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4862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4862B1
KR100824862B1 KR1020060054434A KR20060054434A KR100824862B1 KR 100824862 B1 KR100824862 B1 KR 100824862B1 KR 1020060054434 A KR1020060054434 A KR 1020060054434A KR 20060054434 A KR20060054434 A KR 20060054434A KR 100824862 B1 KR100824862 B1 KR 100824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in
gain correction
color
image signals
plasma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2492A (ko
Inventor
요시노리 마야자끼
야스지 노구찌
마사야 다지마
아야히또 고지마
Original Assignee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132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09G3/29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lighting or sustain dischar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using tables for spatial correction of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색마다 보다 정확한 휘도 열화 보정을 행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복수 색의 영상 신호에 대하여 색마다 게인 보정하는 게인 보정부(612)와, 서스테인 펄스를 인가하여, 게인 보정된 영상 신호에 따라서 표시를 행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604)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게인 보정부는, 기동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과 영상 부하율과 서스테인 펄스 수 또는 그것에 관련되는 값에 따라서, 색마다 영상 신호를 게인 보정한다.
수직 동기 신호 VS, 휘도/전력 제어부, 드라이버 제어부, 도트 클럭 CLK, 수평 동기 신호 HS, 어드레스 드라이버, 전면 글래스 기판, 형광체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처리 방법{PLASMA DISPLAY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의 (A)∼(C)는 셀의 단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회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화상의 1프레임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본 동작예를 도시하는 파형도.
도 6은 도 1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게인 보정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6의 게인 보정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시간과 휘도 열화 비율과의 관계예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9는 영상 부하율과 서스테인 방전 전력과의 관계예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0은 Ns(서스테인 펄스 수)×K1(영상 부하율)과 K1(영상 부하율)과의 관계예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1은 서스테인 펄스 전압마다의 영상 부하율과 서스테인 펄스 수와의 관계예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2는 서스테인 펄스 전압마다의 시간과 휘도 열화 비율과의 관계예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3은 휘도 열화 계수 및 색도 변화 계수에 기초하여 게인 보정 계수를 생성하는 회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색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시간 및 색도의 x값의 관계예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6은 시간 및 색도의 y값의 관계예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7은 휘도 열화 계수, 색도 변화 계수 및 전면 필터 특성에 기초하여 게인 보정 계수를 생성하는 회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도 2의 (A)의 단면도에 전면 필터를 추가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전면 필터의 특성예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20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발광 강도의 예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1 : 데이터 컨버터
602 : 마이크로프로세서(MPU)
603 : EEPROM
604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611 : 영상 부하율 검출부
612 : 게인 보정부
621 : 서스테인 펄스 전압 검출부
622 : 서스테인 펄스 수 검출부
623 : 서스테인 방전 전력 검출부
631 : 기동 시간
632 : 휘도 열화 특성 시간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4-6186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04-240101호 공보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에서는, 적, 녹 및 청의 각 형광체가 열화된다. 그 열화 비율은 색마다 서로 다르기 때문에, 화이트 밸런스가 변화하게 되어, 화질의 열화가 발생하였다. 상기의 특허 문헌 1에는, 기동 시간 누적값에 따라서 RGB의 각 앰프의 게인 제어값을 보정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특허 문헌 2에는, 셀마다의 방전용 유효 펄스의 인가수의 누적값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각 셀 사이에서의 휘도 레벨의 차가 보정되도록 하여, 방전용 유효 펄스의 인가가 행해지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기동 시간 누적값만으로 게인을 보정하면, 영상의 부하에 의한 휘도 열화차가 반영되지 않아, 정확한 휘도 열화 특성을 예측할 수 없다. 또한, 각 셀마다 방전용 유효 펄스의 인가수를 누적시키기 위해서는, 회로 규모의 증대 및 기억 장치의 추가 등에 의한 코스트 업, 또한 기억 장치에의 보존 시간의 확보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방전용 유효 펄스 전압의 차에 의한 수명 특성의 변화가 반영되지 않아, 보다 정확한 휘도 열화 특성을 예측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색마다 보다 정확한 휘도 열화 보정을 행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색의 영상 신호에 대하여 색마다 게인 보정하는 게인 보정부와, 서스테인 펄스를 인가하여, 게인 보정된 영상 신호에 따라서 표시를 행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게인 보정부는, 기동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과 영상 부하율과 서스테인 펄스 수 또는 그것에 관련되는 값에 따라서, 색마다 영상 신호를 게인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색의 영상 신호에 대하여 색마다 게인 보정하는 게인 보정부와, 서스테인 펄스를 인가하여, 게인 보정된 영상 신호에 따라서 방전에 의한 표시를 행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 한다. 게인 보정부는, 기동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과 방전의 전력에 따라서, 색마다 영상 신호를 게인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처리 방법은, 복수 색의 영상 신호에 대하여 색마다 게인 보정하는 게인 보정부와, 서스테인 펄스를 인가하여, 게인 보정된 영상 신호에 따라서 표시를 행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처리 방법으로서, 기동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과 영상 부하율과 서스테인 펄스 수 또는 그것에 관련되는 값에 따라서, 색마다 영상 신호를 게인 보정하는 게인 보정 단계와, 게인 보정된 영상 신호에 따라서 표시를 행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처리 방법은, 복수 색의 영상 신호에 대하여 색마다 게인 보정하는 게인 보정부와, 서스테인 펄스를 인가하여, 게인 보정된 영상 신호에 따라서 방전에 의한 표시를 행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처리 방법으로서, 기동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과 방전의 전력에 따라서, 색마다 영상 신호를 게인 보정하는 게인 보정 단계와, 게인 보정된 영상 신호에 따라서 표시를 행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로 평행한 주사 전극(표시 전극) Y1∼Yn 및 표시 전극 X1∼Xn이 설치됨과 함께, 이들 전극 Y1- Yn, X1∼Xn과 직교하는 방향으로(교차하도록) 어드레스 전극 A1∼Aj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 전극 X1∼Xn은, 각 주사 전극 Y1∼Yn에 대응하여 이것에 접근해서 설치되어 있다.
표시 패널(1)은, m행 n열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셀을 구비한다. 각 셀 Cij는, 주사 전극 Yi 및 어드레스 전극 Aj의 교점 및 그것에 대응하여 인접하는 표시 전극 Xi에 의해 형성된다. 이 셀 Cij가 표시 화상의 1화소에 대응하며, 표시 패널(1)은 2차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은, 표시 영역(2)과, 그 주위에 설치된 비표시 영역(이하, 「더미 표시 영역」으로도 칭함)(3)을 갖는다. 표시 영역(2)은, 입력 영상 신호(입력 데이터) D에 기초하는 표시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으로서, 이 영역(2) 내의 셀에 대해서는, 입력 영상 신호 D에 따라서 각 전극 X, Y, A가 구동된다. 한편, 더미 표시 영역(3)은, 입력 영상 신호 D에 관계없이 항상 흑으로 하는 영역으로서, 이 영역(3) 내의 셀에 대해서는, 항상 흑 화상 표시에 대응한 구동이 각 전극 X, Y, A에 이루어진다.
