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911B1 -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911B1
KR100828911B1 KR1020010077951A KR20010077951A KR100828911B1 KR 100828911 B1 KR100828911 B1 KR 100828911B1 KR 1020010077951 A KR1020010077951 A KR 1020010077951A KR 20010077951 A KR20010077951 A KR 20010077951A KR 100828911 B1 KR100828911 B1 KR 100828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conate
acne
effect
extrac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7457A (ko
Inventor
강태준
김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10077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911B1/ko
Publication of KR20030047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9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성이 우수하면서 여드름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항염 효과 및 항자극 효과가 뛰어난 마치현 추출물과 항균 작용이 강한 쿠퍼글루코네이트(Copper Gluconate), 또는 징크글루코네이트(Zinc Gluconate), 또는 마그네슘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를 1 종 이상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탁월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 항염, 항자극, 마치현 추출물, 쿠퍼글루코네이트

Description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안전성이 우수하면서도 여드름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항염 효과 및 항자극 효과가 뛰어난 마치현 추출물과 항균 작용이 강한 쿠퍼글루코네이트(Copper Gluconate), 또는 징크글루코네이트(Zinc Gluconate), 또는 마그네슘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를 1 종 이상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탁월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성 피부를 가진 사람들은 대개 피부가 청결하게 유지시켜도 여드름균에 취약하여 감염이 쉽게 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염증을 수반하여 미관상 좋지 않은 피부 상태를 가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항염 효과와 항자극에 효과가 있는 마치현 추출물과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작용이 강하여 극미량을 적용하여도 항균 효과가 우수하고, 여드름성의 민감한 피부에도 안전한 물질인 쿠퍼글루코네이트 (Copper Gluconate), 징크글루코네이트(Zinc Gluconate), 마그네슘글루코네이트 (Magnesium Gluconate)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서로 조합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상기 두성분의 상승 효과로 여드름성 피부를 치료하고 예방하는데 매우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일반적으로 여드름이란 주로 사춘기의 남녀에게 발생하며 면포(comedone), 구진(papule), 농포(pustule), 낭종 또는 결절 형성을 특징으로 하는 모낭피지선의 만성 염증성 질환을 일컫는다. 여드름의 발병 원인은 아직도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지 못하며 다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배제한다면 세가지의 중요한 원인이 여드름 발병에 직접적으로 관여한다는 것이 지금까지의 연구 보고를 통하여 정설로서 인정되고 있다. 첫째는 과잉으로 분비되는 피지가 원인이고, 둘째는 모낭의 과각화로 인한 모공의 폐쇄를 들 수 있다. 세번째는 여드름균(Propionibacterium acnes)의 존재 때문으로 이것은 여드름 병변 악화의 중요한 근본적인 원인으로 설명된다. 피지선내의 여드름균의 증식이 많아짐에 따라 여드름균에 의해 피지를 구성하고 있는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rride)가 자유 지방산(free fatty acid)으로 전환되어서 자극원으로 작용하거나, 면포 유발성(comedogenic) 물질로 작용하여 여드름 생성을 촉진시켜 준다. 또한 더욱 진행되어 염증 반응까지 수반하게 된다.
