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141B1 - 컨퍼런스 콜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컨퍼런스 콜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141B1
KR100829141B1 KR1020050131746A KR20050131746A KR100829141B1 KR 100829141 B1 KR100829141 B1 KR 100829141B1 KR 1020050131746 A KR1020050131746 A KR 1020050131746A KR 20050131746 A KR20050131746 A KR 20050131746A KR 100829141 B1 KR100829141 B1 KR 100829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conference call
user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1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9514A (ko
Inventor
김혜선
서재용
최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50131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141B1/ko
Publication of KR20070069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9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04L12/1822Conducting the conference, e.g. admission, detection, selection or grouping of participants, correlating users to one or more conference sessions, prioritising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 컨퍼런스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퍼런스 콜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상기 컨퍼런스 콜 시스템에 접속하여 컨퍼런스 콜에 참여할 하나 이상의 제2 통신 단말기에 대한 하나 이상의 식별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컨퍼런스 콜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제1 통신 단말기 및 하나 이상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제2 통신 단말기에 컨퍼런스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퍼런스 콜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컨퍼런스 콜 서비스를 요청함으로써, 종래의 컨퍼런스 콜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컨퍼런스 콜, 통신 단말기, 컴퓨터 단말기, 회의 통화, 멀티 통화

Description

컨퍼런스 콜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CONFERENCE CALL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퍼런스 콜 시스템이 연결된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퍼런스 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단말기의 출력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룹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퍼런스 콜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컨퍼런스 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0: 컨퍼런스 콜 시스템 510: 인증부
520: 컨퍼런스 콜 요청 수신부 530: 그룹 정보 데이터베이스
540: 컨퍼런스 콜 설정부 550: 컴퓨터 단말기
560: 제1 통신 단말기 570: 제2 통신 단말기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 컨퍼런스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퍼런스 콜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상기 컨퍼런스 콜 시스템에 접속하여 컨퍼런스 콜에 참여할 하나 이상의 제2 통신 단말기에 대한 하나 이상의 식별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컨퍼런스 콜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제1 통신 단말기 및 하나 이상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제2 통신 단말기에 컨퍼런스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퍼런스 콜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정보 통신 기술의 눈부신 발달은 통신 단말기(휴대기기)의 대중화를 급속히 촉진시켜 이제 대부분의 일반인들이 핸드폰, PDA 등의 통신 단말기를 항상 소지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손쉽게 연락할 수 있게 되어 종래보다 의사 소통이 빈번해지게 되었고,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통신 단말기는 통신 기술의 발달 및 사용자들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기존의 음성 통화 서비스 및 문자 서비스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욕구에 맞게 보다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대부분의 통신 사업자는 통신 부가 서비스의 일형태로서, 통신 단말기를 통 해 1:1 통화뿐만 아니라 1:N 통화인 컨퍼런스 콜 서비스를 제공한다. 컨퍼런스 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우선 통신 단말기를 통해 제2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와 호 설정을 수행한다. 이 후, 컨퍼런스 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통신 단말기와 추가적인 호 설정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사용자는 통신 단말기에 추가적인 호 설정을 위한 특정 문자 또는 숫자의 조합 코드를 입력하고, 컨퍼런스 콜에 참여할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더 입력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컨퍼런스 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컨퍼런스 콜 서비스에 따른 상기 조합 코드를 사전에 알고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추가적인 호 설정을 위한 각각의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암기하고 있어야 한다. 