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482B1 - 반도체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482B1
KR100827482B1 KR1020060080404A KR20060080404A KR100827482B1 KR 100827482 B1 KR100827482 B1 KR 100827482B1 KR 1020060080404 A KR1020060080404 A KR 1020060080404A KR 20060080404 A KR20060080404 A KR 20060080404A KR 100827482 B1 KR100827482 B1 KR 100827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data
line width
mask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8382A (ko
Inventor
박세진
Original Assignee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0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482B1/ko
Publication of KR20080018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38Masks having auxiliary features, e.g. special coatings or marks for alignment or testing; Preparation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36Masks having proximity correction features; Preparation thereof, e.g.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OPC] design proces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83Information management; Active and passive control; Testing; Wafer monitoring, e.g. pattern monitoring
    • G03F7/70491Information management, e.g. software; Active and passive control, e.g. details of controlling exposure processes or exposure tool monitoring processes
    • G03F7/70508Data handling in all parts of the microlithographic apparatus, e.g. handling pattern data for addressable masks or data transfer to or from different components within the exposure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Preparing Plates And Mask In Photomechanical Proc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노광공정을 위하여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정해진 선폭의 패턴을 테스트용 마스크에 형성시키는 테스트패턴형성단계와, 테스트용 마스크에 형성된 패턴중에서 정해진 선폭이 동일한 패턴들을 실제로 측정하여 포깅 이펙트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단계와, 포깅 이펙트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설정된 데이터에서 정해진 선폭이 동일한 패턴들의 데이터를 수정하여 포깅 이펙트를 줄이는 데이터수정단계와, 수정된 데이터에 따라 새로운 마스크에 패턴을 형성시키는 실제패턴형성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에 사용되는 마스크의 패턴이 주변 패턴의 밀도에 영향을 받는 포깅 이펙트(fogging effect)를 보상함으로써 마스크의 패턴이 주어진 데이터에 가까운 선폭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반도체 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포깅 이펙트, 마스크, 패턴, 선폭, 노광공정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A MASK FOR PRODUCING A SEMICONDUCTOR DEVICE}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제조시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제조방법에서 정해진 선폭이 동일한 패턴에 대한 포깅 이펙트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제조방법에서 수정된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테스트용 마스크 31,32,33 : 패턴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에 사용되는 마스크의 패턴이 주변 패턴의 밀도에 영향을 받는 포깅 이펙트(fogging effect)를 보상함으로써 마스크의 패턴이 주어진 데이터에 가까운 선폭을 가지도록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공정중에서 노광 공정은 패턴이 형성될 하부 박막 상부에 감광막을 도포한 뒤, 마스크를 통해 감광막을 노광 현상하여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고, 형성된 감광막 패턴을 레지스트로 하부 박막을 식각함으로써 원하는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이 때, 마스크는 감광막을 노광하기 위한 빛을 투과 및 차단하여 형성시키고자 하는 패턴에 따라 선택적으로 감광막이 노광되도록 함으로써, 감광막에 상(像)이 형성되도록 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용 마스크를 제조하는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적으로 편평한 쿼츠 또는 유리 등과 같은 투명한 기판(G)의 상부에 크롬, 산화철 또는 실리콘 박막 등의 광차단막(1)을 스퍼터 또는 화학 기상 증착 등의 방법에 의하여 형성시킨 다음, 그 상부에 감광막, 일예로 포토레지스트(photo resist)를 도포한다.
