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5373B1 - Superstructure for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uperstructure for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5373B1
KR100825373B1 KR1020070134313A KR20070134313A KR100825373B1 KR 100825373 B1 KR100825373 B1 KR 100825373B1 KR 1020070134313 A KR1020070134313 A KR 1020070134313A KR 20070134313 A KR20070134313 A KR 20070134313A KR 100825373 B1 KR100825373 B1 KR 100825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ridge
uppe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43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현
Original Assignee
코벡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벡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벡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4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537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3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40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An upper structure for a bridge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an upper structure for a bridge are provided to reduce manpower at work and to obtain wanted stiffness, and to prevent the deflection of a girder and to make maintenance work easy by mounting a plate functioning as a form without timbering between flanges of adjacent girders and unifying the girder and the form, thereby constructing an upper structure of a bridge. A construction method of an upper structure for a bridge comprises the steps of: arranging at least two girders in a row(S100); installing a plate functioning as a non-timbering form between lower frames of the adjacent girders using a fixture(S200); reinforcing the top of the plate with a stud, or, a reinforcing bar together with a stud(S210); placing a slab on the girder and the plate(S300); and after hardening the slab, removing the plate, or, the plate and a horizontal support from the upper structure(S400). An upper structure for a bridge includes at least two girders arranged in a row, a plate functioning as a non-timbering form installed between lower flanges of the girders by a fixture, and a slab formed on the girder and the plate.

Description

교량용 상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Superstructure for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Superstructure for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교량용 상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형과 거푸집의 일체화로 강성의 증대 및 지지 동바리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교량용 상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per structure for bridges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to increase work efficiency because the rigidity and support group work do not need to be increased by the integration of molds and formwork, and the construction thereof. It is about a method.

일반적으로 교량은 급속한 산업 발달과 함께 수송 수단의 일부로서 주요 도로나 철도 시설물로서 토목 공사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In general, bridges are an important part of civil engineering work as a major road or railway facility as part of transportation with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이러한 교량은, 첨부도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제로 차량이나 철도차량 또는 사람들이 지나다니는 상부 구조물(110)과, 이 상부구조물을 지지하여 하중을 지반으로 분산시켜 주는 하부구조물(120)로 대별된다.As shown in FIG. 1, the bridge is actually an upper structure 110 through which a vehicle, a railway vehicle, or people pass, and a lower structure 120 that supports the upper structure and distributes the load to the ground. It is rough.

하부구조물(120)은 보통 상부구조물(110)을 받혀 주는 형태에 따른 교대(121) 또는 교각(122), 그리고 교대나 교각 하부에서 지면과 접하는 기초(123: footing)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첨부도면 도 1에서는 교대(121)와 교각(122)을 같은 구성을 보여 주고 있으나, 교대(121)는 옹벽 형태의 것을 의미하고, 교 각(122)은 기둥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의미한다.The undercarriage 120 may be divided into an alternating portion 121 or a pier 122 according to a form supporting the upper structure 110, and a footing portion 123 contacting the ground at the lower portion or the pier.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hift 121 and the pier 122 are shown in the same configuration, but the shift 121 is a retaining wall, and the pier 122 is formed in a pillar shape.

상부구조물(110)은 하부구조물(120) 위에 가설되는데, 크게 슬래브 구조와, 거더 구조와, 트러스 구조와, 라아멘 구조 등으로 나눌 수 있다.The upper structure 110 is hypothesized on the lower structure 120, i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slab structure, a girder structure, a truss structure, a ramen structure and the like.

특히, 거더 타입의 교량은, 상부구조물(110)에 있어서, 위로 자동차나 열차 등이 지나다니는 슬래브(10)와, 이 슬래브(10)에 가해지는 교통 하중을 하부구조물(120)로 분산시켜 주는 거더(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교량이 대형인 경우는 메인 거더라고 하는 구조체를 더 구성하기도 한다.In particular, the girder-type bridge, in the upper structure 110, the slab 10 through which a car or a train passes, and the traffic load applied to the slab 10 is distributed to the lower structure 120 It comprises a girder 20. In addition, when a bridge is large, the structure called a main girder may be further comprised.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나란하게 배치된 하부구조물(120) 사이에 평행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거더(20: 형강)를 배치하고, 거더와 거더 사이와 그 위로 슬래브(10)를 타설하여 거더와 거더 사이에 상부구조물(110)을 시공하게 된다.In more detail, the girders 20 (beam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parallel between the substructures 120 arranged side by side, and between the girders and the girders, the slab 10 is placed thereon and the girders and the girders are dispos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10 will be constructed.