이렇듯 사용자의 복잡한 동작을 요하는 종래의 컨퍼런스 콜 서비스 방식으로 인해 현재 컨퍼런스 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극히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컨퍼런스 콜 서비스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컨퍼런스 콜 서비스를 요청함으로써, 종래의 컨퍼런스 콜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편리해진 컨퍼런스 콜 서비스를 통해 통신 사업자의 이윤을 증가시켜 통신 사업의 발전을 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시로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사용자 또는 소정의 그룹에 속한 사용자의 전화 번호를 사전에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상기 전화 번호를 통해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컨퍼런스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퍼런스 콜(conference call)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제1 사용자의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접속 요청을 입력 받고, 상기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된 제1 사용자의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2 통신 단말기에 대한 하나 이상의 식별 정보를 입력 받고, 통화 요청을 입력 받는 단계 -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CTN(Customer Telephone Number)을 포함함 -,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통신 단말기로 호 설정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호 설정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호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퍼런스 콜 시스템은 제1 사용자의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접속 요청을 입력 받고, 상기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부, 상기 인증된 제1 사용자의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2 통신 단말기에 대한 하나 이상의 식별 정보를 입력 받고, 통화 요청을 입력 받는 컨퍼런스 콜 요청 수신부 -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CTN(Customer Telephone Number)을 포함함 -,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통신 단말기로 호 설정 요청하고,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호 설정된 경우, 상 기 하나 이상의 제2 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호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컨퍼런스 콜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퍼런스 콜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퍼런스 콜 시스템이 연결된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컴퓨터 단말기(111)를 통해 사내 인트라넷에 연결된 제1 서버(110)에 접속한다. 이에, 제1 서버(110)는 컴퓨터 단말기(111)로부터 소정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컴퓨터 단말기(111)의 인증 동작을 수행한다. 인증 처리된 컴퓨터 단말기(111)는 제1 서버(110)로 컨퍼런스 콜을 요청하기 위한 제2 통신 단말기(113)의 식별 정보를 입력한다. 제2 통신 단말기(113)는 하나 이상의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며, 제1 통신 단말기(112)와 컨퍼런스 콜을 수행하는 모든 통신 단말기를 지칭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제1 통신 단말기(112) 및 제2 통신 단말기(113)는 이동 통신 단말기, PSTN 단말기, VoIP, SIP, Megaco,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또는 위성/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내 인트라넷은 소정의 네트워크를 지칭하며, 이는 그룹웨어 또 는 포털 사이트 등의 네트워크로도 응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는 제2 통신 단말기(113)의 CTN(Customer Telephone Number)을 포함하며, 호 설정을 위한 어떠한 정보도 적용 가능하다.
컴퓨터 단말기(111)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한 제1 서버(110)는 사전에 기록된 제1 통신 단말기(112)의 식별 정보 및 제2 통신 단말기(113)의 식별 정보를 소정의 통신망과 연동하는 제2 서버(120)로 전송하고, 컨퍼런스 콜 요청을 전송한다. 만약 상기 식별 정보가 제1 통신 단말기(112) 및 제2 통신 단말기(113)의 전화 번호 정보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인 경우, 상기 식별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전화 번호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상기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전화 번호 정보는 제3 서버(130)로 전송되고, 제3 서버(130)는 우선 제1 통신 단말기(112)로 호 설정 요청을 수행한다. 제3 서버(130)는 제1 통신 단말기(112)와 호 설정된 경우, 하나 이상의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제2 통신 단말기(113)로 호 설정 요청을 수행하고, 제1 통신 단말기(112)와 컨퍼런스 콜 서비스에 따른 통신 채널을 설정하도록 소정의 통신사 시스템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서버(1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그룹 정보를 그룹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컴퓨터 단말기(111)를 통해 제1 서버(110)에 접속하여, 제2 통신 단말기(113)에 대한 식별 정보를 각각 따로 입력할 필요 없이 상기 그룹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그룹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식별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는 컴퓨터 단말기(111)를 통해 제2 통신 단말기(113)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소정의 텍스트 데이터를 더 입력할 수 있다. 이에, 제3 서버(110)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TTS(Text To Speech)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TTS 모듈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음성 데이터는 제2 통신 단말기(113)의 사용자에게 전송된다. 상기 음성 데이터는 제2 통신 단말기(113)과의 호 설정 과정 중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데이터는 컨퍼런스 콜을 요청하는 제1 통신 단말기(112)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안내 정보로서, 컨퍼런스 콜의 목적 또는 참여자 정보 등의 안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3 서버(130)는 제1 통신 단말기(112) 또는 제2 통신 단말기(113)로 소정의 광고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제3 서버(130)는 소정의 광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광고 데이터를 제공 받아, 제1 통신 단말기(112) 또는 제2 통신 단말기(113)로 호 설정 요청 시 제공한다. 