광차단막(1) 상부에 감광막을 도포한 다음, 마스크의 패턴 크기에 따라 설정 된 데이터에 의해 이온 빔을 감광막상에 조사하여 상(象)을 형성하고, 현상하여 감광막 패턴(2)을 형성한 다음 감광막 패턴(2)을 레지스터로 광차단막(1)을 화학적인 방법이나 스퍼터에 의해 식각하여 감광막 패턴(2)의 하부에만 광차단막(1)이 남도록 하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막 패턴(2)을 제거함으로써 원하는 패턴의 반도체 소자 제조용 마스크(10)를 완성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제조시 이온 빔을 사용하여 마스크 라이팅 프로세스(mask writing process)를 진행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온빔 조사장치(20)로부터 조사되는 이온들이 백 스캐터링(back scattering), 즉 마스크(10)상의 감광막 노광 후 반사되어 산란 등에 의해 흩어져서 다시 이온빔 조사장치(20)에 충돌되고, 이로 인해 산란된 이온들이 다시 마스크(10)상의 감광막을 노광시키게 된다.
이러한 백 스캐터링은 마스크(10)상에서 노광해야 할 면적이 많을수록 그 양도 많아지고, 이로 인해 마스크(10)의 패턴 밀도(pattern density)에 따라 마스크(10)상의 선폭(Critical Dimension; CD)이 다르게 구현되는 포깅 이펙트(fogging effect) 현상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동일한 선폭의 패턴들을 노광하더라도 면적이 큰 클리어 패턴(clear pattern)에 가까울수록 포깅 이펙트에 의해 선폭이 크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반도체 소자의 제조에 사용되는 마스크(10)에서 동일한 선폭을 가지는 패턴들이 주위 패턴의 밀도에 따라 변하게 됨으로써 주어진 데이터와 다른 크기의 선폭을 가지며, 이로 인해 반도체 소자의 성능이나 수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 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에 사용되는 마스크의 패턴이 주변 패턴의 밀도에 영향을 받는 포깅 이펙트(fogging effect)를 보상함으로써 마스크의 패턴이 주어진 데이터에 가까운 선폭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반도체 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반도체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노광공정을 위하여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정해진 선폭의 패턴을 테스트용 마스크에 형성시키는 테스트패턴형성단계와, 테스트용 마스크에 형성된 패턴중에서 정해진 선폭이 동일한 패턴들을 실제로 측정하여 포깅 이펙트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단계와, 포깅 이펙트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설정된 데이터에서 정해진 선폭이 동일한 패턴들의 데이터를 수정하여 포깅 이펙트를 줄이는 데이터수정단계와, 수정된 데이터에 따라 새로운 마스크에 패턴을 형성시키는 실제패턴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 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제조방법에서 정해진 선폭이 동일한 패턴들에 대한 포깅 이펙트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제조방법은 테스트용 마스크(30)에 정해진 선폭의 패턴(31,32,33)을 형성시키는 테스트패턴형성단계(S10)와, 정해진 선폭이 동일한 패턴(31,32)들을 실제로 측정하여 포깅 이펙트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단계(S20)와, 포깅 이펙트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정해진 선폭이 동일한 패턴(31,32)들의 데이터를 수정하는 데이터수정단계(S30)와, 수정된 데이터에 따라 새로운 마스크에 패턴을 형성시키는 실제패턴형성단계(S40)를 포함한다.
테스트패턴형성단계(S10)는 테스트용 마스크(30)에 노광공정을 위하여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정해진 패턴(31,32,33)을 형성시킨다. 이를 위해 광학적으로 편평한 쿼츠(quartz) 또는 유리(glass) 등과 같은 투명한 기판의 상부에 크롬, 산화철 또는 실리콘 박막 등의 광차단막을 스퍼터 또는 화학 기상 증착 등의 방법에 의하여 형성시킨 다음 그 상부에 감광막, 일예로 포토레지스트(photo resist)를 도포하고, 마스크 패턴의 크기에 따라 설정된 데이터에 의해 이온 빔을 감광막상에 조사하여 상(象)을 형성하며, 이를 현상하여 감광막 패턴을 형성한 다음 감광막 패턴을 레지스터로 하여 광차단막을 화학적인 방법이나 스퍼터에 의해 식각함으로써 감광막 패턴의 하부에만 광차단막이 남도록 하고, 감광막 패턴을 제거함으로써 테스트용 마스크(30)에 원하는 패턴(31,32,33)을 형성시킨다.