이러한 여드름을 치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살리실산이나 비타민 A 유도체인 레티노익산 제제를 사용해 모공의 각질 제거를 통하여 피지 분비를 원활하게 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가지게 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며, 또는 벤조일 퍼옥사이드제제를 사용하여 피부 각질 제거와 강력한 항균 작용을 통하여 치료를 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살리실산 제제의 경우 미비한 치료 효과뿐만 아니라 피부 발적, 부종 또는 피부 기피증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레티노익산 제제의 경우 과각화 억제 를 통한 효과는 있으나, 접촉성 피부염, 홍반, 피부건조 및 박리현상 등이 일어날 수 있고 또한 벤조일 퍼옥사이드 제제에서는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을 일으켜 상처를 남기고, 심한 홍반이 생기는 등의 여러 부작용이 보고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여드름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뛰어나고 장시간 사용해도 피부에 안전성이 우수한 화장품을 개발하고자 연구한 결과, 마치현 추출물과 쿠퍼글루코네이트(Copper Gluconate), 징크글루코네이트 (Zinc Gluconate), 마그네슘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동시에 사용했을 때 효과가 상승되고 안전성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사용된 마치현은 포장에서 흔히 자라는 육질의 일년생 잡초로서 털이 없고 높이가 30 센티미터에 달하며 갈적색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비스듬이 옆으로 퍼지며, 뿌리는 백색이지만 손으로 벗기면 원줄기와 같이 적색으로 된다. 잎은 대생 또는 호생하지만 끝부분의 것은 수생한 것 같으며 도량형 원두이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짧은 방엽으로 되며 길이 15~25 밀리미터, 나비 5~15 밀리미터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양성으로 6 월 부터 가을까지 계속 피고 황색이며 가지 끝에 달린다. 꽃받침은 2 개 로서 타원형이고 꽃잎은 5 개이며 오므라든다. 수술은 7~12 개, 암술은 1 개이고 자방은 중립이며 암술대는 5 개이다. 열매는 타원형이고 중앙부가 옆으로 갈라져서 긴 대가 달린 많은 종자가 나온다. 종자는 찌그러진 원형이며 검은 빛이 돌고 가장자리가 약간 도틀도틀하다. 서양에서는 상치 와 더불어 샐러드를 만들며 우리나라에서는 연한 부분을 나물로 하고 전초를 벌레와 뱀의 독소를 해소시키는데 또는 질병 및 이뇨제로 사용한다(대한 식물도감, 이창복, p324, 1993).
먼저 마치현 1 킬로그램을 깨끗이 세척한 후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에탄올 등 통상의 용매로 추출이 가능하며 정제수 2 킬로그램과 용매 1 킬로그램을 첨가하여 추출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유기 금속 화합물인 쿠퍼글루코네이트(Copper Gluconate), 징크글루코네이트(Zinc Gluconate), 마그네슘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는 유아 이유식에서 미량 원소 영양 공급을 위해 사용하는 금속 이온을 유기화시켜 복용시 인체의 안전성을 높이면서 미량 원소를 효과적으로 흡수시키기 위해 개발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금속 이온에 대한 항균력을 실험한 결과 놀랍게도 극미량을 사용하고도 여드름균에는 강력한 항균 작용이 나타남을 발견하였고, 또한 유기 금속 화합물로 경구 및 피부에 발랐을 때에도 안전하지만 워낙 극미량을 사용하여 더 안전함을 알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기능을 주고 부가적으로 항염 및 항자극 효과를 주어 여드름 치료 및 예방 제품의 상품력을 높였다.
마치현에 대한 항염 효과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32674호에서 0.001~30.0 중량%를 함유했을 때 항염, 항자극성에 대하여 효과가 우수하다고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가들은 여드름 피부는 대부분 염증을 가지고 있어 항염 효과 및 항자극 효과가 있는 물질과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있는 원료를 동시에 적용 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임을 알았다.
따라서 여드름 피부에 적당한 항염 및 항자극 물질로 마치현 추출물을 도입하였고 본 발명에서는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강력한 항균제에 대해 연구하던 중 놀랍게도 미량을 적용하고도 강력한 항균 효과를 갖는 글루코네이트 금속염 유도체를 발견하게 되었고, 항염, 항자극, 항균의 3 가지 효과를 동시에 부여할 때 여드름 피부에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참고예 : 마치현 추출물의 제조
마치현을 세척 및 분쇄한 후, 오행초 건조 중량에 대하여 물 및 1,3-부틸렌 글리콜(또는 에탄올)를 2 : 1 부피비로 첨가한 후, 1~2 주 동안 교반하여 마치현 성분을 추출한다. 추출액의 잔사를 여과포로 여과하고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하여 건조 추출물을 얻는다. 상기 추출 온도는 10~50℃,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수행한다. 추출물의 성상은 연한 갈색의 투명한 액체로 특이한 냄새가 있다.
실험예 1 : 항균력 평가 실험
쿠퍼글루코네이트(Copper Gluconate), 징크글루코네이트(Zinc Gluconate), 마그네슘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의 병원성 세균과 특히 여드름균 (Propionibacterium acnes(P. acnes))에 대한 항균력(살균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정균 상태로 냉장 보관중인 화농균(S. aureus), 대장균(E. coil), 녹농균(P. aeruginosa), 칸디다균(C. albicans), 흙곰팡이(A. niger), 여드름균(P. acnes)을 실험 시작 3 일 전에 BHI(Brain Heart Infusion) 고체 배지에 배양한 후, 실험 당 일 쿠퍼글루코네이트(Copper Gluconate), 징크글루코네이트(Zinc Gluconate), 마그네슘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가 일정 농도 포함된 BHI 고체 배지에 미리 배양된 상기의 균을 접종하고 3 일 이상 지난 후 균의 성장 여부를 관찰하여 MIC(최소 저지 농도)를 결정하였다. 결과는 표 1과 같다.