제3 서버(130)는 상기 광고 데이터를 상기 광고 제공 서버로부터 사전에 제공 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거나, 실시간으로 제공 받아 제1 통신 단말기(112) 또는 제2 통신 단말기(113)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서버(110)는 제3 서버(130)로부터 전달된 연결 상태 정보를 갖는 제2 서버(120)로부터 상기 컨퍼런스 콜 서비스에 따라 제1 통신 단말기(112) 및 제2 통신 단말기(113)의 연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 기 연결 상태 정보를 컴퓨터 단말기(111)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컴퓨터 단말기(111)는 상기 연결 상태 정보를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로 출력 수단에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퍼런스 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1 서버(110), 제2 서버(120), 및 제3 서버(130)는 본 발명에 따른 컨퍼런스 콜 시스템에 포함된 필수 구성요소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퍼런스 콜 서비스는 음성 통화뿐 아니라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퍼런스 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201)에서, 컴퓨터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컨퍼런스 콜 시스템으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을 요청한다. 상기 접속 요청은 아이디 및 패스워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퍼런스 콜 시스템은 상기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한다. 이에, 단계(202)에서, 상기 컨퍼런스 콜 시스템은 상기 인증에 따른 확인 응답(ACK) 신호를 컴퓨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확인 응답 신호를 수신한 상기 컴퓨터 단말기는 사전에 유지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컨퍼런스 콜을 수행하기 위한 제2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입력 받으며, 입력 받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상기 컨퍼런스 콜 시스템으로 전송한다(단계(203)).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상기 컨퍼런스 콜 시스템으로 상기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제2 통신 단말기와의 통화를 요청한다(단계(204)).
상기 컨퍼런스 콜 시스템은 단계(204)의 통화 요청에 따라, 제1 통신 단말기로 호 설정 요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퍼런스 콜 시스템은 사전에 상기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수집하여 유지한다. 만약, 상기 컨퍼런스 콜 시스템이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유지하고 있지 아니한 경우, 상기 컨퍼런스 콜 시스템은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단계(204) 이후, 상기 컨퍼런스 콜 시스템은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 호 설정 요청을 전송(단계(205))하고, 상기 호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의 소정의 통신 채널을 설정한다(단계(206)).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설정한 상기 컨퍼런스 콜 시스템은 단계(207)에서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호 설정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의 컨퍼런스 콜 세션이 설정되도록 통신사 시스템을 제어한다(단계(208)).
특정 통신 단말기 간에 컨퍼런스 콜 세션을 설정하는 기술적 사상은 종래 주지된 관용 기술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퍼런스 콜 시스템은 그룹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하나 이상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그룹 정보를 유지한다. 즉, 상기 컨퍼런스 콜 시스템에 웹 접속한 상기 컴퓨터 단말기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와 컨퍼런스 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2 통신 단말기에 대한 각각의 식별 정보를 입력할 필요 없이, 상기 그룹 정보의 입력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식별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사용자는 상기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사전에 상기 컨퍼 런스 콜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그룹 정보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컴퓨터 단말기는 상기 식별 정보 또는 상기 그룹 정보뿐만 아니라, 소정의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컨퍼런스 콜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컨퍼런스 콜 시스템은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TTS(Text To Speech)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TTS 모듈은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단계(205) 또는 단계(207)의 호 설정 요청 과정에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컨퍼런스 콜 시스템은 소정의 광고 서버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에, 상기 컨퍼런스 콜 시스템은 상기 광고 데이터를 단계(205) 또는 단계(207)의 호 설정 요청 과정에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컨퍼런스 콜 시스템은 상기 제1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간의 연결 상태 정보를 유지하고,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요청 시 상기 연결 상태 정보를 상기 컴퓨터 단말기로 제공한다. 이에, 상기 컴퓨터 단말기는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포함하는 출력 수단을 통해 상기 연결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컨퍼런스 콜 시스템은 상기 제1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컨퍼런스 콜 서비스 수행 중에 제3 통신 단말기를 컨퍼런스 콜에 참여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특정 통신 단말기를 상기 컨퍼런스 콜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단말기의 출력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컴퓨터 단말기(300)는 컨퍼런스 콜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화면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화면 정보는 상기 컨퍼러스 콜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거나, 사전에 상기 컨퍼런스 콜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출력될 수 있다.
