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111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닝콜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닝콜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111B1
KR100678111B1 KR1020030071420A KR20030071420A KR100678111B1 KR 100678111 B1 KR100678111 B1 KR 100678111B1 KR 1020030071420 A KR1020030071420 A KR 1020030071420A KR 20030071420 A KR20030071420 A KR 20030071420A KR 100678111 B1 KR100678111 B1 KR 100678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wake
weather information
time
mo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1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5696A (ko
Inventor
이동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1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111B1/ko
Publication of KR20050035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상정보에 따른 모닝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에서는 기상정보를 고려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닝콜 서비스 방법으로서 기상정보를 고려하여 모닝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모닝콜 서비스 방법으로서, 모닝콜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과; 현재시간을 검출하여 그 검출한 현재시간이 상기 모닝콜 설정시 설정한 제1 모닝콜 시간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제1 모닝콜 시간이면 설정된 알람으로 모닝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한 현재시간이 제1 모닝콜 시간이 아니면 기상정보를 수신하여 그 기상정보에 눈, 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눈, 비에 관한 기상정보가 포함된 기상정보면 그 기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한 제1 모닝콜 시간 소정시간전에 모닝콜 되게 제2 모닝콜 시간으로 재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모닝콜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이용된다.
모닝콜, 기상정보, 알림음, 이동통신 단말기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닝콜 서비스 방법{METHOD FOR SERVING MORNING CAL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닝콜 설정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 모닝콜 설정시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닝콜 서비스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5는 도 2에 있어서, 모닝콜시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 6은 도 3에 있어서, 모닝콜 설정시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 7은 도 4와 도 8에 있어서, 기상정보에 따른 재설정되는 제2 모닝콜 시간을 보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닝콜 서비스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어부 21: RF부
23: 데이터 처리부 25: 오디오 처리부
27: 키패드 29: 메모리
31: 센서 40: 표시부
ANT: 안테나 MIC: 마이크
SPK: 스피커
본 발명은 기상정보에 따른 모닝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상정보를 고려하여 모닝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닝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휴대폰 사용자들의 다양한 기능 요구들이 점차 많아져가고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부가 기능들중 대표적 일 예로서 알람(alarm)기능을 들 수 있다. 현재 다수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 사용자는 알람기능을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아침에 깨워 주는 모닝콜 기능 으로 많이 애용된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닝콜 기능을 사용하려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모닝콜 시간을 설정하며 그 모닝콜 시간에 맞춰 울리는 알림음을 설정한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설정된 모닝콜 시간에 맞춰 상기 알림음을 울리며 모닝콜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모닝콜 서비스 방법은 모닝콜 기능이 일단 설정되면 그날의 기상정보에 관계없이 설정된 모닝콜 시간에 알림음이 발생하게 되므로, 악천후 기상이 아닌경우보다 다소 시간이 지체되는 악천후 기상시에는 학교 등교시간 혹은 출근시간에 늦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는 기상예보를 통해 모닝콜시간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직접 기상정보에 따라 모닝콜 시간을 설정해야 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모닝콜 서비스 방법 또한 기상예보를 통한 모닝콜 설정이기에 기상정보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할뿐만 아니라, 기상예보에 따라 매번 모닝콜 시간 설정을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기상정보를 고려하여 설정된 모닝콜 시간을 재설정하여 그 재설정된 모닝콜 시간에 맞춰 모닝콜 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닝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닝콜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모닝콜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모닝콜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모닝콜이 설정되어있으면 기상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상정보의 수신시간이 악천후시 모닝콜 되도록 설정된 제2 모닝콜 시간에 임박했는가를 판단하여 상기 제2 모닝콜 시간에 임박한 기상정보이면 악천후 기상정보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악천후 기상정보이면 모닝콜 시간을 평상시 모닝콜 되도록 설정된 제1 모닝콜 시간에서 상기 제2 모닝콜 시간으로 재설정하여 상기 제2 모닝콜 시간에 모닝콜 하는 과정과; 상기 악천후 기상정보가 아니면 상기 제1 모닝콜 시간에 