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6291B1 - 전주고정식 저압 인류애자 - Google Patents

전주고정식 저압 인류애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6291B1
KR100826291B1 KR1020080011825A KR20080011825A KR100826291B1 KR 100826291 B1 KR100826291 B1 KR 100826291B1 KR 1020080011825 A KR1020080011825 A KR 1020080011825A KR 20080011825 A KR20080011825 A KR 20080011825A KR 100826291 B1 KR100826291 B1 KR 100826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ody
insulator
fixed
stopper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정환
Original Assignee
배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정환 filed Critical 배정환
Priority to KR1020080011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62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4Arrangements or devices for relieving mechanical ten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고정식 저압 인류애자에 관한 것으로, 전주(10)를 감싸 고정하는 벨트(110); 절곡된 띠 형상의 양단부가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탄성재질이면서 상기 양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일단부가 벨트(110)에 고정되는 탄성체(142)와, 상방으로 개구된 중공(141a)으로 탄성체(142)의 타단부가 삽입 고정되고 탄성체(142)와 마주하는 일면이 구배되어 하방으로 갈수록 탄성체(142)의 일단부로부터 멀어지도록 된 연결케이스(141)와, 탄성체(142)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면이 연결케이스(141)의 하방에 위치하며 말단에는 상방 돌출된 걸림돌부(143a)가 형성된 스토퍼(143)와, 스토퍼(143)가 탄성체(142)의 타단부 또는 연결케이스의 하단과 접하도록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힌지스프링(144)으로 된 고정대(140); 상기 연결케이스(141)에 고정되는 랙크(120); 및 상기 랙크(120)에 종방향으로 고정되는 애자체(130)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전주고정식 저압 인류애자{Insulator at the electric pole}
본 발명은 전주고정식 저압 인류애자에 관한 것이다.
저압 인류애자는 비교적 저압전류가 흐르는 배전선 또는 통신선 등을 절연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종래 인류애자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장클램프(200)에 고정되는 인입 전선(300)을 잡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인장클램프(200)는 인류바인드선(400)을 매개로 인류애자(100)의 애자체(130)와 연결되는데, 통상적으로 애자체(130)는 전주(10) 등에 고정되는 랙크(120)에 인류바인드선(400)과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고정축(131)으로 단단히 고정된다. 즉, 인류바인드선(400)이 애자체(130)를 감싸듯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전선(300)은 온도에 따라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는 재질이므로, 하절기에는 높은 외부온도에 의해 팽창하면서 하방으로 늘어질 수 있다.(화살표 참고) 그런데, 전선(300)이 늘어질 경우엔, 전선(300)의 장력이 약해지면서 애자체(130)를 감싸는 인류바인드선(400)의 조임이 완화되고, 전선(300)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지속적인 힘을 받게 되므로, 애자체(130)의 둘레부를 감싸는 인류바인드선(400)이 애자체(130)로부터 미끄러져서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물론, 이를 대비해 애 자체(130)의 둘레부에 오목홈을 형성시켜서 인류바인드선(400)이 쉽게 이탈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지만, 이는 완벽한 결합구조가 아니므로 이상고온에 의한 전선(400)의 팽창시에는 인류바인드선(400)이 애자체(130)로부터 이탈하여 분리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다.
미 설명된 인출번호 '110'는 벨트를 인출한 번호로, 애자체(130)를 지지하는 레크(120)와 연결되고, 전주(10)를 감싸면서, 인류애자(100)를 상기 전주(10)에 고정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온변화에 따른 전선의 길이변화시에도 인류바인드선이 애자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서, 전선의 안정적인 고정을 유지할 수 있는 전주고정식 저압 인류애자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주를 감싸 고정하는 벨트;
절곡된 띠 형상의 양단부가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탄성재질이면서 상기 양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일단부가 벨트에 고정되는 탄성체와, 상방으로 개구된 중공으로 탄성체의 타단부가 삽입 고정되고 탄성체와 마주하는 일면이 구배되어 하방으로 갈수록 탄성체의 일단부로부터 멀어지도록 된 연결케이스와, 탄성체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면이 연결케이스의 하방에 위치하며 말단에는 상방 돌출된 걸림돌부가 형성된 스토퍼와, 스토퍼가 탄성체의 타단부 또는 연결케이스의 하단과 접하도록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힌지스프링으로 된 고정대;
상기 연결케이스에 고정되는 랙크; 및
상기 랙크에 종방향으로 고정되는 애자체;
로 이루어진 전주고정식 저압 인류애자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탄성체에 의한 당김이 애자체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면서 전선의 길이변화에 따라 애자체의 위치를 변경하고, 이러한 위치변경은 인류바인드선이 받는 장력에 대응해 이루어짐으로서, 항시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류애자에 설치되는 고정대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류애자(100')는 전주(10)를 감싸 고정하는 벨트(110)와, 벨트(110)에 고정되는 랙크(120)와, 전선(300)을 고정한 인장클램프(200)의 인류바인드선(400)이 둘레면을 감싸 고정하고 상기 랙크(120)에 고정축(131)을 매개로 종방향으로 고정되는 애자체(130)와, 상기 벨트(110)와 랙크(120)를 탄발지지하는 고정대(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대(140)는, 'ㄴ' 형상으로 된 띠이고 양단부가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탄발하는 탄성재질이며 양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벨트(110)에 고정되는 탄성체(142)와, 상기 랙크(120)와 고정되고 탄성체(142)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중공(141a)을 갖는 연결케이스(141)와, 탄성체(142)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말단에는 탄성체(142)의 타단부를 걸어 잡는 걸림돌부(143a)를 갖는 스토퍼(143)와, 스토퍼(143)를 탄성체(142) 방향으로 밀어올리도록 탄발지지하는 힌지스프링(144)으로 구성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대(140)는 자체 탄성에 의해 양단부가 항시 접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서도(도 2 화살표 참조), 전선(300)이 가하는 장력에 의해 벌어지는데, 그 벌어지는 최대 폭은 스토퍼(143)의 길이로 제한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하도록 한다.