먼저, 도면 부호(301)은 컨퍼런스 콜의 통화 주관자에 대한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필드이다. 사전에 상기 컨퍼런스 콜 시스템이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통화 주관자에 대한 전화 번호는 자동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컨퍼런스 콜 시스템이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유지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컴퓨터 단말기의 입력 수단을 통해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사용자는 컴퓨터 단말기의 입력 수단을 통해 상기 컨퍼런스 콜에 따른 통화 참여자의 전화 번호를 더 입력한다. 상기 통화 참여자의 전화 번호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이다. 상기 통화 참여자의 전화 번호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되거나,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룹 정보를 선택 받아 입력될 수 있다. 즉, 컨퍼런스 콜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그룹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그룹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그룹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통화 참여자 전화 번호로 설정한다.
통화 주관자 전화 번호 및 통화 참여자 전화 번호를 입력한 사용자는 도면 부호(303)를 통해 통화 요청한다.
또한, 도면 부호(304)를 클릭하는 경우, 컴퓨터 단말기는 통화 예약에 따른 예약 시간 정보를 입력 요청한다. 이에, 상기 사용자는 상기 컨퍼런스 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예약 시간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컨퍼런스 콜 시스템은 상기 예약 시간 정보가 현재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소정의 주기마다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예약 시간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가 대응되는 경우, 상기 컨퍼런스 콜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컨퍼런스 콜 서비스를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룹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다른 그룹 정보 데이터베이스(400)는 그룹 정보 필드, 식별 정보 필드, 및 단말기 사양 정보 필드를 포함한다.
그룹 정보 필드는 하나 이상의 그룹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식별 정보 필드는 상기 그룹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식별 정보를 기록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 사양 정보 필드는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제2 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사양 정보를 기록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룹 #1'에 대응되는 제2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는 '010-3333-4444', '010-5555-6666', 및 '010-7777-8888' 등을 포함하고, 상기 '010-3333-4444'에 대응되는 제2 통신 단말기는 '사양 #1', 상기 '010-5555-6666'에 대응되는 제2 통신 단말기는 '사양 #2', 및 상기 '010-7777-8888'에 대응되는 제2 통신 단말기는 '사양 #3'이다. 상기 단말기 사양 정보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 광고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참조되는 정보로 상기 컨퍼런스 콜 시스템은 상기 단말기 사양 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 데이 터 또는 상기 음성 데이터의 포맷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그룹 정보 및 상기 그룹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는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제2 통신 단말기 각각의 식별 정보를 모두 입력할 필요 없이 그룹 정보의 선택을 통해 상기 각각의 식별 정보를 자동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퍼런스 콜 시스템은 그룹 정보 데이터베이스(400)에 기록된 상기 식별 정보를 통해 문자 메시지의 전송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컴퓨터 단말기로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고, 상기 그룹 정보를 선택한다. 이에, 상기 컨퍼런스 콜 시스템은 소정의 단문자 메시지 센터(SMSC)를 제어하여 상기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퍼런스 콜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퍼런스 콜 시스템(500)은 인증부(510), 컨퍼런스 콜 요청 수신부(520), 그룹 정보 데이터베이스(530), 및 컨퍼런스 콜 설정부(540)를 포함한다.