글루코네이트 금속염 유도체(유기 미네랄)의 항균력 MIC 결과(단위: %)
쿠퍼글루코네이트 징크글루코네이트 마그네슘글루코네이트
화농균 0.1~0.5 0.1~0.5 1.0 이상
대장균 0.1~0.5 0.1~0.5 1.0 이상
녹농균 0.1~0.5 1.0 이상 1.0 이상
칸디다균 0.1~0.5 0.1~0.5 0.5~1.0
흙 곰팡이 0.1~0.5 0.1~0.5 0.5~1.0
여드름균 0.001~0.005 0.01~0.1 0.5~1.0
상기의 실험 결과와 같이, 여드름균에 대하여 쿠퍼글루코네이트가 가장 적은양으로도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징크글루코네이트도 미량으로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가장 효과가 떨어지는 마그네슘글루코네이트도 1 중량% 이하에서도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쿠퍼글루코네이트(Copper Gluconate), 징크글루코네이트 (Zinc Gluconate), 마그네슘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가 병원성 세균 뿐만 아니라 특히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이 강력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이 실험한 결과, 여드름 치료 및 예방 제품에 여드름균에 강한 항균 원료 뿐만아니라 항염에 효과 있는 원료를 동시에 작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았다. 그 이유는 여드름성 피부는 대부분 여드름균에 약하여 감염이 쉽게 되어 대부분 염증을 수반하기 때문이다. 항염 효과가 있는 원료를 실험한 결과,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마치현 추출물이고 0.001~30.0 중량%가 효과적이었다. 또한 여 드름균에 항균 작용에 가장 효율적인 적용량은 표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쿠퍼글루코네이트(Copper Gluconate) 0.001~0.005 중량%, 징크글루코네이트(Zinc Gluconate)0.01~0.1 중량%, 마그네슘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 0.5~1.0 중량%로 각각 단독 사용하여도 효과는 우수하게 나타났지만, 항균력 MIC(최소 저지 농도)의 20 배까지 적용하여도 피부에 대한 자극도 거의 없고 효과는 우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20 배 이상의 농도에서는 제품에 적용할 수는 있으나 피부 자극이 우려되고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적용량에 비례적으로 상승하지 않거나 항균력 상승율이 미미하여 처방 효율화 측면에서 경제적이지 못하다. 즉 더 상세하게는 쿠퍼글루코네이트(Copper Gluconate) 0.001~0.005 중량%, 징크글루코네이트(Zinc Gluconate) 0.01~0.1 중량%, 마그네슘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 0.5~1.0 중량%를 각각 적용했을 효과가 우수하고 경제적이며, 최대 쿠퍼글루코네이트 (Copper Gluconate) 1.0 중량%, 징크글루코네이트(Zinc Gluconate) 2.0 중량%, 마그네슘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 20.0 중량%까지 적용할 수 있다. 그 이상의 농도는 제품에 적용할 수 있으나 자극이 우려되고 항균 효과가 비례적으로 계산할 때 상승율이 미미하였다. 또한 여기에 항염효가 있는 마치현 추출물을 0.001~30.0 중량%를 적용하여 여드름성 피부의 치료 및 예방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여드름성 피부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우수한 마치현 추출물과 쿠퍼글루코네이트(Copper Gluconate), 징크글루코네이트(Zinc Gluconate), 마그네슘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실시하였 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만 국한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 및 실시예 1 내지 4 화장료 조성물 함량