데이터추출단계(S20)는 테스트용 마스크(30)상에 형성된 패턴(31,32,33)중에 서 노광공정을 위해서 미리 정해진 선폭이 동일한 패턴(31,32)들을 실제로 측정하여 도 4에서의 그래프와 같은 포깅 이펙트 데이터를 추출한다.
여기서, 포깅 이펙트 데이터는 설정된 데이터에 의해 미리 정해진 선폭이 동일한 패턴(31,32)들 각각을 실제로 측정하여 그 값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정해진 선폭이 동일한 패턴(31,32)이 주변의 패턴(33) 밀도에 영향을 받게 됨으로써 실제 선폭과는 차이가 있음을 나타낸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깅 이펙트 데이터에 의해 동일한 폭의 패턴(31,32)을 노광하더라도 면적이 큰 클리어 패턴(clear pattern)(33)에 가까울수록 포깅 이펙트(fogging effect)에 의해 선폭이 크게 형성되어 클리어 패턴(33)에 가까운 패턴(31)의 선폭이 클리어 패턴(33)에 멀리 있는 패턴(32)의 선폭보다 실제로 크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데이터수정단계(S30)는 포깅 이펙트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설정된 데이터에서 정해진 선폭이 동일한 패턴(31,32)들의 데이터를 수정하여 포깅 이펙트를 줄이도록 한다.
데이터수정단계(S30)는 정해진 선폭이 동일한 패턴(31,32)들이 주변 패턴(33)의 밀도에 의한 포깅 이펙트를 줄이기 위하여 포깅 이펙트 데이터에서 실제 선폭이 노광공정을 위해서 미리 정해진 선폭보다 큰 패턴(31)은 정해진 선폭을 감소시키며, 실제 선폭이 정해진 선폭보다 작은 패턴(32)은 정해진 선폭을 증가시키게 된다.
데이터수정단계(S30)에서 정해진 선폭의 감소 및 증가는 포깅 이펙트 데이터에서의 증가량 및 감소량에 각각 일치시킴이 바람직하다. 즉, 데이터수정단계(S30) 는 실제 선폭이 노광공정을 위해 미리 정해진 선폭보다 큰 패턴(31)은 포깅 이펙트 데이터에서 해당하는 패턴에서의 증대된 양만큼 감소시키며, 실제 선폭이 정해진 선폭보다 작은 패턴(32)은 포깅 이펙트 데이터에서 해당하는 패턴에서의 감소된 양만큼 증가시키게 되며, 이러한 정해진 선폭의 감소 및 증가를 통한 데이터의 수정값은 도 4의 포킹 이펙트 데이터에서 정해진 선폭, 예컨대 0.735㎛에 해당하는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하로 반전시킴으로써 도 5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포킹 이펙트를 피드백(feed back)시킨 데이터와 동일하다.