인증부(510)는 제1 사용자의 컴퓨터 단말기(550)로부터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접속 요청을 입력 받고, 상기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를 인증한다. 상기 접속 요청은 일예로 상기 제1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아이디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퍼런스 콜 시스템(500)은 상기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컨퍼런스 콜 요청 수신부(520)는 상기 인증된 제1 사용자의 컴퓨터 단말기(550)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2 통신 단말기(570)에 대한 하나 이상의 식별 정보를 입력 받고, 통화 요청을 입력 받는다.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그룹 정보의 선택을 통해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컨퍼런스 콜 시스템(500)은 그룹 정보 데이터베이스(530)를 유지한다. 그룹 정보 데이터베이스(53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그룹 정보를 기록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그룹 정보를 선택 입력하는 경우, 컨퍼런스 콜 시스템은 상기 그룹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식별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해 통화 요청을 입력한다. 상기 통화 요청은 컴퓨터 단말기(550)에 출력된 웹 브라우져에서 상기 통화 요청에 대응되는 소정의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입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컨퍼런스 콜 설정부(540)는 제1 통신 단말기(560)로 호 설정 요청하고, 제1 통신 단말기(560)와 호 설정된 경우, 제2 통신 단말기(570)가 제1 통신 단말기(560)와 호 설정되도록 통신사 시스템을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컨퍼런스 콜 설정부(540)는 통신사 시스템과 연동하며, 종래 컨퍼런스 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소정의 게이트웨이 등과 연동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퍼런스 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컴퓨터 장치(60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620)과 롬(ROM: Read Only Memory)(6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6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6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6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램(6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램(620) 및 롬(6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640) 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6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6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 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66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6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6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6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컨퍼런스 콜 서비스를 요청함으로써, 종래의 컨퍼런스 콜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르면, 보다 편리해진 컨퍼런스 콜 서비스를 통해 통신 사업자의 이윤을 증가시켜 통신 사업의 발전을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시로 컨퍼런스 콜에 참여하는 사용자 또는 소정의 그룹에 속한 사용자의 전화 번호를 사전에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상기 전화 번호를 통해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컨퍼런스 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컨퍼런스 콜(conference call)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의 컴퓨터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된 제1 사용자의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제2 사용자의 제2 통신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컨퍼런스 콜을 위한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통신 단말기로 호 설정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의 호 설정에 따라, 상기 입력된 식별 정보의 제2 통신 단말기로 호 설정을 요청하고, 상기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제2 사용자의 확인에 따라, 상기 호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간의 컨퍼런스 콜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퍼런스 콜 시스템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그룹 정보를 기록한 그룹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를 입력 받는 상기 단계는,
    상기 그룹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통신 단말기로 호 설정을 요청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그룹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입력된 그룹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식별 정보의 제2 통신 단말기들로 호 설정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퍼런스 콜 시스템의 동작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연결 상태 정보를 상기 컴퓨터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출력 수단에서 상기 연결 상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퍼런스 콜 시스템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통신 단말기로 호 설정 요청하는 상기 단계는
    광고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퍼런스 콜 시스템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예약 시간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예약 시간 정보와 현재 시간이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입력된 예약 시간 정보와 상기 현재 시간이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간의 컨퍼런스 콜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퍼런스 콜 시스템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 PSTN 단말기, VoIP, SIP, Megaco,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또는 위성/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폰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퍼런스 콜 시스템의 동작 방법.
  8.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9. 컨퍼런스 콜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사용자의 컴퓨터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부;
    상기 인증된 제1 사용자의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제2 사용자의 제2 통신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컨퍼런스 콜을 위한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컨퍼런스 콜 요청 수신부;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통신 단말기로 호 설정 요청하고,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의 호 설정에 따라, 상기 입력된 식별 정보의 제2 통신 단말기로 호 설정을 요청하며, 상기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제2 사용자의 확인에 따라, 상기 호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간의 컨퍼런스 콜 세션을 설정하는 컨퍼런스 콜 설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퍼런스 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그룹 정보를 기록한 그룹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퍼런스 콜 요청 수신부는 상기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상기 그룹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컨퍼런스 콜 설정부는, 상기 그룹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입력된 그룹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식별 정보의 제2 통신 단말기들로 호 설정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퍼런스 콜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컨퍼런스 콜 요청 수신부는 상기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예약 시간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컨퍼런스 콜 설정부는 상기 입력된 예약 시간 정보와 현재 시간이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의 호 설정 요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퍼런스 콜 시스템.
