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610B1 - 내시경 촬영을 통한 모니터링을 이용하여 구조물 크랙 또는조인트, 배면 공극을 진단, 보수, 보강하기 위한 시공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내시경 촬영을 통한 모니터링을 이용하여 구조물 크랙 또는조인트, 배면 공극을 진단, 보수, 보강하기 위한 시공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610B1
KR100827610B1 KR1020070089727A KR20070089727A KR100827610B1 KR 100827610 B1 KR100827610 B1 KR 100827610B1 KR 1020070089727 A KR1020070089727 A KR 1020070089727A KR 20070089727 A KR20070089727 A KR 20070089727A KR 100827610 B1 KR100827610 B1 KR 100827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ck
unit
chemical liquid
cracks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창열
Original Assignee
와이앤케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앤케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이앤케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9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33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amage, crack or we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1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using penetration of dyes, e.g. fluorescent 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5Constructional details for picking-up images in sites, inaccessible due to their dimensions or hazardous conditions, e.g. endoscopes or borescop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 촬영을 통한 모니터링을 이용하여 구조물 크랙 또는 조인트, 배면 공극을 진단, 보수, 보강하기 위한 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조물 크랙에 약액을 주입하기 위한 그라우팅 장치에 있어서, 구조물 크랙에 내시경을 삽입시켜 크랙 내부의 경로를 따라 연속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신호값을 표시하는 촬영 디스플레이부; 촬영된 상기 크랙의 경로를 통해 크랙의 체적을 추출하는 크랙 진단부; 진단된 크랙의 체적량을 통해 약액 주입량을 계산하여 약액 주입기를 통해 셋팅된 약액을 주입하는 약액 주입부;를 포함한다.
내시경, 모니터링 시스템, 그라우팅

Description

내시경 촬영을 통한 모니터링을 이용하여 구조물 크랙 또는 조인트, 배면 공극을 진단, 보수, 보강하기 위한 시공 시스템 및 그 방법{A GROUTING SYSTEM AND THE METHOD USING ENDOSCOPY}
본 발명은 구조물 크랙에 약액을 주입하기 위한 그라우팅 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시경을 통해 크랙의 체적량을 측정하여 약액을 주입하도록 하고 동시에 크랙의 정보 또는 주입되는 약액의 정보를 기록 저장할 수 잇도록 하는 내시경 촬영을 통한 모니터링을 이용하여 구조물 크랙에 약액을 주입하기 위한 그라우팅 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 크랙에 약액을 주입하기 위한 장치는, 통상 구조물 크랙에 고정되는 주입구와, 이 주입구와 직접 연결 또는 호스를 통해 연결되는 약액 주입기와, 이 약액 주입기에 제공되어 약액을 주입구로 전달하는 펌핑기로 구성되어 펌핑기의 펌핑 동작에 따라 약액통의 약액이 주입구를 통해 크랙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그 내부를 약액으로 충전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약액 주입장치를 통한 약액의 주입 작업시 크랙의 체적량을 판단하지 못해 주입되는 약액량을 통해 크랙의 체적량을 가늠하였다.