또한, 강성 보완을 위해, 슬래브(10)를 타설하기에 앞서, 거더와 거더 사이, 또는 거더 상부에 철근 배근을 하고 나서 슬래브(10)를 타설하기도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supplement the rigidity, before placing the slab 10, the slab 10 is placed between the girder and the girder, or after reinforcing the bar in the upper part of the girder.

그러나, 종래의 교량용 상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ridge super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have the following problems.

1) 슬래브 타설에 앞서, 거더와 거더 사이에 별도의 거푸집을 설치해야 할 뿐만 아니라, 거푸집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지지하는 작업(동바리 작업)이 필요하다.   1) Prior to slab casting, not only a separate formwork should be installed between the girder and the girder, but also a support (holding work) is needed to withstand the load of the concrete on which the formwork is to be placed.

2) 교량이 완성된 후, 거푸집의 제거 및 마감 작업을 필요로 한다.   2) After the bridge is completed, the formwork needs to be removed and finished.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데크 플레이트를 끼워서 설치하는 방법 이 있다. 이 방법은 거더와 거더 사이로 데크 플레이트를 끼워서 설치하고, 그 위로 슬래브를 타설하여 교량을 시공하는 방법이나, 이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method of installing the deck plate. In this method, the deck plate is inserted between the girders and the girders, and the bridge is constructed by placing slabs thereon. In this case, the following problems arise.

1) 거푸집 기능을 하는 데크 플레이트가 양쪽 거더의 플랜지에 각각 삽입되어 일체로 고정되기 때문에, 교량 하부에서의 교량의 상태를 육안으로 검사하기가 어렵다.   1) Since the deck plate functioning as the formwork is inserted into the flanges of both girders and fixed together, it is difficult to visually inspect the state of the bridge under the bridge.

2) 또한, 비파괴 검사 등으로 슬래브나 거더를 검사한 결과 이상이 발견된 경우, 거더와 일체로 형성된 데크 플레이트를 제거하고 보강 공사를 한 다음, 다시 데크 플레이트를 재설치를 해야 하는데, 이 부분이 상부구조과 일체로 이루어지지 않아 전체적으로 강성이 떨어져 안전성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공비가 크게 늘어난다.   2) In addition, if abnormality is found by inspecting slabs or girders by non-destructive inspection, etc.,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deck plate integrally formed with the girder, perform reinforcement work, and then reinstall the deck plate. Not integrated with the structure, the overall rigidity is lowered not only to reduce safety, but also greatly increases the cost.

3) 데크 플레이트가 거더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하기 때문에, 데크 플레이트의 길이 이상의 작업 공간이 있어야만 거더에 데크 플레이트를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정도 이상의 작업 공간이 확보되지 않거나 제약을 받는 경우에는 데크 플레이트를 장착할 수 없게 된다.   3) Since the deck plate is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the deck plate can only be mounted on the girder if there is a working space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deck plate. Therefore, the deck plate cannot be mounted when a working space of some degree is not secured or restricted.

4) 데크 플레이트를 거더의 플랜지에 볼트 등으로 체결 고정시키기 때문에,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작업 공간이 협소하여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4) Since the deck plate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flange of the girder by bolts or the like, a work space for fastening the bolts is narrowed, resulting in a problem of low work efficiency.

5) 거푸집의 기능으로서 사용되는 데크 플레이트가 인접한 거더의 플랜지에 삽입되어 볼트로 체결되기 때문에, 슬래브의 타설 후 데크 플레이트를 재활용할 수 없게 되어 그만큼 공사비가 많이 든다.   5) Since the deck plate used as the formwork is inserted into the flange of the adjacent girder and fastened with bolts, the deck plate cannot be recycled after the slab is placed, which is expensive.

