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5361B1 - 정전용량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정전용량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5361B1
KR100825361B1 KR1020070026096A KR20070026096A KR100825361B1 KR 100825361 B1 KR100825361 B1 KR 100825361B1 KR 1020070026096 A KR1020070026096 A KR 1020070026096A KR 20070026096 A KR20070026096 A KR 20070026096A KR 100825361 B1 KR100825361 B1 KR 100825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ance
conductor plate
food waste
unit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재
Original Assignee
(주)맥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맥스텍 filed Critical (주)맥스텍
Priority to KR1020070026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53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22Controlling the drying process in dependence on liquid content of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26Biowas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55Controlling; Monitoring or measuring
    • F23G2900/55003Sensing for exhaust gas properties, e.g. O2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입력값을 입력받고 이에 대응된 동작과정을 표시하는 입/출력부; 하우징 내부 바닥면 내지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입/출력부의 입력값에 대응되도록 수용용기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에 열을 전달하여 건조시키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에 의해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증기를 배기시키는 배기부; 및 상기 발열부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증기의 유전율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참조값과 비교하는 정전용량센서부를 포함하는 정전용량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음식물, 쓰레기, 온도, 유전율, 콘덴서, 정전용량, 수증기, 습도

Description

정전용량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Drying apparatus for food garbage using capacit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20 : 수용용기
110 : 입/출력부 120 : 발열부
121 : 열전도판 122 : 열선
123 : 온도센서 130 : 배기부
131 : 배기관 132 : 송풍팬
140 : 정전용량센서부 141 : 제1 도체판
142 : 제2 도체판 143 : 제3 도체판
144 : 제1 감지모듈 145 : 비교모듈
146 : 제2 감지모듈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열부에 의해 가열된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의 유전율(Permittivity)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발열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정전용량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부피가 크고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심한 악취를 동반하고 있어 처리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수거하기 위해서는 통상 음식물 쓰레기 저장용기나 쓰레기 봉투에 일정 기간동안 모아서 배출시켜야만 하는데,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 등으로 인해 심한 악취가 발생하거나 세균의 증가로 인하여 주방이 오염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의 처리 없이 소각하거나 매립할 경우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현재는 폐기물 관리법에 따라 전국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직매립이 전면 금지되어 각 가정과 음식점 등에서는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가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발열수단에 의해 발생된 열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키고 상기 증발되는 수분인 수증기의 온도를 배기관에 설치된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하여 상기 수증기의 온도가 임계점 온도를 유지하다가 다시 임계점 온도 미만의 동작종료점 온도 이하를 나타낼 경우 상기 발열수단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는, 상기 수증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통상적으로 상기 수증기가 배기되는 금속재질의 배기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증기의 열이 상기 금속재질의 배기관에 전달되어 손실되기 때문에 정확한 수증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음식물 쓰레기는 물,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 등의 유기물을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수증기는 공기의 건조에 따른 수증기와 상기 유기물의 건조에 따른 수증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수증기에 포함된 유기물 입자가 상기 온도센서의 표면에 부착 건조될 경우 온도센서의 온도 측정 능력이 저하되어 정확한 온도를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유기물들은 비열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상기 유기물의 건조에 따라 수증기가 발생되는 온도가 각각 틀려진다. 즉, 유기물들에 따라 상기 임계점 온도와 동작종료점 온도가 틀리기 때문에 상기 수증기의 온도를 이용하여 발열수단을 제어할 경우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완전히 건조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완전히 건조된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수증기의 온도를 정확히 측정하지 못할 경우, 상기 발열수단이 동작을 정지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발열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과부하나 과열이 발생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가 오동작할 우려와 함께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시 발생되는 수증기의 유전율(Permittivity)에 따라 변화되는 센서의 정전용량을 이용하여 발열부의 발열에 의해 건조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유기물의 농도에 관계없이 발열의 종점과 시점을 결정할 수 있는 정전용량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열부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정전용량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환경의 변화에 무관하게 보다 정확한 발열의 종점과 시점 측정이 가능한 정전용량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입력값을 입력받고 이에 대응된 동작과정을 표시하는 입/출력부; 하우징 내부 바닥면 내지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입/출력부의 입력값에 대응되도록 수용용기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에 열을 전달하여 건조시키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에 의해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증기를 배기시키는 배기부; 및 상기 발열부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증기의 유전율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참조값과 비교하는 정전용량센서부를 포함하는 정전용량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가 제공된 다.