모닝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닝콜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모닝콜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모닝콜이 설정 되어있으면 현재시간을 확인하여 그 현재시간이 악천후시 모닝콜 되도록 설정된 제2 모닝콜 시간에 임박한 시간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제2 모닝콜 시간에 임박한 시간이면 기상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기상정보가 악천후 기상정보인가를 판단하여 악천후 기상정보이면 평상시 모닝콜 되도록 설정된 상기 제1 모닝콜 시간에서 상기 제2 모닝콜 시간으로 재설정하여 상기 제2 모닝콜 시간에 모닝콜 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기상정보가 악천후 기상정보가 아니면 상기 제1 모닝콜 시간에 모닝콜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제1 모닝콜 시간은 악천후가 아닌 평상시 모닝콜하고자 설정된 모닝콜 시간의 의미로 사용되고, 제2 모닝콜 시간은 악천후 기상정보에 따라 재설정되는 모닝콜 시간의 의미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21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RF부2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23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23은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신되는 기상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23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23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처리부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설정된 모닝콜 시간에 따라 알림 벨/멜로디를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키패드27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 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방향키, 확인키, 취소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29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설정한 모닝콜 설정(제1 모닝콜 시간, 알림음, 모닝콜 간격, 기상정보에 따른 제1 모닝콜 시간의 시간변동분 등)을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되며 그 모닝콜 설정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0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데이터처리부23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신된 기상정보를 고려하여 설정된 제1 모닝콜 시간에서 제2 모닝콜시간으로 모닝콜 시간을 변경하거나 상기 제2 모닝콜 시간에서 제1 모닝콜 시간으로 모닝콜 시간을 변경하여 상기 제1 모닝콜 시간 또는 제2 모닝콜 시간에 모닝콜되도록 모닝콜 서비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표시부40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메시지들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80은 상기 제어부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함과 동시에 기상정보와 모닝콜을 알리는 안내메시지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4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8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27과 상기 LCD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닝콜 서비스의 처리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10은 모닝콜의 설정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모닝콜이 설정되어있으면 기상정보에 따른 모닝콜 시간 변경이 설정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기상정보에 따른 모닝콜 시간변경이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10은 수신되는 기상정보가 악천후 기상정보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악천후 기상정보이면 평상시 울리게 되는 제1 모닝콜 시간에서 악천후시 모닝콜되는 제2 모닝콜 시간으로 재설정하여 상기 메모리29에 저장하고, 현재시간이 상기 메모리29에 저장된 상기 제2 모닝콜 시간이면 오디오 처리부25를 통해 상기 모닝콜 설정시 설정한 알림음을 발생시켜 스피커(SPK)를 통해 상기 알림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반면, 상기 판단결과, 상기 기상정보에 따른 모닝콜 시간변경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10은 현재시간을 확인하여 그 현재시간이 상기 제1 모닝콜 시간이면 상기 오디오 처리부25를 통해 상기 모닝콜 설정시 설정한 알림음을 발생시켜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상기 알림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닝콜 설정과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3은 도 2에 있어서, 모닝콜 설정시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상기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모닝콜 설정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모닝콜을 설정하기 위해 키패드27을 조작한다. 그러면 제어부10은 이를 인식하여 211단계에서 도 3의 (A)와 같은 모닝콜 설정화면을 표시부80에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는 212단계에서 모닝콜을 설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표시부80에 표시되는 상기 도 3의 (A)에서 사용자는 숫자키 혹은 방향(상ㆍ하ㆍ좌ㆍ우)키를 이용하여 모닝콜 시간(이하 '제1 모닝콜 시간'으로 표기함)을 설정하고, 방향(좌ㆍ우)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모닝콜 시간에 맞춰 울리는 알림음(벨/멜로디)을 설정하며, 방향(상ㆍ하)키를 이용하여 모닝콜 간격(월-금, 월-토, 매일, 당일)을 설정한다.
상기 도 3의 (A)는 제1 모닝콜 시간을 '9:00', 알림음을 '새벽닭', 모닝콜 간격을 '월-금'으로 설정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가 상기 212단계후 213단계에서 확인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은 확인키가 입력됨을 인식하고 도 3의 (B)와 같이 기상정보에 따른 모닝콜 시간 변경여부를 묻는다. 이에, 214단계에서 사용자는 상기 기상정보를 모닝콜 시간에 반영하고자 하면 '예'를 선택하고, 단순 모닝콜을 원하면 '아니오'를 선택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단순 모닝콜을 원하여 '아니오'를 선택하면 제어부10은 도 3의 (D)와 같이 '모닝콜이 설정되었습니다'라는 안내 메시지를 표시부40에 표시한다.