6) 데크 플레이트의 양단 테두리에 형성된 플랜지 부분이 거더 밑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거더의 하면과 하부 구조 사이에 공간이 생겨 이 부분에 교통 하중이 집중될 우려가 있다.   6) Since the flanges formed at the edges of the deck plates protrude under the girders,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girders and the lower structure, which may cause traffic loads to concentrate on these portions.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나란하게 놓여진 이웃한 주형의 플랜지 사이에 지지 동바리 없이 거푸집 역할의 플레이트를 장착하여 주형과 거푸집의 일체화로 교량의 상부 구조를 시공함으로써, 작업 공수를 줄이면서도 원하는 강성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형의 처짐이 없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교량용 상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is point, and by installing a plate acting as a formwork without a supporting band between the flanges of adjacent molds placed side by side, the construction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by the integration of the mold and the formwork, thereby reducing the labor In addition to the desired rigidity can be obtained, there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pper structure for bridges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bridge is easy to maintain without sagging mol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상부 구조물의 시공방법은,Construction method of the upper structure for the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나란하게 적어도 2개의 주형(20a,20b)을 배치하는 단계(S100);Placing at least two molds 20a and 20b side by side (S100);

이웃한 주형(20a,20b)의 각 하부 플랜지(22a,22b) 사이에, 고정수단(30)으로 무동바리 거푸집 역할의 플레이트(21)를 설치하는 단계(S200); 및(S200) installing a plate 21 serving as a moving wheel formwork with the fixing means 30 between each of the lower flanges 22a and 22b of the neighboring molds 20a and 20b; And

주형(20) 및 플레이트(21) 위로 슬래브(10)를 타설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casting the slab 10 over the mold 20 and the plate 21 (S300).

또한, 플레이트 설치단계(S200)에서, 플레이트(21)는 일반 강판, 강화 플라스틱, 스치로폼, 스테인레스 강판, 아연도금 강판, 또는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FRP)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때의 플레이트(21)는 2개의 하부플랜지(22a,22b) 사이에서 그 단면이 밀폐되거나 개구된 반원형, 굴곡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이러한 플레이트(21)는 양측이 각각 하부플랜 지(22a,22b)의 측면 또는 윗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플레이트 설치단계(S200)에서 플레이트(21)의 윗면에 스터드(24)나, 스터드(24)와 함께 철근을 더 보강하는 단계(S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late installation step (S200), the plate 21 may use a general steel sheet, reinforced plastic, styrofoam, stainless steel sheet, galvanized steel sheet, or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the plate 21 at this time Between the two lower flanges (22a, 22b)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 is installed in a semicircular, curved or polygonal shape is closed or open. In particular, the plate 21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sides are mounted on the side or top of the lower flange (22a, 22b),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plate installation step (S200) may further include a step (S210) of further reinforcing the reinforcing bar together with the stud 24, the stud 24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21.

또한, 플레이트(21)는 인접한 하부 플랜지(22a,22b) 사이에 양측 테두리를 연결하는 가로지지대(23)를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ate 2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stalls the horizontal support 23 connecting the two edges between the adjacent lower flanges (22a, 22b).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은 슬래브(10)가 굳고 난 후에 상부 구조물(110)로부터 플레이트(10) 또는, 플레이트(10) 및 가로지지대(23)를 탈거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removing the plate 10 or the plate 10 or the horizontal support 23 from the upper structure 110 after the slab 10 is hardened (S400). Can be.

또한, 고정수단(30)은 고정핀, 리벳, 또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3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in, rivets, or bolt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상부 구조물은,On the other hand, the bridge upp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나란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주형(20a,20b);At least two molds 20a and 20b arranged side by side;

주형(20a,20b)의 각 하부플랜지(22a,22b) 사이에 고정수단(30)으로 설치된 무동바리 거푸집 역할의 플레이트(21); 및A plate 21 serving as a movable barrel formwork installed as a fixing means 30 between each of the lower flanges 22a and 22b of the molds 20a and 20b; And

주형(20) 및 플레이트(21) 위로 슬래브(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lab 10 over the mold 20 and the plate 21.

또한, 플레이트(21)는 양쪽 테두리가 인접한 각 하부플랜지(22a,22b)의 상면 또는 측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플레이트(21)의 윗면에 스터드 또는 스터드 및 철근이 더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ate 2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r side of each lower flange (22a, 22b) adjacent both edge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ud or stud and the reinforcing bar is further reinfor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21 do.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인접한 주형의 하부 플랜지 사이에 지지 동바 리 없이 거푸집 기능을 하는 플레이트를 분리형 또는 일체형으로 장착하여 교량용 상부 구조물을 시공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by constructing a bridge upper structure by separately or integrally mounting a plate functioning as a formwork without supporting bars between the lower flanges of adjacent molds.

1) 작업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교량의 하부에서 쉽게 거푸집을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상의 작업대에서도 상부 구조물의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1) Even if the working space is narrow, the formwork can be easily constructed at the bottom of the bridge, and the upper structure can be constructed even at the workbench on the ground so that it is not restricted by the working space.