또한, 상기 정전용량센서부는, 제1 도체판; 상기 제1 도체판과 일정거리 간격 d를 가지며 상기 수용용기에 접지된 제2 도체판; 상기 제1 도체판에 연결되어 상기 수증기의 유전율에 따른 제1 도체판과 제2 도체판 사이의 정전용량 C1을 감지하는 제1 감지모듈; 및 상기 제1 감지모듈의 정전용량 C1과 미리 설정된 정전용량 C0을 비교하는 비교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전용량센서부는, 상기 제1 도체판과 제2 도체판 사이에 상기 제1 도체판으로부터 일정거리 간격 D를 가지며 상기 수용용기에 접지된 제3 도체판과; 상기 제1 도체판과 제3 도체판 사이의 정전용량 C2를 감지하는 제2 감지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교모듈은, 상기 정전용량 C1과 C2의 합의 값을 가지는 정전용량 C3과 이에 대응되는 참조값인 정전용량 C0을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정거리 간격 D는 상기 정전용량 C2의 값이 상기 수용용기에 근접한 사용자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제1 도체판과 제2 도체판 사이의 정전용량 C4 보다 큰 값을 가지도록 약 1mm - 1.5 mm 의 간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나타낸 블 록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는, 하우징(10)에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해당 조건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고 동작과정을 표시하는 입/출력부(110), 하우징(10) 내부 바닥면 내지 측면에 구비되어 입/출력부(110)로부터 입력된 조건에 따라 수용용기(20)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에 열을 전달하여 건조시키는 발열부(120), 발열부(120)의 가열에 의해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증기를 배기시키는 배기부(130), 수용용기(20)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수증기의 유전율에 따른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정전용량센서부(140) 및 상기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상측 전방에 상부 도어와 측면부 정면에 하부 도어를 형성하며 본체를 보호하며 내부 구성요소의 분리 및 조립이 편리하도록 분할된 형태를 가진다.
입/출력부(110)는, 하우징(10)의 전면에 구비되는 각종 입력버튼과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수증기의 유전율에 따른 정전용량의 참조값 등을 입력하도록 하며, 상기 입력값에 의한 건조장치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정전용량의 참조값은, 상기 음식물 쓰레기 건조시 발생되는 수증기의 유전율에 따라 변화되는 정전용량센서부(140)의 정전용량에 대응되는 것으로, 상기 유기물의 건조에 의한 수증기가 발생되지 않고 오직 공기의 건조에 의 한 수증기가 발생될 경우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완전히 건조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건조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발열부(120)는, 열전도 효율이 좋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 열전도판(121)에 열선(122)을 설치하여 열전도판(121)을 가열하고 열전도판 온도센서(123)를 장착하여 열전도판(121)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열전도판(121)과 하우징(10)의 내부 벽면은 은나노 코팅이 이루어져 하우징(10) 내부 공기에 포함된 악취를 탈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전도판(121)과 열선(122) 대신에 마이크로파 발생수단을 장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켜도 좋다.
수용용기(20)는, 상기 하부 도어를 통해 하우징(10)의 바닥면에 출입이 자유롭게 안착될 수 있으며, 발열부(120)의 열이 음식물 쓰레기에 잘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부(130)는, 수용용기(20)의 상측으로부터 주방의 후드나 중앙공기조화기의 중앙 배기관에 연장되는 배기관(131)과 배기관(131)에 수용용기(20)로부터 수증기가 유입되도록 동작하는 송풍팬(132)을 포함한다.
