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5419B1 - 기체-액체 접촉 장치 - Google Patents

기체-액체 접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5419B1
KR100825419B1 KR1020067012724A KR20067012724A KR100825419B1 KR 100825419 B1 KR100825419 B1 KR 100825419B1 KR 1020067012724 A KR1020067012724 A KR 1020067012724A KR 20067012724 A KR20067012724 A KR 20067012724A KR 100825419 B1 KR100825419 B1 KR 100825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ducts
duct
gas
perfo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9236A (ko
Inventor
애덤 티. 리
프란시스 더블유. 레몬
Original Assignee
에이엠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엠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이엠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067012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5419B1/ko
Publication of KR20060129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16Fractionating columns in which vapour bubbles through liquid
    • B01D3/18Fractionating columns in which vapour bubbles through liquid with horizontal bubble plates
    • B01D3/20Bubble caps; Risers for vapour; Discharge pipe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16Fractionating columns in which vapour bubbles through liquid
    • B01D3/22Fractionating columns in which vapour bubbles through liquid with horizontal sieve plates or grids; Construction of sieve plates or gr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바로 아래의 트레이 부위들의 중앙 영역으로 액체를 전달하는 격자 모양의 패턴을 가지는 하방통로(downcomer)들에 의해 분할된 천공된 트레이들(14,15)이 포함된 기체-액체 접촉 장치가 제공된다. 예컨대 2개와 같은 짝수(X-1)개의 평행한 하방통로들에 대해 수직인 예컨대 3개와 같은 홀수(X)개의 평행한 하방통로들이 설치되어 인접하는 트레이들이 직각으로 방향이 바뀌어서 그 상부 트레이(14)의 하방통로들(26)이 그 하부 트레이(15)의 하방통로들 사이의 중앙에 연장된다. 상기 하방통로들(26)은 정체된 액체 영역을 감소시키며, 액체를 상기 트레이들 위에 더욱 고르게 분포시키며, 더욱 긴 유동 경로를 그 트레이들 위에 제공하도록 한다.

Description

기체-액체 접촉 장치{A gas-liquid conta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기체-액체 접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질을 내려 보내는 하방통로(downcomer)들을 구비한 천공된(perforated) 트레이들은 기체와 액체를 접촉시키는 산업용 컬럼(industrial column)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내장부품이다. 그러한 컬럼에서, 액체는 하방통로를 통과하여 트레이에서 트레이로 하방으로 흐르고, 기체는 트레이들을 통과하여 상방으로 침투하며 그 위의 액체에 기포들을 형성한다.
1968년 11월 12일자로 등록된 미국 특허 제3,410,540(발명자:브룩커트,Bruckert)는 다수의 하방통로(downcomer)들을 가지는 천공된 트레이들을 서술하고 있다. 이러한 트레이들과 함께, 다수의 하방통로(downcomer)들, 예컨대 5개의 하방통로(downcomer)들은 상기 트레이를 가로지르는 평행한 경로를 따라 연장되며, 대체로 그 컬럼 내부에서 균등하게 이격되어 있다. "Performance of Multiple Downcomer Trays(W.V. Delivicki, J.J. Wagner, Chemical Engineering Progress Vol.66,No.3, 1970년 3월 3일, 50-55쪽)" 및 "MD Trays Can Provide Savings in Propylene Purification(R.D. Kirkpatric, Petrochemicals, The Oil and Gas Journal, 1978년 4월 3일)"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트레이들의 다수의 하방통로(downcomer)들은, 서로 직각을 이룬 경로를 따라 연장되어 그 하방통로(downcomer)들의 출구들이 액체를 아래의 트레이로 유도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요약하면, 다수의 하방통로(downcomer) 트레이들은 하단의 배출구 위에 형성된 액체 밀봉부를 가지고 있어서 밀봉 목적으로 어떤 트레이 영역을 사용하는 것을 피하여, 그 트레이의 활동적인 영역을 증가시키고, 그 트레이들을 가로지르는 더 짧은 액체 유동 경로들을 사용하여, 상기 트레이들 위에 발생하는 수압 구배를 줄이며, 액체량을 더 많은 수의 하방통로로 분산시켜 더 넓은 범위의 액체와 기체 유동율에 대하여 거품 높이를 더 잘 조절하도록 하여 성능범위를 향상시키고, 그 하방통로(downcomer)들이 상기 트레이를 위한 주요한 받침대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다수의 하방통로(downcomer) 트레이들이 그 기술분야에서 발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하방통로들은 그 트레이들을 가로지르는 액체 유동과 관련하여 아래쪽 트레이에 정체된 영역을 초래하여 액체 유동 분포를 열악하게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미국 특허 제5,382,390호(1995년, 1월 17일, M.R. Resetarits and M.J. Lockett)는 기체를 가장 가까운 하방통로(downcomer)들로 향하게 하고 거품 높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기체 유도 슬롯들을 트레이에 설치함으로써 이 문제를 최소화하는 것을 가르치고 있다.
