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858B1 - Magnifying mirror - Google Patents

Magnifying mirr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858B1
KR100827858B1 KR1020060038099A KR20060038099A KR100827858B1 KR 100827858 B1 KR100827858 B1 KR 100827858B1 KR 1020060038099 A KR1020060038099 A KR 1020060038099A KR 20060038099 A KR20060038099 A KR 20060038099A KR 100827858 B1 KR100827858 B1 KR 100827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ave mirror
mirror
image
self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0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105658A (en
Inventor
권오승
Original Assignee
권오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승 filed Critical 권오승
Priority to KR1020060038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858B1/en
Publication of KR20070105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6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8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02Magnifying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02Magnifying glasses
    • G02B25/007Magnifying glasses comprising other optical elements than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8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2001/002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comprising magnifying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 진단용 확대경으로서, 상을 확대하는 오목 거울과, 상기 오목 거울의 앞부분에 결합되어 배치되며 상기 오목 거울로 입사하기 전의 상을 1차 확대하여 상기 오목 거울로 입사시키고 상기 오목 거울로부터 2차 확대되어 출사하는 상을 3차 확대하는 확대 렌즈를 포함하는 자가 진단 확대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elf-diagnostic magnifying glass, and the concave mirror for enlarging the image, and is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concave mirror and the first image before the incident to the concave mirror is first magnified and entered into the concave mirror and from the concave mirror 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diagnostic magnifier including an enlarged lens that enlarges the image which is magnified and exited.

본 발명에 따르면, 오목 거울과 확대 렌즈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확대를 최대화할 수 있으며 크기가 작고 가벼워서 휴대가 간편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자신의 얼굴이나 눈, 홍채 등의 특정 부위를 확대하여 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ave mirror and the magnifying lens are combined to maximize the magnification, and the size is small and ligh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arry out the enlargement and view of a specific part of his or her face, eyes or iris.

확대경, 오목 거울, 프레넬 렌즈, 홍채 진단, 세밀 화장 Magnifying glass, concave mirror, Fresnel lens, iris diagnosis, fine makeup

Description

자가 진단용 확대경{MAGNIFYING MIRROR}Self-diagnostic magnifier {MAGNIFYING MIRROR}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확대 가능 거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1 to 2 show an example of an enlargeable mirr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진단용 확대경을 나타내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a self-diagnosis magnifying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진단용 확대경에 있어서 비구면 거울과 구면 거울의 상을 비교한 도면.Figure 4 is a view comparing the image of the aspherical mirror and the spherical mirror in the self-diagnosis magnifying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평면 거울 본체 110: 절취부100: flat mirror body 110: cutout

120: 오목 거울 130: 고정부120: concave mirror 130: fixed part

131: 걸림고리부 132: 걸림턱131: locking hook 132: locking jaw

210: 오목 거울 220: 확대 렌즈210: concave mirror 220: magnifying lens

본 발명은 자가 진단용 확대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오목 거울과 확대 렌즈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확대를 최대화할 수 있으며 크기가 작고 가벼워서 휴대가 간편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자신의 얼굴이나 눈, 홍채 등의 특정 부위를 확대하여 볼 수 있는 자가 진단용 확대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diagnostic magnifier, and more specifically, it is configured by combining a concave mirror and a magnifying lens to maximize the magnification, and is small and ligh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arry his or her face, eyes, or irises. It relates to a self-diagnosis magnifying glass that can be enlarged to see a specific area.

거울은 물체의 원형 그대로를 비추거나 필요에 의해 축소 또는 확대하여 보여주기 위한 도구이다. 예컨대 화장을 하는 경우에는 간편하게 자신이 원하는 부분을 보기 위해서 손거울과 같은 종류의 거울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손거울은 단지 가까이서만 볼 수 있는 것이고 확대해서 볼 수 없으므로 세밀한 화장을 하기에는 어렵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A mirror is a tool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m of an object or reducing or enlarging it as necessary. For example, if you are wearing makeup, you may want to use a mirror like hand mirror to easily see what you want. However, these hand mirrors can only be seen up close and can not be magnifi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wear a minute makeup.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특히 오목 거울과 같은 확대경을 사용하거나 또는 일반적인 거울에 오목 거울을 부분적으로 부착하여 사용자가 세밀한 부분을 확대하여 보길 원하는 경우에는 오목 거울을 통하여 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거울도 사용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particular, a magnifying glass such as a concave mirror is used, or a mirror configured to be viewed through a concave mirror when the user wants to enlarge the detail by partially attaching the concave mirror to a general mirror is also used. .

