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4818B1 - 조립식 테이블 - Google Patents

조립식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4818B1
KR100824818B1 KR1020070003163A KR20070003163A KR100824818B1 KR 100824818 B1 KR100824818 B1 KR 100824818B1 KR 1020070003163 A KR1020070003163 A KR 1020070003163A KR 20070003163 A KR20070003163 A KR 20070003163A KR 100824818 B1 KR100824818 B1 KR 100824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rame
support
prefabricated
fixed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3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진병
Original Assignee
배진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진병 filed Critical 배진병
Priority to KR1020070003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4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2Combination of tables; Linking or assembl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3Underframes with a centr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야외나 정원 등에서 누구나 간편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하지 않을 때는 쉽게 분해하여 부피를 작게 함으로써 휴대하기에 간편하게 함은 물론 승용차 등에도 편리하게 탑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 구성은 원통형 기둥(1) 상, 하부에 각각 장착된 상, 하부 고정틀(2, 3)과, 상기 상부 고정틀(2)의 사방으로 돌출된 돌기부(21)에 의해 형성된 삽입구(22)로 삽입되어 지지핀(23)에 의해 고정되어 90도 회전이 가능한 지지대(4)와, 상기 하부 고정틀(3)의 사방으로 돌출된 돌기부(31)에 의해 형성된 삽입구(32)로 삽입되어 지지핀(33)에 의해 고정되어 90도 회전이 가능한 받침대(5)와, 상기 원통형 기둥(1) 상, 하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 하부 캡(6, 7)과, 상기 상부 캡(6)의 외주면에는 원형의 테이블을 여러 조각으로 등분한 다수의 테이블 유닛(8)의 단부를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삽입구(60)와, 상기 다수의 테이블 유닛(8)이 원형으로 조립하여 고정되도록 각각의 테이블유닛 일측에 돌출부(81)가 형성되며, 테이블유닛의 타측에는 장홈(82)이 형성되어 돌출부(81)가 삽입될 수 있게 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중량을 가볍게 하고 또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신소재의 합성수지재로 사출함으로써, 이동 및 취급이 용이하고, 조립 및 분해가 쉬워 누구나 손쉽게 휴대하여 가지고 다니면서 필요한 장소에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 반복하여 사용하더라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분해하여 보관하였을 때에도 적은 부피를 유지할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한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조립식 테이블, 테이블 유닛, 상부 및 하부 고정틀, 격판, 지지대, 받침대