표시 전극 X1∼Xn은, 드라이버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서, 표시 전극 X1∼Xn에 소정의 전압(구동 펄스)을 공급하는 X측 공통 드라이버(4)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주사 전극 Y1∼Yn은, 드라이버 제어부(10) 및 Y측 공통 드라이버(6)의 제어에 따라서, 주사 전극 Y1∼Yn에 소정의 전압(구동 펄스)을 공급하는 Y측 스캔 드라이버(5)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어드레스 전극 A1∼Aj는, 표시 데이터 제어부(11) 및 드라이버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서, 어드레스 전극 A1∼ Aj에 소정의 전압(구동 펄스)을 인가하는 어드레스 드라이버(7)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X측 공통 드라이버(4)는 방전을 반복하는 회로로 이루어지며, 어드레스 드라이버(7)는 표시할 열을 선택하는 회로로 이루어진다. 또한, Y측 스캔 드라이버(5) 및 Y측 공통 드라이버(6)에 의해 Y측 회로를 구성하며, Y측 회로는 선순차 주사하는 회로와 방전을 반복하는 회로로 이루어진다. Y측 회로 내의 선순차 주사하는 회로와 어드레스 드라이버(7)에 의해 어느 곳의 셀을 점등시킬지를 결정하고, X측 공통 드라이버(4)와 Y측 회로 내의 방전을 반복하는 회로에 의해 방전을 반복함으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동작을 행한다.
로직부(8)는, 휘도/전력 제어부(9), 드라이버 제어부(10), 표시 데이터 제어부(11), 및 검출부(12)를 갖는다. 로직부(8)는, 외부로부터의 입력 영상 신호 D, 입력 영상 신호 D의 판독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트 클럭 CLK, 수평 동기 신호 HS, 및 수직 동기 신호 VS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그것을 X측 공통 드라이버(4), Y측 스캔 드라이버(5), Y측 공통 드라이버(6), 및 어드레스 드라이버(7)에 공급한다.
구체적으로는 로직부(8)에서, 드라이버 제어부(10)가, 휘도/전력 제어부(9) 및 표시 데이터 제어부(11)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 때, 드라이버 제어부(10)는, 드라이버(4∼7)로부터 각 전극 X, Y, A에 각각 인가하는 구동 펄스를, 검출부(12)로부터 공급되는 각 데이터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하도록 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검출부(12)로부터 드라이버 제어부(10)에 공급되는 데이터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동 시간, 표시 패널(1)의 표시 전극 X1∼Xn 및 주사 전극 Y1∼Yn에 서스테인 펄스를 인가할 때의 방전의 전력(전류), 및 서스테인 펄스 전압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있다. 즉, 검출부(12)는, 상술한 기동 시간, 방전의 전력값 및 서스테인 펄스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기초하는 데이터를 드라이버 제어부(10)에 공급한다. 상기한 기동 시간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전원이 공급된 누적 시간(전원 공급 시간)이다. 또한, 상기한 방전의 전력은, 표시 패널(1) 내의 표시 전극 X1∼Xn 및 주사 전극 Y1∼Yn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얻어진다.
표시 데이터 제어부(11)는, 입력 영상 신호 D에 따라서 영상 부하율을 검출하여, 드라이버 제어부(10)에 출력한다. 영상 부하율은, 발광하는 화소수 및 그 발광하는 화소의 계조값에 기초하여 검출된다. 예를 들면, 화상의 전체 화소가 최대 계조값으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영상 부하율이 100%이다. 또한, 화상의 전체 화소가 최대 계조값의 1/2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영상 부하율이 50%이다. 또한, 화상의 절반(50%)의 화소만이 최대 계조값으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도, 영상 부하율이 50%이다.
휘도/전력 제어부(9)는, 드라이버 제어부(10)로부터 상기한 방전의 전력 또는 영상 부하율을 입력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전력이 일정하게 되도록, 표시 전극 X1∼Xn 및 주사 전극 Y1∼Yn에 인가하는 서스테인 펄스 수를 결정하여, 드라이버 제어부(10)에 출력한다. 드라이버 제어부(10)는, 결정된 서스테인 펄스 수의 서스 테인 펄스를 표시 전극 X1∼Xn 및 주사 전극 Y1∼Yn에 인가하도록, 드라이버(4 및 5)를 제어한다.
입력 영상 신호 D는, 적, 녹 및 청색의 신호선에 의해 패러렐로 공급되는 디지털 신호이다. 표시 데이터 제어부(11)는, 색마다 입력 영상 신호 D를 게인 보정한다. 이에 의해, 색마다의 휘도 열화 보정을 행할 수 있어, 화이트 밸런스를 유지하여, 화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드라이버 제어부(10)는, 상기한 기동 시간, 영상 부하율, 서스테인 펄스 수, 방전의 전력, 및/또는 서스테인 펄스 전압에 기초하여 휘도 열화 특성 시간(휘도 열화 특성 데이터)을 연산하여, 표시 데이터 제어부(11)의 색마다의 게인 보정량을 제어한다. 이들의 상세 내용은, 후에 설명한다.
도 2의 (A)는, 1화소인 제i행 제j열의 셀 Cij의 단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의 (A)에서, 표시 전극 Xi 및 주사 전극 Yi는, 전면 글래스 기판(31) 상에 형성되어 있다. 그 위에는, 방전 공간(37)에 대하여 절연하기 위한 유전체층(32)이 피착됨과 함께, 다시 그 위에 MgO(산화 마그네슘) 보호막(33)이 피착되어 있다.
한편, 어드레스 전극 Aj는, 전면 글래스 기판(31)과 대향하여 배치된 배면 글래스 기판(34) 상에 형성되며, 그 위에는 유전체층(35)이 피착되고, 다시 그 위에 형광체(38)가 피착되어 있다. MgO 보호막(33)과 유전체층(35) 사이의 방전 공간(37)에는, Ne+Xe 페닝 가스 등이 봉입되어 있다.
도 2의 (B)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용량 Cp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다.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각 셀에는, 방전 공간(37), 표시 전극 Xi와 주사 전극 Yi 사이, 및 전면 글래스 기판(31)에 각각 용량 성분 Ca, Cb, Cc가 존재하며, 이들의 합계에 의해서 셀 1개당의 용량 Cpcell이 결정된다(Cpcell=Ca+Cb+Cc). 모든 셀의 용량 Cpcell의 합계가 패널 용량 Cp이다.