실제패턴형성단계(S40)는 수정된 데이터에 따라 새로운 마스크에 패턴을 형성시키는데, 새로운 마스크에 패턴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테스트패턴형성단계(S10)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겠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반도체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제조방법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에 사용되는 마스크의 패턴(31,32)이 주변 패턴(33)의 밀도에 영향을 받게 됨으로써 면적이 넓은 클리어 패턴(33)에 가까운 패턴(31)의 선폭이 면적이 넓은 클리어 패턴(33)보다 멀리 있는 패턴(32)의 선폭보다 작게 되는 포깅 이펙트(fogging effect)를 보상, 즉 포깅 이펙트 데이터에서 실제 선폭이 정해진 선폭보다 큰 패턴(31)은 정해진 선폭을 감소시키며, 실제 선폭이 정해진 선폭보다 작은 패턴(32)은 정해진 선폭을 증가시킴으로써 마스크의 패턴(31,32)이 주어진 데이터에 가까운 선폭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반도체 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제조방법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에 사용되는 마스크의 패턴이 주변 패턴의 밀도에 영향을 받는 포깅 이펙트(fogging effect)를 보상함으로써 마스크의 패턴이 주어진 데이터에 가까운 선폭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반도체 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반도체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노광공정을 위하여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정해진 선폭의 패턴을 테스트용 마스크에 형성시키는 테스트패턴형성단계와,
    상기 테스트용 마스크에 형성된 패턴중에서 정해진 선폭이 동일한 패턴들을 실제로 측정하여 포깅 이펙트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단계와,
    상기 포깅 이펙트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설정된 데이터에서 정해진 선폭이 동일한 패턴들의 데이터를 수정하여 포깅 이펙트를 줄이는 데이터수정단계와,
    상기 수정된 데이터에 따라 새로운 마스크에 패턴을 형성시키는 실제패턴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수정단계는,
    상기 포깅 이펙트 데이터에서 실제 선폭이 정해진 선폭보다 큰 패턴은 상기 포깅 이펙트 데이터에서 증대된 양만큼 정해진 선폭을 감소시키며, 실제 선폭이 정해진 선폭보다 작은 패턴은 상기 포깅 이펙트 데이터에서 감소된 양만큼 정해진 선폭을 증가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060080404A 2006-08-24 2006-08-24 반도체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제조방법 KR100827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404A KR100827482B1 (ko) 2006-08-24 2006-08-24 반도체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404A KR100827482B1 (ko) 2006-08-24 2006-08-24 반도체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382A KR20080018382A (ko) 2008-02-28
KR100827482B1 true KR100827482B1 (ko) 2008-05-06

Family

ID=39385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404A KR100827482B1 (ko) 2006-08-24 2006-08-24 반도체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74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0943A (ko) * 2003-12-31 2005-07-07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의 테스트 마스크 패턴, 그 형성 방법 및 이를이용한 마스크 에러 증강 요소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0943A (ko) * 2003-12-31 2005-07-07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의 테스트 마스크 패턴, 그 형성 방법 및 이를이용한 마스크 에러 증강 요소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382A (ko) 200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3653B2 (ja) 露光用マスク、電子装置の製造方法、及び露光用マスクの検査方法
US6599665B1 (en) Method of making a semiconductor wafer imaging mask having uniform pattern features
KR101373886B1 (ko) 이미징 장치, 상기 이미징 장치를 형성하는 방법, 및 반도체 장치 구조물을 형성하는 방법
US20050048377A1 (en) Mask for improving lithography performance by using multi-transmittance photomask
US7838179B2 (en) Method for fabricating photo mask
US6566017B1 (en) Semiconductor wafer imaging mask having uniform pattern feature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827482B1 (ko) 반도체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제조방법
KR20080077870A (ko) 반도체 소자의 포토마스크 형성방법
KR20090108268A (ko) 바이너리 마스크의 패턴 선폭 보정방법
JP2002148809A (ja) レジスト基板の製造方法及びレジスト基板
KR20100010696A (ko) 포토마스크 검사용 정렬 패턴을 구비하는 포토마스크 및 그제조방법
US6759328B2 (en) Masks and method for contact hole exposure
JP7256689B2 (ja) レジストパターンの製造方法及びレジスト膜
KR100881518B1 (ko) 반도체 소자의 opc 모델링 방법 및 그 구조
JP2009075531A (ja) アライナ用露光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45216B1 (ko) 사진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KR101057184B1 (ko) 포토마스크의 제조방법
KR100882730B1 (ko) 마스크 제조 방법
KR100800782B1 (ko) 마스크 제조방법
KR100781443B1 (ko) 반도체 소자 제조용 마스크의 제조방법
KR100850858B1 (ko) 반도체용 마스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방법
KR20110010441A (ko) 이중 노광 방법을 이용한 광 근접효과 제거방법
KR20090068003A (ko) 포토마스크의 제조 방법
KR20060053065A (ko) 광 조사를 통한 보정을 사용하여 미세 패턴들을 형성하는방법들
KR20080089757A (ko) 포토마스크의 핀홀 제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