2) 상부 구조의 슬래브 타설을 위해 설치되는 지지 동바리 작업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작업 공수의 감소로 작업성의 향상 및 공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2) Sinc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supporting group work installed for slab casting of the superstructu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abor and improve the workability and reduce the cost.

3) 또한, 동바리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교량의 길이가 길고 폭이 좁은 경우, 상부 구조물을 지면에서 제작하여 차량으로 하부 구조물을 옮겨 교량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3) In addition, since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the clubs can be omitted, if the length of the bridge is long and narrow,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upper structure from the ground and move the lower structure to the vehicle to construct the bridge.

4) 또한, 거푸집을 지지해 주는 동바리 작업이 없기 때문에, 하부 구조가 높은 고가의 교량을 시공하는 경우에도 안전성 확보와 함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4)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grouping work to support the formwork, it is possible to secure safety and increase work efficiency even when constructing an expensive bridge with a high substructure.

5) 슬리브의 균열 검사 등으로 이상이 발생된 경우, 플레이트를 쉽게 탈거하여 육안 검사 뿐만 아니라 보수 공사를 하고 다시 플레이트를 재설치하여 강성을 확보하기가 쉽다.5) In case of abnormality caused by the crack inspection of the sleeve, it is easy to remove the plate and perform the visual inspection as well as repair work and re-install the plate to secure the rigidity.

6) 플레이트를 상부구조물로부터 해체하지 않고 마감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6) The plate may be used as a finishing material without dismantling from the superstructure.

7) 교량의 시공 후 주형 사이의 슬래브의 균열시, 플레이트의 장착만으로도 강성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7) In case of cracking of slab between molds after construction of bridge, rigidity can be compensated by just mounting of plate.

8) 주형과 거푸집의 일체화로 동바리가 없이 시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 공 작업 중에도 차량 또는 보행자의 통행 제한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8) Since the construction is done without a circle by integrating the mold and the formwork,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traffic restriction problem of the vehicle or pedestrian during the construction work.

9) 거푸집 기능을 갖는 플레이트를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경우, 주형과 교량 전체의 상부 구조의 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9) In case of permanently fixing the plate having the formwork function, the rigidity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mold and the whole bridge can be further increased.

10) 상부 구조의 하부나 길이가 짧은 교량의 시공 작업에 있어서, 단시간에 시공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10) In the construction work of the lower part of the upper structure or the short bridge, the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because the construction can be performed in a short time.

11) 거푸집 기능의 플레이트와 함께 스터드나 철근 또는 지지대 등을 보강함으로써, 교량에 요구되는 강성을 얻을 수 있다.11) The rigidity required for the bridge can be obtained by reinforcing studs, rebars, supports, etc. together with formwork plates.

12) 원하는 강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시공 후 발생되는 주형의 처짐을 없애 설계와 동일한 상부 구조를 얻을 수 있다.12) Since the desired rigidity can be obtained, the upper structure identical to the design can be obtained by eliminating the sagging of the mold generated after construction.

13) 지지 동바리가 필요없기 때문에, 공장이나 노지 등에서 대량 생산 및 조립 시공 방식이 가능하게 되어, 시공 기간을 단축하여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13) Since there is no need for supporting bundling, it is possible to mass-produce and assemble in the factory or the open ground, thus reducing construction costs b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14) 거푸집을 지지해 주는 지지 동바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하천이나 계곡 또는 지반이 무른 지역 또는 우기 등으로 지반이 약한 경우 등, 지지 동바리를 설치하기 힘든 작업 환경에서도 쉽게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14) Since there is no need to install supporting clubs to support the formwork, it is easy to secure a working space even in a work environment where it is difficult to install supporting clubs, such as in rivers, valleys, or areas where the ground is soft or when the ground is weak. have.

15) 플레이트가 고정핀이나 리벳 또는 볼트 등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이라도 거푸집 기능을 갖는 플레이트의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15) Since the plate is fixed with fixing pins, rivets, bolts, etc., it is easy to mount the plate having a formwork function even in a narrow space.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상부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중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그대로 사용한다.Figure 2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upper structure for the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s as in the prior art.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상부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크게 주형 배치단계(S100), 플레이트 설치단계(S200) 및 슬래브 타설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upper structure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old placing step (S100), plate installation step (S200) and slab casting step (S300).