도 2의 (C)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발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브(36)의 내면에는, 적, 청, 녹색의 형광체(38)가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각 색마다 배열, 도포되어 있으며, 표시 전극 Xi 및 주사 전극 Yi 사이의 방전에 의해서 형광체(38)를 여기하여 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회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하는 구동 회로는, 도 1에서의 X측 공통 드라이버(4), Y측 스캔 드라이버(5), 및 Y측 공통 드라이버(6)에 대응하는 것이다.
도 3에서, 용량 부하(이하, 「부하」로 칭함)(40)는, 상술한 복수의 표시 전극 X1∼Xn 중 임의의 1개의 표시 전극 X와, 복수의 주사 전극 Y1∼Yn 중 임의의 1개의 주사 전극 Y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셀의 합계의 용량이다. 부하(40)에는, 공통 전극 X와 주사 전극 Y가 형성되어 있다.
주사 전극 Y를 구동하기 위한 Y측 회로는, 1개의 컨덴서 CY1과 5개의 스위치 SWY1∼SWY5를 구비한다.
스위치 SWY1, SWY2는,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Vs의 전원 라인(전원선)과 기준 전위로서의 그라운드(GND)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2개의 스위치 SWY1, SWY2의 상호 접속점에는 컨덴서 CY1의 한쪽의 단자가 접속되며, 컨덴서 CY1의 다른쪽의 단자와 그라운드 사이에는 스위치 SWY3이 접속된다. 또한, 컨덴서 CY1의 한쪽의 단자에 접속되는 신호 라인을 제1 신호 라인 OUTAY로 하며, 다른쪽의 단자에 접속되는 신호 라인을 제2 신호 라인 OUTBY로 한다.
스위치 SWY4, SWY5는, 전원 회로(22)의 컨덴서 CY1의 양단에 직렬로 접속된다. 즉, 스위치 SWY4, SWY5는, 제1 및 제2 신호 라인 OUTAY, OUTBY 사이에 직렬 접속된다. 2개의 스위치 SWY4, SWY5의 상호 접속점은, 출력 라인 OUTCY를 통하여 부하(40)의 주사 전극 Y에 접속된다.
또한, 공통 전극 X를 구동하기 위한 X측 회로는, 상술한 Y측 회로와 마찬가지로 구성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Y측에서, 스위치 SWY1, SWY3, 및 SWY4를 온으로 하고, 스위치 SWY2, SWY5를 오프로 함으로써, 컨덴서 CY1에 스위치 SWY1, SWY3에 의해 부여되는 전압 Vs에 따른 전하가 축적됨과 함께, 제1 신호 라인 OUTAY의 전압 Vs가 출력 라인 OUTCY를 통하여 부하(40)에 인가된다.
또한, 컨덴서 CY1에 전압 Vs에 따른 전하가 축적된 상태에서, 스위치 SWY2, SWY5를 온으로 하고, 스위치 SWY1, SWY3, SWY4를 오프로 함으로써, 제2 신호 라인 OUTBY의 전압이 (-Vs)로 되고, 그 전압(-Vs)이 출력 라인 OUTCY를 통하여 부하(40)에 인가된다.
이와 같이 하여, 부하(40)의 주사 전극 Y에 대하여 플러스의 전압 Vs와 마이너스의 전압(-Vs)을 교대로 인가한다. 마찬가지로, 부하(40)의 공통 전극 X에 대 해서도, 마찬가지의 스위칭 제어를 행함으로써, 플러스의 전압 Vs와 마이너스의 전압(-Vs)을 교대로 인가한다. 이 때, 주사 전극 Y 및 공통 전극 X에 인가하는 전압(± Vs)은, 서로 위상이 반대인 관계로 되도록 한다. 즉, 주사 전극 Y에 플러스의 전압 Vs가 인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통 전극 X에 마이너스의 전압(-Vs)을 인가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주사 전극 Y와 공통 전극 X 사이에 방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전위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4는, 화상의 1프레임 FR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화상은, 예를 들면 60프레임/초로 형성된다. 1프레임 FR은, 제1 서브 프레임 SF1, 제2 서브 프레임 SF2, …, 제n 서브 프레임 SFn에 의해 형성된다. 이 n은, 예를 들면 10이며, 계조 비트수에 상당한다. 서브 프레임 SF1, SF2 등의 각각을 또는 이들의 총칭을, 이하, 「서브 프레임 SF」로 칭한다.
각 서브 프레임 SF는, 리세트 기간 Tr, 어드레스 기간 Ta, 및 서스테인 기간(유지 방전 기간) Ts를 갖는다. 리세트 기간 Tr에서는, 표시 셀의 초기화를 행한다. 어드레스 기간 Ta에서는, 어드레스 지정에 의해 각 표시 셀의 점등 또는 비점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셀은 서스테인 기간 Ts에서 발광을 행한다. 각 서브 필드 SF에서 발광 횟수(시간)가 서로 다르다. 이에 의해, 계조값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본 동작예를 도시하는 파형도이다. 도 5는, 1개의 서브 필드분에서, 공통 전극 X, 주사 전극 Y, 어드레스 전극 A에 대하여 인가하는 구동 펄스(전압)의 파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1개의 서브 필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체면 기입 기간 및 전체면 소거 기간으로 이루어지는 리세트 기간과, 어드레스 기간과, 유지 방전 기간으로 구분된다.
리세트 기간에서는, 우선, 공통 전극 X에 인가하는 전압이 기준 전위로서의 그라운드 레벨로부터 (-Vs)로 인하된다. 한편, 주사 전극 Y에 인가되는 전압이 시간 경과와 함께 서서히 상승하여, 최종적으로 기입 전압 Vw가 주사 전극 Y에 인가된다.
이와 같이 하여, 공통 전극 X와 주사 전극 Y에 리세트 펄스가 인가되어 전극간의 전위차가 (Vs+Vw)로 되며, 이전의 표시 상태에 관계없이, 전체 표시 라인의 전체 셀에서 방전이 행해져, 벽 전하가 형성된다(전체면 기입).
다음으로, 공통 전극 X 및 주사 전극 Y의 전압을 그라운드 레벨로 복귀시킨 후, 공통 전극 X에 대한 전압이 그라운드 레벨로부터 Vs까지 인상됨과 함께, 주사 전극 Y에 대한 인가 전압이 (-Vs)로 인하된다. 이에 의해, 전체 셀에서 벽 전하 자신의 전압이 방전 개시 전압을 초과하여 방전이 개시되어, 축적되어 있던 벽 전하가 소거된다(전체면 소거).
