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660B1 -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용 회전밸런스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용 회전밸런스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660B1
KR100828660B1 KR1020070009500A KR20070009500A KR100828660B1 KR 100828660 B1 KR100828660 B1 KR 100828660B1 KR 1020070009500 A KR1020070009500 A KR 1020070009500A KR 20070009500 A KR20070009500 A KR 20070009500A KR 100828660 B1 KR100828660 B1 KR 100828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shaft
vehicle
steel balls
balance correction
slu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영훈
Original Assignee
효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9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용 회전밸런스 보정장치를 개시한다.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 회전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의 회전 밸런스를 보정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용 회전밸런스 보정장치는: 복수의 강구들과;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 둘레에 고정된 것으로, 내부에 상기 강구들이 삽입되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동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유동공간에 채워진 슬러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용 회전밸런스 보정장치{spin balance correction apparatus for propeller shaft of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용 회전밸런스 보정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용 회전밸런스 보정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차량의 구동을 위한 내부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프로펠러 샤프트 110..강구
120..하우징 130..슬러리
222..유동 홀
본 발명은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용 회전밸런스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에 장착되는 프로펠러 샤프트가 질량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편심을 보정하기 위한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용 회전밸런스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설치되는 프로펠러 샤프트는 엔진과 변속기를 통해 발생되는 동력을 차륜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이다.
이러한 프로펠러 샤프트는 고속의 회전체이기 때문에 회전 밸런스가 맞게 형성되지 않으면, 고속회전시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로펠러 샤프트 둘레의 편심된 질량과 상반된 위치에 작은 시편을 부착하여 프로펠러 샤프트의 질량의 차이를 바로잡아 회전 밸런스가 맞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프로펠러 샤프트의 편심된 질량을 정확히 측정하기도 어렵고, 부착되는 시편의 무게를 정의하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에 프로펠러 샤프트의 회전 밸런스를 정확하게 보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프로펠러 샤프트의 편심된 질량을 정확히 측정하지 않아도 프로펠러 샤프트의 회전 밸런스를 보정할 수 있게 하는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용 회전밸런스 보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용 회전밸런스 보정장치는: 복수의 강구들과;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 둘레에 고정된 것으로, 내부에 상기 강구들이 삽입되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동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유동공간에 채워진 슬러리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 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용 회전밸런스 보정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용 회전밸런스 보정장치(100)는 강구(110)들과, 하우징(120)과, 슬러리(130)를 구비한다.
한편, 프로펠러 샤프트(10)의 편심된 상태가 부각되도록, B의 두께를 A의 두께보다 두껍게 도시하였다.
강구(110)들은 구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강구(110)들은 하우징(120) 내에 채워진 슬러리(130) 내에서 이동할 수 있어야하므로 강구(110)의 비중은 슬러리(130)의 비중보다 크게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20)은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10) 둘레에 고정된 것으로, 내부에 상기 강구(110)들이 삽입되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동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120)은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10)가 회전하면 같이 회전한다. 유동공간의 높이는 강구(110)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강구(110)들의 지름보다 길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슬러리(130)는 유동공간에 채워진다. 슬러리(130)는 고체와 액체의 혼합물 또는 미세한 고체입자가 물속에 현탁된 현탁액이다. 이러한 슬러리(130)에는 강구(110)들이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용 회전밸런스 보정장치(100)의 구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차량의 편심된 프로펠러 샤프트(10)가 정지하는 경우, 강구(110)들은 유동공간 내에서 중력에 의해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이다.
다음으로, 차량의 편심된 프로펠러 샤프트(10)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하우징(120)도 프로펠러 샤프트(10)와 같이 회전하게 되고, 강구(110)들이 서서히 편심된 질량과 상반된 위상 지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슬러리(130)는 물보다 점도가 높다. 따라서 강구(110)들의 속도는 물속에서 이동하는 것보다 슬러리(130) 내에서 이동하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강구(110)들은 슬러리(130)에 의해 그 위치가 제한되게 되고 프로펠러 샤프트(10)의 회전 밸런스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샤프트용 회전밸런스 보정장치(100)는 프로펠러 샤프트의 용접된 영역(A)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된 것이 유리하다. 프로펠러 샤프트의 용접된 영역(A)은 용접되지 않은 영역보다 결합강도가 낮다. 상기 용접되지 않은 영역의 외면에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샤프트용 회전밸런스 보정장치(100)가 형성되어 프로펠러 샤프트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하우징(220)은 다른 실시예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구(210)들이 제한된 영역에 하나씩 분리 수용될 수 있다.
한편, 프로펠러 샤프트(10)의 편심된 상태가 부각되도록, B'의 두께를 A'의 두께보다 두껍게 도시하였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용 회전밸런스 보정장치(200)는 강구(210)들과, 하우징(220)과, 슬러리(230)를 구비한다.
강구(210)들과 슬러리(23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 하기로 한다.
하우징(220)은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10) 둘레에 고정된 것으로, 내부에 상기 강구(210)들이 삽입되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동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220)의 유동공간에는 복수의 격벽(221)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격벽(221)들은 상기 강구(210)들이 하나씩 분리 수용되어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격벽(221)에는 유동 홀(222)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유동 홀(222)은 슬러리(230)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유동 홀(222)의 직경은 강구(210)의 직경보다 작은 값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강구(210)가 유동 홀(222)을 통해 빠져나가지 않으면서 슬러리(230)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용 회전밸런스 보정장치(200)의 구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차량의 편심된 프로펠러 샤프트(10)가 정지하는 경우, 강구(210)들은 유동공간의 제한된 영역 내에 가라앉은 상태이다.
