쪽에 공급된다. 워터마크 검출회로(46)는 에러정정회로(45)의 출력신호로부터 워터마크의 데이터를 검출한다.
워터마크 검출회로(46)의 출력이 판단회로(47)에 공급된다. 판단회로(47)의 출력에 의거하여, 스위치회로(48)가 제어되어 저장매체로서의 광디스크(41)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복제작동을 제어한다.
에러정정회로(45)의 출력신호가 워터마크 부가회로(51)에 공급된다. 워터 마크 발생회로(52)는 판단회로(47)의 출력에 의거하여 워터마크를 생성한다. 이 새롭게 생성된 워터마크가 워터마크 발생회로(52)에서 워터마크 부가회로(51)에 공급된다. 워터마크 부가회로(51)는, 워터마크가 재기록되어야 할 때, 에러정정회로(45)의 출력신호에 포함되어(embeded)있는 워터마크의 재기록처리를 행한다.
워터마크 부가회로(51)의 출력신호가 스위치회로(48)를 거쳐서, 데이터출력단자(53)에 공급된다.
광디스크(41)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의 데이터에는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이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워터마크 검출회로(46)에 의해 검출된다. 워터마크 검출회로(46)로서는, 제 9도에 나타낸 구성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워터마크는, 상술한 바와 같이, 48피트를 1패킷의 단위로서 처리된다. 페이로드 패킷(ID=0의 패킷)이 예를 들면 4350패킷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두 페이로드 사이의 패킷은, 페이로드의 패킷위치를 나타내는 패킷(ID=1의 패킷)이다.
판단회로(47)는 48비트의 1패킷의 데이터를 독출하고, 워터마크의 데이터에서 식별자 ID를 검출하고, 패킷의 종류를 판단한다. 검출된 식별자 ID가 (ID=0)이면, 그 패킷은 페이로드 패킷이므로, 그 패킷의 페이로드의 기술에 의거하여 광디스크(41)에서 독출된 콘텐츠의 데이터의 복제제한처리 등의 복제작동이 행해진다. 검출된 식별자 ID가 (ID=1)이면, 오프셋정보(Offset_Info)가 독출된다. 오프셋정보(Offset_Info)의 거리만큼 떨어진 페이로드 패킷이 독출된다. 이 패킷의 페이로드의 기술에 의거하여, 광디스크(41)에서 독출된 콘텐츠의 데이터의 복제작동이 행해진다.
도 11은 판단회로(47)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1에서,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취득된 후(스텝 S1), 1패킷(48비트)의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배열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스텝 S2). 1패킷의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배열되면, 식별자 ID가 검출된다(스텝 S3). 이 식별자 ID가 (ID=0)인지 (ID=1)인지가 판단된다(스텝 S4). 식별자 ID가 (ID=0)이면, 패킷이 페이로드 패킷이므로, 그 페이로드가 검출된다(스텝 S5). 페이로드에 의거하여, 광디스크(41)에서 독출된 콘텐츠의 데이터의 복제관리 등의 동작이 제어된다(스텝 S6).
스텝(S4)에서, 식별자 ID가 (ID=1)이면, 패킷이 페이로드 패킷의 위치를 나타내는 패킷이므로, 오프셋정보(Offset_Info)가 독출된다(스텝 S7). 오프셋정보(Offset_Info)만큼 떨어진 패킷의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취득된다(스텝 S8).
삭제
그 후, 스텝(S2)으로 되돌아간다. 1패킷(48비트)의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배열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1패킷의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배열되면, 스텝(S3)으로 진행한다. 스텝(S3)에서, 식별자 ID가 검출된다.
스텝(S7)에서 취득한 오프셋정보(Offset_Info)만큼 떨어진 패킷의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취득되면, 이 패킷은 페이로드의 패킷이다. 따라서, 식별자 ID는 (ID=0)임에 틀림없다.
스텝(S4)에서, 식별자 ID가 (ID=0)인지 (ID=1)인지가 판단된다. 식별자 ID가 (ID=0)이면, 스텝(S5)으로 진행한다. 스텝(S5)에서, 페이로드가 검출된다. 스텝(S6)에서, 그 페이로드에 의거하여 광디스크(41)에서 독출된 콘텐츠의 데이터의 복제관리 등의 동작이 제어된다.
