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072B1 -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072B1
KR100828072B1 KR1020060125046A KR20060125046A KR100828072B1 KR 100828072 B1 KR100828072 B1 KR 100828072B1 KR 1020060125046 A KR1020060125046 A KR 1020060125046A KR 20060125046 A KR20060125046 A KR 20060125046A KR 100828072 B1 KR100828072 B1 KR 100828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input
shorthand
user
mobile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5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동국
신경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125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Mobile Multimedia Device)에서의 문자 정보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키보드(keyboard)와 같은 외장형 장치나 펜 문자 입력기와 같은 내장형 장치를 사용하였으며 외장형 장치는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의 기본적인 기능인 휴대성을 크게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내장형 장치는 입력 속도 및 정확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성의 한계와 입력 속도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자 정의 속기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대부분의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는 휴대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화면에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화면 키보드나 문자 인식을 이용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일반 키보드 입력보다 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단축된 속기문자를 사용자가 정의하고 일반 문자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입력 인식하도록 하여 입력의 편의성과 신속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 속기문자

Description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METHOD FOR INPUTTING LETTER IN MOBILE MULTIMEDIA DEVICE}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서 문자 입력을 설명하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문자 입력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도 3의 과정 중 사용자 정의 속기문자를 분석하여 인식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도 4의 과정을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의 필압 감지 영역으로 예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사용자 인터페이스 202 : 속기문자 분석 및 인식부
204 : 속기문자/일반문자 DB 206 : 일반문자 추출부
208 : 일반문자 출력부
본 발명은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문자 정보를 입력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자 입력시 식별을 용이하게 하여 정확하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하는데 적합한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 예를 들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네비게이션(Navigation), UMPC(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 등은 최근의 전자기술의 발달과 함께 그 기능은 급속도로 높아지고 가격은 하락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들은 하나의 기능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복합된 기능을 탑재하여 출시되고 있기 때문에 예전의 휴대폰이나 네비게이션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예컨대, PMP내에 네비게이션 기능을 탑재한다든지, 휴대폰에 PMP나 DMB 기능을 탑재한다든지 하는 멀티미디어 기술이 크게 부각되고 있으며, 한 가지 제품에서 메인 기능과 서브 기능의 경계를 구태여 구분한다는 것은 시대에 역행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식으로는, 스타일러스(stylus) 펜과 같은 장치 또는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화면상의 가상 키보드를 눌러 입력하거나 화면상의 문자 인식 영역에 문자를 그려 정보를 인식하는 방식과, 음성 인식을 통해 정보를 인식하는 직접 입력 방식과, 외장형 키보드(keyboard)나 외장형 마우스(mouse)를 이용하여 일반 개인용 컴퓨터에서 입력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을 사용하였다. 또한, 외부 개인용 컴퓨터에서 미리 작성된 문자 정보를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문자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직접 입력 방식 중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는 방식은 입력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으며, 문자 인식이나 음성 인식 방법은 그 정확도와 입력 속도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외장형 입력 장치를 이용한 방식은 입력 속도와 정확도면에서 개인용 컴퓨터와 대등하지만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의 고유 특징인 휴대성을 크게 떨어뜨린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종래의 문자 입력 방법은 속도와 정확성, 그리고 휴대성을 모두 달성할 수 없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식들을 예시한 것이다.
종래의 문자 입력 방식은 도 1a의 문자 인식 방식, 도 1b의 가상 키보드 방식, 도 1c의 음성 인식이나 외장형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 방식들이 있다.
도 1a의 문자 인식 방식은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의 액정 화면의 특정 영역에 사용자가 직접 문자를 쓰면, 이를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의 문자 인식 프로그램이 인식하여 문자화한다. 기술 발전에 따라 문자 인식률은 많이 향상되었으나 다른 문자와 혼돈하여 인식하는 경우와 인식이 불가한 경우가 여전히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좁은 공간이 입력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종이에 쓰는 것과 달리 필기감이 좋지 않기 때문에 입력 속도가 많이 떨어진다. 또한 음성 인식은 아직 기술이 초기 단계로 문자 인식보다 인식률이 떨어지며, 오 인식률이 높아 실용적이지 않다.