다음으로, 차량의 편심된 프로펠러 샤프트(10)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하우징(220)도 프로펠러 샤프트(10)와 같이 회전하게 되고, 강구(210)들이 서서히 편심된 질량과 상반된 위상 지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강구(210)들은 유동공간의 제한된 영역 내에 위치한 상태이기 때문에 강구(210)들이 편심된 질량과 상반된 위상 지점으로 이동하기 전까지의 시간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보다 약간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용 회전밸런스 보정장치는 복수의 강구들이 프로펠러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프로펠러 샤프트의 편심된 질량과 상반된 위상 지점으로 이동하여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의 회전 밸런스를 보정하여 프로펠러 샤프트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의 편심된 위치를 검사하지 않고, 프로펠러 샤프트에 시편을 부착하지 않아도 프로펠러 샤프트의 회전 밸런스를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10) 회전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의 회전 밸런스를 보정하는 것으로,
    복수의 강구(210)들;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10) 둘레에 고정된 것으로, 내부에 상기 강구(210)들이 삽입되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공간 에는 상기 강구(210)들이 하나씩 분리 수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의 격벽(221)들이 형성된 하우징(220); 및
    상기 유동공간에 채워진 슬러리(23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용 회전밸런스 보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221)에는,
    상기 슬러리(230)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유동 홀(2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용 회전밸런스 보정장치.
KR1020070009500A 2007-01-30 2007-01-30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용 회전밸런스 보정장치 KR100828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500A KR100828660B1 (ko) 2007-01-30 2007-01-30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용 회전밸런스 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500A KR100828660B1 (ko) 2007-01-30 2007-01-30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용 회전밸런스 보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8660B1 true KR100828660B1 (ko) 2008-05-09

Family

ID=39650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500A KR100828660B1 (ko) 2007-01-30 2007-01-30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용 회전밸런스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66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0009A (en) * 1974-10-30 1977-11-29 Chrysler United Kingdom Limited Balancing rotors
US5145025A (en) * 1990-02-07 1992-09-08 Karl Damian Vibration damper at a driveshaft
KR970043049U (ko) * 1995-12-28 1997-07-29 후륜 구동 자동차의 프로펠러 축에 설치되는 밸런스 웨이트
KR19980065311A (ko) * 1997-01-08 1998-10-15 김광호 볼 밸런서
KR19990012030A (ko) 1997-07-26 1999-02-25 양재신 자동차용 프로펠러 샤프트 어셈블리의 균형 조정방법
KR200142825Y1 (ko) * 1994-10-11 1999-06-01 류정열 자동차의 추진축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0009A (en) * 1974-10-30 1977-11-29 Chrysler United Kingdom Limited Balancing rotors
US5145025A (en) * 1990-02-07 1992-09-08 Karl Damian Vibration damper at a driveshaft
KR200142825Y1 (ko) * 1994-10-11 1999-06-01 류정열 자동차의 추진축 구조
KR970043049U (ko) * 1995-12-28 1997-07-29 후륜 구동 자동차의 프로펠러 축에 설치되는 밸런스 웨이트
KR19980065311A (ko) * 1997-01-08 1998-10-15 김광호 볼 밸런서
KR19990012030A (ko) 1997-07-26 1999-02-25 양재신 자동차용 프로펠러 샤프트 어셈블리의 균형 조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102015031558A2 (pt) dispositivo de redução de vibração torcional
SE535246C2 (sv) Konkross samt förfarande för att balansera denna
US20100181402A1 (en) Laboratory Vibration Grinding Mill Having Inclined Grinding Bowls
US8752452B2 (en) Inertial flywheel
JP6532350B2 (ja) ボールバランサーを備える回転駆動系の支持構造
CN108496298A (zh) 驱动装置、激光测量装置及移动平台
US20170043847A1 (en) Gyroscopic roll stabilizing device for marine vessels and method for same
US8276406B2 (en) Hydrodynamic balance ring for centrifugal rotation machines
JPH0377884B2 (ko)
JP2015520825A (ja) ターボ機械のための受動動的慣性ロータバランスシステム
CN213632532U (zh) 一种主轴动平衡检测装置
KR100828660B1 (ko) 차량의 프로펠러 샤프트용 회전밸런스 보정장치
CN1851473A (zh) 角速度测量方法及测量装置
RU2015131011A (ru) Балансир и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с таким балансиром
JP2011085558A (ja) 動釣合い試験機および振動部支持装置
CN209255000U (zh) 一种微量竖放板式离心机
JP4712107B2 (ja) ねじり振動ダンパおよびねじり振動ダンパを有する回転構成要素
KR101422185B1 (ko) 편심치차의 진동 방지 방법 및 질량조절부의 형성방법
US20060015270A1 (en) Dynamic unbalance calculating method and dynamic unbalance testing device
JP2003236409A (ja) 自己バランスを有する回転体と回転装置
JP4128967B2 (ja) 回転円盤の防振装置および方法
JPS62135743A (ja) バランシング方法
JP2021107736A (ja) 多方向ダンパー
JP5592990B1 (ja) 起振機及び杭の施工方法
KR20190123547A (ko) 반 타원형 회전체방식의 모형선 관성시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