주형 배치단계(S10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주형(20a,20b)을 배치하는 단계(S100)를 거친다. 이때의 각 주형(20a,20b)의 배치는 등간격으로 배치할 수도 있으며, 인도처럼 하중이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 부분에서는 주형(20a,20b)간 폭을 넓게 배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이때 사용되는 주형은 H형강dl a많이 이용된다.Mold placing step (S100) is a step of placing at least two molds (20a, 20b) (S100). At this time, the arrangement of each mold 20a, 20b may b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nd in a portion where the load is relatively low like the sidewalk, the width of the mold 20a, 20b may be widely arranged. In addition, the mold used at this time is used a lot of H-beam steel dla.

이러한 주형(20a,20b)은 하부구조물(120)의 상부에 배치하여 바로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고, 지면의 작업대에 배치하여 지면에서 하부구조물을 시공하여 상부구조물(120) 상에 시공하는 방법도 가능하다.The molds 20a and 20b may be directly installed on the lower structure 120, or may be disposed on the workbench of the ground to construct the lower structure on the ground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structure 120. Do.

주형(20a,20b)의 배치단계(S100)가 끝나게 되면 플레이트 설치단계(S200)를 거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레이트(21)는 일반 강판, 강화 플라스틱, 스치로폼, 스테인레스 강판, 아연도금 강판, 또는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FRP) 등을 이용할 수 있다.When the arrangement step (S100) of the mold (20a, 20b) is finished, the plate goes through the installation step (S200).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 21 may use a general steel sheet, reinforced plastic, styrofoam, stainless steel sheet, galvanized steel sheet,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and the like.

여기서, 플레이트(21)는 장착위치에 따라 도 3a 및 도 3b와 같이 분리형 플레이트(21a)와 일체형 플레이트(21b)로 나눌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플레이트(21)는 그 형상에 있어서, 도 4a 내지 도 4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특히, 스치로폼을 제외하고 자체적으로 일정 강성을 갖는 플레이트(21)인 경우, 도 4a~도4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밑면이 개구된 반원, 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제작하게 된다. 그 밖에 타원형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들 재질과 상대적으로 강성이 약한 스치로폼인 경우는 도 4d에서와 같이, 내부가 충진된 형태로 제작하여 자체 강성을 보완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late 21 may be divided into a detachable plate 21a and an integrated plate 21b as shown in FIGS. 3A and 3B according to the mounting posi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plate 21 can be produced in various shapes as shown in Figs. 4A to 4D.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plate 21 having its own rigidity except for the styrofoam, as shown in FIGS. 4A to 4C, each of the plates 21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emicircle, a quadrangle, or a polygonal shape with an open bottom. Ellipses are also available. However, in the case of styrofoam having a relatively low rigidity with these materials,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이루어진 플레이트(21)는 설치 방법에 따라 분리형 플레이트(21a)와 일체형 플레이트(21b)로 구분된다. 여기서, 분리형 플레이트(21a)란 상부구조물(110)을 시공한 후 탈거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일체형 플레이트(21b)는 상부구조물(110)의 시공 후 탈거하지 않는 플레이트를 의미한다. 그러나, 분리형 플레이트(21a)로 시공한 경우라도 이를 탈거하지 않고 그냥 시공한 상태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late 21 thus formed is divided into a detachable plate 21a and an integrated plate 21b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method. Here, the detachable plate 21a means that the upper structure 110 can be removed after construction, and the integrated plate 21b means a plate which is not removed after construction of the upper structure 110. However, even in the case of construction with the detachable plate 21a, it is also possible to use it in a state of construction just without removing it.

플레이트 설치단계(S200)에서, 분리형 플레이트(21a)는 도 3a에서와 같이 하부플랜지(22a,22b)의 측면에 장착되고, 일체형 플레이트(21b)인 경우 도 3b에서와 같이 하부플랜지(22a,22b)의 상면에 장착된다. In the plate installation step (S200), the detachable plate 21a is mount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lower flanges 22a and 22b as in FIG. 3A, and in the case of the integrated plate 21b, the lower flanges 22a and 22b as in FIG. 3B. ) Is mounted on the top surface.