예컨대 이러한 확대 가능 거울의 구성은 이단식에 의해서 2004년 12월 20일자로 출원되고 2005년 3월 7일자로 등록된 "다용도거울"이라는 명칭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78903호에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the construction of such a expandable mirror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378903 entitled "Multipurpose Mirror" filed on December 20, 2004 and registered on March 7, 2005, by two-stage. .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확대 가능 거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78903호에 개시된 다용도 거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to 2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the expandable mirrors according to the prior art,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ultipurpose mirror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378903.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확대 가능 거울은 일반적인 평면 거울 본체(100)의 일부에 절취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절취부(110)의 가장자리에는 오목 거울(12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130)가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130)상에는 오목거울(120)이 배치되어 평면거울본체(100)와 오목거울(120)이 거울정면에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1 and 2, the expandable mirr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cutout 110 formed in a portion of a general flat mirror body 100, and a concave mirror 120 at an edge of the cutout 110. Fixing unit 130 is disposed to be fixed, the concave mirror 120 is disposed on the fixing unit 13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mirror mirror body 100 and the concave mirror 120 is installed on the mirror surface.

도 2를 참조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평면 거울 본체(100)의 좌측 하단에 형성된 절취부(110)는 평면 거울 본체(100)를 절취하여 형성시킨 중공부로서 오목 거울(120)이 배치되는 공간이다. 또한 절취부(110)상에는 절취부(110)의 가장자리와 동일한 윤곽선을 갖는 고정부(130)가 배치된다. 고정부(130)는 평면 거울 본체(100)의 절취부(110)의 후면 가장 자리에 걸리는 걸림고리부(131)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오목거울(120)이 배치되는 걸림턱(132)이 형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cutout 110 formed at the lower left of the planar mirror main body 100 is a hollow portion formed by cutting the planar mirror main body 100, where the concave mirror 120 is disposed. to be. In addition, on the cutout 110, a fixing part 130 having the same outline as the edge of the cutout 110 is disposed. The fixing part 130 is formed with a hook 131 that is caught on the rear edge of the cutout 110 of the flat mirror body 100, and a hooking jaw 132 having a concave mirror 120 formed therein. It is.

고정부(130)는 평면거울본체(100)상에 고정시 걸림고리부(131)를 절취부(110)로 밀어넣으면 걸림고리부(131)가 휘어지면서 절취부(110)로 강제로 미끄러져 들어가고 절취부(110)를 벗어나는 즉시 탄성적으로 작동되어 걸림고리부(131)가 평면 거울 본체(100)의 후면에 걸쳐지면서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The fixing part 130 is pushed to the cutting part 110 when the locking ring part 131 is pushed into the cutting part 110 when the fixing part 130 is fixed on the flat mirror body 100. As soon as it enters and exits the cutout 110, it is elastically actuated so that the hook 131 is fixed while being spread over the rear surface of the flat mirror body 10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 거울(120)은 중간이 오목하게 패인 형태로서 보이는 부분이 확대되게 나타나므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 면도나 화장시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오목 거울(120)을 이용하면 대략 실물보다 2배 이상 확대되어 보이게 되므로 화장이나 면도 등에 사용시 확대된 모습을 보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2, the concave mirror 120 is shown to be enlarged in a shape in which the middle is concave, so that it may be conveniently used for shaving or makeup requiring careful attention. When the concave mirror 120 is used, it is enlarged to approximately twice as much as the real object, so it is possible to see an enlarged view when used in makeup or shaving.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확대 가능 거울은 확대 정도가 대략 실물의 2배 정도로 제한된다. 따라서 좀 더 확대된 모습을 보려고 하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se prior art expandable mirrors are limited to about twice the magnification of the real thing.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an not be applied when trying to see a more enlarged appearance.

예컨대 사용자가 자신의 홍채를 통한 진단을 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2배 정도 확대된 상을 보더라도 홍채의 상태를 원활하게 파악하는 것이 힘들다.For example, when a user tries to make a diagnosis through his iris,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state of the iris smoothly even if the image is magnified about twice.

홍채학(iridology)에 따르면 홍채 상에 나타난 모든 변화로부터 연관된 조직 의 질병상태를 진단하고 신체의 요구가 무엇인가를 알아내게 된다. 다시 말하면, 홍채는 우리 몸에서 가장 복잡한 섬유막 구조로 되어있고 신경을 통하여 대뇌와 신체 각 부위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신체 내의 각 조직 및 장기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화학적 변화에 따른 정보가 전달되어 홍채의 섬유 조직의 형태를 변화시키게 된다. According to iridology, every change on the iris diagnoses the disease state of the tissue involved and finds out what the body needs. In other words, since the iris is the most complex fibrous membrane structure in our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cerebral and body parts through nerves, the iris's fibrous tissue is transmitted by information on physical and chemical changes occurring in each tissue and organ in the body. Will change the shape of.