상기 '예'를 선택하면 제어부10은 도 3의 (C)와 같이 수신되는 기상정보가 악천후 기상정보이면 몇분(10분, 20분, 30분, 40분 등)전에 미리 모닝콜 서비스 받고자 하는지를 묻는다. 이에, 215단계에서 사용자는 상기 모닝콜 서비스를 미리 받고자 하는 제2 모닝콜 시간을 방향(좌ㆍ우)키를 이용하여 설정한다.
상기 도 3의 (C)는 일예로 상기 제2 모닝콜 시간을 제1 모닝콜 시간 30분전으로 설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211~215단계를 통해 설정된 모닝콜 설정정보는 사용자가 216단계에서 확인키를 입력하였는지의 여부를 제어부10이 판단하여 상기 확인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닝콜이 설정되었습니다'라는 안내 메시지를 표시부40에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한 모닝콜 설정정보를 메모리29에 저장하며 모닝콜 설정과정을 종료시킨다. 여기서, 상기 기상정보는 이동통신 사업자측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일 수 있으며, 기상정보를 서비스하는 사업자측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닝콜 서비스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11단계에서 제어부10은 모닝콜이 설정되어 있는가를 판단하여 상기 모닝콜이 설정되어 있으면 412단계에서 기상정보에 따른 모닝콜 시간변경이 설정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기상정보에 따른 모닝콜 시간변경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413단계에서 제어부10은 현재시간을 검출하여 421단계와 422단계를 통해 상기검출한 현재시간이 제1 모닝콜 시간이면 새벽닭 알림음을 울리며 모닝콜 서비스를 개시한다.
반면, 상기 판단결과, 상기 기상정보에 따른 모닝콜 시간변경이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제어부10은 414단계에서 소정시간간격으로 기상정보가 수신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기상정보에 따른 모닝콜 시간변경이 설정되어있는가를 판단하는 이유는 단순히 초기에 설정된 상기 제1 모닝콜 시간에 모닝콜 서비스를 할것인지 아니면 기상정보에 따라 제2 모닝콜 시간으로 재설정하여 모닝콜 서비스할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상기 414단계를 통한 판단결과, 상기 기상정보가 수신되면 415단계에서 제어부10은 그 기상정보가 수신시간이 제2 모닝콜 시간에 임박한 시간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제2 모닝콜 시간에 임박한 시간이 아니면 416단계를 통해 수신되는 기상정보를 메모리29에 누적한후 상기 414단계로 복귀시킨다.
반면, 상기 414단계를 통한 판단결과, 상기 제2 모닝콜 시간에 임박한 시간이면 417단계에서 제어부10은 상기 수신된 기상정보가 악천후 기상정보인가를 판단하여 악천후 기상정보이면 418단계에서 설정된 제1 모닝콜 시간에서 30분전의 제2 모닝콜 시간으로 모닝콜 시간을 재설정하여 메모리29에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10은 419단계에서 상기 기상정보가 수신된 시간이 상기 제2 모닝콜 시간보다 빠른 시간인지 또는 같은 시간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2 모닝콜 시간보다 빠른 시간이거나 같은 시간이면 420단계에서 악천후 기상정보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악천후 기상정보가 아니면 상기 제어부10은 421단계에서 기상정보 수신시간이 제1 모닝콜 시간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제1 모닝콜 시간이면 422단계에서 설정된 새벽닭 알림음을 통해 모닝콜 서비스를 실시한다.
반면, 상기 판단결과, 상기 악천후 기상정보이면 상기 422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은 설정된 새벽닭 알림음을 스피커(SPK)로 출력하도록 제어하여 모닝콜 서비스를 실시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은 수신된 기상정보를 이용하여 표시부40에 모닝콜 시점의 기상정보를 표시함과 아울러, 모닝콜을 알리는 안내메시지를 표시한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8시30분 현재 비(또는 눈)가 오고 있습니다'라고 표시하며 모닝콜 시간임을 알린다.
상기 419단계에서 상기 기상정보의 수신시간이 상기 제2 모닝콜 시간보다 늦은시간이거나 같은 시간인가로 판단하는 이유는 악천후 기상정보가 아닌 기상정보를 수신하다가 악천후 기상정보를 수신하였을때의 수신시간이 제2 모닝콜 시간이 경과한후의 시간일경우 제1 모닝콜 시간에 모닝콜되지 않고 그 즉시 모닝콜되도록 하여 상기 제1 모닝콜 시간보다 좀더 빨리 모닝콜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모닝콜 설정시 상기 제2 모닝콜 시간을 세분화하여 설정하면 그 세분화된 제2 모닝콜 시간에 맞춰 모닝콜 서비스를 하게 된다.
