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149B1 - 휴대단말기에서 호의 수신을 알리는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에서 호의 수신을 알리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149B1
KR100827149B1 KR1020060120656A KR20060120656A KR100827149B1 KR 100827149 B1 KR100827149 B1 KR 100827149B1 KR 1020060120656 A KR1020060120656 A KR 1020060120656A KR 20060120656 A KR20060120656 A KR 20060120656A KR 100827149 B1 KR100827149 B1 KR 100827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ringtone
output
portable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0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0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호의 수신을 알리는 방법에 있어서, 호가 수신되면 상기 호의 수신을 알리는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호의 수신을 알리는 모드가 벨소리 모드이면 상기 호의 수신에 대응되는 벨소리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되는 벨소리와 동일한 벨소리가 사용자 휴대단말기 주변의 타 휴대단말기에서도 출력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동일한 벨소리가 상기 타 휴대단말기에서도 출력되면, 사용자에게 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벨소리, 제1펼스 시퀀스, 제1펄스 간격, 제2펄스 시퀀스, 제2펄스 간격

Description

휴대단말기에서 호의 수신을 알리는 방법{METHOD FOR INFORMING OF CALL RECEIVING IN A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호의 수신을 알리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호의 수신을 알리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에서 호의 수신을 알리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가능케 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호를 수신하면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게 되는데, 보통 벨소리를 통해 알리게된다. 초기의 휴대단말기는 단순한 단음벨 이나 미디벨을 통해 사용자에게 호의 수신을 알릴 수밖에 없었으나, 휴대단말기의 발전에 따라 mp3 벨 과 같은 고음질의 벨소리를 통해 호의 수신을 알리게 되었다. 이러한 벨소리는 일반적으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업체와 같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 획득하게 되는데, 벨소리의 종류로는 수익을 고려하여 대중적인 음악에 한정된다. 따라서, 동일한 벨소리를 호의 수신을 알리도록 설정된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주변의 타 휴대폰단말기에 울리는 벨소리가 자신의 휴대단말기에서 울리는 벨소리인줄 착각하여 휴대단말기를 확인하거나, 사용자 휴대단말기에서 울리는 벨소리를 타 휴대단말기에서 출력되는 벨소리로 착각하여 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사용자 휴대단말기에서 울리는 벨소리와 주변의 타 휴대단말기에서 울리는 벨소리가 동일하더라도, 사용자에게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 휴대단말기에서 출력되는 벨소리와 타 휴대단말기에서 출력되는 벨소리를 구별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호의 수신 알림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호의 수신을 알리는 방법에 있어서, 호가 수신되면 상기 호의 수신을 알리는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호의 수신을 알리는 모드가 벨소리 모드이면 상기 호의 수신에 대응되는 벨소리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되는 벨소리와 동일한 벨소리가 사용자 휴대단말기 주변의 타 휴대단말기에서도 출력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동일한 벨소리가 상기 타 휴대단말기에서도 출력되면, 사용자에게 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 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호의 수신을 알리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휴대단말기 주변의 타 휴대단말기에서 출력되는 벨소리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타 휴대단말기에서 출력된 벨소리가 존재하면, 상기 사용자 휴대단말기 주변에서 출력되는 벨소리와 호의 수신을 알리도록 설정된 상기 사용자 휴대단말기의 벨소리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두 벨소리가 일치하면, 사용자에게 호가 수신된 것이 아님을 알리는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송수신부(23)는 RF부와 모뎀(MODEM)을 포함한다. RF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은 송신될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RF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코덱(Codec)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데이터 코덱과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데이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고, 오디오 코덱은 음성과 멀티미디어 파일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오디오 처리부(25) 는 모뎀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를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모뎀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제어부(1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25)는 스피커(SPK)를 통해 벨소리를 출력하고, 마이크를 통해 외부의 소리를 입력받는다.
키입력부(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의 입력에 필요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의 설정에 필요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메모리(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30)에는 적어도 하나의 벨소리가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벨소리는 벨소리별로 구분 가능하고 휴대단말기별로 구분 가능하다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벨소리는 제1펄스 시퀀스(Pulse Sequence), 제1펄스 간격(Pulse Interval), 제2펄스 시퀀스 및 제2펄스 간격으로 구성되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펄스 구조를 포함한다. 펄스 구조는 벨소리의 재생 구간동안 계속 반복된다.
펄스 구조의 제1펄스 시퀀스는 각각의 벨소리를 구분할 수 있게 하는 펄스 시퀀스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50 ms(Milli Second)의 구간을 가지는 총 10개의 펄스('0' 또는 '1') 조합에 의한 시퀀스로 구성되며 첫 펄스와 끝 펄스는 '1' 로 고정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1펄스 시퀀스는 "1000000001", "100101011" 또는 "1110101001" 등의 펄스 시퀀스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휴대단말기에는 각각이 구별되는 1024개(2의 10제곱의 경우의 수)의 벨소리가 저장될 수 있다.