참고로, 탄성체(142)의 일단부에는 전주(10)에 고정된 벨트(110)와의 체결을 위해 체결구멍(142b)이 형성될 수 있고, 이 체결구멍(142b)으로 볼트 또는 핀과 같은 체결수단이 관통하면서, 이들을 매개로 탄성체(142)는 벨트(110)에 단단히 고정된다.
계속해서, 상기 연결케이스(141)는 상방으로 개구된 중공(141a)을 갖추고, 탄성체(142)와 마주하는 일면이 구배되어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이룬다. 즉, 상기 일면은 하방으로 갈수록 탄성체(142)의 일단부로부터 멀어지는 것이다. 한편, 연결케이스(141)의 하단면에는 관통구멍(141c)이 형성되는데, 이 관통구멍(141c)으로 탄성체(142)의 타단부가 관통한다. 이때, 상기 탄성체(142)의 타단부 말단에는 확장 성형된 걸림대(142a)가 구비되어서, 걸림대(142a)가 관통구멍(141c)으로 끼워지면 탄성체(142)와 연결케이스(141)는 이탈이 불가능하므로 상호 단단히 결합하게 된다.
상기 연결케이스(141)에서 탄성체(142)와 마주하는 구배된 일면에는 개구부(141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41b)는 체결구멍(142b)을 관통하는 체결수단의 돌출부가 인입출하면서 절곡된 탄성체(142)가 완전히 접하더라도 상기 돌출부와 연결케이스(141) 간의 무리한 접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결국, 상기 고정대(140)는 탄성체(142)의 동작이 연결케이스(141)에 그대로 전달되고, 스토퍼(143)는 탄성체(142)의 동작에 관계없이 힌지스프링(144)에 의해 탄성체(142)를 향해 탄발지지되므로, 스토퍼(143)의 상면은 탄성체(142)의 타단부 말단과 항시 접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류애자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류애자(100')는 전주(10)에 벨트(110)가 고정되고, 벨트(110)에 고정대(140)가 고정되며, 고정대(140)에 랙크(120)가 고정되는 한편, 랙크(120)에 애자체(130)가 고정된다. 즉, 상기 랙크(120)와 애자체(130)는 접철되는 고정대(140)에 의해 인류바인드선(400)의 인출방향을 상하로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인류애자(100')는 장력을 갖는 전선(300)을 잡아 지지한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절기에 수축되는 전선(300)이 비교적 큰 장력으로 애자체(130)를 당기면, 상기 장력보다 작은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142)는 장력에 의해 벌어진다. 그런데, 탄성체(142)가 상기 장력에 의해 무한정 벌어지면 안되므로, 스토퍼(143)의 걸림돌부(143a)는 탄성체(142)의 타단부 말단과 맞물리면서 탄성체(142)가 전선(300)의 장력으로 당겨지는 범위를 제한한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절기에 팽창되는 전선(300)은 애자체(130)에 가하는 장력이 상대적으로 약해지는 한편, 늘어지는 전선(300)으로 인해 하방으로 애자체(130)가 받는 힘의 방향이 변경된다. 결국, 전선(300)의 장력이 탄성체(142)의 탄발력 보다 작아지면서, 탄성체(142)의 양단부 간 거리는 좁아지고, 도시한 바와 같이 구배된 연결케이스(141)의 일면은 탄성체(142)의 일단부에 근접하면서 기울어지게 된다. 물론, 연결케이스(141)에 위치한 랙크(120) 및 애자체(130)는 하방으로 기울어지고, 이로 인해 전선(300)의 당김 방향과 고정축(131)이 상호 직각을 이루면서 인류바인드선(400)이 애자체(130)로부터 미끄러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전선(300)의 장력 약화에 대응해 전선(300)을 당기는 효과가 있으므로, 하절기 전선(300)의 늘어짐을 어느 정도 완화할 수 있고, 전선(300)의 당김 방향에 대응해 인류바인드선(400)의 방향에 변화를 줄 수 있으므로, 고정축(131)에 의해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애자체(130)가 편중된 외력을 받아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스토퍼(143)는 탄성체(142)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면서 그 상면이 탄성체(142)의 상면과 항시 접하도록 되므로, 탄성체(142)가 접히면서 연결케이스는 스토퍼(143)를 하방으로 밀어내게 되고, 결국 스토퍼(143)는 랙크(120) 및 애자체(130)의 움직임에 간섭을 주지 않아, 본 발명에 따른 인류애자(100')의 동작을 원활히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인류애자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류애자에 설치되는 고정대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류애자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

  1. 전주(10)를 감싸 고정하는 벨트(110);