상기 가스 유도 슬롯들이 정체된 액체 유동을 어느 정도 줄여준다 할지라도, 여전히 그 트레이들에 정체된 액체 영역이 형성되는 것이 실질적으로 감소 되는 기체-액체 접촉 장치에 대한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a) 상단부에 액체입구와 기체출구를 구비하며, 하단부에 기체입구와 액체출구를 구비하며, 상방으로 연장된 케이싱;
b) 각 트레이 조립체가 천공된 시트들의 배열을 포함하며, 적어도 그 시트의 대부분은 액체를 받아들이는 통로인 격자 모양의 패턴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다른 높이로 상기 케이싱을 분할하는 다수의 천공된 트레이 조립체들;
c) 상기 통로들의 각 형상에 대하여,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그 통로들을 에워싸서 분리된 천공된 시트부들로부터 액체를 받아들이기 위한 하방통로 댐과 덕트 수단들; 및
d) 상기 덕트부의 액체 밀봉을 유지하고 액체를 상기 덕트부로부터 그 바로 아래의 천공된 각 시트부의 중앙 영역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댐과 덕트 수단의 덕트부에 부착된 액체 전달 수단; 을 포함하는 기체-액체 접촉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트레이 조립체의 상기 댐과 덕트 수단의 일부가 바로 아래의 상기 천공된 시트들의 상기 중앙 영역과 교차할 수 있다.
상기 댐과 덕트수단의 덕트부들은 바로 아래의 상기 트레이 조립체에 액체의 유동을 더욱 고르게 분포시키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자 모양의 패턴은 정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인접한 트레이 조립체의 덕트부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인접한 트레이 조립체들의 덕트부들은 상호 횡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덕트부는,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홀수(X) 개의 평행한 덕트들로 형성되고 그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짝수(X-1) 개의 평행한 덕트들에 의해 교차된 격자 패턴을 따르며, 그 덕트들은 서로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균등하게 이격되어 있으며, 서로 수직하게 연장된 인접한 트레이 조립체들의 홀수의 덕트들을 가져서 상부의 트레이 조립체들의 덕트들이 바로 아래의 상기 트레이 조립체의 천공된 시트들의 중앙 영역을 통과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 덕트들은 관통로며, 상기 액체 전달 수단은 상기 관통로의 바닥에 위치한 그릴들일 수 있다.
상기 상방으로 연장된 케이싱은 평면도 상에서 원형이며, 상기 액체 전달 수단은 상기 천공된 트레이 조립체의 구분된 형상부들 위로 연장된 덕트의 양측부들에 부착된 위가 막힌 케이싱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각 위가 막힌 케이싱의 내부는, 상기 덕트의 내부로 개방되어 있어서 그 덕트의 내부로부터 액체를 받고, 그 액체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개방된 바닥을 가지며, 각 개방된 바닥 위로 그릴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그릴은 그 그릴이 부착된 덕트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지르도록 연장된 슬롯들을 가질 수 있다.
인접한 덕트들 사이의 거리는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일련의 구멍들의 형태로 된 액체 통로가 상기 댐부들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X-1 개의 평행한 덕트들의 상기 댐부들의 단부들은 상기 X 개의 덕트들의 댐부들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X-1 개의 평행한 덕트들의 주위에 액체 통로들이 설치될 수 있다.