플레이트(21)를 하부플랜지(22a,22b)에 장착하기 위한 고정수단(30)으로는 타격용 고정핀이나 리벳 또는 볼트를 이용한다. 특히, 타격용 고정핀은 화약 등 을 이용한 타격건으로 장착하게 되며, 리벳과 볼트인 경우 각 하부플랜지(22a,22b)에 구멍을 천공한 뒤에 리벳과 볼트를 각각 타격 또는 체결하여 플레이트(21)를 고정시켜 주게 된다.As the fixing means 30 for mounting the plate 21 to the lower flanges 22a and 22b, a fixing pin or a rivet or a bolt for hitting is used. In particular, the fixing pin for the blow is mounted with a blow gun using gunpowder, etc. In the case of rivets and bolts, after drilling holes in each of the lower flanges 22a and 22b, the rivets and bolts are hit or fastened, respectively, to plate 21. Will be fixed.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고정수단(30)으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고정수단의 인발시험 결과표이다. 본 인발시험은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얻은 시험결과이다.The following is a drawing test result table of the fixing means to be used as the fixing means 30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pull test is a test result obtain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Materials.

Figure 112007091547850-pat00001
Figure 112007091547850-pat00001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고정수단(30)인 시편은 인발하중이 1.6~2.5(kN)인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시험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상부구조물(110)의 하중에 따라 플레이트(21)를 고정시키는데 요구되는 인발하중을 고려하여 시편, 즉 고정수단(30)의 종류 및 그 체결 간격을 결정한다.As shown in Table 1, the specimen, which is the fixing means 3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draw load of 1.6 to 2.5 (k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of the specimen, that is, the fixing means 30 and the fastening interval thereof ar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pull load required to fix the plate 21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upper structure 110 based on the test results. .

한편, 본 발명의 플레이트 설치단계(S200)는 보강부재를 더 설치하는 단계(S210)를 거칠 수 있다. 여기서의 보강부재 설치단계(S210)는 선택적인 것으로, 이 단계(S21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슬래브를 타설하는 단계(S300)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plate installation step (S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o through the step (S210) for further installing the reinforcing member. The reinforcing member installation step (S210) here is optional,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the step (S300) of directly pouring the slab without going through this step (S210).

여기서, 보강부재로는 일체형 플레이트(21b)의 상면에 설치되는 스터드(24)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스터드(24)와 함께 미도시된 철근을 더 배근하여 이루어진 보강부재로 상부구조물(110)의 강성을 보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분리형 플레이트(21a)인 경우라도 일체형으로 사용하기 위한 경우라면 이러한 보강부재를 더 보완하여 플레이트(21)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as the reinforcing member,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stud 24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grated plate 21b, and the reinforcing member formed by further reinforcing the steel not shown together with the stud 24 of the upper structure 110. It is also possible to supplement the stiffness.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the detachable plate 21a,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plate 21 by further supplementing such a reinforcing member in the case of using it integrally.

또한, 보강부재로서 스치로폼 등으로 이루어지거나 단면 구조적으로 강성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도 3a에서와 같이 가로지지대(23)를 더 구성하여 보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iffener is made of styrofoam or the like as a reinforcement member, it may be reinforced by further configuring the horizontal support 23 as shown in FIG. 3A.

플레이트(21)의 설치단계(S200)가 끝나게 되면, 그 다음 단계로서 슬래브를 타설하는 단계(S300)를 거친다. 여기서, 슬래브 타설단계(S300)는 통상의 교량 시공 방법으로 타설하는 것으로, 그 방법에 있어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When the installation step (S200) of the plate 21 is finished, and goes through the step (S300) of placing the slab as the next step. Here, the slab placing step (S300) is to place in a conventional bridge construction method, since the method is already well known,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플레이트(21)와 가로지지대(23)를 탈거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400)는 플레이트(21)가 분리형 플레이트(21a)인 경우에 해당하며, 특히 분리형이라도 스터드라든가 철근이 보강된 경우에는 해당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S400) of removing the plate 21 and the horizontal support (23). This step (S400) corresponds to the case in which the plate 21 is the detachable plate 21a, and in particular, even if the detachable stud or reinforcing bar is not applicabl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탈거단계(S400)는 분리형 플레이트(21a)를 적용한 경우라도 상부구조물(110)의 강성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등, 분리형 플레이트(21a)를 적용한 경우에도 이 단계(S400)를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ipping step (S400) even when the detachable plate 21a is applied, even when the detachable plate 21a is applied, such as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rigidity of the upper structure 110. This step S400 may not be performed.

탈거방법으로는 고정수단(30)이 타정 또는 타격에 의해 장착되는 고정핀 또는 리벳인 경우 그라인더로 고정수단(30)의 헤드부분을 깍아 제거하거나 끌 등으로 두부를 가격하여 제거할 수도 있고, 볼트와 같은 체결 방식인 경우 고정수단(30)을 이완시켜 플레이트(21)를 분리함으로써 시공 방법을 끝내게 된다.In the removal method, when the fixing means 30 is a fixing pin or rivet mounted by tableting or hitting, the head portion of the fixing means 30 may be removed by a grinder, or the head may be removed by a chisel or the like. In the case of the fasten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construction method is completed by separating the plate 21 by relaxing the fixing means 30.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상부구조물 방법에 의해 시공된 상부구조물(100)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erstructure 100 constructed by the above-described superstructure method.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appended claims will cover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spirit of the invention.