이와같이 크랙에 주입되는 약액의 주입량만을 통해 작업자 또는 감독자가 약액 사용을 판단하게 되는데 이는 사실상 작업자만이 알 수 있어 해당 크랙에 어느 정도의 약액이 주입되었는지는 정확하게 확인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물에 형성되는 크랙의 내부 체적량 및 특성을 미리 판단하여 이에 해당되는 약액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다시말해, 내시경을 통해 크랙의 내부 구조를 확인한 후 이에 해당되는 약액을 선정하여 주입하도록 하는 것으로 크랙의 체적량에 대한 약액의 주입량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표시 및 크랙과 약액의 정보를 데이터화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조물 크랙에 약액을 주입하기 위한 그라우팅 장치에 있어서, 구조물 크랙에 내시경을 삽입시켜 크랙 내부의 경로를 따라 연속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신호값을 표시하는 촬영 디스플레이부; 촬영된 상기 크랙의 경로를 통해 크랙의 체적을 추출하는 크랙 진단부; 진단된 크랙의 체적량을 통해 약액 주입량을 계산하여 약액 주입기를 통해 셋팅된 약액을 주입하는 약액 주입부;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촬영부는, 상기 내시경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크랙에 천공기를 통해 강제로 형성되는 내시경 삽입홈을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시스템을 통해 구조물 크랙에 약액을 주입하고자 하는 경우 구조물 크랙 또는 크랙 부위에 형성되는 크랙 삽입홈에 내시경을 삽입시켜 크랙 내부를 연속 촬영하는 내시경 촬영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내시경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신호값을 촬영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수행하며, 연속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표시된 크랙의 크기를 육안으로 판단 또는 촬영된 상기 크랙의 경로를 통해 크랙들의 체적을 추출하여 크랙의 체적량을 판단하는 크랙 진단단계를 수행한다. 그런다음 상기 크랙 진단단계에서 진단된 크랙의 체적량을 통해 약액 주입량을 계산하여 약액 주입기를 통해 셋팅된 약액을 주입하는 약액 주입단계를 수행하여 시공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촬영을 통한 모니터링을 이용하여 구조물 크랙에 약액을 주입하기 위한 그라우팅 시공 시스템은, 내시경을 통해 크랙의 내부 구조를 확인한 후 이에 해당되는 약액을 선정하여 주입하도록 하는 것이어서 크랙의 체적량에 대한 약액의 주입량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이를 표시 및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말해, 내시경을 통한 식별력으로 구조물의 크랙, 구조물의 배면 공극, 구조물과 구조물의 조인트 구간 등을 진단, 보수, 보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 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의 도시에 의하여 구조물 크랙에 약액을 주입하기 위한 그라우팅 장치에 있어서, 구조물 크랙(10)에 내시경(100)을 삽입시켜 크랙(10) 내부를 연속 촬영하는 촬영부(200)와, 상기 촬영부(200)에 의해 촬영된 신호값을 표시하는 촬영 디스플레이부(300)와, 촬영된 상기 크랙(10)의 경로를 통해 크랙(10)의 체적을 추출하는 크랙 진단부(400)와, 진단된 크랙(10)의 체적량을 통해 약액 주입량을 계산하여 약액 주입기를 통해 셋팅된 약액을 주입하는 약액 주입부(50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크랙(10)은 구조물(20)의 양생과정시 또는 구조물(2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형성되는 공극을 말한다.
상기 내시경(100)은,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로서, 공지 병원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을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도록 개량한 것이다.
상기 촬영부(200)는, 상기 내시경(100) 및 상기 내시경(100)의 촬영을 제어부(600)로 출력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내시경(100)이 구조물 크랙(10)에 형성된 크랙(10) 경로를 이동하며 촬영하도록 유도하고 또한, 크랙(10) 내부를 이동시 고배율로 촬영함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내시경(100)은 다른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크랙(10) 부위에 드릴 등을 통해 강제적으로 형성된 내시경 삽입홈(12)을 통해 촬영이 가능하다.
상기 촬영 디스플레이부(300)는, 모니터를 말하는 것이며, 상기 내시경(100) 이 촬영한 신호값을 상기 모니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크랙 경로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크랙 진단부(400)는, 상기 내시경(100)을 통해 촬영된 정보를 통해 크랙(10)의 크기를 진단하는 것이며, 진단은 육안에 의한 진단 또는 상기 내시경이 촬영한 데이타를 통해 추출된 정보로 가능하다.
상기 약액 주입부(500)는, 크랙(10)의 입구에 패커 및 이와 연결된 펌핑장치 등을 통해 약액을 주입하는 공지의 약액 주입기를 말하며, 상기에서 판단된 약액을 크랙(10)에 주입하게 된다.