따라서 이러한 홍채상의 색상과 구조상의 변화에 대한 분석으로 신체 기관의 건강상태, 신진대사 과정의 최종 산물인 노폐물이나 외부에서 흡입한 독소의 축적 정도와 축적 부위 및 신체의 체질 구별 등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홍채 진단을 이용하여 개인적 건강의 수준이나 치료에 대한 반응, 인체골격, 질병의 회복 및 진행에 관한 상태를 판독하고 진단하는 방법을 홍채 진단이라 한다. Therefore, it is known that the analysis of the color and structural changes in the iris image makes it possible to distinguish the degree of accumulation of the waste products, the end products of the metabolic process, or the accumulation of toxins inhaled from the outside, the accumulation sites, and the constitution of the body. have. The iris diagnosis is a method of reading and diagnosing a condition related to the level of personal health or response to treatment, the human skeleton, and the recovery and progression of the disease.

또한 이러한 홍채 진단을 사용자 스스로 수행하여 자신의 건강 상태를 검사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In addition, the iris diagnosis is performed by the user himself to increase their health status.

그러나 도 1 또는 도 2를 참조로 설명된 종래 기술에 따른 확대용 거울은 확대율이 2배 정도로 제한되기 때문에 특히 시력이 약한 노약자 등이 자신의 홍채를 관찰하는 경우, 즉 홍채의 자가 진단을 위해서는 사용되지 못한다.However, since the magnification mirr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or FIG. 2 is limited to about twice the magnification ratio, especially when the elderly with weak eyes observe their iris, that is, for self-diagnosis of the iris. I can't.

따라서 좀 더 확대된 상태를 보기 위해서는 예컨대 캠코더의 줌 기능을 통하여 확대하여 촬영하고 이를 TV 또는 PC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캠코더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관찰하는 수 밖에 없다.Therefore, in order to view a more enlarged state, for example, the zooming function of the camcorder is enlarged and photographed, and it can only be observed through a display device such as a TV or a PC or a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camcorder.

그러나 이러한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홍채 자가 진단의 과정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use of such a separate device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process of iris self-diagnosis is complicated.

또한 이러한 홍채 진단용이 아니라 사용자가 화장을 하는 경우 자신의 피부의 특정 부위를 확대하여 피부의 상태를 확인하는 경우에도 종래의 확대 가능 거울은 확대율이 제한되기 때문에 정확한 상태 파악이 어렵게 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wears make-up, not the iris diagnosis, even when the user checks the condition of the skin by enlarging a specific part of the skin, the conventional magnification mirror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rmine the exact condition because the magnification is limited.

본 발명의 목적은 오목 거울과 확대 렌즈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확대를 최대화할 수 있으며 크기가 작고 가벼워서 휴대가 간편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자신의 얼굴이나 눈, 홍채 등의 특정 부위를 확대하여 볼 수 있는 자가 진단용 확대경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by combining a concave mirror and a magnifying lens to maximize the magnification and the size is small and light, easy to carry and the user can easily enlarge the specific part of his face, eyes, iris, etc. To provide a diagnostic magnifying glass.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가 진단용 확대경으로서, 상을 확대하는 오목 거울과, 상기 오목 거울의 앞부분에 결합되어 배치되며 상기 오목 거울로 입사하기 전의 상을 1차 확대하여 상기 오목 거울로 입사시키고 상기 오목 거울로부터 2차 확대되어 출사하는 상을 3차 확대하는 확대 렌즈를 포함하는 자가 진단 확대경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lf-diagnostic magnifying glass, the concave mirror to enlarge the image, the concave mirror is arranged to be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concave mirror and the first image before the incident to the concave mirror It provides a self-diagnostic magnifier comprising a magnifying lens that is incident to the second and the third magnification of the image which is second magnified from the concave mirror.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진단 확대경에 있어서, 상기 오목 거울은 비구면 거울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elf-diagnosis magnifying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ave mirror is preferably an aspheric mirr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진단 확대경에 있어서, 상기 확대 렌즈는 프레넬 렌즈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elf-diagnosis magnifying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ifying lens is preferably a Fresnel lens.

이하, 본 발명의 자가 진단용 확대경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elf-diagnosis magnifying glas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진단용 확대경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3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self-diagnosis magnifying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진단용 확대경은 오목 거울(210)과 확대 렌즈(22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self-diagnostic magnifying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cave mirror 210 and a magnifying lens 220.