KR1020050131746A 2005-12-28 2005-12-28 컨퍼런스 콜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0829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746A KR100829141B1 (ko) 2005-12-28 2005-12-28 컨퍼런스 콜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746A KR100829141B1 (ko) 2005-12-28 2005-12-28 컨퍼런스 콜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514A KR20070069514A (ko) 2007-07-03
KR100829141B1 true KR100829141B1 (ko) 2008-05-14

Family

ID=38505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1746A KR100829141B1 (ko) 2005-12-28 2005-12-28 컨퍼런스 콜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1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272B1 (ko) * 2007-04-10 2010-10-21 남형용 통화중에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7376A (ko) * 1999-12-22 2001-07-04 이계철 지능망-인터넷 연동 구조에서의 웹을 통한 자동 전화연결방법
KR20010057808A (ko) * 1999-12-23 2001-07-05 서평원 이동 통신망에서 다자간 통화 서비스 방법
KR20020036866A (ko) * 2000-11-11 2002-05-17 박종범 다자간 통화시스템
KR20030047534A (ko) * 2001-12-11 2003-06-18 주식회사 텔레프리 회의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040028857A (ko) * 2004-02-02 2004-04-03 (주)제너시스템즈 그룹 관리 기능을 이용한 다자간 동시 통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7376A (ko) * 1999-12-22 2001-07-04 이계철 지능망-인터넷 연동 구조에서의 웹을 통한 자동 전화연결방법
KR20010057808A (ko) * 1999-12-23 2001-07-05 서평원 이동 통신망에서 다자간 통화 서비스 방법
KR20020036866A (ko) * 2000-11-11 2002-05-17 박종범 다자간 통화시스템
KR20030047534A (ko) * 2001-12-11 2003-06-18 주식회사 텔레프리 회의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040028857A (ko) * 2004-02-02 2004-04-03 (주)제너시스템즈 그룹 관리 기능을 이용한 다자간 동시 통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514A (ko) 200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150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call transcription
US8204479B2 (en) Line number porting for mobile devices
US8179822B2 (en) Push-type telecommunications accompanied by a telephone call
US85715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a communication
KR100861591B1 (ko) 쌍방향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2518309A (ja) メッセージ処理装置及び方法
US20070160192A1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connection apparatus
CN103443852A (zh) 音频交互的消息交换
KR20150043369A (ko) 통신 서버 장치, 발신 단말 및 그들의 동작 방법
JP5652406B2 (ja) 音声入力システムおよび音声入力プログラム
US8805330B1 (en) Audio phone number capture, conversion, and use
JP2005527132A (ja) 別個のマルチチャネルプロトコル上でのマルチモーダルセッションサポート
KR100775052B1 (ko) 모바일 단말기에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US200702173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VoIP connection through network
KR100829141B1 (ko) 컨퍼런스 콜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1112707B1 (ko) 컨퍼런스 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46144B1 (ko)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음성 통신 플랫폼
KR20070031672A (ko) 통신 단말기의 바탕화면 편집 방법 및 바탕화면 편집시스템
KR100700706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자 통화료 부담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시스템
JP2019145972A (ja) 電話制御装置及び電話制御方法
KR20040028857A (ko) 그룹 관리 기능을 이용한 다자간 동시 통화 방법 및 시스템
KR101940252B1 (ko) 녹취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498616B1 (ko) 메시지 공간을 구비한 음성 홈페이지 제공 방법 및 장치
JP4407350B2 (ja) ネットワーク認証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
KR20070067274A (ko)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비밀 번호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 및 보안 관리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