구분 원 료 명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3 실시예4
수상 정제수 농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2 중량% 수용액) 방부제 쿠퍼글루코네이트 징크글루코네이트 마그네슘글루코네이트 합 100 3.0 5.0 12.0 적량 - - - 합 100 3.0 5.0 12.0 적량 0.001 - - 합 100 3.0 5.0 12.0 적량 0.001 - - 합 100 3.0 5.0 12.0 적량 0.005 - - 합 100 3.0 5.0 12.0 적량 0.1 - - 합 100 3.0 5.0 12.0 적량 - 0.01 - 합 100 3.0 5.0 12.0 적량 - 0.01 -
유상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린산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 스크알란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트리옥타노인 폴리솔베이트 60 솔비탄스테아레이트 1.5 0.5 1.0 5.0 3.0 3.0 1.0 0.5 1.5 0.5 1.0 5.0 3.0 3.0 1.0 0.5 1.5 0.5 1.0 5.0 3.0 3.0 1.0 0.5 1.5 0.5 1.0 5.0 3.0 3.0 1.0 0.5 1.5 0.5 1.0 5.0 3.0 3.0 1.0 0.5 1.5 0.5 1.0 5.0 3.0 3.0 1.0 0.5 1.5 0.5 1.0 5.0 3.0 3.0 1.0 0.5
중화제 트리에탄올아민 (10 중량% 수용액) 1.2 1.2 1.2 1.2 1.2 1.2 1.2
첨가제 마치현 추출물 향료 - 적량 - 적량 0.5 적량 0.5 적량 0.5 적량 - 적량 0.5 적량
비교예 4 및 실시예 5 내지 9 화장료 조성물 함량
구분 원 료 명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4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수상 정제수 농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2 중량% 수용액) 방부제 쿠퍼글루코네이트 징크글루코네이트 마그네슘글루코네이트 합 100 3.0 5.0 12.0 적량 - 0.1 - 합 100 3.0 5.0 12.0 적량 - 2.0 - 합 100 3.0 5.0 12.0 적량 - - 0.5 합 100 3.0 5.0 12.0 적량 - - 0.5 합 100 3.0 5.0 12.0 적량 - - 1.0 합 100 3.0 5.0 12.0 적량 - - 20.0
유상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린산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 스크알란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트리옥타노인 폴리솔베이트 60 솔비탄스테아레이트 1.5 0.5 1.0 5.0 3.0 3.0 1.0 0.5 1.5 0.5 1.0 5.0 3.0 3.0 1.0 0.5 1.5 0.5 1.0 5.0 3.0 3.0 1.0 0.5 1.5 0.5 1.0 5.0 3.0 3.0 1.0 0.5 1.5 0.5 1.0 5.0 3.0 3.0 1.0 0.5 1.5 0.5 1.0 5.0 3.0 3.0 1.0 0.5
중화제 트리에탄올아민 (10 중량% 수용액) 1.2 1.2 1.2 1.2 1.2 1.2
첨가제 마치현 추출물 향료 0.5 적량 0.5 적량 - 적량 0.5 적량 0.5 적량 0.5 적량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 실시예 1 내지 9의 제조방법은 유상 성분을 표 2와 표3 에 나타낸 중량비로 혼합하고 70도로 가온 교반하여 균일하게 만들어 놓는다. 별도의 믹서에 수상 성분을 표 2와 표 3에 나타난 중량비로 혼합하고 70℃로 가온 교반시키면서 70℃인 유상 성분을 수상에 투입시키고 호모믹서 4000RPM, 4 분간 유화시키면서 중간에 중화제를 넣어 주면서 유화시킨다. 냉각시킨 후 50℃ 부근에서 첨가제를 넣고 다시 호모믹서 4000RPM, 4 분간 유화시킨후 28℃까지 냉각시킨다.