스텝(S4)에서 식별자 ID가 (ID=1)이면, 스텝(S7)으로 진행한다. 스텝(S7)에서, 오프셋정보(Offset_Info)가 독출된다. 스텝(S8)에서, 오프셋정보(Off set_Info)만큼 떨어진 패킷의 워터마크의 데이터가 취득된다. 그 후, 스텝 (S2)으로 되돌아간다.
도 12는, 페이로드에 대응한 동작제어(도 11의 스텝 S6)의 SCMS를 사용하는 복제관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SCMS의 데이터는, 복제세대 관리정보이다. SCMS의 데이터가 "00"이면, 저장매체가 원래의 저장매체인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광디스크(41)에서 독출된 콘텐츠의 데이터가 1세대만 복제가 행해진다. 콘테츠의 데이터가 복제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SCMS 데이터가 "00"에서 "01"로 고쳐써진다. SCMS의 데이터가 "01"이면, 이 저장매체가 복제된 저장매체임을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광디스크(41)에서 독출된 콘텐츠의 데이터는 더욱 복제가 금지된다. SCMS의 데이터가 "11"이면, 광디스크(41)에서 독출된 콘텐츠의 데이터는 자유롭게 복제될 수 있다.
도 12에서, 페이로드 패킷(ID=0)의 페이로드부에서 SCMS의 데이터가 추출된다(스텝 S21).
상술한 바와 같이, CRC코드를 사용하여, 에러검출처리가 행해진다(스텝 S22). 에러검출처리의 결과에 따라서,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23). 판단결과가 에러발생을 나타내면, NG처리가 행해진다(스텝 S31). 예를 들면, 스텝(S31)에서, NG처리로서 사이드에러 검출처리가 행해진다. 이 경우에, 재생장치에 배치된 표시부(도시하지 않음)는 경고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재생동작을 취소하거나 중지할 것을 알린다.
판단결과가 에러없음을 나타내면, SCMS 데이터가 (SCMS=00)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스텝 S24). SCMS의 데이터가 (SCMS=00)이면, 그 저장매체는 원래의 저장매체이므로, 도 10의 스위치회로(48)가 온으로 되어 광디스크(41)에서 독출된 콘텐츠의 데이터가 복제되도록 된다(스텝 S25). 워터마크 발생회로(52)에 의해 새롭게 생성된 워터마크의 데이터는 SCMS의 데이터가 "00"에서 "01"이 되도록, (ID=0)의 패킷이 재기록되도록 한다. 따라서, 복제된 콘텐츠의 데이터에 또 복제되는 것이 금지된다. 즉, 광디스크(41)에서 독출된 콘텐츠의 데이터가 1세대만 복제가 행해진다.
스텝(S24)의 판단결과가 SCMS의 데이터가 (SCMS=00)이 아님을 나타내면, SCMS의 데이터가 (SCMS=01)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27). SCMS의 데이터가 (SCMS=01)이면, 저장매체는 복제된 저장매체이므로, 스위치회로(48)가 오프로 되어 광디스크(41)에서 독출된 콘텐츠의 데이터가 복제되는 것이 금지된다(스텝 S28).
스텝(S27)의 판단결과가 SCMS 데이터가 (SCMS=01)이 아님을 나타내면, SCMS의 데이터가 (SCMS=11)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스텝 S29). SCMS의 데이터가 (SCMS=11)이면, 광디스크(41)에서 독출된 콘텐츠의 데이터가 자유롭게 복제될 수 있으므로, 스위치회로(48)가 온으로 되어 광디스크(41)에서 독출된 콘텐츠의 데이터가 복제될 수 있다(스텝 S30).
스텝(S29)의 판단결과가 SCMS 데이터가 (SCMS=11)이 아님을 나타내면, 이 상태는 일어날 수 없으므로, NG처리가 행해진다(스텝 S30). 이 경우, NG처리로서는, 독출된 콘텐츠의 데이터의 복제를 금지하는 처리나 이 SCMS 데이터를 무시하는 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
도 13은, 에러검출처리(도 12의 스텝 S22)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SCMS의 데이터가 재기록될 때, CRC코드는 변화되지 않고 그대로 있다. 이 경우, 에러가 검출되지 않을 때, 신드롬은 "0"이나 "8005h"로 된다. SCMS데이터의 비트(b0)가 "0"에서 "1"로 고쳐써지면 신드롬이 "8005h"이 된다. 이런 식으로, 예견되는 신드롬이 미리 산출되고, 미리 기억된다.