천공된 측벽을 가지는 집수 트레이들이 상기 그릴들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
액체 유동 분배용 조절판이 상기 댐과 덕트 수단의 댐부들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이 원형일 때, 상기 3개의 덕트들의 외부 것들의 단부들은 평면도 상에서 상기 3개의 덕트들의 외부의 것들이 평면도 상에서 상기 케이싱의 곡률을 근접하게 따르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이 명세서에서, 격자 모양의 패턴들은 ⅰ) 액체를 받아들이는 통로들이 격자 교차점에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ⅱ) 액체를 받아들이는 통로들은 격자 교차 전에 끝나도록 된 격자 모양의 패턴들을 포함하고 있다.
예로써 동반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서술하는 도면들에 있어서,
도 1은 기체-액체 접촉 장치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2개의 천공된 트레이 조립체들의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측(Ⅲ 방향)에서 본 천공된 트레이의 상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Ⅳ-Ⅳ 선에 따른 주위에 케이싱이 구비된 천공된 트레이 조립체 바닥의 개략적인 하측 단면도이다.
이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a) 상단부(6)에 액체입구(2)와 기체출구(4)를 구비하며, 하단부(12)에 기체입구(8)와 액체출구(10)를 구비하고, 상방으로 연장된 케이싱(1)(도 1);
b) 각 트레이 조립체(14 내지 17)가 천공된 시트들(18 내지 25)(도 2)의 배열을 포함하며, 적어도 그 시트들의 대부분은 액체를 받아들이는 통로(26)인 격자 모양의 패턴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단부(6)와 하단부(12) 사이에 다른 높이로 상기 케이싱(1)을 분할하며, 일반적으로 도면에서 참조번호 (14) 내지 (17)로 지시된 다수의 천공된 트레이 조립체들;
c) 상기 통로(26)들의 각 형상에 대하여,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그 통로들을 에워싸서 분리된 천공된 시트들(18 내지 25)로부터 액체를 받아들이기 위한, 일반적으로 도면에서 (28)로 지시된, 하방통로 댐과 덕트 수단들; 및
d) 덕트부(31)의 액체 밀봉을 유지시키고, 각 상부 트레이 조립체(14 내지 16)가 액체를 상기 덕트부(31)로부터 그 바로 아래의 천공된(perforated) 각 시트(18 내지 25)(도 2)의 중앙 영역으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댐과 덕트 수단(28)의 덕트부(31)에 부착된 그릴(34 내지 41)(도 3 및 도 4) 형태로 된 액체 전달 수단; 을 포함하는 기체-액체 접촉 장치가 보여지고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각 상부 트레이 조립체(14 내지 16)의 댐 및 덕트 수단(28)의 일부는 바로 아래의 상기 천공된 시트들(18 내지 25)(도 2)의 중앙 영역과 교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 및 덕트 수단(28)의 덕트부(31)는 액체 유동을 상기 트레이 조립체(15 내지 17)들에 더욱 고르게 분포시키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 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격자 모양의 패턴이 정사각형 형상인 것으로 서술되었으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그것은 예컨대 다이아몬드 형상이 될 수도 있다.
격자 패턴의 이점은 모든 패턴들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로 아래의 상기 천공된 시트들(18 내지 28)의 중앙 영역 상에서 인접하는 트레이 조립체들(15 내지 17)의 격자 패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상호 횡적으로 이격되어 연장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상기 중앙 영역으로의 액체의 전달을 용이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댐 및 덕트 수단(28)은 한 방향으로 연장된 홀수개(X)의 평행한 덕트들(42 내지 44)(본 실시예에서는 3개)을 포함하는 덕트부(31)가 구비된 격자 패턴을 따르며, 상기 홀수개(X)의 평행한 덕트들(42 내지 44)은 짝수개(X-1)(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상기 홀수개 덕트들의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평행한 덕트들(46 내지 49)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덕트들(42 내지 44 및 46 내지 49)은 서로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균등하게 이격되어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인접한 트레이 조립체들(14 내지 17)을 회전시킴으로써, 인접한 트레이 조립체들(14 내지 17)의 덕트들(42 내지 44 및 46 내지 49)이 서로 수직하게 놓이게 하여, 상기 상부 트레이 조립체들(14 내지 16)(도 1)이 바로 아래의 트레이 조립체들(15 내지 17)의 천공된 시트들(18 내지 25)의 중앙 영역 위를 통과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덕트들(42 내지 44)과 다른 덕트들(46 및 47 또는 48 및 49)의 비율이 3:2인 예를 들었지만, 더 큰 케이싱(1)에는 더 많은 수의 덕트가 사용된다.