펄스 구조의 제1펄스 간격은 일반적인 소리와 벨소리를 구분하기 위한 펄스가 존재하지 않는 시간 간격으로, 제1펄스 간격을 포함하는 소리를 벨소리인 것으로 판단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펄스 간격이 300 ms인 것으로 가정한다.
펄스 구조의 제2펄스 시퀀스는 각 휴대단말기마다 부여되는 휴대단말기 고유의 펄스 시퀀스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30 ms 이내에서 변경되는 랜덤 구간을 가지며 총 22개의 펄스 조합에 의한 시퀀스로 구성된다. 이때,제2펄스 시퀀스의 첫 펄스와 끝 펄스는 '1'로 고정된다. 이를 통해, 1048576개(2의 20제곱의 경우의 수)의 휴대단말기 각각은 서로 구별 가능하게 된다.
펄스 구조의 제2펄스 간격은 펄스 시퀀스 감지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시간 간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출력되는 벨소리는 가청 영역인 고유의 벨소리에 비가청 영역의 펄스 구조(제1펄스 시퀀스 + 제1펄스 간격 + 제2펄스 시퀀스 + 제2펄스 간격)가 반복되어 결합되게 된다. 만약 제2펄스 간격이 없다면 제1펄스 시퀀스와 제2펄스 시퀀스가 연결되어 제1펄스와 제2펄스 시퀀스의 판별에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2펄스 간격이 200 ms인 것으로 가정한다.
표시부(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표시부(50)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하여 키입력부(27)와 함께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입력부로 동작한다.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또는 구동모드를 전환 및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어부(10)는 사용자 휴대단말기에서 출력되는 벨소리와 타 휴대단말기에서 출력되는 벨소리를 구별하고, 이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호의 수신을 알리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로써, 동일한 벨소리가 사용자 휴대단말기와 타 휴대단말기에서 동시에 울릴 경우에 호의 수신을 알리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호가 수신되면(S201), 제어부(10)는 호의 수신에 대응되는 벨소리가 출력되는지 확인한다(S202). S202 단계에서 벨소리가 출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0)는 벨소리 이외에 설정된 다른 모드를 확인하고(S203) 해당 모드로 호의 수신을 알린다(S204).
호의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법에는 일반적으로 벨소리 모드, 진동 모드, LED 모드 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호가 수신되면 호의 수신에 대응되는 모드를 확인하고, 해당 모드를 통해 사용자에게 호의 수신을 알린다.
S201 내지 S204 단계를 통해 사용자에게 호의 수신을 알린 후, 제어부(10)는 사용자 휴대단말기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고(S205), 주변의 소리에 S202 단계에서 출력된 벨소리와 동일한 벨소리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206).
제어부(10)는 사용자 휴대단말기 주변의 소리에 제1펄스 간격을 포함하는 소리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제1펄스 간격을 포함하는 소리를 소정의 벨소리로 판단한다. 이후, 제어부(10)는 S202 단계에서 출력된 벨소리의 제1펄스 시퀀스가 소정의 벨소리 내에 존재하면, 소정의 벨소리를 S202 단계에서 출력된 벨소리와 동일한 벨소리로 판단한다.
이후, 제어부(10)는 동일한 벨소리가 사용자 휴대단말기로부터 출력된 것인지 확인하고(S207), 사용자 휴대단말기가 아닌 타 휴대단말기로부터 출력된 것이면 사용자에게 호의 수신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208).
S205 단계에서 주변 소리를 감지할 때, 마이크를 통해 감지되는 소리에는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와 함께 S202 단계에서 출력한 사용자 휴대단말기의 벨소리도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0)는 S206 단계에서 동일한 벨소리인 것으로 판단된 벨소리의 제2펄스 시퀀스를 확인함으로써, 동일한 벨소리의 출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펄스 시퀀스는 벨소리를 출력한 휴대단말기마다 부여되는 고유 펄스 시퀀스로써 벨소리를 출력한 휴대단말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S201 내지 S207 단계를 통해서 현재 출력되고 있는 사용자 휴대단말기의 벨소리와 동일한 벨소리가 타 휴대단말기에서 울릴 경우, 제어부(10)는 사용자에게 호가 수신된 것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는 미리 설정된 휴대단말기 사용자의 이름을 사용하여 "홍길동님에게 전화가 수신되었습니다"라는 안내 메시지를 벨소리와 함께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안내 메시지의 형태는 청각적 정보(마이크를 통해), 시각적 정보(표시부를 통해), 및 휴대단말기의 진동 등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으나, 청각적 정보로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안내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동일한 벨소리가 여러 휴대단말기에서 동시에 출력될 때에도 자신에게 호가 수신되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안내 메시지의 내용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호의 수신을 알리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는 사용자 휴대단말기로 호가 수신되지 않았을 때의 경우로써, 사용자 휴대단말기에 설정된 벨소리와 동일한 벨소리가 타 휴대단말기에서 울릴 경우에 호의 수신을 알리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제어부(10)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사용자 휴대단말기 주변의 소음을 감지하고(S301), 소음이 감지되면(S302) 사용자 휴대단말기 외부의 소리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S303).