도 13에 있어서, CRC연산이 행해져서 신드롬을 취득한다(스텝 S51). CRC연산에서는, 이하의 생성다항식이 사용된다.
G(X) = x16 + x15 + x2 + 1
신드롬이 "0"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스텝 S52). 신드롬이 "0"이면, 에러없음이라고 판단된다(스텝 S53).
스텝(S52)의 판단결과가 신드롬이 "0"이 아님을 나타내면, 신드롬이 "8005h"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스텝 S54). 신드롬이 "8005h"가 아니면, 에러라고 판단된다(스텝 S56).
신드롬이 "8005h"이면, 비트(b0)가 "1"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스텝 S55). 비트(b0)가 "1"이면, 에러없음이라고 판단된다(스텝 S53). 비트(b0)가 "0"이면, 에러라고 판단된다(스텝 S56).
SCMS 데이터가 재기록되는 때, CRC코드는 변하지 않고 그대로 있다. 저장매체가 재생될 때, CRC연산이 행해진다. 이 경우에, 신드롬이 "0" 또는 "8005h"이면, 에러없음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SCMS 데이터가 재기록된 때에도, CRC코드의 변화는 불필요하다. 따라서, 워터마크가 재기록되면, 요구되는 처리가 경감된다.
이 예에서, 신드롬이 "8005h"이면, SCMS 데이터의 비트(b0)가 "1"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대신에, 신드롬이 "0" 또는 "8005h"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에러를 검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술한 예에서는, 에러검출코드로서 CRC코드가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른 에러검출코드나 에러정정코드를 이용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게다가, 상술한 예에서는, 워터마크가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의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기록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콘텐츠의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요즘, 네트워크를 통해 음악정보나 영상정보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콘텐츠의 데이터가 전송되면, 그 콘텐츠의 데이터에 워터마크가 포함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에, 콘텐츠의 데이터가 송신될 때, 송신되는 콘텐츠의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워터마크의 정보의 일부가 재기록되면, 에러검출부호나 에러정정부호는 변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다. 수신측은 워터마크의 정보의 일부가 고쳐써질 때에 발생하는 신드롬을 미리 기억한다. 워터마크의 정보의 일부가 재기록된 때에 발생하는 신드롬을 사용하여 에러를 검출 및 정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콘텐츠의 데이터에 워터마크가 포함된다. 워터마크의 일부가 재기록될 때에, 에러검출용 CRC코드는 변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다. 워터마크가 SCMS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그 SCMS 정보의 비트 b0가 고쳐써질 것을 예측할 때, 대응하여 발생할 신드롬값 "8005h"이 미리 구해지고 미리 기억된다.
저장매체가 재생되고 CRC연산이 행해질 때, 연산결과가 에러없음을 나타내는 신드롬값인지 워터마크의 정보가 재기록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신드롬값인지를 판단한다. 연산결과가 에러없음을 나타내는 신드롬값이나 또는 워터마크가 재기록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신드롬값일 때, 에러없음이라고 판단된다.
예를 들면, SCMS 정보의 비트 b0가 재기록될 것과, 비트 b0가 재기록된 때 신드롬값이 "8005h"가 되는 것을 예측하면서, 신드롬값이 "0" 또는 "8005h"이면 에러없음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워터마크의 일부가 재기록되어도, 에러검출코드나 에러정정코드를 변화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워터마크의 재기록에 필요한 처리가 경감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제관리정보와 (이 관리정보에 부가된 에러 검출부호와 에러정정부호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에 적절하게 이용된다.