도 1b의 가상 키보드를 사용하거나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에 내장된 미니 키보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통상의 키보드와 달리 크기가 무척 작기 때문에 입력 속도가 떨어지며 오타율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밖에 없다.
도 1c의 외장형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경우에는, 개인용 컴퓨터와 비슷한 입력 속도와 오타율을 가진다는 장점은 있으나,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와 함께 키보드를 휴대한다는 것은 휴대성을 많이 떨어뜨리기 때문에 특정 상황에서만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다.
특히, 한글이나 영어와 같은 일반 문자는 사람이 종이에 펜을 이용하여 쓰기 편하고 사람이 눈을 통해 판독하기에 편리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종이에 비해 크기가 작고 필기감이 떨어지는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의 화면에 일반 문자를 입력하는 것은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으며 사람이 일반 문자를 판독하는 능력에 비하여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의 문자 인식 프로그램이 문자를 인식하는 능력은 부족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고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 정의 속기문자 입력 방식을 적용하여 속도와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정의 속기문자를 정의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입력되는 사 용자 정의 속기문자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일반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분석된 속기문자와 상기 일반문자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임의의 사용자 속기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속기문자를 인식한 후 인식된 속기문자에 대응하는 일반문자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의 속기문자 입력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200), 속기문자 분석 및 인식부(202), 속기문자/일반문자 DB(204), 일반문자 추출부(206), 일반문자 출력부(208)를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는, 예를 들면 스타일러스 펜으로서, 사용자 정의 속기문자와 그에 대응하는 일반문자를 입력하는데 사용된다.
속기문자 분석 및 인식부(20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정의 속기문자의 모양, 획순, 쓰는 방향, 위치 등을 감지하여 속기문자/일반문자 DB(204)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속기문자 분석 및 인식부(20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입력되는 임의의 속기문자 정보를 일반문자 추출부(206)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속기문자/일반문자 DB(204)에는 속기문자 분석 및 인식부(202)에서 분석된 속기문자 정보 및 그에 대응하는 일반문자 정보가 저장된다.
일반문자 추출부(20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임의의 속기문자가 입력될 경우에 이를 인식한 속기문자 분석 및 인식부(202)의 제어에 따라 해당 속기문자에 대응하는 일반문자를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문자 출력부(208)는 일반문자 추출부(206)에서 추출된 일반문자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정보로 가공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문자 입력 과정을 첨부한 도 3 및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사용자 정의 속기법은 일반 필기의 속기를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에 적용한 것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정의 속기문자를 정의하는 절차와 정의한 사용자 정의 속기문자를 입력하는 절차로 나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속기문자 분석 및 인식부(20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사용자 정의 속기문자를 정의할 것인지 또는 입력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사용자 정의 속기문자를 정의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단계(S302)로 진행한다.
단계(S302)에서는 사용자 정의 속기문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입력되고, 이후 속기문자 분석 및 인식부(202)는 입력된 속기문자를 분석한다(S304). 속기문자 분석은 입력되는 속기문자의 모양, 획순, 쓰는 방향, 위치 등을 감지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속기문자 분석 과정은 하기 도 4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그리고 단계(S306)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일반문자가 입력되 는지를 판단하고, 일반문자 입력이 완료되면 속기문자 분석 및 인식부(202)는 단계(S308)로 진행하여 상기 분석된 속기문자와 상기 일반문자를 속기문자/일반문자 DB(204)에 저장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속기문자 정의 과정은, 사용자가 사용자 정의 속기문자와 이에 대응하는 일반문자를 입력하면 속기문자 분석 과정을 통해 입력된 속기문자의 모양, 획순, 쓰는 방향, 위치 등을 감지하여 DB에 저장하는 것이다.
한편, 단계(S300)에서의 판단 결과, 사용자 정의 속기문자를 입력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단계(S310)로 진행한다.