여기서, 약액 주입시 천공된 내시경 삽입홈(12)의 천공상태, 구조물의 배면 상태, 구조물의 균열상태, 지반의 공극 크기, 다짐 상태, 지반의 밀도 등을 판단하여 진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당 크랙(10)의 촬영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700)를 더 제공함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부(700)는, 저장된 해당 크랙의 정보 및 해당 크랙에 삽입되는 약액 주입량을 함께 저장하여 추후 동일한 크랙에의 약액 주입시 약액 주입량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구조물의 구조물의 구조및 상태를 분석하는 분석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800)에서 분석된 자료는 추후 크랙(10)의 약액 주입후 변화 또는 다른 크랙(10)에의 약액 주입시 참고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분석된 재질을 통한 크랙(10)의 체적량과 실제 약액 주입부(500)를 통 한 약액의 주입량을 비교하는 비교부(820)와, 이를 기록하는 기록부(840), 및 기록된 자료를 출력하는 출력부(8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내시경 촬영을 통한 모니터링을 이용하여 구조물 크랙에 약액을 주입하기 위한 그라우팅 시공 시스템을 크랙에 적용시켜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에 의하여 먼저, 구조물(20)에 형성된 크랙(10)에 내시경(100)을 삽입시켜 크랙(10) 내부를 연속 촬영하는 내시경 촬영단계(S1)를 수행하고, 상기 내시경 촬영단계(S1)에서 촬영된 신호값을 촬영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단계(S2)를 수행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S2)에서 표시된 크랙(10)의 크기를 육안으로 판단 또는 촬영된 상기 크랙의 경로를 통해 크랙의 체적을 추출하여 크랙의 체적량을 판단하는 크랙 진단단계(S3)를 수행한다. 그런다음 상기 크랙 진단단계(S3)에서 진단된 크랙의 체적량을 통해 약액 주입량을 계산 또는 판단하여 약액 주입기를 통해 셋팅된 약액을 주입하는 약액 주입단계(S4)를 수행하여 시공하면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내시경 투입이 가능한 구조물의 크랙에 한정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구조물에 형성되는 크랙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배면에 형성되는 공극 및 구조물과 구조물 사이의 조인트 등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되는 구조물에 다양하게 적용되어 구조물의 진단, 보수 보강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촬영을 통한 모니터링을 이용하여 구조물 크랙 또는 조인트, 배면 공극을 진단, 보수, 보강하기 위한 시공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다른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촬영을 통한 모니터링을 이용하여 구조물 크랙 또는 조인트, 배면 공극을 진단, 보수, 보강하기 위한 시공 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내시경 200: 촬영부
300: 촬영 디스플레이부 400: 크랙 진단부
500: 약액 주입부 600: 제어부
700: 저장부

Claims (6)

  1. 구조물 크랙에 약액을 주입하기 위한 그라우팅 장치에 있어서,
    구조물 크랙에 천공기를 통해 내시경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내시경 삽입홈을 통해 구조물 크랙 내부의 경로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신호값을 표시하는 촬영 디스플레이부;
    촬영된 상기 크랙의 경로를 통해 크랙의 체적을 추출하는 크랙 진단부;
    진단된 크랙의 체적량을 통해 약액 주입량을 계산하여 약액 주입기를 통해 셋팅된 약액을 주입하는 약액 주입부;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촬영을 통한 모니터링을 이용하여 구조물 크랙 또는 조인트, 배면 공극을 진단, 보수, 보강하기 위한 시공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구조 및 상태를 분석하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부를 통한 자료 또는 해당 크랙의 촬영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촬영을 통한 모니터링을 이용하여 구조물 크랙 또는 조인트, 배면 공극을 진단, 보수, 보강하기 위한 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분석된 구조물의 구조및 상태를 통한 크랙의 체적량과 실제 약액 주입부를 통한 약액의 주입량을 비교하는 비교부와, 이를 기록하는 기록부, 및 기록된 자료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촬영을 통한 모니터링을 이용하여 구조물 크랙 또는 조인트, 배면 공극을 진단, 보수, 보강하기 위한 시공 시스템.