Claims (56)

  1.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복제관리에 관한 관리정보와 상기 관리정보에 부가된 에러검출부호와 에러정정부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삽입된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된 저장매체를 스캐닝(scanning)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의해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독출되는 데이터에 대해서 복조처리를 실행하는 복조처리부와,
    상기 복조처리부의 출력신호로부터 부가정보를 검출하는 검출회로부와,
    상기 검출회로에 의해 검출된 부가정보에 포함된 에러검출부호에 대응하는 상기 검출회로부로부터 공급된 검출결과에 대해 에러검출처리를 실행하고 에러검출처리에서 에러가 발생되지 않을 때 관리정보에 대응하는 저장매체로부터 독출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 상기 복조처리부의 출력신호에 대한 출력동작을 제어하는 판단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회로부는, 상기 복조처리부의 출력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관리정보를 재기록하고 상기 재기록된 관리정보에 에러검출부호 및 에러정정부호 중 하나를 그대로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회로부에 의해 판단되고, 상기 복조처리부의 출력신호에 포함된 관리정보를 재기록하기 위한 재기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회로부에서 공급된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새로운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복조처리부의 출력신호에 상기 생성부에 의해 새롭게 생성된 관리정보를 부가하는 부가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회로부는, 상기 관리정보가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독출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복제를 허용할 때에는 상기 복조처리부의 출력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재기록부에 의해 상기 관리정보를 재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회로부는, 관리정보가 저장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복제를 방지하도록 상기 재기록부로 하여금 상기 관리정보를 재기록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회로부는, 상기 관리정보가 저장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복제를 방지할 때 상기 복조처리부의 출력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회로부가 에러검출부호와 에러정정부호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검출할 때, 상기 판단회로부는 그 동작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회로부는 에러검출부호에 대응하여 신드롬을 계산하고 계산된 신드롬이 소정치인지에 의거해서 에러가 발생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회로부는 에러검출부호와 에러정정부호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신드롬을 계산하고 계산된 신드롬이 소정치인지 아닌지에 의거해서 그리고 관리정 보에 대응하여 에러가 발생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회로부는 상기 계산된 신드롬이 제로이고 관리정보가 콘텐츠 데이터의 복제를 허가할 때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회로부는 상기 계산된 신드롬이 소정치이고, 상기 관리정보가 콘텐츠 데이터의 복제를 금지할 때,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회로부는 상기 계산된 신드롬이 소정치이고, 상기 관리정보가 콘텐츠 데이터의 복제를 허가할 때, 에러가 발생되는 것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회로부는 상기 계산된 신드롬이 제로이고, 저장매체가 원본 저장매 체인 것을 관리정보가 나타낼 때,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판단하는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장치.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회로부는 계산된 신드롬이 소정치이고, 저장매체가 원본 저장매체가 아닌 것을 관리정보가 나타낼 때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장치.
  16. 제 10항에 있어서,
    계산된 신드롬이 소정치이고, 저장매체가 원본 저장매체인 것을 관리정보가 나타낼 때, 에러가 발생하는 것으로 상기 판단회로부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장치.
  17.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복제에 관한 관리정보와 상기 관리정보에 부가된 에러검출부호와 에러정정부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삽입된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된 저장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에 대해서 복조처리를 실행하는 단계와,
    복조처리가 실행되는 출력신호로부터 부가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에러검출부호와 검출된 부가정보의 에러정정부호 중 하나에 대응하는 에러검출처리를 실행하는 단계와,
    에러검출처리에서 에러가 발생하지 않을 때 관리정보에 대응하는 저장매체로부터 독출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 복조처리가 실행되는 출력신호에 대해서 출력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복조처리가 실행된 출력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관리정보를 재기록하고 상기 기입한 관리정보에 에러검출부호와 에러정정부호 자체를 부가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가 저장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복제를 허가할 때, 복조처리가 실행되는 출력신호를 출력하고 관리정보를 재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관리정보가 저장매체로부터 독출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복제를 금지하도록 재기록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관리정보가 저장매체로부터 독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복제를 금지할 때, 복조 처리가 실행되는 출력신호의 출력이 금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방법.
  22. 제 17항에 있어서,
    에러검출부호와 에러정정부호 중 하나에 대응하여 에러가 발생하는 것이 검출될 때, 동작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방법.
  23.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검출부호와 상기 에러정정부호 중 하나에 대응하여 신드롬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신드롬이 소정치인지 아닌지에 의거해서 에러가 발생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방법.
  24.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검출부호와 상기 에러정정부호 중 하나에 대응하여 신드롬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신드롬이 소정치인지 아닌지에 의거해서 그리고 관리정보에 대응하여 에러가 발생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신드롬이 제로이고 상기 관리정보가 콘텐츠 데이터의 복제를 허 가할 때, 판단단계의 결과는 에러가 발생하고 있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방법.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신드롬이 소정치이고, 관리정보가 콘텐츠 데이터의 복제를 금지할 때, 판단단계의 결과는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방법.