다음으로, 어드레스 기간에서는, 입력 영상 신호에 따라 각 셀의 온/오프를 행하기 때문에, 선순차적으로 어드레스 방전이 행해진다. 이 때, 공통 전극 X에는, 전압 Vs가 인가된다. 또한, 어떤 표시 라인에 상당하는 주사 전극 Y에 전압을 인가할 때에는, 선순차에 의해 선택된 주사 전극 Y에는 (-Vs) 레벨의 스캔 펄스, 비선택의 주사 전극 Y에는 그라운드 레벨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 때, 각 어드레스 전극 A1∼Am 중 유지 방전을 일으키는 셀, 즉 점등시키 는 셀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전극 Aj에는, 전압 Va의 어드레스 펄스가 선택적으로 인가된다. 이 결과, 점등시키는 셀의 어드레스 전극 Aj와 선순차적으로 선택된 주사 전극 Y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고, 이것을 프라이밍(불씨)으로 하여 공통 전극 X 및 주사 전극 Y 상의 MgO 보호막면에, 다음의 유지 방전이 가능한 양의 벽 전하가 축적된다.
그 후, 유지 방전 기간을 되면, 각 표시 라인의 공통 전극 X와 주사 전극 Y에 서로 극성이 다른 전압(+Vs, -Vs)을 교대로 인가하여 유지 방전을 행하여, 1서브 필드의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서로 극성이 다른 전압을 교대로 인가하는 동작은, 서스테인 동작으로 불리며, 서스테인 동작 중 전압(+Vs,-Vs)의 펄스는 서스테인 펄스로 불린다.
또한, 유지 방전 기간에서, 주사 전극 Y에 대하여 최초로 고전압을 인가할 때에만 전압(Vs+Vx)을 인가한다. 이 전압 Vx는, 어드레스 기간에 발생한 벽 전하의 전압에 부가함으로써 유지 방전에 필요한 전압을 생성하는 상승분의 전압이다.
도 6은, 도 1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데이터 제어부(11) 내의 게인 보정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데이터 컨버터(601)는, 영상 부하율 검출부(611) 및 게인 보정부(612)를 갖고, 영상 신호 D를 입력하고, 색마다 영상 신호 D를 게인 보정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604)에 출력한다. 게인 보정부(612)의 구성은, 후에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604)은, 도 1의 표시 패널(1) 및 드라이버(4∼7)를 갖고, 게인 보정부(612)에서 색마다 게인 보정된 영상 신호에 따라 표시를 행한다.
영상 부하율 검출부(611)는, 영상 신호 D에 따라서 영상 부하율을 검출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MPU)(602)에 출력한다. 영상 부하율은, 발광하는 화소수 및 그 발광하는 화소의 계조값에 기초하여 검출된다. 예를 들면, 화상의 전체 화소가 최대 계조값으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영상 부하율이 100%이다. 또한, 화상의 전체 화소가 최대 계조값의 1/2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영상 부하율이 50%이다. 또한, 화상의 절반(50%)의 화소만이 최대 계조값으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도, 영상 부하율이 50%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602)는, 서스테인 펄스 전압 검출부(621), 서스테인 펄스 수 검출부(622) 및 서스테인 방전 전력 검출부(623)를 갖고, 데이터 컨버터(601) 및 EEPROM(불휘발성 메모리)(603)에 대하여 입출력 가능하다.
서스테인 펄스 전압 검출부(621)는, 도 5의 서스테인 펄스 전압 Vs를 검출한다. 서스테인 펄스 전압 Vs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604)마다 변동에 의해 서로 다른 값을 갖는다.
서스테인 펄스 수 검출부(622)는, 도 5의 유지 방전 기간에서의 서스테인 펄스의 수를 검출한다. 서스테인 펄스 수는, 도 1의 휘도/전력 제어부(9)의 전력 일정 제어에 의해 변화한다.
서스테인 방전 전력 검출부(623)는, 도 1의 검출부(12)에 대응하여, 유지 방전 기간에서의 서스테인 펄스에 의해 방전이 발생했을 때의 표시 전극 X1∼Xn 및 주사 전극 Yl∼Yn에 전류가 흐를 때의 전력을 검출한다. 서스테인 방전 전력은, 표시 패널(1) 내의 표시 전극 X1∼Xn 및 주사 전극 Y1∼Yn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함 으로써 얻어진다.
EEPROM(603)은, 기동 시간(631) 및 휘도 열화 특성 시간(632)을 기억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602)는, 기동 시간(631) 및 휘도 열화 특성 시간(632)을 연산하여, EEPROM(603)에 기록한다. 기동 시간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전원이 공급되어, 영상 표시(흑 표시도 포함함)가 행해진 시간(영상 표시 시간)이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602)는, 상기한 기동 시간, 영상 부하율, 서스테인 펄스 수, 서스테인 방전 전력, 및/또는 서스테인 펄스 전압에 기초하여 휘도 열화 특성 시간(휘도 열화 특성 데이터)(632)을 연산하여, EEPROM(603)에 기록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602)는, 휘도 열화 특성 시간(632)에 따라서, 게인 보정부(612)의 게인 보정을 제어한다. 게인 보정부(612)는, 마이크로프로세서(602)의 제어에 의해, 색마다 게인 보정을 행한다. 그 상세 내용은, 후에 설명한다.
도 7은, 도 6의 게인 보정부(612)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영상 신호 D는, 적의 영상 신호 DR, 녹의 영상 신호 DG 및 청의 영상 신호 DB를 갖는다. 게인 보정부(701R)는, 마이크로프로세서(602)의 제어에 의해, 적의 영상 신호 DR을 게인 보정한다. 게인 보정부(701G)는, 마이크로프로세서(602)의 제어에 의해, 녹의 영상 신호 DG를 게인 보정한다. 게인 보정부(701B)는, 마이크로프로세서(602)의 제어에 의해, 청의 영상 신호 DB를 게인 보정한다.
도 8은, 시간과 휘도 열화 비율과의 관계예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횡축은 시간을 대수 표시하고, 종축은 각 색의 영상 신호의 휘도 열화 비율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특성선(801)은 적의 열화 비율 특성을 나타내며, 특성선(802)은 녹의 열화 비율 특성을 나타내고, 특성선(803)은 청의 열화 비율 특성을 나타낸다. 초기 시의 시간이 0일 때, 적, 녹 및 청의 특성선(801∼803)의 휘도 열화 비율을 1로 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휘도 열화 비율을 나타낸다. 각 색에 따라, 열화 비율이 서로 다르다. 적의 특성선(801)은 열화하기 어렵고, 청의 특성선(803)은 열화하기 쉽다. 이 결과, 시간의 경과와 함께, 화이트 밸런스가 무너져, 붉은 빛을 띤 화상 표시로 된다.