확대 렌즈(220)는 도시되듯이 오목 거울(210)의 앞부분에 배치되며, 예컨대 접착 등을 통하여 고정적으로 장착된다.The magnifying lens 22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concave mirror 210 as shown, and is fixedly mounted through, for example, adhesion.

도 3에서 확대를 원하는 부분, 예컨대 홍채(A) 부분에 대응하는 상은 확대 렌즈(220)로 우선 입사한다. 확대 렌즈(220)에서는 홍채(A)로부터 입사하는 상을 1차 확대하여 오목 거울(210)로 입사시킨다. In FIG. 3, an image corresponding to a portion to be enlarged, for example, an iris A portion, first enters the magnifying lens 220. In the magnification lens 220, an image incident from the iris A is first magnified to enter the concave mirror 210.

오목 거울(210)에서는 확대 렌즈(220)로부터 입사한 상을 2차 확대하여 확대 렌즈(220)로 출사한다.In the concave mirror 210, the image incident from the magnifying lens 220 is second enlarged and emitted to the magnifying lens 220.

확대 렌즈(220)는 오목 거울(220)로부터 2차 확대되어 출사되는 상을 다시 3차 확대하여 사용자의 홍채(A)로 출사한다. The magnification lens 220 magnifies the image emitted from the concave mirror 220 secondarily and again three times, and exits the image to the iris A of the user.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진단용 확대경은 확대 렌즈(220)를 통하여 1차 및 3차 상 확대가 수행되고 오목 거울(210)을 통하여 2차 확대가 수행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오목 거울이나 볼록 렌즈 만을 이용하여 상을 확대하는 것보다 확대경의 구성이 간단해지며 확대경의 부피 및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lf-diagnosis magnifying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primary and tertiary image magnification are performed through the magnification lens 220 and secondary magnific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concave mirror 210. Therefore, the magnification of the magnifying glass is simpler than that of magnifying the image using only a conventional concave mirror or a convex lens, and the volume and size of the magnifying glass can be reduced.

도 3을 통하여 사용자가 자가 진단을 위해서 홍채 부분을 확대하는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홍채 부분이 아니라 다른 피부의 특정 부분을 확대하는 실시예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다만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진단용 확대경을 통하여 보는 각도나 확대경까지의 거리 등에 따라서 상의 왜곡 또는 초점의 불확실 등의 문제점이 있으나 이러한 문제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진단용 확대경을 원하는 상이 확대되어 보일 때까지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서 해결이 가능하다. Although an embodiment in which the user enlarges the iris portion for self-diagnosis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with reference to FIG. However, there is a problem such as distortion of the image or uncertainty of focus depending on an angle or distance to the magnifier through the self-diagnosis magn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such a problem may be seen when the user wants the self-diagnosis magn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enlarg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r angle until the solution is possibl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진단용 확대경에 있어서 오목 거울(210)은 비구면 거울인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the self-diagnostic magnifying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ave mirror 210 is preferably an aspheric mirro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진단용 확대경에 있어서 비구면 거울과 구면 거울의 상을 비교한 도면이다.4 is a view comparing the image of the aspherical mirror and the spherical mirror in the self-diagnosis magnifying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a)는 구면 거울을 사용한 경우의 상의 왜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A is a diagram showing image distortion when a spherical mirror is used.

도 4의 (a)를 참조하면, 실선은 원래의 상을 나타내며 점선은 구면 거울에 의해 왜곡되는 상을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4A, the solid line represents the original image and the dotted line represents the image distorted by the spherical mirror.

이러한 구면 거울을 사용한 상의 왜곡을 완화하기 위하여 도 4의 (b)에 도시되듯이 비구면 거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lleviate the distortion of the image using such a spherical mirror, it is preferable to use an aspherical mirror as shown in FIG.

즉 도 4의 (b)를 참조하면, 실선은 원래의 상을 나타내며 점선은 구면 거울에 의해 왜곡되는 상을 나타낸다. 이 경우 도 4의 (a)에 비해서 상의 왜곡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 4B, the solid line represents the original image and the dotted line represents the image distorted by the spherical mirror. In this case, it can be seen that the distortion of the image is reduced as compared with FI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진단용 확대경에 있어서 확대 렌즈(220)는 프레넬(Fresnel) 렌즈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elf-diagnostic magnifying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ifying lens 220 is preferably a Fresnel lens.