  27.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신드롬이 소정치이고, 관리정보가 콘텐츠 데이터의 복제를 허가할 때, 판단단계의 결과는 에러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방법.
  28.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신드롬이 제로이고 저장매체가 원본 저장매체인 것을 관리정보가 나타낼 때, 판단단계의 결과는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방법.
  29.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신드롬이 소정치이고, 저장매체가 원본 저장매체가 아닌 것을 관리정보가 나타낼 때, 판단단계의 결과는 에러가 발생하고 있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방법.
  30. 제 16항에 있어서,
    계산된 신드롬이 소정치이고, 저장매체가 원본 저장매체인 것을 나타낼 때, 판단단계의 결과는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나타내는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장치.
  31. 데이터출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복제에 관한 관리정보와 상기 관리정보에 부가된 에러검출부호와 에러정정부호 중 하나에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삽입된 콘텐츠 데이터에서 부가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부가정보의 에러정정부호와 에러검출부호 중 하나에 대응하는 에러검출처리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에러검출처리에서 에러가 발생하지 않을 때 관리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출력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출력 제어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가 출력될 때 관리정보를 재기록하고 에러검출부호와 에러정정부호 중 하나를 재기록 관리정보에 그대로 부가함으로써 상기 제어단계가 실 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출력 제어방법.
  33. 제 31항에 있어서,
    에러검출부호와 에러정정부호 중 하나에 대응하여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검출할 때, 동작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출력 제어방법.
  34. 제 31항에 있어서,
    에러검출부호와 에러정정부호 중 하나에 대응하여 신드롬을 계산하고 계산한 신드롬이 소정치인지 아닌지에 의거해서 에러가 발생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출력 제어방법.
  35.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검출부호와 상기 에러정정부호 중 하나에 대응하여 신드롬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신드롬이 소정치인지 아닌지에 의거하고, 관리정보에 대응하여 에러가 발생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출력 제어방법.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신드롬이 제로이고 관리정보가 콘텐츠 데이터의 복제를 허가할 때, 판단단계의 결과는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출력 제어방법.
  37.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신드롬이 제로이고 관리정보가 콘텐츠 데이터의 복제를 금지할 때, 판단단계의 결과는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출력 제어방법.
  38.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신드롬이 소정치이고, 관리정보가 콘텐츠 데이터의 복제를 허가할 때, 판단단계의 결과는 에러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출력 제어방법.
  39.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신드롬이 제로이고 상기 관리정보가 원본 저장매체를 나타낼 때, 판단단계의 결과는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출력 제어방법.
  40.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신드롬이 소정치이고, 관리정보가 원본 저장매체가 아닌 것을 나타낼 때, 판단단계의 결과는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데이터출력 제어방법.
  41.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신드롬이 소정치이고, 상기 관리정보가 원본 저장매체를 나타낼 때, 판단단계의 결과는 에러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출력 제어방법.
  42. 데이터 출력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데이터에 적어도 복제관리에 관한 관리정보와 상기 관리정보에 부가된 에러검출부호와 에러정정부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삽입하여 출력할 때, 관리정보를 재기록하고 상기 재기록된 관리정보에 에러검출부호와 에러정정부호 중 하나를 그대로 부가하고, 그 결과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방법.
  43. 에러검출방법에 있어서,
    에러검출부화와 에러정정부호 중 적어도 하나가 부가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에러검출부호와 에러정정부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재기록된 경우에 신드롬을 미리 구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가 재생될 때 에러검출부호와 에러정정부호 중 하나에 대응하여 신드롬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구한 신드롬과 미리 구한 신드롬에 대응하여 에러가 발생하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검출방법.
  44.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구한 신드롬이 제로인지 아닌지 또는 상기 구한 신드롬이 미리 구한 신드롬과 일치하는지 아닌지에 의거해서 상기 검출단계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검출방법.
  45.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구한 신드롬이 제로이거나 상기 구한 신드롬이 미리 구한 신드롬과 일치할 때, 검출단계의 결과는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검출방법.
  46.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구한 신드롬이 제로이거나 상기 구한 신드롬이 미리 구한 신드롬과 일치하지 않을 때, 상기 검출단계의 결과는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검출방법.