도 4는 상기 트레이 조립체 위 아래로 액체를 더욱 고르게 분포시키도록 서로 연결된 덕트들(42 내지 44 및 46 내지 49)을 보여준다.
상방으로 연장된 케이싱(1)(도 4)은 평면도 상에서 원형이며, 그릴(34 내지 41)(도 3 및 4) 형태로 된 상기 액체 전달 수단은 덕트들(42 내지 44)의 일부의 옆에 부착된 도면에서 (50) 내지 (57)로 지시된 위가 막힌 케이싱들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그 케이싱들은 천공된 트레이 조립체들(15 내지 17)의 구분된 형상의 천공된 시트들(18 및 25)(도 2 내지 도 3)위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아래에는, 각 위가 막힌 케이싱(50 내지 57)의 내부는 액체를 받아들이기 위해 부착되며 덕트들(42 내지 44 및 46 내지 49)의 액체 밀봉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바닥에 액체 출구 그릴(58)을 가지는 덕트들(42 내지 44)의 내부에 대해 개방되어 있다.
일련의 구멍들(60)(도 2) 형태로 된 액체 통로들이 상기 댐부(30)를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액체 배출 구멍들(60)(도 2)은 시동중에 상기 덕트들(42 내지 44 및 상기 46 내지 49)로 액체를 전달한다. 상기 덕트들(46 내지 49)의 댐부(30)들의 단부들은 상기 액체가 그 덕트들 주위를 유동하여 그 액체가 상기 천공된 시트(19 내지 21 및 20 내지 24) 사이에 더욱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기 위한 경로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덕트들(42 내지 44)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기 천공된 시트들(18 내지 25)은 상기 덕트들(42 내지 44 및 46 내지 49)의 옆에 부착되고 그 옆을 따라 연장된 선반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천공된 측벽을 가지는 액체 분포용 집수 트레이(66)(도 2)들이 천공된 시트들(19 내지 24) 위로 액체를 분포시키는 것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그릴들(34 내지 41 및 58)(도 3) 아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집수 트레이들(66)의 측벽은 확장된 금속 시트일 수 있다.
도 2에서 (68) 내지 (77)로 지시된 조절판(baffle)들이 액체 유동을 상기 댐부(30)에 더욱 고르게 분포시키기 위하여 그 댐부(30)에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부가적인 그릴들(80 내지 87)(도 3 및 도4)이 상기 덕트들(46 내지 49)에 상기 천공된 시트들(18 내지 25)의 위 아래로 더욱 액체를 고르게 분포시키기 위하여 상기 집수 트레이(66)(도 2)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상기 덕트들(42 및 44)의 단부들(90 내지 93)(도 2)은 이 덕트들(42 내지 44)의 더 긴 측단에서 댐부(30)로 액체를 더 잘 분포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평면도 상에서 상기 케이싱(1)의 곡률을 근접하게 따라가도록 구부러져 있다.
작동중에, 도 1에서 액체입구(2)에 의해 상기 케이싱(1)에 공급된 액체는, 기체입구(8)에 의해 공급된 기체가 상기 천공된 트레이 조립체들(14 내지 17)에서 상기 구멍들을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하는 동안에, 상기 천공된 트레이 조립체(14)에 분포되어 있다.
도 2에서 상기 트레이 조립체(14)에 분포된 액체는 상기 천공된 시트부들(18 내지 25)을 가로질러 배출 통로망(26)으로 흐른다. 상기 액체가 상기 천공된 시트부들(18 내지 25)을 가로질러 흐를 때, 그 시트부들에는 상기 구멍들을 통하여 상 방으로 유동하는 기체에 의해 거품이 발생된다. 낮은 유동속도로 작동하는 시동과정에서, 거품화된 액체는 상기 액체 배출 구멍(60)들을 통하여 흐른다. 상기 거품화된 액체가 바람직한 깊이에 도달한 때, 그 액체는 상기 댐부(30)에서 넘쳐서, 상기 하방통로 덕트 수단(28)으로 배출된다.