  5. 구조물 크랙에 약액을 주입하기 위한 그라우팅 방법에 있어서,
    구조물 크랙 또는 크랙 부위에 형성되는 크랙 삽입홈에 내시경을 삽입시켜 크랙 내부를 연속 촬영하는 내시경 촬영단계;
    상기 내시경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신호값을 촬영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표시된 크랙의 크기를 육안으로 판단 또는 촬영된 상기 크랙의 경로를 통해 크랙들의 체적을 추출하여 크랙의 체적량을 판단, 그리고 크랙 또는 크랙 삽입홈의 천공상태, 구조물의 배면 상태, 구조물의 균열상태, 지반의 공극 크기, 다짐 상태, 지반의 밀도를 분석하고 이를 기록 및 저장하는 크랙 진단단계;
    상기 크랙 진단단계에서 진단된 크랙의 체적량을 통해 약액 주입량을 계산하여 약액 주입기를 통해 셋팅된 약액을 주입하는 약액 주입단계;
    를 수행하여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촬영을 통한 모니터링을 이용하여 구조물 크랙 또는 조인트, 배면 공극을 진단, 보수, 보강하기 위한 시공 방법.
  6. 삭제
KR1020070089727A 2007-09-05 2007-09-05 내시경 촬영을 통한 모니터링을 이용하여 구조물 크랙 또는조인트, 배면 공극을 진단, 보수, 보강하기 위한 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27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727A KR100827610B1 (ko) 2007-09-05 2007-09-05 내시경 촬영을 통한 모니터링을 이용하여 구조물 크랙 또는조인트, 배면 공극을 진단, 보수, 보강하기 위한 시공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727A KR100827610B1 (ko) 2007-09-05 2007-09-05 내시경 촬영을 통한 모니터링을 이용하여 구조물 크랙 또는조인트, 배면 공극을 진단, 보수, 보강하기 위한 시공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7610B1 true KR100827610B1 (ko) 2008-05-23

Family

ID=39664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727A KR100827610B1 (ko) 2007-09-05 2007-09-05 내시경 촬영을 통한 모니터링을 이용하여 구조물 크랙 또는조인트, 배면 공극을 진단, 보수, 보강하기 위한 시공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761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50318B (zh) * 2009-09-10 2011-06-22 三峡大学 电杆地下基础埋深段内表面裂纹缺陷无损检测装置和方法
KR101256926B1 (ko) * 2011-01-14 2013-04-19 (주)백경지앤씨 지반 내시경 시스템
KR101862857B1 (ko) * 2017-01-03 2018-06-05 (주)삼원산업 건축용 플라스틱 판넬 보수 장치
CN108152297A (zh) * 2018-01-31 2018-06-12 昆山市建设工程质量检测中心 内窥注水法检测钢筋半灌浆套筒灌浆饱满度的装置及方法
CN108277926A (zh) * 2018-01-31 2018-07-13 昆山市建设工程质量检测中心 带检测孔的浆锚连接件及灌浆饱满度检测方法和补浆方法
CN108331260A (zh) * 2018-01-31 2018-07-27 昆山市建设工程质量检测中心 带检测孔的半灌浆套筒及灌浆饱满度检测方法和补浆方法
KR102160639B1 (ko) * 2019-06-26 2020-09-28 삼성물산(주) 열화상을 활용한 철판 피복 콘크리트 합성부재의 공극 탐지방법과 이를 적용한 철판 피복 콘크리트 합성부재의 시공 관리방법
CN115075563A (zh) * 2022-06-01 2022-09-20 昆山市建设工程质量检测中心 基于沿出浆孔道可视化监测的套筒补浆防回涌控制方法
KR102537663B1 (ko) * 2021-12-31 2023-05-30 조영수 에폭시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134Y1 (ko) * 2000-08-28 2001-05-15 주식회사우대기술단 지중관체 보수장비
KR20030083359A (ko) * 2002-04-22 2003-10-30 (주)엠오아이 영상처리장치를 이용한 구조물의 균열 자동 인식 방법 및그 분석장치
KR100583587B1 (ko) * 2005-10-11 2006-05-26 와이앤케이텍 주식회사 압력 측정센서를 이용한 구조물 크랙에의 약액 주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134Y1 (ko) * 2000-08-28 2001-05-15 주식회사우대기술단 지중관체 보수장비
KR20030083359A (ko) * 2002-04-22 2003-10-30 (주)엠오아이 영상처리장치를 이용한 구조물의 균열 자동 인식 방법 및그 분석장치