  47.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는 상기 데이터와, 미리 구한 신드롬과 상기 구한 신드롬에 대 응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검출방법.
  48.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일부가 재기록될 때, 상기 검출단계는 상기 데이터의 재기록부분과, 미리 구한 신드롬과 상기 구한 신드롬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검출방법.
  49. 데이터 출력 및 재생방법에 있어서,
    에러검출부호와 에러정정부호 중 하나가 부가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재기록될 때, 상기 에러검출부호와 상기 에러정정부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데이터에 부가하고 그 결과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재기록되는 경우에 신드롬을 미리 구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가 재생될 때, 상기 에러검출부호와 에러정정부호의 일부에 대응하여 신드롬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구한 신드롬 및 미리 구한 신드롬에 대응하여 에러가 발생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 및 재생방법.
  50. 제 49항에 있어서,
    상기 구한 신드롬이 제로인지 아닌지 또는 상기 구한 신드롬이 상기 미리 구한 신드롬과 일치하는지 안하는지에 의거해서 상기 검출단계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출력 및 재생방법.
  51.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구한 신드롬이 제로이거나 상기 구한 신드롬이 상기 미리 구한 신드롬과 일치할 때, 상기 검출단계의 결과는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 및 재생방법.
  52.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구한 신드롬이 제로이거나 상기 구한 신드롬이 상기 미리 구한 신드롬과 일치하지 않을 때, 검출단계의 결과는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 및 재생방법.
  53. 제 4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가 상기 데이터와 상기 미리 구한 신드롬과 상기 구한 신드롬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 및 재생방법.
  54. 제 49항에 있어서,
    데이터의 일부가 재기록될 때, 상기 검출단계는 상기 데이터의 재기록된 일부와, 미리 구한 신드롬과 상기 구한 신드롬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데이터 출력 및 재생방법.
  55. 제 4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의 결과가 에러가 발생되는 것을 나타낼 때, 적어도 데이터가 재출력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 및 재생방법.
  56. 제 4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의 결과가 에러가 발생되지 않는 것을 나타낼 때, 적어도 데이터의 재출력이 허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 및 재생방법.
KR1020027002103A 2000-06-23 2001-06-21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장치와 재생방법, 데이터출력 제어방법, 데이터출력방법, 에러검출방법, 데이터 출력 및 재생방법 KR1008298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88854 2000-06-23
JPJP-P-2000-00188854 2000-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856A KR20020035856A (ko) 2002-05-15
KR100829848B1 true KR100829848B1 (ko) 2008-05-16

Family

ID=18688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103A KR100829848B1 (ko) 2000-06-23 2001-06-21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장치와 재생방법, 데이터출력 제어방법, 데이터출력방법, 에러검출방법, 데이터 출력 및 재생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00171B2 (ko)
JP (1) JP4765241B2 (ko)
KR (1) KR100829848B1 (ko)
CN (1) CN1261941C (ko)
DE (1) DE10192614T1 (ko)
WO (1) WO20010991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191B1 (ko) * 2002-05-31 2005-05-10 박동현 크랙킹 대처기능을 갖는 컨텐츠제작방법 및 그 컨텐츠의크랙킹 대처방법
US9349411B2 (en) * 2002-07-16 2016-05-24 Digimarc Corporation Digital watermarking and fingerprinting applications for copy protection
KR100716972B1 (ko) * 2004-02-19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록/재생 방법
US9459960B2 (en) * 2005-06-03 2016-10-04 Rambus Inc. Controller device for use with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memory chip with error detection and retry modes of operation
US7831882B2 (en) 2005-06-03 2010-11-09 Rambus Inc. Memory system with error detection and retry modes of operation
JP4703310B2 (ja) * 2005-08-04 2011-06-15 株式会社東芝 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7697533B2 (en) * 2006-12-15 2010-04-13 Mediatek Inc.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JP5140888B2 (ja) * 2007-11-05 2013-02-13 Kddi株式会社 デジタルデータ再生装置
US10594491B2 (en) * 2015-12-24 2020-03-17 Intel Corporation Cryptographic system memory management
GB201601793D0 (en) * 2016-02-01 2016-03-16 Nagravision Sa Embedding watermarking data
US11012757B1 (en) 2020-03-03 2021-05-18 The Nielsen Company (Us), Llc Timely addition of human-perceptible audio to mask an audio watermar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0959A (ja) * 1993-04-15 1994-12-22 Victor Co Of Japan Ltd 映像信号伝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1749B2 (ja) * 1979-08-31 1985-11-15 富士通株式会社 エラ−訂正方式
DE3870893D1 (de) * 1987-01-30 1992-06-17 Sony Corp Verfahren und geraet zum kodieren von aufgezeichneten daten mit einem identifikationskode und einem fehlerpruefkode.