프레넬 렌즈는 볼록 렌즈에 비해서 그 부피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좀더 소형화되고 경량화된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진단용 확대경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Fresnel lenses can be reduced in volume compared to convex lenses, thereby making the manufacture of the self-diagnostic magnifying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re compact and lightweight.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진단용 확대경은 예컨대 사용자의 손바닥에 올려놓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가 바람직하며, 또한 충격에 강한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Such a self-diagnosis magnifying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sized to be placed on the palm of the user, for example, it is also preferable to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lastic resistant to impact.

비록 본 발명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를 통하여 정하여진다.Alth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t is on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오목 거울과 확대 렌즈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확대를 최대화할 수 있으며 크기가 작고 가벼워서 휴대가 간편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자신의 얼굴이나 눈, 홍채 등의 특정 부위를 확대하여 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by combining a concave mirror and a magnifying lens to maximize the magnification and is small in size and light, easy to carr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enlarge a specific part of his face, eyes, iris, etc. can see.

Claims (3)

자가 진단용 확대경으로서,As a self-diagnosis magnifying glass, 상을 확대하는 오목 거울과,A concave mirror that enlarges the image, 상기 오목 거울의 앞부분에 결합되어 배치되며 상기 오목 거울로 입사하기 전의 상을 1차 확대하여 상기 오목 거울로 입사시키고 상기 오목 거울로부터 2차 확대되어 출사하는 상을 3차 확대하는 확대 렌즈A magnification lens disposed to be coupled to the front part of the concave mirror to first magnify an image before entering the concave mirror to enter the concave mirror, and to magnify an image that is secondly enlarged and exited from the concave mirror three times; 를 포함하는 자가 진단 확대경.Self-diagnostic magnifying glass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오목 거울은 비구면 거울인 것인 자가 진단 확대경.And said concave mirror is an aspheric mirr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확대 렌즈는 프레넬 렌즈인 것인 자가 진단 확대경.And said magnifying lens is a Fresnel lens.
KR1020060038099A 2006-04-27 2006-04-27 Magnifying mirror KR1008278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099A KR100827858B1 (en) 2006-04-27 2006-04-27 Magnifying mirr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099A KR100827858B1 (en) 2006-04-27 2006-04-27 Magnifying mirr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658A KR20070105658A (en) 2007-10-31
KR100827858B1 true KR100827858B1 (en) 2008-05-07

Family

ID=38819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099A KR100827858B1 (en) 2006-04-27 2006-04-27 Magnifying mirr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785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7901U (en) * 1993-05-28 1994-12-22 弘誠 本名 Fresnel concave mirror
JP2001021707A (en) * 1999-07-12 2001-01-26 Toppan Printing Co Ltd Reflection plat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20017125A (en) * 2000-08-29 2002-03-07 방갑순 Mirror for mirror stand and method thereof
JP2004321565A (en) 2003-04-25 2004-11-18 Komy Co Ltd Toilet mirr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7901U (en) * 1993-05-28 1994-12-22 弘誠 本名 Fresnel concave mirror
JP2001021707A (en) * 1999-07-12 2001-01-26 Toppan Printing Co Ltd Reflection plat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20017125A (en) * 2000-08-29 2002-03-07 방갑순 Mirror for mirror stand and method thereof
JP2004321565A (en) 2003-04-25 2004-11-18 Komy Co Ltd Toilet mirr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658A (en) 200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50245B2 (en) Compact eye-tracked head-mounted display
US8686923B2 (en) Interactive data view and command system
EP2929413B1 (en) Eye tracking wearable devices and methods for use
Hammoud Passive eye monitoring: Algorithms, applications and experiments
CN204542052U (en) For the handset type constructional device of fundus imaging
US20160180596A1 (en) Headset vision system for portable devices
JPH0651901A (en) Communication equipment for glance recognition
JP2016177658A (en) Virtual input device, input method, and program
CN106814455A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CN106371212A (en) VR/MR optical system of dual-element convex-concave lens and VR/MR device
WO2016086438A1 (en) Head-mounted multimedia terminal auxiliary viewing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KR100827858B1 (en) Magnifying mirror
EP398738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one or more parameters of a user&#39;s eye
CN104238120A (en) Smart glasses and control method
JP2005286927A (en) Transparent indicating device mounted on the head
KR20110111830A (en) Glasses type mouse system
CN205750126U (en) Virtual reality helmet
Guestrin Remote, non-contact gaze estimation with minimal subject cooperation
JP3047412U (en) Visual aid with pinhole
Ma et al. Design, simulation and experimental analysis of an anti-stray-light illumination system of fundus camera
JP3187514U (en) Field expansion optical system and field expansion glasses using the same
JP2007178742A (en) Method and device for evaluating spectacle lens
JP2011077747A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Primo Clinical considerations for visual rehabilitation
WO2003015621A3 (en) Hand held tonometer with improved view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