정전용량센서부(140)는, 수용용기(2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시 발생되는 수증기의 유전율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면적 A를 가지는 제1 도체판(141), 면적 A를 가지고 제1 도체판(141)과 일정거리 간격 d를 가지며 수용용기(20)에 접지된 제2 도체판(142), 제1 도체판(141)에 연결되어 상기 수증기의 유전율에 따른 유전전극 즉, 제1 도체판(141)과 제2 도체 판(142) 사이의 정전용량 C1을 감지하는 제1 감지모듈(144) 및 제1 감지모듈(144)의 정전용량 C1과 미리 설정된 참조값에 해당되는 정전용량 C0을 비교하는 비교모듈(145)을 포함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유기물 건조시 발생되는 수증기의 유전율(
Figure 112007021403405-pat00001
)에 의해 상기 제1 도체판(141)과 제2 도체판(142) 사이의 전체유전율(
Figure 112007021403405-pat00002
=
Figure 112007021403405-pat00003
)이 변화하게 되고, 제1 감지모듈(144)에 의해 상기 제1 도체판(141)과 제2 도체판(142) 사이의 정전용량 C1 =
Figure 112007021403405-pat00004
이 측정된다.
이후, 비교모듈(144)에 의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유기물의 건조에 따른 수증기가 발생되지 않을 때 즉, 음식물 쓰레기가 완전히 건조되어 상기 제1 도체판(141)과 제2 도체판(142) 사이의 전체유전율(
Figure 112007021403405-pat00005
)이 수용용기(20) 내부의 순수 공기만의 유전율(
Figure 112007021403405-pat00006
)을 포함할 때의 정정용량 C0 =
Figure 112007021403405-pat00007
와 상기 제1 도체판(141)과 제2 도체판(142) 사이의 정전용량 C1 =
Figure 112007021403405-pat00008
이 비교된다.
따라서 정전용량센서부(140)는 상기 비교를 통하여 상기 정전용량 C1이 상기 참조값에 해당되는 정전용량 C0 보다 클 경우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가 완전히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정전용량 C1과 상기 참조값에 해당되는 정전용량 C0의 값이 일정범위 내에서 대등할 경우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가 완전히 진행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발열부(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가열 시 발생되는 수증기의 전체유전율(
Figure 112007021403405-pat00009
=
Figure 112007021403405-pat00010
)에 따른 제1 도체판(141)과 제2 도체판(142) 사이의 정전용량 C1을 상기 참조값에 해당되는 정전용량 C0과 비교하여 발열부(120)의 동작을 제어하고 있으나, 하우징(10)의 근접 범위 내에 사용자나 기타 유전율을 가지는 물체(애완동물 등)가 존재할 경우 상기 사용자나 물체의 유전율이 상기 정전용량 C1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상기 정전용량 C1이 정확하게 측정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는, 상기 하우징(10)의 근접 범위 내에 사용자나 기타 유전율을 가지는 물체가 존재할 경우에도 상기 사용자나 물체의 유전율에 의해 상기 참조값인 정전용량 C0에 대응되는 정전용량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는, 정전용량센서부(140)를 제외하고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정전용량센서부(14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용량센서부(140)는, 면적 A를 가지는 제1 도체판(141), 면적 A를 가지고 제1 도체판(141)과 일정거리 간격 d를 가지며 수용용기(20)에 접지된 제2 도체판(142), 제1 도체판(141)에 연결되어 상기 수증기의 유 전율에 따른 유전전극 즉, 제1 도체판(141)과 제2 도체판(142) 사이의 정전용량 C1을 감지하는 제1 감지모듈(144), 상기 제1 도체판(141)과 제2 도체판(142) 사이에 상기 제1 도체판(141)으로부터 일정거리 간격 D를 가지며 수용용기(20)에 접지된 제3 도체판(143)과 제1 도체판(141)과 제3 도체판(143) 사이의 정전용량 C2를 감지하는 제2 감지모듈(146) 및 제1/2 감지모듈(144,146)의 정전용량 C1과 C2의 합에 대응되는 정전용량 C3과 미리 설정된 참조값에 해당되는 정전용량 C0을 비교하는 비교모듈(145)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도체판(141)과 제3 도체판(143)의 일정거리 D는 약 1mm - 1.5 mm 의 간격을 가지고 제2 감지모듈(146)에 의해 이에 따른 정전용량 C2 =
Figure 112007021403405-pat00011
가 측정된다.