실험예 2 : 피부 1 차 자극성 실험
상기 비교예와 실시예에 대하여 피부 자극성을 알아보기 위해 건강한 성인 남녀 50 명을 대상으로 등 부위에 각 시료의 일정량(0.2g)을 24 시간 첩포한 후, 핀챔버를 제거하고 4 시간 경과한 다음 육안으로 피부 변화를 판독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피부 1 차 자극성 실험결과
시 료 피시험자수 판 정 결 과 자극도
++ + +/- -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4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 - - - - - - - - - - - - 1 1 - - 1 1 1 - 1 1 - 1 1 2 2 1 2 1 2 - 1 1 2 1 0 1 47 47 49 48 48 47 49 49 48 47 49 49 48 0.08 0.08 0.02 0.04 0.06 0.08 0.04 0.02 0.06 0.08 0.02 0.04 0.06
<판정 기준>
-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 없음
+/-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 오름
Figure 112001032584186-pat00001
표 4에 보듯이, 비교예 1과 같이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들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보다 항염, 항자극에 효과가 있는 마치현 추출물의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또한 여드름균에 항균이 있는 글루코네이트 금속염을 1 종 이상 함유할 경우에도 자극도 가 낮게 나타났으며, 글루코네이트 금속염을 고함량 적용하였을 때도 유사한 자극도를 나타냈다. 이로서 마치현 추출물과 쿠퍼글루코네이트(Copper Gluconate), 징크글루코네이트(Zinc Gluconate), 마그네슘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가 피부에 안전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 여드름 완화 효과 평가
상기 비교예와 실시예 1, 실시예 4, 실시예 8의 여드름 완화 효과를 보고자, 여드름을 가지고 있는 20 세에서 30 세 사이의 건강한 성인 남, 여 60 명에 대하여 블라인드 테스트(Blind Test)를 실시하였다. 실험방법은 무작위로 20 명씩 3 개의 군으로 나누고 동일한 용기에다 비교예 1과 비교예 2, 실시예 1을 1 군으로 하고 비교예 1과 비교예 3, 실시예 4를 2 군으로, 비교예 1과 비교예 4, 실시예 8을 3 군으로 하여 1 일 2 회씩 2 개월간 적용하였다. 평가는 2 개월 적용 후 면접을 통한 여드름 증상의 악화 및 완화 여부에 대한 설문 조사와 육안적 조사를 종합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 5와 같다.
여드름 완화 효과 (수치의 단위: 명)
구 분 효과 있음 약간 효과 있음 모르겠다 효과 없음
1 군 비교예 1 0/20 0/20 2/20 18/20
비교예 2 4/20 10/20 4/20 2/20
실시예 1 6/20 11/10 3/10 0/20
2 군 비교예 1 0/20 0/20 3/20 17/20
비교예 3 4/20 8/10 5/10 3/20
실시예 4 6/20 9/10 3/20 2/20
3 군 비교예 1 0/20 0/20 2/20 18/20
비교예 4 4/20 7/10 5/10 4/20
실시예 8 4/10 8/10 4/10 4/20
위의 결과를 보면 1 군에서 여드름 완화 효과를 인정할 수 있는 '효과 있음' 및 '약간 효과 있음'이 쿠퍼글루코네이트 만을 함유하는 비교예 2에서는 70% 이상이, 마치현 추출물과 함께 함유한 실시예 1에서는 85% 이상 효과가 나타나 쿠퍼 글루코네이트 단독 보다는 마치현 추출물과 함께 함유하였을 때 여드름 완화 효과가 매우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또한 2 군의 징크글루코네이트 및 마치현 추출물을 함께 함유한 경우 75%, 3 군의 마그네슘 글루코네이트와 마치현 추출물을 함께 함유한 경우 60%의 효과가 있다고 나타났다. 이는 쿠퍼 글루코네이트가 다른 글루코네이트 유도체 보다 극미량을 사용하고도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여드름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탁월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항염 효과와 항자극에 효과가 있는 마치현 추출물과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작용이 강하여 극미량을 적용하여도 항균 효과가 우수하고, 여드름성 민감한 피부에도 안전한 물질인 쿠퍼글루코네이트(Copper Gluconate), 징크글루코네이트(Zinc Gluconate), 마그네슘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서로 조합 사용함으로써 상기 두성분의 상승 효과로 여드름성 피부를 치료하고 예방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Claims (2)

  1. 마치현 추출물과 쿠퍼(구리)글루코네이트(Copper Gluconate), 징크(아연)글루코네이트 (Zinc Gluconate) 및 마그네슘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마치현 추출물은 0.001~30.0 중량%, 쿠퍼(구리)글루코네이트는 0.001~0.1 중량%, 징크(아연)글루코네이트는 0.01~2.0 중량%, 마그네슘글루코네이트는 0.5~20.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10077951A 2001-12-10 2001-12-10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28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951A KR100828911B1 (ko) 2001-12-10 2001-12-10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951A KR100828911B1 (ko) 2001-12-10 2001-12-10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457A KR20030047457A (ko) 2003-06-18
KR100828911B1 true KR100828911B1 (ko) 2008-05-13

Family

ID=29574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951A KR100828911B1 (ko) 2001-12-10 2001-12-10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9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708B1 (ko) * 2019-05-07 2019-08-02 양숙현 산양삼을 이용한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102169081B1 (ko) * 2019-05-24 2020-10-22 유해현 오레가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모 및 발모 촉진과 탈모방지를 위한 조성물