특성선(801∼803)의 데이터는, 예를 들면 도 6의 마이크로프로세서(602) 내에 테이블 데이터로서 저장되어 있다. 도 6의 휘도 열화 특성 시간(632)은, 도 8의 횡축의 시간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휘도 열화 특성 시간(632)이 시간 t3인 경우, 3색 중에서 가장 휘도 열화값이 작은 것에 합치하도록, 3색의 영상 신호 DR, DG, DB의 게인 보정을 행한다. 즉, 휘도 열화값이 가장 작은 것이 청(803)의 열화 비율인 0.5이기 때문에, 전체 색의 열화 비율이 0.5로 되도록, 영상 신호 DR, DG, DB의 게인 보정을 행한다. 색마다 서로 다른 게인 보정을 행할 수 있다.
휘도 열화 특성 시간 T1은, 다음의 수학식 1로 나타낸다. T2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계측되는 기동 시간, K1은 영상 부하율, Ns는 서스테인 펄스 수이다. B1은 상기 특성선을 구할 때의 조건으로부터 산출한 계수로서, 예를 들면 도 8의 특성으로 되는 영상 부하율×서스테인 펄스 수에 대응하는 수치이다. K2는 서스테인 펄스 전압 Vs에 의존하는 계수이다. 즉, T2×Ns×K1/(B1×K2)을 시간 경과에 따라서 누적 가산하여, 휘도 열화 특성 시간 T1을 구한다. 또한, T2는 기동 시간에 대 응하는 시간이어도 되며, Ns는 서스테인 펄스 수에 관련되는 값이어도 되고, K2는 서스테인 펄스 전압 Vs 그 자체이어도 된다.
Figure 112006042349349-pat00001
각 파라미터가 휘도 열화 특성 시간 T1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를, 이하 설명한다. 우선, 기동 시간 T2에 따라서, 도 2의 (C)의 적, 녹 및 청의 각 형광체(38)가 열화하여, 각 색의 휘도가 열화하는 것은 명확하다. 따라서, 기동 시간 T2는, 휘도 열화 특성 시간 T1에 영향을 미친다.
도 9는, 영상 부하율 K1과 서스테인 방전 전력과의 관계예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만일 서스테인 펄스 수가 일정하다고 한다면, 영상 부하율이 커짐에 따라, 서스테인 방전 전력도 커진다. 따라서, 도 1의 휘도/전력 제어부(9)는, 전력의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서, 영상 부하율이 클 때에는, 예를 들면 전력이 일정하게 되도록, 서스테인 펄스 수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영상 부하율이 커지면, 서스테인 펄스 수를 줄인다. 그 결과,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영상 부하율이 클 때에는, 전력이 일정하게 된다.
도 10은, 상기한 Ns(서스테인 펄스 수에 관련되는 값)×K1(영상 부하율)과 K1(영상 부하율)과의 관계예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력 일정 제어에 의해, 영상 부하율 K1이 커지면, 서스테인 펄스 수 Ns가 감소한다. 그 결과, 영상 부하율 K1이 커지면, Ns×K1이 일정한 특성을 나타낸다. 즉, Ns/K1은, 도 9의 서스테인 방전 전력과 유사한 특성을 나타낸다.
서스테인 방전 전력이 클수록, 서스테인 방전에 의한 발광 횟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휘도가 열화하기 쉬워진다. 즉, Ns×K1이 커질수록, 휘도가 열화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휘도 열화 특성 시간 T1은, Ns×K1에 의존한다.
또한, 영상 부하율은, 프레임마다 연산되는 것이다. 따라서, 우선, Ns×K1의 값의 최대값을 1로 하여, Ns×K1의 값을 정규화한다. 예를 들면, 1초당 1프레임의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Ns×K1이 1일 때에는 1초로 하고, Ns/K1이 0.5일 때에는 0.5초로 한다. 그 시간을, 상기 수학식 1의 Ns×K1로서 표현한다. 또한, 그 시간을 소정 기간 누적하여 Ns×K1로서 표현해도 된다.
도 11은, 서스테인 펄스 전압마다의 영상 부하율 K1과 서스테인 펄스 수 Ns와의 관계예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예를 들면, 특성선(1101L)은 서스테인 펄스의 구동 전압 Vs가 80V일 때의 특성을 나타내며, 특성선(1102H)은 서스테인 펄스의 구동 전압 Vs가 82V일 때의 특성을 나타낸다. 도 11로부터, 구동 전압 Vs의 설정값이 서로 다르면 도 10의 특성(평탄부)이 서로 다르게 된다. 형광체의 기본 열화 특성은, 전력(전압/전류)에 의해 결정된다고 생각된다. 설정하는 구동 전압이 변화해도 구동 전력이 변하지 않으면, 그 분만큼 전류(서스테인 펄스 수)를 줄이도록 제어함으로써, 형광체의 기본 열화 특성은 구동 전압 Vs에 의존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도 10의 영상 부하율/서스테인 펄스 수(혹은 서스테인 펄스 수에 관련되는 값)의 특성은, 구동 전압 Vs의 설정에 상관없이 영상 부하율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기준으로 되는 패널에 의해 구한 (영상 부하율)대 (서스테인 펄스 수, 혹은 서스테인 펄스 수에 관련되는 값)의 테이블, 또는 연산식에 의해 도 10의 특성을 구동 전압 Vs에 의존하지 않고 구할 수 있다.