단계(S310)에서 속기문자 분석 및 인식부(20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임의의 속기문자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 임의의 속기문자가 입력되면 속기문자 분석 및 인식부(202)는 단계(S312)로 진행하여 입력되는 속기문자를 인식한다. 속기문자 인식은 속기문자의 모양, 획순, 쓰는 방향, 위치 등을 감지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속기문자 분석 과정은 하기 도 4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속기문자 인식 과정이 완료되면, 속기문자 분석 및 인식부(202)는 단계(S314)로 진행하여 인식된 속기문자에 대응하는 일반문자를 속기문자/일반문자 DB(204)에서 추출해 낸다.
이후, 단계(S316)에서는 추출된 일반문자를 일반문자 출력부(208)를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속기문자 입력 과정은, 사용자가 사용자 정의 속기문자를 입력하면, 속기문자 인식 과정을 통해 입력된 속기 문자의 모양, 획순, 쓰는 방향, 위치 등을 감지하여 속기문자에 대응하는 문자를 DB에서 추출하여 문자로 출력하는 것이다.
이중에서 사용자 정의 속기문자 분석 절차와 사용자 정의 속기문자 인식 절차는 내부적으로 동일한 절차로써 도 4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사용자 정의 속기 문자를 분석하여 인식하는 일례이다.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사용자 정의 속기문자를 입력하고 인식하는 것은 사람이 종이에 속기 문자를 쓰거나 써진 속기 문자를 인식하는 것과는 많이 다르다.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의 화면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정의 속기문자 입력판에 입력하는 것은 입력 오류를 발생시킬 확률이 상대적으로 적지만, 사람이 속기문자를 인식하는 것에 비하여 기계나 프로그램이 인식하는 것은 낮은 인식률을 보인다.
또한 일반 문자의 경우 문자가 복잡하고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획순이나 문자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크기가 상이하기 때문에 문자의 모양을 전체적으로 분석하는 복잡한 절차를 수행해야 하며 상당히 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속기 문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문자가 간단하기 때문에 입력 시작 위치, 입력 방향, 문자의 크기 등이 문자를 판별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도 4의 일례는 일반적인 컴퓨터를 이용한 문자 인식의 절차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사용자 정의 속기법을 이용할 때 추가된 문자 판 별법인 시점과 종점의 인식을 이용한 방법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정의 문자를 입력할 때 어떤 위치를 지나갔는지에 따라 문자를 인식하지만 동일한 사용자가 비슷한 시간대에 동일한 문자를 입력하더라도 부분적으로 상이한 구획을 지나갈 수 있다. 따라서 단순한 구획의 압력 판별만으로 문자를 인식하는 것은 문제가 있기 때문에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의 필압 감지 분별력의 한계보다 넓게 문자 입력판을 나누어 사용자의 입력 오류를 최소화 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의 필압 감지 영역이 가로, 세로 각각 100개의 센서를 가지고 있을 때,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가로, 세로 7개의 구획으로 나누어 사용자에게 가이드-라인(guide line)을 제공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정의 속기 문자를 입력할 때 가장 먼저 결정해야 하는 것은 처음 입력 위치이다. 따라서 문자를 인식할 때도 처음 입력 위치를 인식해야 한다(S400). 즉, 구획으로 나누어진 입력판의 어떤 위치에 처음 필압이 감지되었는지 판별하여야 한다. 구획을 x축 위치, y축 위치로 각각 정의할 때 도 5의 좌측 첫 번째 입력판은 (0, 0)이 처음 입력 위치이며, 우측 첫 번째 입력판은 (0, 3)이 처음 입력 위치이므로 서로 다른 문자로 인식한다.
다음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방향을 인식하여 판별한다(S402). 즉, 동일한 문자일지라도 입력하는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문자로 인식한다. 도 5의 좌측 두 번째 입력판은 시점 (0, 0)에서 종점 (3, 6)으로 진행하지만, 우측 두 번째 입력판은 시점 (3, 6)에서 종점 (0, 0)으로 진행하므로 서로 다른 문자이다.