KR102220568B1 (ko) * 2020-08-14 2021-02-25 주식회사 메디클래식 상수리나무 수액 및 하이포클로로스애씨드를 함유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미백 기능성 조성물
WO2021255472A1 (en) * 2020-06-19 2021-12-23 Marvelbiotics Limited Antimicrobial combina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84086B1 (de) 2003-05-09 2010-11-10 Dr. Scheller Cosmetics AG Zubereitung zur Vorbeugung und Behandlung von Akne enthaltend Zinkgluconat und Kupfergluconat
US20070154572A1 (en) * 2003-12-22 2007-07-05 Sobhi Sauob Compositions derived from portulaca oleracea l. and methods of using same for modulating blood glucose levels
KR100784486B1 (ko) 2007-01-08 2007-12-11 주식회사 에스티씨나라 피부 타이트닝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타이트닝 방법
KR102016002B1 (ko) * 2019-05-02 2019-08-29 주식회사 아이엘바이오 피부 미백, 주름개선 및 두피 건강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8933A (en) * 1982-08-02 1984-01-31 King John R Composition for treating acne, method of manufacturing said composition, and method of treating skin
KR19990070313A (ko) * 1998-02-19 1999-09-15 임충헌 보습력이 우수한 화장용 조성물
KR20010077652A (ko) * 2000-02-07 2001-08-20 정찬복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10096669A (ko) * 2001-06-30 2001-11-08 조임래 미백과 세포 증식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8933A (en) * 1982-08-02 1984-01-31 King John R Composition for treating acne, method of manufacturing said composition, and method of treating skin
KR19990070313A (ko) * 1998-02-19 1999-09-15 임충헌 보습력이 우수한 화장용 조성물
KR20010077652A (ko) * 2000-02-07 2001-08-20 정찬복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10096669A (ko) * 2001-06-30 2001-11-08 조임래 미백과 세포 증식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708B1 (ko) * 2019-05-07 2019-08-02 양숙현 산양삼을 이용한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WO2020226442A1 (ko) * 2019-05-07 2020-11-1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용추 산양삼을 이용한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102169081B1 (ko) * 2019-05-24 2020-10-22 유해현 오레가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모 및 발모 촉진과 탈모방지를 위한 조성물
WO2021255472A1 (en) * 2020-06-19 2021-12-23 Marvelbiotics Limited Antimicrobial combinations
KR102220568B1 (ko) * 2020-08-14 2021-02-25 주식회사 메디클래식 상수리나무 수액 및 하이포클로로스애씨드를 함유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미백 기능성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457A (k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undir et al. Ethnomedicinal uses, phytochemistry and dermatological effects of Hippophae rhamnoides L.: A review
KR101478945B1 (ko) 자생 식물 및 천연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 조성물
KR20070079596A (ko) 피부질환 치료 보조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04487047A (zh) 具有抗微生物性能的环己醇醚的用途
JP2002138045A (ja) 前駆脂肪細胞分化誘導剤
CN104271109A (zh) 具有抗微生物性质的二环己基甲醇衍生物的用途
JP2002241293A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JP2001226249A (ja) 植物水蒸気蒸留水含有化粧料組成物
US20200222358A1 (en) Topical dermatologic acne treatment cream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US4943433A (en) Pharmacological/cosmetic preparation
JP2001213750A (ja) バラ科植物水蒸気蒸留水含有化粧料組成物
JP2001097842A (ja) 天然物由来ニキビ治療剤。
KR100902326B1 (ko)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050048299A (ko) 항균 및 항염 효능을 갖는 염료 및 그 염료가 염색된 화장지
JP7206216B2 (ja) 酒さを処置するためのポンガミア油と4-t-ブチルシクロヘキサノールの組合せを含んでなる化粧用組成物
KR100828911B1 (ko)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357824B1 (ko) 여드름치료및예방에효과가있는천연물함유화장품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5029490A (ja) チロシナーゼ阻害剤、活性酸素抑制剤及び皮膚外用剤
KR102166300B1 (ko) 다기능성 미용비누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다기능성 미용비누의 제조방법
JP2002316937A (ja) 植物抽出物含有抗アレルギー剤
JP2001233725A (ja) ツキミソウ由来ポリフェノール化合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KR101869763B1 (ko) 무좀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070107961A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완화용 조성물
KR101598083B1 (ko) 천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