도 12는, 서스테인 펄스 전압마다의 시간과 휘도 열화 비율과의 관계예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횡축의 시간은 대수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특성선(1201L)은 서스테인 펄스 전압 Vs가 80V일 때의 특성을 나타내며, 특성선(1202H)은 서스테인 펄스 전압 Vs가 82V일 때의 특성을 나타낸다. 서스테인 펄스 전압 Vs가 높으면, 강한 서스테인 방전이 발생하여, 동일한 전력이 가해져도 전압에 의존하여, 휘도의 열화 특성이 서로 다른 형광체도 있다. 또한, 전압이 높으면, 무효 전력(충전 전력)이 증가하여, 그 만큼 방전 전력은 감소한다. 따라서, 이 특성을 고려하여, 서스테인 펄스 전압 Vs에 의존하는 계수 K2를 이용한다. 이에 의해, 보다 정확하게 휘도 열화에 의한 게인 보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학식 1에서, 서스테인 펄스 전압 Vs에 의존하는 계수 K2를 생략해도 된다. 그 경우, 휘도 열화 특성 시간 T1은, 다음 수학식 2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6042349349-pat00002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서, Ns×K1은, 도 9의 서스테인 방전 전력 P1로 치환할 수 있다. 그 경우, 휘도 열화 특성 시간 T1은, 다음 수학식 3 및 수학식 4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6042349349-pat00003
Figure 112006042349349-pat00004
또한, 영상 부하율 K1은, 프레임마다 1개의 영상 부하율을 연산해도 되고, 1프레임 내에서 색마다 연산해도 된다. 그 경우, 적의 영상 부하율 K1, 녹의 영상 부하율 K1 및 청의 영상 부하율 K1이 구해진다. 그 결과, 적의 휘도 열화 특성 시간 T1, 녹의 휘도 열화 특성 시간 T1 및 청의 휘도 열화 특성 시간 T1이 구해진다. 예를 들면, 도 8에서, 적의 휘도 열화 특성 시간 T1이 t1, 녹의 휘도 열화 특성 시간 T1이 t2, 청의 휘도 열화 특성 시간 T1이 t3이었던 것으로 한다. 그 경우, 적의 휘도 열화가 약 1, 녹의 휘도 열화가 약 0.85, 청의 휘도 열화 특성이 약 0.5로 된다. 이 경우,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휘도 열화값이 가장 작은 청의 휘도 열화값 0.5에 맞춘다. 도 7의 적의 게인 보정부(701R)는, 휘도 열화 보정을 위해 1로부터 0.5로 게인 보정한다. 녹의 게인 보정부(701C)는, 0.5/0.85=0.59에 게인 보정한다. 청의 게인 보정부(701B)는, 게인 보정할 필요가 없어, 입력 영상 신호 DB를 그대로 출력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기동 시간 T2, 영상 부하율 K1, 서스테인 펄스 수 Ns, 서스테인 방전 전력 P1, 및/또는 서스테인 펄스 전압 Vs에 의존하는 계수 K2에 기초하여 휘도 열화 특성 시간(휘도 열화 특성 데이터) T1을 연산하여, 색마다 영상 신호를 게인 보정한다. 이에 의해, 색마다 보다 정확한 휘도 열화 보정을 행할 수 있어, 화이트 밸런스를 유지하여, 화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휘도 열화 계수 및 색도 변화 계수에 기초하여 게인 보정 계수를 생성하는 회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시간 T1은, 상기한 휘도 열화 특성 시간 T1이다. 휘도 열화 계수 테이블(1301)은, 시간 T1 및 형광체(38)(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604))의 휘도 열화 계수(게인 보정 계수)의 대응 관계를 기억하는 룩 업 테이블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휘도 열화 계수 테이블(1301)이 시간 T1에 기초하여, 적의 게인 보정 계수(1311R), 녹의 게인 보정 계수(1311G) 및 청의 게인 보정 계수(1311B)를 각각 도 7의 게인 보정부(701R, 701G 및 701B)에 출력한다. 게인 보정부(701R, 701G 및 701B)는, 각각 게인 보정 계수(1311R, 1311G 및 1311B)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 DR, DG 및 DB를 게인 보정한다.
도 13에서는, 휘도 열화 계수 테이블(1301) 외에, 색도 변화 계수 테이블(1302) 및 게인 보정 계수 생성부(1303)가 설치된다. 색도 변화 계수 테이블(1302)은, 시간 T1 및 형광체(38)(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604))의 색도 변화 계수(게인 보정 계수)의 대응 관계를 기억하는 룩 업 테이블이다. 휘도 열화 계수 테이블(1301)은, 시간 T1에 기초하여, 적의 휘도 열화 계수(게인 보정 계수)(1311R), 녹의 휘도 열화 계수(게인 보정 계수)(1311G) 및 청의 휘도 열화 계수(게인 보정 계수)(1311B)를 출력한다. 휘도 열화 계수(1311R, 1311G 및 1311B)는, 상기한 실시예에 나타낸 시간 경과에 수반하는 각 색의 형광체(38)의 휘도 열화를 보정하기 위한 게인 보정 계수이다. 색도 변화 계수 테이블(1302)은, 시간 T1에 기초하여, 적의 색도 변화 계수(게인 보정 계수)(1312R), 녹의 색도 변화 계수(게인 보정 계수)(1312G), 청의 색도 변화 계수(게인 보정 계수)(1312B)를 출력한다. 색도 변화 계수(1312R, 1312G 및 1312B)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시간 경과에 수반하는 각 색의 형광체(38)의 색도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게인 보정 계수이다. 게인 보정 계수 생성부(1303)는, 적의 휘도 열화 계수(1311R), 녹의 휘도 열화 계수(1311G), 청의 휘도 열화 계수(1311B), 적의 색도 변화 계수(1312R), 녹의 색도 변화 계수(1312G) 및 청의 색도 변화 계수(1312B)에 기초하여, 적의 게인 보정 계수(1313R), 녹의 게인 보정 계수(1313G) 및 청의 게인 보정 계수(1313B)를 생성하여, 각각 도 7의 게인 보정부(701R, 701G 및 701B)에 출력한다. 게인 보정부(701R, 701G 및 701B)는, 각각 게인 보정 계수(1313R, 1313G 및 1313B)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 DR, DG 및 DB를 게인 보정한다.
도 14는, 색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횡축이 색도의 x축이며, 종축이 색도의 y축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x=0.29 및 y=0.31의 색도 부근이 백색, y가 커지면 녹색, x가 커지면 적, x 및 y가 작아지면 청으로 된다. 좌표(1401)는, 예를 들면 시간 T1이 0인 초기의 형광체(38)의 백의 색도점을 나타낸다. 이 색도점(1401)은, 시간 경과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좌표(1402)는, 예를 들면 시간 T1이 6만시간으로 되며, 색도 변화 계수(1312R, 1312G 및 1312B)를 사용하지 않고, 휘도 열화 계수(1311R, 1311G 및 1311B)만을 이용하여 게인 보정을 행한 후의 백의 색도점을 나타낸다. 적, 녹 및 청의 형광체(38)는, 휘도뿐만 아니라, 색도도 변화하기 때문 에, 그 영향으로 휘도 열화 비율을 보정해도, 색도점(1402)과 같이 색도가 어긋나게 된다. 이 색도 어긋남도 고려하여, 적, 녹 및 청의 게인 보정 계수를 조정함으로써, 색도를 움직이지 않거나 또는 색도를 임의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색도 변화 계수(1312R, 1312G 및 1312B)를 이용하여, 색도를 움직이지 않도록 게인 보정함으로써, 색도점(1402)을 초기의 색도점(1401)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색도 변화 계수(1312R, 1312G 및 1312B)를 이용하여, 색도를 임의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게인 보정함으로써, 색도점(1402)을 원하는 색도점(1403)으로 움직일 수 있다.