도 3에서 상기 그릴들(34 내지 41)은 액체가 넘칠 때 상기 그릴들(34 내지 41) 위에 있는 상기 덕트 수단(28)의 액체 밀봉이 유지되도록 유동의 제한을 형성한다.
도 2에서 상기 그릴들(34 내지 41)로부터 배출된 액체는 액체가 하방통로 덕트 수단(28)으로 흐르면서 도 1에 도시된 액체의 기포화 공정이 반복되며 그 오버플로우 공정이 다시 반복되는 천공된 시트 조립체(15)의 상기 천공된 시트부들(18 내지 25)의 중앙 영역에 떨어진다.
이 공정은 모든 천공된 트레이 조립체들에 대해 상기 액체가 최종적으로 상기 케이싱(1)(도 1)의 바닥에 모일 때까지 반복되며, 상방으로 유동하는 기체가 상기 기체출구(4)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을 빠져나가는 한편, 액체는 액체출구(10)를 통해 그곳으로부터 배출된다.
도 3에서 상기 덕트 수단(28)으로부터 상기 그릴들(34 내지 41) 밖으로 유동하는 액체는 상기 천공된 시트부들(18 내지 25)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모든 방향으로 흐르며, 상기 액체의 분포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며, 종래의 천공된 트레이들에서 발생되는 정체된 유동 영역을 실질적으로 제거한다. 다른 바람직한 특징은 상기 액체 유동 경로들이 종래의 천공된 트레이 조립체들보다 상당히 길며,더욱 향상된 기 체-액체 접촉을 달성한다는 점이다.
도 2에서 (22)로 지시된 바와 같은 구분된 형상의 천공된 시트부들 상에서의 이러한 액체의 분포의 균일성은 그릴(58)에 고정되는 도면에서 (50) 내지 (57)로 지시된 닫힌 상부 케이싱들이 설치되면 더욱 향상된다.
부가적인 그릴들(80 내지 87)을 설치하면 상기 천공된 시트들(18 내지 25)의 위 아래의 액체의 분포를 향상시킨다.
상기 그릴들(34 내지 41, 58 그리고 80 내지 87) 아래에 있는 집수 트레이들(66)은 그 트레이들이 위치한 상기 천공된 시트부들에 더욱 향상된 액체의 분포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조절판들(68 내지 78)의 높이 및 폭은 상기 댐부(30)에 액체 유동을 더 고르게 분포시키도록 선택되어 진다.
상기 덕트들(42 내지 44 및 46 내지 49)의 계단부(64)들은 그 덕트들로 유동하는 액체의 낙하를, 특히 액체 유동이 느린 시동 시간에서, 방해하며, 상기 덕트들(42 내지 44 및 46 내지 49) 내에서 액체 밀봉을 용이하게 한다는 점을 인식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인접한 하방통로들이 서로 평행하지 않고, 예컨대, 발산되는 경로들을 따라 연장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방통로들이 직선 경로들을 따라 연장되지 않고, 대신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곡선들, 각도들, 또는 어떤 다른 방식으로 구부러진 곡선들을 포함하는 경로들을 따라서 연장될 수도 있다.
상기 덕트 수단(28)으로부터 상기 그릴들(34 내지 41) 밖으로 유동하는 액체는 상기 천공된 시트부들(18 내지 25)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모든 방향으로 흐르며, 상기 액체의 분포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며, 종래의 천공된 트레이들에서 발생되는 정체된 유동 영역을 실질적으로 제거한다. 다른 바람직한 특징은 상기 액체 유동 경로들이 종래의 천공된 트레이 조립체들보다 상당히 길며,더욱 향상된 기체-액체 접촉을 달성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2에서 (22)로 지시된 바와 같은 구분된 형상의 천공된 시트부들 상에서의 이러한 액체의 분포의 균일성은 그릴(58)에 고정되는 도면에서 (50) 내지 (57)로 지시된 닫힌 상부 케이싱들이 설치되면 더욱 향상되며, 부가적인 그릴들(80 내지 87)을 설치하면 상기 천공된 시트들(18 내지 25)의 위 아래의 액체의 분포를 향상시킨다.