제어부(10)는 소정의 시간 간격(예를 들어, 수 초 이내의 간격 또는 휴대단말기의 페이징 간격)을 주기로 사용자 휴대단말기 주변의 소음을 감지하도록 제어하고, 소음이 감지되면 사용자 휴대단말기 주변의 소리를 지속적으로 입력(예를 들어, 마이크를 통해)받는다.
이후, 제어부(10)는 외부의 소리 중에서 벨소리에 해당하는 소리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S304), 벨소리에 해당하는 소리가 존재하면 벨소리에 해당하는 소리와 사용자 휴대단말기에 호의 수신을 알리도록 설정된 벨소리를 비교하여(S305), 두 벨소리의 동일 여부를 확인한다(S306).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 사용자 휴대단말기는 현재 호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벨소리를 출력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라도 사용자 휴대단말기의 호의 수신을 알리도록 설정된 벨소리와 동일한 벨소리가 타 휴대단말기에서 출력되면, 사용자는 사용자에게 호가 수신된 것으로 착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S301 내지 S303 단계를 통해 확인된 외부의 소리 중 제1펄스 간격을 포함하는 소리를 타 휴대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벨소리로 판단한다. 이후, 제어부(10)는 타 휴대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벨소리의 제1펄스 시퀀스와 사용자 휴대단말기의 호의 수신을 알리도록 설정된 벨소리의 제1펄스 시퀀스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제1펄스 시퀀스가 서로 동일하면, 제어부(10)는 사용자 휴대단말기의 호의 수신을 알리도록 설정된 벨소리와 동일한 벨소리가 사용자 휴대단말기 주변의 타 휴대단말기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후, 사용자 휴대단말기의 호의 수신을 알리도록 설정된 벨소리와 동일한 벨소리가 타 휴대단말기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면, 제어부(10)는 사용자에게 호가 수신된 것이 아님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307).
제어부(10)는 사용자 휴대단말기의 호의 수신을 알리도록 설정된 벨소리가 타 휴대단말기에서 출력되더라도, 제어부(10)는 사용자가 호가 수신된 것으로 오해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는 미리 설정된 휴대단말기 사용자의 이름을 사용하여 "홍길동님에게 수신된 전화가 아닙니다"라는 안내 메시지를 벨소리와 함께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안내 메시지의 형태는 제1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청각적 정보(마이크를 통해), 시각적 정보(표시부를 통해), 및 휴대단말기의 진동 등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으나, 청각적 정보로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안내 메시지의 내용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균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휴대단말기와 타 휴대단말기에서 동일한 벨소리가 동시에 출력될 때, 자신에게 호가 수신되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호가 수신되지 않고 사용자 휴대단말기의 호의 수신을 알리도록 설정된 벨소리가 타 휴대단말기에서만 출력될 때, 사용자가 자신에게 호가 수신된 것으로 오해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휴대단말기에서 호의 수신을 알리는 방법에 있어서,
    호가 수신되면 상기 호의 수신을 알리는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호의 수신을 알리는 모드가 벨소리 모드이면 상기 호의 수신에 대응되는 벨소리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되는 벨소리와 동일한 벨소리가 사용자 휴대단말기 주변의 타 휴대단말기에서도 출력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동일한 벨소리가 상기 타 휴대단말기에서도 출력되면, 사용자에게 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호의 수신을 알리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의 수신을 알리는 모드가 벨소리 이외의 모드이면 상기 호의 수신에 설정된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모드로 상기 호의 수신을 알리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호의 수신을 알리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과정은,
    상기 사용자 휴대단말기 주변의 소리가 제1펄스 간격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펄스 간격을 포함하는 소리를 소정의 벨소리로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된 벨소리의 제1펄스 시퀀스가 상기 소정의 벨소리 내에 존재하면, 상기 소정의 벨소리를 상기 출력된 벨소리와 동일한 벨소리로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된 벨소리의 제2펄스 시퀀스와 상기 동일한 벨소리의 제2펄스 시퀀스를 비교하고, 상기 두 제2펄스 시퀀스가 동일하면 상기 동일한 벨소리는 상기 사용자 휴대단말기로부터 출력된 벨소리인것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호의 수신을 알리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벨소리의 제2펄스 시퀀스와 상기 동일한 벨소리의 제2펄스 시퀀스를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동일한 벨소리는 상기 타 휴대단말기에서 출력된 벨소리인 것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호의 수신을 알리는 방법.