KR100583587B1 (ko) * 2005-10-11 2006-05-26 와이앤케이텍 주식회사 압력 측정센서를 이용한 구조물 크랙에의 약액 주입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50318B (zh) * 2009-09-10 2011-06-22 三峡大学 电杆地下基础埋深段内表面裂纹缺陷无损检测装置和方法
KR101256926B1 (ko) * 2011-01-14 2013-04-19 (주)백경지앤씨 지반 내시경 시스템
KR101862857B1 (ko) * 2017-01-03 2018-06-05 (주)삼원산업 건축용 플라스틱 판넬 보수 장치
CN108152297A (zh) * 2018-01-31 2018-06-12 昆山市建设工程质量检测中心 内窥注水法检测钢筋半灌浆套筒灌浆饱满度的装置及方法
CN108277926A (zh) * 2018-01-31 2018-07-13 昆山市建设工程质量检测中心 带检测孔的浆锚连接件及灌浆饱满度检测方法和补浆方法
CN108331260A (zh) * 2018-01-31 2018-07-27 昆山市建设工程质量检测中心 带检测孔的半灌浆套筒及灌浆饱满度检测方法和补浆方法
KR102160639B1 (ko) * 2019-06-26 2020-09-28 삼성물산(주) 열화상을 활용한 철판 피복 콘크리트 합성부재의 공극 탐지방법과 이를 적용한 철판 피복 콘크리트 합성부재의 시공 관리방법
WO2020262878A1 (ko) * 2019-06-26 2020-12-30 삼성물산 주식회사 열화상을 활용한 철판 피복 콘크리트 합성부재의 공극 탐지방법과 이를 적용한 철판 피복 콘크리트 합성부재의 시공 관리방법
KR102537663B1 (ko) * 2021-12-31 2023-05-30 조영수 에폭시 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 방법
CN115075563A (zh) * 2022-06-01 2022-09-20 昆山市建设工程质量检测中心 基于沿出浆孔道可视化监测的套筒补浆防回涌控制方法
CN115075563B (zh) * 2022-06-01 2023-09-26 昆山市建设工程质量检测中心 基于沿出浆孔道可视化监测的套筒补浆防回涌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610B1 (ko) 내시경 촬영을 통한 모니터링을 이용하여 구조물 크랙 또는조인트, 배면 공극을 진단, 보수, 보강하기 위한 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56926B1 (ko) 지반 내시경 시스템
DE602004010863T2 (de) Leckdetektor unter Verwendung von Pulssignalen
CN108761049B (zh) 预成孔检测钢筋连接套筒灌浆饱满度的装置和方法
CN108398331A (zh) 一种岩石多元信息采集系统及试验方法
CN106644836A (zh) 一种可视化劈裂注浆模型试验装置及其试验方法
US8638897B2 (en) Underwater remote surface insp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ctor constituting member
CN108956371A (zh) 灌浆料密实度的检测装置、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445074A (zh) 混凝土裂缝修复效果的检验装置和方法
CN115541821B (zh) 海底二氧化碳封存、监测和预警一体化模拟装置和方法
KR102520901B1 (ko) 인공지능기반 스마트 그라우팅 시스템을 이용한 터널 강관다단 그라우팅 시공방법
CN114279947B (zh) 用于盾构隧道管片性能退化机理研究的实验装置和方法
JP6098009B2 (ja) 既設pc構造物のシース内グラウト未充填空洞へのグラウト再充填方法
KR101876420B1 (ko) Psc 교량의 보수용 그라우트 충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83587B1 (ko) 압력 측정센서를 이용한 구조물 크랙에의 약액 주입장치
KR102014460B1 (ko) 관로 배면의 함몰량 진단겸 채움재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배면 함몰량 진단겸 채움재 주입공법
GB2478664A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wear of a force-loaded linkage of an earthwork device
CN110499929A (zh) 一种钢筋植筋的施工辅助设备及施工工艺
JP2014111898A (ja) 充填材を注入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2005133397A (ja) Pc構造物のケーブルシース内へのグラウト注入装置及びグラウト注入工法
JP2019015126A (ja) 改良地盤の強度の推定方法
JPH08277637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深層補強工法
KR101292885B1 (ko) 이중패커장치
JP6475029B2 (ja) 構造物点検支援システム
JP3849440B2 (ja) トンネル裏込め注入材の充填確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