게인 보정 계수 생성부(1303)는, 휘도 열화 계수(1311R, 1311G, 1311B) 및 색도 변화 계수(1312R, 1312G, 1312B)에 기초하여 게인 보정 계수(1313R, 1313G, 1313B)를 생성함으로써, 시간 T1이 예를 들면 6만시간으로 되었을 때에는, 시간 경과에 수반하여 변화된 색도점을 색도점(1401)으로 복귀시키거나, 원하는 색도점(1403)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휘도 열화 계수(1311R, 1311G 및 1311B)에 의한 게인 보정만으로도,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보정에 의한 색도의 변화는, 비교적 작은 것이다. 색도 변화 계수(1312R, 1312G 및 1312B)는, 그 작은 색도 변화를 보정하는 것이다. 휘도 열화 계수(1311R, 1311G 및 1311B) 및 색도 변화 계수(1312R, 1312G, 1312B)를 이용하여 게인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게인 보정을 행할 수 있다.
도 15는, 시간 T1 및 색도의 x값의 관계예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횡축이 시간 T1[hour]을 나타내며, 종축이 색도의 x 상대값을 나타낸다. 변화 특 성(1501R)은, 시간 T1에 대한 적의 색도의 x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특성이다. 변화 특성(1501G)은, 시간 T1에 대한 녹의 색도의 x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특성이다. 변화 특성(1501B)는, 시간 T1에 대한 청의 색도의 x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특성이다.
도 16은, 시간 T1 및 색도의 y값의 관계예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횡축이 시간 T1[hour]을 나타내며, 종축이 색도의 y 상대값을 나타낸다. 변화 특성(1601R)은, 시간 T1에 대한 적의 색도의 y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특성이다. 변화 특성(1601G)은, 시간 T1에 대한 녹의 색도의 y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특성이다. 변화 특성(1601B)은, 시간 T1에 대한 청의 색도의 y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특성이다.
색도 변화 계수 테이블(1302)은, 예를 들면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색도의 x값 및 y값의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색도 변화 계수(1312R, 1312G 및 1312B)를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휘도 열화 계수(1311R, 1311G, 1311B) 및 색도 변화 계수(1312R, 1312G, 1312B)에 기초하여 게인 보정 계수(1313R, 1313G, 1313B)를 생성함으로써, 시간 경과에 수반하는 각 색의 형광체의 휘도 열화 및 각 색의 형광체의 색도 변화를 보정할 수 있다.
도 17은, 휘도 열화 계수, 색도 변화 계수 및 전면 필터 특성에 기초하여 게인 보정 계수를 생성하는 회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3에 전면 필터 특성 테이블(1701)을 추가한 것이다. 전면 필터 특성 테이블(1701)은,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전면 필터 특성(도 19)을 기억하는 테이블로서, 전면 필터 특성(1711)을 출력한다. 게인 보정 계수 생성부(1303)는, 휘도 열화 계수(1311R, 1311G, 1311B), 색도 변화 계수(1312R, 1312G, 1312B), 시간 T1 및 전면 필터 특성(1711)에 기초하여, 적의 게인 보정 계수(1313R), 녹의 게인 보정 계수(1313G) 및 청의 게인 보정 계수(1313B)를 생성하여, 각각 도 7의 게인 보정부(701R, 701G 및 701B)에 출력한다. 게인 보정부(701R, 701G 및 701B)는, 각각 게인 보정 계수(1313R, 1313G 및 1313B)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 DR, DC 및 DB를 게인 보정한다.
도 18은, 도 2의 (A)의 단면도에 전면 필터(1801)를 추가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면 필터(1801)는, 전면 글래스 기판(31)에 대하여, 접촉하도록 설치해도 되며, 떨어지도록 설치해도 된다. 전면 필터(1801)는, 불필요한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해 설치된다. 전면 필터(1801)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604)의 전면에 설치된다.
도 19는, 전면 필터(1801)의 특성예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횡축이 파장을 나타내며, 종축이 투과율을 나타낸다. 전면 필터(1801)는, 예를 들면 600㎚ 부근의 파장의 광을 차단하는 특성을 갖는다.
도 20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604)의 발광 강도의 예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횡축이 파장을 나타내며, 종축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604)의 발광 강도를 나타낸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604)은, 형광체(38)의 발광 외에, 네온(Ne) 방전에 의한 네온 발광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600㎚ 부근의 파장으로 네온 발광이 발생한다. 도 19의 특성을 갖는 전면 필터(1801)를 사용함으로써, 각 색에 맞춘 파장의 투과 특성이나, 네온 발광의 파장의 차단 비율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네온 발광의 투과 비율에서, 전면 필터(1801)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에서 수명에 의한 단색 색도의 변화의 보이는 양태가 상당히 변화하는 경우가 고려된다. 그 경우에는, 전면 필터 특성 테이블(1701)을 이용한 게인 보정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도 20의 발광 강도 특성에서, 시간 경과와 함께, 형광체(38)가 발광하는 파장이 약간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파장이 변화하면, 도 19의 전면 필터 특성에 의해, 투과율이 서로 다르다. 따라서, 그 투과율을 고려하여, 각 색의 게인 보정 계수를 생성할 필요가 있다.
전면 필터 특성 테이블(1701)은, 도 19의 전면 필터 특성을 기억하여, 전면필터 특성(1711)을 출력한다. 게인 보정 계수 생성부(1303)는, 시간 T1 및 전면 필터 특성(1711)에 기초하여, 게인 보정 계수(1313R, 1313G 및 1313B)를 생성한다.