먼저, 상기 제2 모닝콜 시간을 세분화하여 설정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상정보의 악천후 정도에 따른 모닝콜 변경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악천후 정도에 따라 3단계(대ㆍ중ㆍ소)로 제2 모닝콜 시간을 설정한다.
이때, 악천후 정도가 심한 경우(대)는 제1 모닝콜 시간 30분전, 악천후 정도가 중간 정도인 경우(중)는 상기 제1 모닝콜 시간 20분전, 악천후 정도가 아주 약한 경우(소)는 상기 제1 모닝콜 시간 10분전으로 제2 모닝콜 시간이 디폴트(Default) 되어, 방향(상ㆍ하)키를 이용하여 각 단계로 이동한후 방향(좌ㆍ우)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제2 모닝콜 시간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일예로 상기 제2 모닝콜 시간을 디폴트로 설정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설정된 제2 모닝콜 시간에 맞춰 모닝콜 하기 위해서는 도 4의 ⓐ를 도 7과 같이 3단계(대ㆍ중ㆍ소)로 상기 제2 모닝콜 시간을 세분화한다.
즉, 악천후 기상정보이면 제어부10은 711단계에서 악천후 기상정보를 분석하여 악천후 기상정보의 정도를 판단하여 악천후 정도가 심한경우라고 판단되면 712단계에서 상기 제1 모닝콜 시간 30분전의 제2 모닝콜 시간으로 모닝콜 시간을 재설정하여 메모리29에 저장한다.
반면,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악천후 정도가 중간 정도인 경우라고 판단되면 713단계에서 상기 제1 모닝콜 시간 20분전의 제2 모닝콜 시간으로 모닝콜 시간을 재설정하여 상기 메모리29에 저장한다.
반면,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악천후 정도가 아주약한 정도라고 판단되면 714단계에서 상기 제1 모닝콜 시간 10분전의 제2 모닝콜 시간으로 모닝콜 시간을 재설정하여 상기 메모리29에 저정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재설정된 상기 제2 모닝콜 시간은 설정된 시간에 맞춰 모 닝콜 서비스를 실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닝콜 서비스 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상기 도 4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닝콜 서비스 방법과 유사하다. 다만 크게 다른점은 상기 도 4에서는 소정시간간격으로 계속해서 기상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도 8에서는 제2 모닝콜 시간에 임박한 시간에 기상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이 상이하고, 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이 상이하므로 이에 대한 과정만을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0은 814단계에서 현재 시간을 검출하여 그 검출된 현재시간이 제2 모닝콜 시간에 임박한 시간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제2 모닝콜 시간에 임박한 시간이면 상기 제어부10은 816단계에서 기상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도 4의 417~422단계와 동일하게 817~822단계를 수행하며 모닝콜을 서비스 한다.
또한, 상기 도 8의 ⓐ도 상기 도 4의 ⓐ와 마찬가지로 동일하게 제2 모닝콜 시간이 3단계로 세분화되어 상기 제2 모닝콜 시간에 모닝콜을 서비스하며 이때도 모닝콜 설정과정에 도 6의 과정을 포함하여 모닝콜을 설정해야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상정보를 고려하여 모닝콜을 서비스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상예보에 따라 모닝콜 시간을 매번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를 없앨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상정보의 악천후 정도에 따라 모닝콜 시간을 달리하므로, 기상정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모닝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4)

  1.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닝콜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모닝콜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모닝콜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모닝콜이 설정되어있으면 기상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상정보의 수신시간이 악천후시 모닝콜 되도록 설정된 제2 모닝콜 시간에 임박했는가를 판단하여 상기 제2 모닝콜 시간에 임박한 기상정보이면 악천후 기상정보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악천후 기상정보이면 모닝콜 시간을 평상시 모닝콜 되도록 설정된 제1 모닝콜 시간에서 상기 제2 모닝콜 시간으로 재설정하여 상기 제2 모닝콜 시간에 모닝콜 하는 과정과;
    상기 악천후 기상정보가 아니면 상기 제1 모닝콜 시간에 모닝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닝콜을 설정하는 과정은 제1, 제2 모닝콜 시간과 알림음, 모닝콜 간격, 기상정보에 따라 모닝콜 시간을 변경할 것인지를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닝콜을 설정하는 과정은 악천후 기상정보의 정도에 따라 소정개의 제2 모닝콜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악천후 기상정보는 악천후 기상정보의 정도에 따라 대ㆍ중ㆍ소의 3단계로 나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닝콜 시간은 대ㆍ중ㆍ소의 3단계로 나뉘어진 기상정보의 정도에 따라 각각 시간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악천후 기상정보가 제2 모닝콜 시간이 경과하고 제2 모닝콜 시간전에 수신되면 그 즉시 모닝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1 항 또는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닝콜은 설정된 알림음을 울리며 모닝콜 시간대의 기상정보를 외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닝콜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모닝콜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모닝콜이 