  5.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펄스 시퀀스 및 상기 제2펄스 시퀀스는 비가청주파수 대역에 존재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호의 수신을 알리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벨소리 및 상기 동일한 벨소리는 상기 각각의 제1펄스 시퀀스와 제2펄스 시퀀스를 구분 짓는 제2펄스 간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호의 수신을 알리는 방법.
  7. 휴대단말기에서 호의 수신을 알리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휴대단말기 주변의 타 휴대단말기에서 출력되는 벨소리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타 휴대단말기에서 출력된 벨소리가 존재하면, 상기 사용자 휴대단말기 주변에서 출력되는 벨소리와 호의 수신을 알리도록 설정된 상기 사용자 휴대단말기의 벨소리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두 벨소리가 일치하면, 사용자에게 호가 수신된 것이 아님을 알리는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호의 수신을 알리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과정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상기 사용자 휴대단말기 주변에서 소음이 감지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소음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휴대단말기 외부의 소리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휴대단말기 외부의 소리 중에서 제1펄스 간격을 포함하는 소리를 상기 타 휴대단말기에서 출력되는 벨소리로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호의 수신을 알리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과정은,
    상기 타 휴대단말기에서 출력된 벨소리의 제1펄스 시퀀스와 상기 사용자 휴대단말기의 벨소리의 제1펄스 시퀀스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두 제1펄스 시퀀스가 동일하면 상기 두 벨소리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호의 수신을 알리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펄스 시퀀스는 비가청주파수 대역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호의 수신을 알리는 방법.
KR1020060120656A 2006-12-01 2006-12-01 휴대단말기에서 호의 수신을 알리는 방법 KR100827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656A KR100827149B1 (ko) 2006-12-01 2006-12-01 휴대단말기에서 호의 수신을 알리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656A KR100827149B1 (ko) 2006-12-01 2006-12-01 휴대단말기에서 호의 수신을 알리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7149B1 true KR100827149B1 (ko) 2008-05-02

Family

ID=39649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0656A KR100827149B1 (ko) 2006-12-01 2006-12-01 휴대단말기에서 호의 수신을 알리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71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314A (ko) 2003-09-20 2005-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벨소리 출력 방법
KR20070023402A (ko) 2005-08-24 2007-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벨소리 변경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314A (ko) 2003-09-20 2005-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벨소리 출력 방법
KR20070023402A (ko) 2005-08-24 2007-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벨소리 변경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2484B1 (ko) 부재중 알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부재중알림 방법
CN101662313A (zh) 利用蓝牙搜寻通讯装置的系统及方法
JP2009219093A (ja) 携帯電話が暗い所にある時だけ作動する着信通知装置。
KR100827149B1 (ko) 휴대단말기에서 호의 수신을 알리는 방법
JP2008277935A (ja) 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端末の報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H1168891A (ja) 携帯電話機
US8195135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udio processing method thereof
JP3966678B2 (ja) 報知システム及びそのための携帯端末機
KR10045494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전 스피커홀을 차단하는 장치 및제어방법
KR100432143B1 (ko) 발신자 번호의 음성표시 방법
JP2002314633A (ja) 携帯端末装置
KR101091245B1 (ko) 휴대단말기의 알람모드에서 수신알림 제한방법
KR100918757B1 (ko) 호 수신을 알리는 방법
KR100690757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호 착신알림모드 전환방법
KR100400560B1 (ko) 휴대 단말기의 수신 통보 방법
KR20070067342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취침 모드 진행시 수신정보 알림방법
KR100819292B1 (ko) 휴대단말기에서 호 발생을 알리는 장치 및 방법
JP2000244633A (ja) 無線通信装置
KR100573481B1 (ko) 벨 모드 자동 전환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알림방법
KR20070056511A (ko) 무선 도청기의 탐지 기능을 갖는 휴대 전화기
KR10104282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부팅 알람 모드 변경을 위한 장치 및방법
KR101155764B1 (ko) 고성 통화 억제기능을 갖는 단말기
KR101604869B1 (ko) 수신 음량의 변화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20552B1 (ko) 무선 단말기의 벨소리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8079054A (ja) オーディ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