이상과 같이, 전면 필터(1801)가 없는 경우에는, 전면 필터 특성 테이블(1701)을 이용한 게인 보정은 불필요하지만, 전면 필터(180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면 필터 특성 테이블(1701)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게인 보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의 구체화의 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이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그 기술 사상, 또는 그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색마다 보다 정확한 휘도 열화 보정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화이트 밸런스 를 유지하여, 화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8)

  1. 복수 색의 영상 신호들의 게인(gain)을 색마다 보정하는 게인 보정부; 및
    서스테인 펄스를 인가하여, 상기 게인 보정된 영상 신호들에 대응하여 표시를 제공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게인 보정부는 기동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 영상 부하율, 상기 서스테인 펄스 수 또는 그것에 관련되는 값으로부터 얻어지는 소정의 값의 적산값,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 열화 계수,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도 변화 계수, 및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 필터의 특성에 따라서, 상기 영상 신호들의 게인을 색마다 보정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 보정부는 색마다의 영상 부하율에 따라서, 상기 영상 신호들의 게인을 색마다 보정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 보정부는 상기 서스테인 펄스의 전압 레벨 또는 그것에 의존하는 계수에 따라서, 상기 영상 신호들의 게인을 색마다 보정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색은 적, 녹 및 청색의 3색이고,
    상기 게인 보정부는 적, 녹 및 청색마다 각각 상기 영상 신호들의 게인을 보정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 보정부는 색마다 서로 다른 게인 보정을 행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 삭제
  7. 삭제
  8. 복수 색의 영상 신호들의 게인을 색마다 보정하는 게인 보정부; 및
    서스테인 펄스를 인가하여, 상기 게인 보정된 영상 신호들에 대응하여 방전에 의한 표시를 제공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게인 보정부는 기동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 영상 부하율, 및 상기 방전의 전력에 따라서, 상기 영상 신호들의 게인을 색마다 보정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 보정부는 상기 서스테인 펄스의 전압 레벨 또는 그것에 의존하는 계수에 따라서, 상기 영상 신호들의 게인을 색마다 보정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 복수 색의 영상 신호들의 게인을 색마다 보정하는 게인 보정부와, 서스테인 펄스를 인가하여, 상기 게인 보정된 영상 신호들에 대응하여 표시를 제공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처리 방법으로서,
    기동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 영상 부하율, 상기 서스테인 펄스 수 또는 그것에 관련되는 값으로부터 얻어지는 소정의 값의 적산값,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 열화 계수,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도 변화 계수, 및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 필터의 특성에 따라서, 상기 영상 신호들의 게인을 색마다 보정하는 게인 보정 단계; 및
    상기 게인 보정된 영상 신호들에 대응하여 표시를 제공하는 표시 단계
    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처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 보정 단계는 색마다의 영상 부하율에 따라서, 상기 영상 신호들의 게인을 색마다 보정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처리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 보정 단계는 상기 서스테인 펄스의 전압 레벨 또는 그것에 의존하는 계수에 따라서, 상기 영상 신호들의 게인을 색마다 보정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처리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색은 적, 녹 및 청색의 3색이고,
    상기 게인 보정 단계는 적, 녹 및 청색마다 각각 상기 영상 신호들의 게인을 보정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처리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 보정 단계는 색마다 서로 다른 게인 보정을 행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처리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복수 색의 영상 신호들의 게인을 색마다 보정하는 게인 보정부와, 서스테인 펄스를 인가하여, 상기 게인 보정된 영상 신호들에 대응하여 방전에 의한 표시를 제공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처리 방법으로서,
    기동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 영상 부하율, 및 상기 방전의 전력에 따라서, 상기 영상 신호들의 게인을 색마다 보정하는 게인 보정 단계; 및
    상기 게인 보정된 영상 신호들에 대응하여 표시를 제공하는 표시 단계
    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처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 보정 단계는 상기 서스테인 펄스의 전압 레벨 또는 그것에 의존하는 계수에 따라서, 상기 영상 신호들의 게인을 색마다 보정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처리 방법.
KR1020060054434A 2005-06-17 2006-06-1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KR1008248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78219 2005-06-17
JPJP-P-2005-00178219 2005-06-17
JP2006122403A JP2007025635A (ja) 2005-06-17 2006-04-26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JPJP-P-2006-00122403 2006-04-2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656A Division KR20080019261A (ko) 2005-06-17 2008-02-0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492A KR20060132492A (ko) 2006-12-21
KR100824862B1 true KR100824862B1 (ko) 2008-04-23

Family

ID=3758881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434A KR100824862B1 (ko) 2005-06-17 2006-06-1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KR1020080010656A KR20080019261A (ko) 2005-06-17 2008-02-0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656A KR20080019261A (ko) 2005-06-17 2008-02-0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001932A1 (ko)
JP (1) JP2007025635A (ko)
KR (2) KR1008248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7909A (ja) 2006-01-13 2007-07-26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ディスプレイ装置
WO2009090685A1 (ja) * 2008-01-17 2009-07-23 Hitachi,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5771241B2 (ja) * 2013-06-28 2015-08-26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表示駆動装置、表示駆動方法、表示装置
CN113453724A (zh) * 2018-09-27 2021-09-28 皮埃尔法布雷医药公司 基于磺酰基马来酰亚胺的连接子和相应的偶联物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300A (ko) * 2000-03-08 2001-09-26 추후제출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 및 보정방법, 및 표시장치
JP2002006796A (ja) * 2000-06-23 2002-01-11 Fujitsu General Ltd 表示装置
KR20020089875A (ko) * 2001-05-25 2002-11-30 충화 픽처 튜브스, 엘티디. 입력 비디오 신호 세기의 동적 조정에 의한 플라즈마 판표시의 유효수명 연장방법
JP2003015590A (ja) * 2001-06-28 2003-01-17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及び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装置
KR20030067930A (ko) * 2002-02-09 2003-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이트 밸런스 보상방법 및장치
KR20050036257A (ko) * 2003-10-15 2005-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패널 구동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1254A (en) * 1993-08-12 2000-06-27 Hitachi, Ltd. Color correction system of imaging apparatus
JP3672586B2 (ja) * 1994-03-24 2005-07-2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補正システムおよびその動作方法
JP3632505B2 (ja) * 1999-06-18 2005-03-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CN1176552C (zh) * 1999-11-25 2004-11-1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色差信号补偿装置
JP2001209358A (ja) * 2000-01-26 2001-08-03 Seiko Epson Corp 表示画像のムラ補正
JP3838177B2 (ja) * 2002-08-22 2006-10-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表示方法、映像表示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コントラスト調整回路
EP1503333A1 (en) * 2003-08-01 2005-02-02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Correction of non-uniform image display
US20060038748A1 (en) * 2004-08-17 2006-02-23 Chun-Chueh Chiu Image processing method for plasma display pane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300A (ko) * 2000-03-08 2001-09-26 추후제출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 및 보정방법, 및 표시장치
JP2002006796A (ja) * 2000-06-23 2002-01-11 Fujitsu General Ltd 表示装置
KR20020089875A (ko) * 2001-05-25 2002-11-30 충화 픽처 튜브스, 엘티디. 입력 비디오 신호 세기의 동적 조정에 의한 플라즈마 판표시의 유효수명 연장방법
JP2003015590A (ja) * 2001-06-28 2003-01-17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及び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装置
KR20030067930A (ko) * 2002-02-09 2003-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이트 밸런스 보상방법 및장치
KR20050036257A (ko) * 2003-10-15 2005-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패널 구동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025635A (ja) 2007-02-01
KR20080019261A (ko) 2008-03-03
KR20060132492A (ko) 2006-12-21
US20070001932A1 (en)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8449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及び表示装置
KR10080748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KR10070965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20060244685A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078400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US200501278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KR10108319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3694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EP1748407A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US7642991B2 (en) Method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KR10082486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US20070241994A1 (en) Plasma Display Panel Drive Method
JP5234192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US20070085773A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US20060220994A1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20120081418A1 (en) Driving method for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device
US20070085772A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4815458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5387696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4906779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4902591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20130241972A1 (en)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device and plasma display device
US20070216609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JPWO2011086894A1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WO2009098771A1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