상기 그릴들(34 내지 41, 58 그리고 80 내지 87) 아래에 있는 집수 트레이들(66)은 그 트레이들이 위치한 상기 천공된 시트부들에 더욱 향상된 액체의 분포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조절판들(68 내지 78)의 높이 및 폭은 상기 댐부(30)에 액체 유동을 더 고르게 분포시키도록 선택되어 질 수 있으며, 상기 덕트들(42 내지 44 및 46 내지 49)의 계단부(64)들은 그 덕트들로 유동하는 액체의 낙하를 특히 액체 유동이 느린 시동 시간에서 방해하며 상기 덕트들(42 내지 44 및 46 내지 49) 내에서 액체 밀봉을 용이하게 한다는 점을 인식하여야 한다.

Claims (14)

  1. a) 상단부에 액체입구와 기체출구를 구비하며, 하단부에 기체입구와 액체출구를 구비하며, 상방으로 연장된 케이싱;
    b) 각 트레이 조립체가 천공된 시트들의 배열을 포함하며, 적어도 그 시트들의 대부분은 액체를 받아들이는 통로인 격자 모양의 패턴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다른 높이로 상기 케이싱을 분할하는 다수의 천공된 트레이 조립체들;
    c) 상기 통로들의 각 형상에 대하여,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그 통로들을 에워싸서 분리된 천공된 시트부들로부터 액체를 받아들이기 위한 하방통로 댐과 덕트 수단들; 및
    d) 상기 덕트부의 액체 밀봉을 유지하고 액체를 상기 덕트부로부터 그 바로 아래의 천공된 각 시트부의 중앙 영역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댐과 덕트 수단의 덕트부에 부착된 액체 전달 수단; 을 포함하는 기체-액체 접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조립체의 상기 댐과 덕트 수단의 일부가 바로 아래의 상기 천공된 시트들의 중앙 영역과 교차하는 기체-액체 접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과 덕트수단의 덕트부들은 바로 아래의 상기 트레이 조립체에 액체의 유동을 더욱 고르게 분포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기체-액체 접촉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모양의 패턴은 정사각형 형상인 기체-액체 접촉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인접한 트레이 조립체의 덕트부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인접한 트레이 조립체들의 덕트부들은 상호 횡적으로 이격된 기체-액체 접촉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홀수(X) 개의 평행한 덕트들로 형성되고 그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짝수(X-1) 개의 평행한 덕트들에 의해 교차된 격자 패턴을 따르며, 그 덕트들은 서로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균등하게 이격되어 있으며, 서로 수직하게 연장된 인접한 트레이 조립체들의 홀수의 덕트들을 가져서 상부의 트레이 조립체들의 덕트들이 바로 아래의 상기 트레이 조립체의 천공된 시트들의 중앙 영역을 통과하도록 된 기체-액체 접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들은 관통로며, 상기 액체 전달 수단은 상기 관통로의 바닥에 위치한 그릴들인 기체-액체 접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으로 연장된 케이싱은 평면도 상에서 원형이며, 상기 액체 전달 수단은 상기 천공된 트레이 조립체의 구분된 형상부들 위로 연장된 덕트의 양측부들에 부착된 위가 막힌 케이싱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각 위가 막힌 케이싱의 내부는, 상기 덕트의 내부로 개방되어 있어서 그 덕트의 내부로부터 액체를 받고, 그 액체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개방된 바닥을 가지며, 각 개방된 바닥 위로 그릴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그릴은 그 그릴이 부착된 덕트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지르도록 연장된 슬롯들을 가지는 기체-액체 접촉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인접한 덕트들 사이의 거리가 균일한 기체-액체 접촉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일련의 구멍들의 형태로 된 액체 통로가 댐부들에 설치되어 있는 기체-액체 접촉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X-1 개의 평행한 덕트들의 상기 댐부들의 단부들은 상기 X 개의 덕트들의 댐부들로부터 이격되어 천공된 판을 노출시키며, 일련의 구멍들이 구비되며, 그 구멍들은 천공된 판에서 X-1개의 덕트들의 측면을 따라서 연장되어 노출된 기체-액체 접촉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들 아래에 천공된 측벽을 가지는 집수 트레이들을 더 포함하는 기체-액체 접촉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과 덕트 수단의 댐부들에 액체 유동 분포용 조절판을 더 포함하는 기체-액체 접촉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덕트들의 외부 것들의 단부들은 평면도 상에서 상기 3개의 덕트들의 외부의 것들이 평면도 상에서 상기 케이싱의 곡률을 근접하게 따르도록 구부러진 각도를 근접하게 따르도록 구부러진 기체-액체 접촉 장치.