다음으로 문자 크기를 인식한다(S404). 즉, 도 5의 좌측 세 번째 입력판과 우측 세 번째 입력판은 해당 문자의 크기가 상이하므로 서로 다른 문자이다.
다음으로 문자의 받침 등 부가 입력사항을 인식한다(S406), 즉, 도 5의 좌측 네 번째 입력판에 비해 우측 네 번째 입력판은 기본 문자형에 부가적인 표기가 추가 되었으므로 양자간은 서로 다른 문자로 인식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인식이 용이하도록 임의의 일반문자에 대응하는 속기문자를 DB에 정의하고, 사용자에 의해 속기문자 입력시에 해당 속기문자에 대응하는 일반문자를 출력하도록 구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출력에 제약이 따르는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고자 할 때 신속하고 정확한 문자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즉,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의 입력 화면에 직접 일반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비하여 문자의 복잡도가 낮아지고 단어를 하나의 문자로 표시한 단축 문자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입력 속도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외장 입력 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음성 입력과 같은 방법에 비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반 문자에 비하여 입력이 간결하고 이동 단말이 인식하기 용이한 속기 문자를 정의하여 문자를 입력할 경우 그 속도와 정확성에서 탁월한 향상이 기 대된다. 나아가 공공의 장소에서 문자를 입력할 때 입력하고 있는 정보가 노출되어 발생할 수 있는 보안상의 문제점을 일정부분 해결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5)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정의 속기문자를 정의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입력되는 사용자 정의 속기문자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일반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분석된 속기문자와 상기 일반문자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임의의 사용자 속기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속기문자를 인식한 후 인식된 속기문자에 대응하는 일반문자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기문자를 분석하는 단계는,
    입력되는 속기문자의 모양, 획순, 쓰는 방향, 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기문자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의 문자 입력판에 입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최초 입력위치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 방향과 상기 문자 입력판에 입력되는 속기문자의 크기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문자 입력판에 입력되는 속기문자의 부가 입력사항을 인식한 후 최종 출력할 일반문자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스타일러스 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판은, 필압 감지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KR1020060125046A 2006-12-08 2006-12-08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828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046A KR100828072B1 (ko) 2006-12-08 2006-12-08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046A KR100828072B1 (ko) 2006-12-08 2006-12-08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8072B1 true KR100828072B1 (ko) 2008-05-08

Family

ID=39649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5046A KR100828072B1 (ko) 2006-12-08 2006-12-08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0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997A (ko) 2002-12-02 2004-06-07 엄장필 원격 필기 인식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060068206A (ko) 2004-12-16 2006-06-21 김병재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997A (ko) 2002-12-02 2004-06-07 엄장필 원격 필기 인식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060068206A (ko) 2004-12-16 2006-06-21 김병재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95574B2 (en) Gesture recognition on computing device
USRE46139E1 (en) Language input interface on a device
US2010022559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numerals for communication terminal
US20090295737A1 (en) Identification of candidate characters for text input
US9009624B2 (en) Keyboard gestures for character string replacement
CN101208711A (zh) 电子设备中的手写输入识别
US20090225034A1 (en) Japanese-Language Virtual Keyboard
WO2009074278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ombined characters
WO20101092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input
US20190339859A1 (en) Character input device
CN102866826A (zh) 一种字符输入方法及其装置
EP151305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recognition
US20060227100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KR100651396B1 (ko) 문자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00024471A (ko)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 및 장치
CN102375653A (zh) 一种滑动输入方法及装置
KR100904383B1 (ko) 한글문자 입력방법 및 이의 입력장치
KR100828072B1 (ko)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506231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4614505B2 (ja) 画面表示式キー入力装置
KR101074457B1 (ko)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KR20060000393A (ko) 터치스크린을 가진 휴대폰 등의 전자기기의 한글입력장치및 한글입력방법
KR20050043541A (ko) 다섯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손가락용 터치스크린 및문자입력방법
KR100356037B1 (ko)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그방법
KR101384859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