한편, 상기 사용자나 유전율을 가지는 물체에 의해 변화되는 제1 도체판(141)과 제2 도체판(142)의 정전용량을 C4라 할 때, 상기 사용자나 유전율을 가지는 물체와 하우징(10) 내부의 수용용기(20)간의 거리는 최소한 하우징(10)과 수용용기(20) 사이의 거리인 100 mm - 150 mm 정도의 값을 가지게 되어 상기 정전용량 C4는 상기 정전용량 C2 보다 매우 작은 값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정전용량 C3은 상기 정전용량 C1과 C2 이외에도 상기 사용자나 유전율을 가지는 물체에 의해 변화되는 제1 도체판(141)과 제2 도체판(142) 사이의 정전용량 C4의 합의 값을 포함해야 하지만, 상기 정전용량 C4의 값이 정전용량 C2의 값 보다 매우 작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나 유전율을 가지는 물체에 의한 정전용량 C4의 값은 무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교모듈(145)에 의해 상기 정전용량 C0과 비교되는 제1/2 감지모듈(144,146)의 정전용량 C3은 상기 정전용량 C1과 정전용량 C2의 합으로 정의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의 근접 범위 내에 사용자나 기타 유전율을 가지는 물체가 존재할 경우에도 상기 사용자나 물체의 유전율에 의해 상기 정전용량 C3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작용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입/출력부(110)를 통해 수용용기(20)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조건에 대응된 입력값을 입력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값은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시 발생되는 수증기의 유전율에 의해 변화되는 정전용량에 대응되는 참조값인 정전용량 C0의 값과 발열부(120)의 동작온도 등을 포함한다.
이후, 발열부(120)는 상기 입/출력부(110)의 동작온도 입력값에 대응되는 온도로 발열되어 수용용기(20)에 열을 공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용용기(20)의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발열부(20)의 열에 의해 건조되게 된다.
이후,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유기물 건조에 따른 수증기의 유전율(
Figure 112007021403405-pat00012
)에 의해 상기 제1 도체판(141)과 제2 도체판(142) 사이의 전체유전율(
Figure 112007021403405-pat00013
=
Figure 112007021403405-pat00014
)이 변화하게 되고, 정전용량센서부(140)의 제1 감지모듈(144)에 의해 상기 제1 도체판(141) 과 제2 도체판(142) 사이의 정전용량 C1 =
Figure 112007021403405-pat00015
이 측정된다.
이후, 정전용량센서부(140)의 비교모듈(144)에 의해 상기 입/출력부(110)에 의해 입력된 정전용량 C0과 상기 정전용량 C1의 값이 비교된다.
이후, 상기 비교결과 상기 정전용량 C1의 값이 상기 참조값인 정전용량 C0의 값보다 큰 경우, 이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완전히 건조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계속적으로 발열부(120)로부터 수용용기(20)에 열이 공급되게 된다.
또한, 상기 비교결과 상기 정전용량 C1의 값이 상기 참조값인 정전용량 C0의 값보다 작거나 대등한 경우, 이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완전히 건조된 상태이므로 상기 발열부(120)의 동작이 정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도체판(141)과 제2 도체판(142) 사이에 제3 도체판(143)을 더 설치하여 상기 제1 도체판(141)과 제3 도체판(143) 사이의 정전용량 C2를 제2 감지모듈(146)을 통해 측정하고, 이를 통해 상기 수용용기(20)의 근접된 사용자나 유전율을 가지는 물체에 의해 상기 비교모듈(145)에 의해 상기 정전용량 C0과 비교되는 제1/2 감지모듈(144,146)의 정전용량 C3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의 유전율에 따른 정전용량센서의 변화값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상태를 보다 정확히 측정하여 발열부의 과열과 과부하를 방지하고 이를 통해 건조장치가 오동작하거나 파손되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 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발열수단에 의해 가열되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의 유전율에 따른 정전용량센서의 변화를 통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상태를 보다 정확히 측정으로써, 발열부의 과부하와 발열 등에 따른 건조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장치에 근접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정전용량센서의 정전용량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정전용량의 변화값을 측정하여 상기 발열부의 동작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Claims (5)

  1.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입력값을 입력받고 이에 대응된 동작과정을 표시하는 입/출력부, 하우징 내부 바닥면 내지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입/출력부의 입력값에 대응되도록 수용용기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에 열을 전달하여 건조시키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에 의해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증기를 배기시키는 배기부 및 상기 발열부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증기의 유전율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참조값과 비교하는 정전용량센서부를 포함하는 정전용량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센서부는,
    제1 도체판;
    상기 제1 도체판과 일정거리 간격 d를 가지며 상기 수용용기에 접지된 제2 도체판;