US5590306A (en) * 1992-09-08 1996-12-31 Fuji Photo Film Co., Ltd. Memory card management system for writing data with usage and recording codes made significant
JPH0764817A (ja) * 1993-08-30 1995-03-10 Mitsubishi Electric Corp 故障検出システム
JP3758231B2 (ja) * 1995-07-25 2006-03-22 ソニー株式会社 信号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信号再生装置及び方法
JP2000187441A (ja) * 1997-12-08 2000-07-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埋め込み情報符号化方法及び装置及び埋め込み情報符号化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及び抽出情報復号化方法及び装置及び抽出情報復号化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及び電子透かし情報符号化方法及び装置及び電子透かし情報符号化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及び電子透かし情報復号方法及び装置及び電子透かし情報復号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4155681B2 (ja) * 1999-10-25 2008-09-24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透かしデータ埋め込み装置、透かしデータ埋め込み方法、透かしデータ読み出し装置、及び透かしデータ読み出し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0959A (ja) * 1993-04-15 1994-12-22 Victor Co Of Japan Ltd 映像信号伝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00171B2 (en) 2006-02-14
CN1386274A (zh) 2002-12-18
JP4765241B2 (ja) 2011-09-07
WO2001099106A1 (fr) 2001-12-27
KR20020035856A (ko) 2002-05-15
CN1261941C (zh) 2006-06-28
DE10192614T1 (de) 2002-12-05
US20020122369A1 (en) 200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7553B1 (en) Recorder for recording copy of production on the basis of copy attribute embedded as electronic watermark in the production, reproducing device for reproducing recorded copy, recorded medium, recording method, and reproducing method
US7149175B2 (en) Recording medium, recording medium recording method, output control method, 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reproducing control method, recording metho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nd recording and/or reproducing method
KR100898132B1 (ko) 기록매체, 기록방법, 기록장치, 정보신호를 위한 출력제어방법, 기록매체를 위한 재생장치, 신호전송방법과 콘텐츠 데이터
AU774641B2 (en) Contents data, recording medium, recording method and device, reproducing method and device
KR100829848B1 (ko) 저장매체를 위한 재생장치와 재생방법, 데이터출력 제어방법, 데이터출력방법, 에러검출방법, 데이터 출력 및 재생방법
JP2004519808A (ja) デモ用データの記録媒体へ/からの記録及び再生方法と、記録媒体
JP2001023298A (ja) コンテンツの記録媒体及びその再生装置
US7599279B2 (en) High-density optical disc,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encrypted data thereon
EP1430480A1 (en) Data-update apparatus, reproduction apparatus, data-addition apparatus, data-detection apparatus and data-removal apparatus
KR100855088B1 (ko) 기록매체, 기록매체의 기록방법, 기록매체의 기록 및 재생방법과 데이터복제 제어방법
KR100780847B1 (ko) 데이터 기록매체, 콘텐츠 데이터,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방법과 장치, 및 데이터 재생방법과 장치
KR20010110348A (ko) 저작권 보호 방법, 재생 방법, 재생 장치, 기록 방법 및기록 장치
JP3972879B2 (ja) 情報記録処理装置、情報再生処理装置、情報記録媒体、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A005605B1 (ru) Защита содержимого от незаконног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с помощью проверки существования полного набора данных
EP1302946A1 (en) Recording method, recording apparatus, reproduction method and reproduction apparatus
JP2002197810A (ja)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原盤作成装置、光ディスク再生装置、光ディスク原盤作成方法及び光ディスク再生方法
JP2002050120A (ja) 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記録方法及び装置、並びにコンテンツデータ
WO2003088242A1 (en) Method of copy detection and protection using time jumps
JP2005085426A (ja) 情報記録処理装置、情報再生処理装置、情報記録媒体、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