도 1은 일반적인 교량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general bridg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상부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Figure 2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upper structure for the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교량용 상부구조물의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Figure 3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upper structure for the bridge to which the detachable plat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교량용 상부구조물의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Figure 3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upper structure for the bridge to which the fixe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의 적용예를 보여주는 단면도.4a to 4d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슬래브10: slab

20 : 거더(주형)20 girder

20a, 20b : 주형20a, 20b: template

21 : 플레이트21: plate

21a : 분리형 플레이트21a: detachable plate

21b : 일체형 플레이트21b: integral plate

22a,22b : 하부 플랜지22a, 22b: lower flange

23 : 가로지지대23: horizontal support

24 : 스터드24: stud

25 : 고정단25: fixed end

30 : 고정수단30: fixing means

100 : 교량100: bridge

110 : 상부구조물110: upper structure

120 : 하부 구조물120: substructure

121 : 교대121: shift

122 : 교각122: piers

123 : 기초123: Foundation

Claims (12)

나란하게 적어도 2개의 주형(20a,20b)을 배치하는 단계(S100);Placing at least two molds 20a and 20b side by side (S100); 이웃한 상기 주형(20a,20b)의 각 하부 플랜지(22a,22b) 사이에, 고정수단(30)으로 무동바리 거푸집 역할의 플레이트(21)를 설치하는 단계(S200); 및Step (S200) between the lower flanges (22a, 22b) of the adjacent molds (20a, 20b), the plate (21) acting as a movable wheel formwork with a fixing means (30); And 상기 주형(20a,20b) 및 플레이트(21) 위로 슬래브(10)를 타설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상부 구조물의 시공방법.And placing the slab (10) onto the mold (20a, 20b) and the plate (21); construction method of the upper structure for a bridg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플레이트(21)는 강판, 강화 플라스틱, 스치로폼, 스테인레스 강판, 아연도금 강판, 또는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FR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상부 구조물의 시공방법.The plate 21 is a steel sheet, reinforced plastic, styrofoam, stainless steel sheet, galvanized steel sheet, or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upper structure for the bridge.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플레이트(21)는 2개의 하부플랜지(22a,22b) 사이에서 그 단면이 밀폐되거나 개구된 반원형, 굴곡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상부 구조물의 시공방법.The plate 21 is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upper structure for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between the two lower flanges (22a, 22b) of the semicircular, curved or polygonal shape of the cross-section is closed or ope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설치단계(S200)에서,According to claim 3, In the plate installation step (S200), 상기 플레이트(21)는 양측이 각각 상기 하부플랜지(22a,22b)의 측면에 장착되는 분리형 플레이트(21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상부 구조물의 시공방법.The plate 21 is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upper structure for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both sides are removable plates (21a) mounted on the side of the lower flange (22a, 22b), respectivel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설치단계(S200)에서,According to claim 3, In the plate installation step (S200), 상기 플레이트(21)는 양측이 각각 상기 하부플랜지(22a,22b)의 윗면에 장착되는 일체형 플레이트(21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상부 구조물의 시공방법.The plate (21) is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upper structure for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both sides are integral plate (21b)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22a, 22b), respectively.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플레이트 설치단계(S200)는 상기 플레이트(21)의 윗면에 스터드 (24) 또는 상기 스터드(24)와 함께 철근을 더 보강하는 단계(S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상부 구조물의 시공방법.The plate installation step (S200) of the upper structure for the bridge further comprises a step (S210) of further reinforcing the reinforcing bar together with the stud 24 or the stud 24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21 Construction metho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설치단계(S200)에서,According to claim 6, In the plate installation step (S200), 상기 플레이트(21)는 인접한 상기 하부 플랜지(22a,22b) 사이에 양측 테두리를 연결하는 가로지지대(23)를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상부 구조물의 시공방법.The plate 21 is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upper structure for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installing a horizontal support (23) connecting the two edges between the adjacent lower flanges (22a, 22b).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시공방법은 상기 슬래브(10)가 굳고 난 후에 상부 구조물(110)로부터 상기 플레이트(10) 또는, 상기 플레이트(10) 및 상기 가로지지대(23)를 탈거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상부 구조물의 시공방법.The construction method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removing the plate 10 or the plate 10 and the horizontal support 23 from the upper structure 110 after the slab 10 is hardened (S400). Construction method of the upper structure for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정수단(30)은 고정핀, 리벳, 또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상부 구조물의 시공방법.The fixing means 30 is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upper structure for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in, rivets, or bolts. 나란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주형(20a,20b);At least two molds 20a and 20b arranged side by side; 상기 주형(20a,20b)의 각 하부플랜지(22a,22b) 사이에 고정수단(30)으로 설치된 무동바리 거푸집 역할의 플레이트(21); 및A plate 21 serving as a movable barrel formwork installed as a fixing means 30 between the lower flanges 22a and 22b of the molds 20a and 20b; And 상기 주형(20a,20b) 및 플레이트(21) 위로 슬래브(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상부 구조물.And the slab (10) over the mold (20a, 20b) and the plate (21). 제 1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플레이트(21)는 양쪽 테두리가 인접한 상기 각 하부플랜지(22a,22b)의 상면 또는 측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상부 구조물.The plate 21 is an upper structure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on the top or side of each lower flange (22a, 22b) adjacent both edges.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or 11, 상기 플레이트(21)에는 상기 플레이트(21)의 윗면에 스터드 또는 철근이 도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상부 구조물.The plate 21, the upper structure for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ud or reinforcement is also reinfor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21).
KR1020070134313A 2007-12-20 2007-12-20 Superstructure for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8253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313A KR100825373B1 (en) 2007-12-20 2007-12-20 Superstructure for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313A KR100825373B1 (en) 2007-12-20 2007-12-20 Superstructure for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5373B1 true KR100825373B1 (en) 2008-04-28