KR1020067012724A 2006-06-23 2003-12-31 기체-액체 접촉 장치 KR100825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2724A KR100825419B1 (ko) 2006-06-23 2003-12-31 기체-액체 접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2724A KR100825419B1 (ko) 2006-06-23 2003-12-31 기체-액체 접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236A KR20060129236A (ko) 2006-12-15
KR100825419B1 true KR100825419B1 (ko) 2008-04-29

Family

ID=37731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724A KR100825419B1 (ko) 2006-06-23 2003-12-31 기체-액체 접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54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8963A3 (en) * 2008-07-18 2011-03-24 Uop Llc Downcomer for a gas-liquid contact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10540A (en) 1964-11-09 1968-11-12 Union Carbide Corp Vapor-liquid contact system and method
US5382390A (en) 1990-09-10 1995-01-17 Uop Multiple-downcomer fractionation tray with vapor directing slots and extended downcomer baffles
KR100263880B1 (ko) 1997-11-21 2000-08-16 윤종용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밸런서
KR100273813B1 (ko) 1992-09-28 2001-04-02 브래들리 이. 해독 기체-액체 접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10540A (en) 1964-11-09 1968-11-12 Union Carbide Corp Vapor-liquid contact system and method
US5382390A (en) 1990-09-10 1995-01-17 Uop Multiple-downcomer fractionation tray with vapor directing slots and extended downcomer baffles
KR100273813B1 (ko) 1992-09-28 2001-04-02 브래들리 이. 해독 기체-액체 접촉장치
KR100263880B1 (ko) 1997-11-21 2000-08-16 윤종용 디스크 플레이어용 자기보상형 밸런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8963A3 (en) * 2008-07-18 2011-03-24 Uop Llc Downcomer for a gas-liquid contac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236A (ko) 2006-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0000A (en) Apparatus for contacting a liquid with a gas
RU2134138C1 (ru) Узел с тарелкой и сливным стаканом колонны для контактирования газа и жидкости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выпуска пара через зону колонны (варианты)
KR930012026B1 (ko) 충전탑의 액체분산장치
JP4245925B2 (ja) 物質移動カラムの液体分配装置並びに取付け及び使用の方法
CN1033423C (zh) 降液管-塔盘组件
JP4068053B2 (ja) ダウンカマーステップ装置並びにダウンカマーステップ装置を利用した蒸気−液体接触装置および方法
KR20010023681A (ko) 기액 접촉 트레이용 강수관
EP2516031B1 (en) Liquid distribution trough for use in towers in sulphuric acid and carbon capture plants
JPS6116481B2 (ko)
EP0782877B1 (en) Improved liquid distributor for packed columns
CZ93596A3 (en) Highly effective system of a tray with a plurality of production chemical column diverters
KR20010012453A (ko) 2단 하강유로를 구비한 기액 접촉 트레이
JPH09512480A (ja) 蒸気−液体接触トレイと降水管組立体及びその使用方法
EP1316345B3 (en) Liquid distributor with internal baffling
JP4500925B2 (ja) 蒸気/液体接触装置
US6746003B2 (en) Gas-liquid contacting apparatus
KR20090035742A (ko) 액체 분배용 장치 및 액체 분배 방법
KR100825419B1 (ko) 기체-액체 접촉 장치
EP1711243B1 (en) A gas-liquid contacting apparatus
US7510173B2 (en) Gas-liquid contacting tray
JPH0616802B2 (ja) 気液接触塔
GB2145012A (en) Gas/liquid contact apparatus
KR20000005244A (ko) 대용량 증기-액체 접촉 트레이
GB1566922A (en) Cylindrical multi-fan conterflow cooling tower
JPH10325694A (ja) 液体分配器用整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