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245B1 - 휴대단말기의 알람모드에서 수신알림 제한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알람모드에서 수신알림 제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245B1
KR101091245B1 KR1020040075223A KR20040075223A KR101091245B1 KR 101091245 B1 KR101091245 B1 KR 101091245B1 KR 1020040075223 A KR1020040075223 A KR 1020040075223A KR 20040075223 A KR20040075223 A KR 20040075223A KR 101091245 B1 KR101091245 B1 KR 101091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essage
reception notification
alarm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5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6345A (ko
Inventor
한기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5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245B1/ko
Publication of KR20060026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알람모드에서 수신알림 제한방법에 관한 것으로, 알람모드에서 호/메시지의 수신알림을 제한하는 휴대단말기의 알람모드에서 수신알림제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호/메시지가 수신될 때, 알람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알람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수신알림제한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알림제한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호/메시지 수신을 무음으로 알리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알람모드에서 호/메시지의 수신으로 인하여 알람 설정의 목적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알람모드에서 수신알림 제한방법{METHOD FOR LIMITING RECEIPT NOTICE IN ALARM MODE OF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알람모드에서 수신알림을 제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제어부 120: 모뎀
123: RF부 125: 오디오 처리부
127: 키입력부 130: 메모리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알람모드에서 수신알림 제한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메시지의 수신알림으로 인하여 알람모드의 설정 목적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알람모드에서 수신알림 제한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는 급속한 보급에 따라서 일반인들에게 보편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단순한 통화 기능 이외에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능이 부가 된 복합적인 개념의 휴대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중, 상기 휴대단말기의 알람기능서비스는 알람을 위해 별도의 시계를 준비해야하는 불편함을 줄이고, 알림소리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알람기능을 설정한 후 호/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호/메시지의 수신알림으로 인하여 상기 알람기능의 설정목적이 방해를 받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닝콜알람을 설정 후 잠이 든 사이에 호/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호/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수신알림을 발생시켜, 결국 사용자의 수면을 방해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호/메시지의 수신알림으로 인하여 알람모드의 설정 목적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알람모드에서 수신알림 제한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호/메시지가 수신될 때, 알람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알람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수신알림제한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알림제한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호/메시지 수신을 무음으로 알리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에서 알람모드란 알람기능이 설정된 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알람모드는 모닝콜모드 및 알람시계모드등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을 알리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알람기능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고주파부(RF: Radio Frequency, 이하 "RF부"라 칭함)(123)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고주파부(123)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역할한다. 모뎀(MODEM)(1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상기 고주파부(123)와 모뎀(120)를 통칭하여 통신부라 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모뎀(120)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 변환하여 스피커로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모뎀(12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처리부(1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알람모드에서 설정된 알람시간이 되면, 상기 스피커를 통해 알람소리를 발생시킨다.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수신알림제한이 설정된 알람모드에서 호/메시지의 수신알림을 제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수신알림제한이 설정된 알람모드에서 통신부를 통해 호/메시지가 수신되면,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호/메시지의 수신알림을 표시하고, 상기 호/메시지의 수신을 무음으로 알리도록 제어한다.
표시부(160)는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수신알림제한이 설정된 알람모드에서 호/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호/메시지의 수신알림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키입력부(127)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대말기의 알람모드에서 수신알림을 제한하는 동작을 도 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알람모드에서 수신알림을 제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에 호/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에 알람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휴대단말기가 알람기능이 설정된 알람모드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2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수신알림제안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휴대단말기가 수신알림제한이 설정된 알람모드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2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수신된 호/메시지를 무음으로 알리는 20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04단계에서 무음으로 호/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동안, 상기 표시부(160)에는 수신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호/메시지의 수신알림을 제한하는 동안, 설정된 알람시간이 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설정된 벨소리로 알람을 발생시키는 206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알람모드가 해제되면, 사용자는 최근통화목록을 통해 수신된 발신자의 정보를 확인하거나, 수신메지시보관함을 통해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호/메시지 수신 시, 상기 휴대단말기에 알람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거나, 수신알림제한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202단계 및 상기 203단계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설정된 벨소리 또는 진동으로 호/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207단계를 진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알람모드에서 호/메시지의 수신알림을 제한함으로써, 알람시계 혹은 모닝콜등의 알람을 설정한 후 의도하지 않은 호/메시지 수신으로 알람의 설정목적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호/메시지가 수신될 때, 알람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알람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수신알림제한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알림제한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호/메시지 수신을 무음으로 알리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알람모드에서 수신알림제한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알림제한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호/메시지수신을 벨 또는 진동으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알람모드에서 수신알림제한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알림제한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호/메시지 수신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알람모드에서 수신알림제한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음으로 알려진 호/메시지 수신은 발신자서비스표시를 통해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알람모드에서 수신알림제한방법.
  5.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호/메시지가 수신되면 알람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수신알림제한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수신알림제한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호/메시지 수신을 무음으로 알리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수신알림을 표시장치에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KR1020040075223A 2004-09-20 2004-09-20 휴대단말기의 알람모드에서 수신알림 제한방법 KR101091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223A KR101091245B1 (ko) 2004-09-20 2004-09-20 휴대단말기의 알람모드에서 수신알림 제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223A KR101091245B1 (ko) 2004-09-20 2004-09-20 휴대단말기의 알람모드에서 수신알림 제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345A KR20060026345A (ko) 2006-03-23
KR101091245B1 true KR101091245B1 (ko) 2011-12-07

Family

ID=37137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223A KR101091245B1 (ko) 2004-09-20 2004-09-20 휴대단말기의 알람모드에서 수신알림 제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2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087B1 (ko) * 2015-12-15 2022-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345A (ko) 200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301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휴대 단말기및 그 방법
KR20070009206A (ko) 부재중 알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부재중알림 방법
KR101091245B1 (ko) 휴대단말기의 알람모드에서 수신알림 제한방법
KR100800689B1 (ko) 휴대단말기의 알람제어 방법
KR1007856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모닝콜 작동방법
KR100690757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호 착신알림모드 전환방법
KR100918757B1 (ko) 호 수신을 알리는 방법
KR100584362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수신상태 뮤트방법
JP2872162B2 (ja) 無音報知および可聴報知機能を有する携帯無線機
JP2004056651A (ja) 携帯情報端末装置
KR100713474B1 (ko) 휴대단말기와 헤드셋간에 정보 송수신 방법
JP2002209261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
KR100573481B1 (ko) 벨 모드 자동 전환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알림방법
KR100400560B1 (ko) 휴대 단말기의 수신 통보 방법
KR100827149B1 (ko) 휴대단말기에서 호의 수신을 알리는 방법
KR10067811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닝콜 서비스 방법
KR10067819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매너모드에서 상황을 알리는 방법
KR101130007B1 (ko) 착신벨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 및 착신벨 제어방법
KR20070067342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취침 모드 진행시 수신정보 알림방법
KR100827173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 내용 녹음 방법
KR100604600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알람 방법
KR20050100269A (ko) 휴대 단말기에서 소음 크기에 따른 착신음 크기 제어 장치및 방법
KR10130670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매너모드 자동 복귀 방법
KR101024906B1 (ko) 이동 단말기의 착신알림신호 자동 변경 방법
KR20010009636A (ko) 무선전화단말장치의 유아 감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