Family

ID=39572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4313A KR100825373B1 (en) 2007-12-20 2007-12-20 Superstructure for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537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873A (en) * 2001-12-21 2003-06-2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Orthotropic steel deck for bridge and bridge field construction method using orthotropic steel deck
KR20030075064A (en) * 2002-03-15 2003-09-22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mothod and structure for construction of a bridge
KR100727675B1 (en) * 2006-09-04 2007-06-13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Concrete bridge de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873A (en) * 2001-12-21 2003-06-2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Orthotropic steel deck for bridge and bridge field construction method using orthotropic steel deck
KR20030075064A (en) * 2002-03-15 2003-09-22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mothod and structure for construction of a bridge
KR100727675B1 (en) * 2006-09-04 2007-06-13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Concrete bridge de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58737B (en) The bridge location construction method of installation of transverse prestress overall with reinforced concrete bridge deck slab plate combination beam
JP5266291B2 (en)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deck and joint structure of precast deck
JP2015151768A (en) Change-over method of concrete slab for highway road, and change-over pc slab by the method
JP2007040020A (en) Construction method for prestressed concrete box girder bridge
CN206512581U (en) Transverse prestress overall with reinforced concrete bridge deck slab plate combination beam
JP2020105803A (en) Cable-stayed bridge and cable-stayed bridge construction method
KR100911451B1 (en) Composite temporary bridge be combind main girder and deck plate construction and method thereof
JP3737475B2 (en) Box girder brid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KR100842062B1 (en) The steel composite rahmen bridge construction technique for which preflexion steel girder was used
KR100631029B1 (en) Precasted concrete plate assembly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JP4033871B2 (en) How to build a bridge girder
KR101067717B1 (en) Process for producing prestressed concrete girder and concrete girder structure
KR100825373B1 (en) Superstructure for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30081606A (en) Method for continuous supporting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plate web-psc composite beam
KR100613862B1 (en) Light weight pc-steelgirder bridge construction
KR20060095149A (en) Dead load composite system by temporary tensioning method
KR101682442B1 (en) Temporary bridge
JP2734986B2 (en) Existing bridge repair method
KR200420261Y1 (en) Truss-web girder with reinforced support
JP2006112086A (en) Structure of bridge and method for rebuilding bridge
JP4437064B2 (en) Construction method and formwork structure of concrete floor slab for composite floor slab bridge
JP7333728B2 (en) how to build a bridge
KR100623996B1 (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russ-web girder with reinforced support
CN111455817A (en) Cable-stayed bridge integral steel anchor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474998B1 (en) Steel Cross Beam for PSC Beam Connections on PSC Bridges and Method of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