설정 되어있으면 현재시간을 확인하여 그 현재시간이 악천후시 모닝콜 되도록 설정된 제2 모닝콜 시간에 임박한 시간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제2 모닝콜 시간에 임박한 시간이면 기상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기상정보가 악천후 기상정보인가를 판단하여 악천후 기상정보이면 평상시 모닝콜 되도록 설정된 상기 제1 모닝콜 시간에서 상기 제2 모닝콜 시간으로 재설정하여 상기 제2 모닝콜 시간에 모닝콜 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기상정보가 악천후 기상정보가 아니면 상기 제1 모닝콜 시간에 모닝콜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닝콜을 설정하는 과정은 제1, 제2 모닝콜 시간과 알림음, 모닝콜 간격, 기상정보에 따라 모닝콜 시간을 변경할 것인지를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닝콜을 설정하는 과정은 악천후 기상정보의 정도에 따라 소정개의 제2 모닝콜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 기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악천후 기상정보는 악천후 기상정보의 정도에 따라 대ㆍ중ㆍ소의 3단계로 나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닝콜 시간은 대ㆍ중ㆍ소의 3단계로 나뉘어진 기상정보의 정도에 따라 각각 시간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악천후 기상정보가 제2 모닝콜 시간이 경과하고 제2 모닝콜 시간전에 수신되면 그 즉시 모닝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4. 제8 항 또는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닝콜은 설정된 알림음을 울리며 모닝콜 시간대의 기상정보를 외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30071420A 2003-10-14 2003-10-14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닝콜 서비스 방법 KR100678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420A KR100678111B1 (ko) 2003-10-14 2003-10-14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닝콜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420A KR100678111B1 (ko) 2003-10-14 2003-10-14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닝콜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696A KR20050035696A (ko) 2005-04-19
KR100678111B1 true KR100678111B1 (ko) 2007-02-01

Family

ID=37239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1420A KR100678111B1 (ko) 2003-10-14 2003-10-14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닝콜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1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794B1 (ko) * 2006-07-18 2008-06-13 이재영 휴대폰의 날씨 및 교통정보 연동 기상시간 가변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696A (ko) 2005-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301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휴대 단말기및 그 방법
US4933963A (en) Radio telephone apparatus
KR20040036320A (ko) 배경화면의 이미지파일을 변경할 수 있는 무선 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배경화면의 이미지파일 표시방법
CN107135305B (zh) 一种消息提醒方法、装置和终端
KR100539892B1 (ko) 표시부를 제어하기 위한 복합휴대단말장치 및 그 방법
KR100453160B1 (ko) 휴대폰용 전화기의 멀티 에쓰엠에쓰 전송 방법
KR10067811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닝콜 서비스 방법
KR100532314B1 (ko) 휴대폰의 개선된 알람음 발생방법
KR100745310B1 (ko) 휴대폰의 전력 소모 감축 방법
KR100345536B1 (ko) 휴대폰에서 요금 할인시간 표시 및 그 이용방법
KR10044826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모 입력 및 처리 방법
KR1007856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모닝콜 작동방법
KR100539155B1 (ko) 다음 알람 해제 방법
KR100605820B1 (ko) 피디에이 기능과 폰 기능을 구비한 피디에이폰에서사용자데이터 보호방법
KR10067744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이브리드 동작 제어방법
KR100762658B1 (ko) 휴대단말기에서 볼륨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1091245B1 (ko) 휴대단말기의 알람모드에서 수신알림 제한방법
KR10060581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방법
KR100490354B1 (ko)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절약 방법
KR100689509B1 (ko) 휴대폰에서 음악파일을 이용한 알람 장치 및 방법
KR100539897B1 (ko) 이동 통신단말기의 시간 정보 표시 방법
KR100605962B1 (ko) 휴대폰부와 개인정보단말부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제어하기 위한 복합휴대단말장치 및 그 방법
KR10063009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표시방법
KR100452139B1 (ko) 휴대용 전화기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KR100713467B1 (ko) 휴대단말기의 모드전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