    절곡된 띠 형상의 양단부가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탄성재질이면서 상기 양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일단부가 벨트(110)에 고정되는 탄성체(142)와, 상방으로 개구된 중공(141a)으로 탄성체(142)의 타단부가 삽입 고정되고 탄성체(142)와 마주하는 일면이 구배되어 하방으로 갈수록 탄성체(142)의 일단부로부터 멀어지도록 된 연결케이스(141)와, 탄성체(142)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면이 연결케이스(141)의 하방에 위치하며 말단에는 상방 돌출된 걸림돌부(143a)가 형성된 스토퍼(143)와, 스토퍼(143)가 탄성체(142)의 타단부 또는 연결케이스의 하단과 접하도록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힌지스프링(144)으로 된 고정대(140);
    상기 연결케이스(141)에 고정되는 랙크(120); 및
    상기 랙크(120)에 종방향으로 고정되는 애자체(13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고정식 저압 인류애자.
KR1020080011825A 2008-02-05 2008-02-05 전주고정식 저압 인류애자 KR100826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825A KR100826291B1 (ko) 2008-02-05 2008-02-05 전주고정식 저압 인류애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825A KR100826291B1 (ko) 2008-02-05 2008-02-05 전주고정식 저압 인류애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6291B1 true KR100826291B1 (ko) 2008-04-29

Family

ID=39572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825A KR100826291B1 (ko) 2008-02-05 2008-02-05 전주고정식 저압 인류애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62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8409A (ko) * 2003-07-16 2005-01-21 박경조 통신케이블 가설용 조가선 긴장 조절장치
JP2007209147A (ja) 2006-02-03 2007-08-16 Asahi Kasei Homes Kk U字型金物取付構造
JP2007228786A (ja) 2006-01-27 2007-09-0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腕金固定構造及び腕金固定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8409A (ko) * 2003-07-16 2005-01-21 박경조 통신케이블 가설용 조가선 긴장 조절장치
JP2007228786A (ja) 2006-01-27 2007-09-0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腕金固定構造及び腕金固定方法
JP2007209147A (ja) 2006-02-03 2007-08-16 Asahi Kasei Homes Kk U字型金物取付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0457B1 (ko) 배전용 전주의 배전선 지지완철
US9016639B2 (en) Fixation clip
KR100827751B1 (ko) 배전용 전주의 배전선 지지완철
KR101801158B1 (ko) 송배전용 가공전선의 철탑내 고정구조
KR100826291B1 (ko) 전주고정식 저압 인류애자
KR100826281B1 (ko) 전신주의 애자 고정형 완철
KR100845259B1 (ko) 가공전선의 절연식 저압가선용 랙크
KR100840355B1 (ko) 인류애자를 탑재한 배전전주
KR100830200B1 (ko) 가공전선의 절연용 랙크를 갖춘 전신주
KR102266055B1 (ko) 배전용 전주의 배전선 탄성 지지완철
GB2548169A (en) Cable tie wall hanging system
US11649839B2 (en) Cable hook of a fixing device for a trampoline
KR100873518B1 (ko) 송배전용 라인포스트애자의 케이블 거치대
KR100715002B1 (ko) 전신주의 가변장력 조절을 위한 배치구조
KR100702509B1 (ko) 배전형 전신주의 전선 연결구조
KR100840356B1 (ko)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US1984241A (en) Self-binding wire clamp
KR101113640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RU16165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кабелей
KR101706788B1 (ko) 애자와 연결되는 장치
KR200448438Y1 (ko) 지상개폐기의 케이블 지지고정장치
RU202253U1 (ru) Изолятор
US2468035A (en) Wire retaining device
KR101142042B1 (ko) 신축가능한 헬리컬코일부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용다단안테나
KR200410661Y1 (ko) 신축가능한 헬리컬코일부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용다단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