    상기 제1 도체판에 연결되어 상기 수증기의 유전율에 따른 제1 도체판과 제2 도체판 사이의 정전용량 C1을 감지하는 제1 감지모듈; 및
    상기 제1 감지모듈의 정전용량 C1과 미리 설정된 정전용량 C0을 비교하는 비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센서부는,
    상기 제1 도체판과 제2 도체판 사이에 상기 제1 도체판으로부터 일정거리 간격 D를 가지며 상기 수용용기에 접지된 제3 도체판과;
    상기 제1 도체판과 제3 도체판 사이의 정전용량 C2를 감지하는 제2 감지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모듈은,
    상기 정전용량 C1과 C2의 합의 값을 가지는 정전용량 C3과 이에 대응되는 참조값인 정전용량 C0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거리 간격 D는 상기 정전용량 C2의 값이 상기 수용용기에 근접한 사용자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제1 도체판과 제2 도체판 사이의 정전용량 C4 보다 큰 값을 가지도록 1mm - 1.5 mm 의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5. 삭제
KR1020070026096A 2007-03-16 2007-03-16 정전용량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00825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096A KR100825361B1 (ko) 2007-03-16 2007-03-16 정전용량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096A KR100825361B1 (ko) 2007-03-16 2007-03-16 정전용량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5361B1 true KR100825361B1 (ko) 2008-04-28

Family

ID=39572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096A KR100825361B1 (ko) 2007-03-16 2007-03-16 정전용량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536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6061A (ja) * 1993-01-07 1994-07-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厨芥処理機
KR19990079488A (ko) * 1998-04-06 1999-11-05 조일준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00269683B1 (ko) 1998-04-13 2000-11-01 최원영 음식물찌꺼기 소멸처리장치
KR20030016787A (ko) * 2001-08-22 2003-03-03 (주)바이오텔 실내 대기질 제어 시스템
KR20050041291A (ko) * 2003-10-30 2005-05-04 정귀자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6061A (ja) * 1993-01-07 1994-07-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厨芥処理機
KR19990079488A (ko) * 1998-04-06 1999-11-05 조일준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00269683B1 (ko) 1998-04-13 2000-11-01 최원영 음식물찌꺼기 소멸처리장치
KR20030016787A (ko) * 2001-08-22 2003-03-03 (주)바이오텔 실내 대기질 제어 시스템
KR20050041291A (ko) * 2003-10-30 2005-05-04 정귀자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18413B1 (en) Steam cooking apparatus
KR20080065134A (ko) 수위센서와 이를 갖는 스팀발생기 및 그 스팀발생기를 갖는조리장치와 그 제어방법
US20080163757A1 (en) Steam generator, heating cooker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90126220A1 (en) Method for detecting the standstill of a drum in a tumble dryer, and tumble dryer which is suitable for this purpose
US20080098615A1 (en) Dr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10006824A (ko) 오염도 센서와 이를 갖는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18359B1 (ko)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KR100825361B1 (ko) 정전용량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CN114624377A (zh) 一种用于液相色谱仪的漏液双重监控报警保护系统及方法
JPH054932U (ja) 加熱調理器用収納庫
KR102184821B1 (ko) 하·폐수슬러지 자원화 건조시스템
CN208877410U (zh) 低温保护消毒机器人
CN209307727U (zh) 一种新型蒸汽熨斗
KR100666130B1 (ko) 순간온수형 온수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80004011U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20150003930U (ko) 음식물쓰레기 종량기용 악취제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종량 수거장치
KR10109324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과열 방지 방법 및 장치
KR20100026858A (ko) 음식물 처리기 가동시 종료시점 예측방법
CN214595572U (zh) 烹饪器具
CN209767857U (zh) 适用于工业微波炉的微波测温系统
KR20100001189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및 이를 이용한 작동 방법
KR101826975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KR101035518B1 (ko)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화재 감시장치
KR2006007305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히터 작동 감지 방법 및 장치
KR100662563B1 (ko) 전자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