Description

조립식 테이블{SECTIONAL TABLE}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테이블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식 테이블을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통형 기둥에 장착된 지지대와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지지대와 받침대가 각각의 고정틀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원통형의 기둥 상부와 하부에 장착되는 상, 하부 캡이 원통형 기둥에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이루는 다수의 테이블 유닛을 중첩하여 포개서 원통형 기둥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원통형 기둥 2. 상부, 고정틀
3. 하부 고정틀 4. 지지대
5. 받침대 6. 상부 캡
7. 하부 캡 8. 테이블 유닛
11, 12. 돌기부 13, 14. 돌기
15. 격판 16, 17. 공간부
21, 31. 돌기부 22, 32. 삽입구
23, 33. 지지핀 24, 34. 요홈
41, 51. 걸림구 60, 70. 삽입구
61, 71. 수직홈 62, 72. 수평홈
81. 돌출부 82. 장홈
본 발명은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야외나 정원 등에서 누구나 간편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하지 않을 때는 쉽게 분해하여 부피를 작게 함으로써 휴대하기에 간편하게 함은 물론 승용차 등에도 편리하게 탑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블은 야외나 정원 등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어 휴식을 취하는데는 아무런 불편이 없지만 이동이 불편하여 필요한 장소에서 테이블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필요한 장소에서 간편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원판상의 테이블은 그 상판의 저면 중앙부에 하나의 원통형 다리를 연결 조립함과 아울러 그 원통형 다리의 하단에는 하나의 다리를 갖는 테이블 상판을 안정하게 지지하 기 위하여 그 상판과 대략 같은 형태로 된 원판형 받침판을 구비하여 상기한 상판과 원통형 다리 및 받침판을 각각 분리할 수 있게 한 조립식 테이블이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테이블에 있어서는 통상 중량물인 대구경의 금속제 파이프를 다리로 사용하게 되므로 그 상판과 다리 및 받침판 간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테이블을 분해한다 하더라도 이를 혼자서 운반하기가 거의 불가능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국내 공개 번호 20-1998-0020266호로 공개된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은 테이블과 의자가 일체로 결합하여 조립 및 전개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로 구성되어 있지만, 부피가 크고 무거워서 일반적인 사람들이 휴대하여 갖고 이동하는 데는 많은 불편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테이블과 의자가 일체이기 때문에 의자에 않기 위해서는 테이블과 의자 사이의 공간에 다리를 넣고 의자에 앉아야 하므로 사용상에 많은 불편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조립식 테이블은 등산, 캠핑 등의 야외활동중에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형태로 개발되어 왔다. 이제까지 개발되어 사용되어 오고 있는 야외용 테이블은 계속하여 개량되어 왔지만 여전히 많은 결점을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이미 알려진 야외용 테이블은 조립하고 분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여성 사용자와 같이 기계 취급에 소질이 없는 사용자들이 그 사용을 기피하였던 것이다.
또한, 야외용 테이블은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제품으로 사용하지 않는 기간에 는 분해하여 일정한 장소에 적은 부피로써 보관하여야 한다. 그런데 비록 일시적으로 사용한다 하더라도 어느 정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야외용 테이블은 반복하여 사용할 경우 강도가 약화되어 견고하지 못한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조립식 야외용 테이블은 이동하기 간편하여야 하기 때문에 무게가 가벼워야 하며 분해하여 포장하였을 때 적은 부피를 유지하여야 하지만 대부분의 조립식 테이블은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 안출한 것으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남녀노소 불문하고 누구나 손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야외용 테이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부피와 무게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벼운 신소재를 사용한 원형의 테이블을 16등분 한 다수의 테이블 유닛으로 사출하여 원통형 기둥 내부에 삽입하여 보관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누구나 휴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조립식 테이블의 조립 및 분해를 반복하여 사용하더라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조립식 테이블을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원통형의 기둥 상하에는 테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와 원통형 기둥을 수직으로 고정시켜 주기 위한 받침대를 장착한 고정틀을 조립하고, 원통형의 기둥 상부와 하부에는 캡으로 덮어 상부 캡에 원형의 테이블을 조각내어 등분한 16개의 테이블 유닛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캡의 파손시 하부 캡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부품을 조립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느 부품이 파손되더라도 그 부품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고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것이다.
본 발명은 원통형 기둥(1) 상, 하부에 각각 장착된 상, 하부 고정틀(2, 3)과, 상기 상부 고정틀(2)의 사방으로 돌출된 돌기부(21)에 의해 형성된 삽입구(22)로 삽입되어 지지핀(23)에 의해 고정되어 90도 회전이 가능한 지지대(4)와,
상기 하부 고정틀(3)의 사방으로 돌출된 돌기부(31)에 의해 형성된 삽입구(32)로 삽입되어 지지핀(33)에 의해 고정되어 90도 회전이 가능한 받침대(5)와,
상기 원통형 기둥(1) 상, 하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 하부 캡(6, 7)과,
상기 상, 하부 캡(6, 7)의 중앙에는 삽입공(63)(73)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원형의 테이블을 여러 조각으로 등분한 다수의 테이블 유닛(8)의 단부를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삽입구(60)(70)와,
상기 다수의 테이블 유닛(8)이 원형으로 조립하여 고정되도록 테이블 유닛(8) 일측에 돌출부(81)를 형성하며, 상기 테이블 유닛(8) 타측에 상기 돌출부(81)가 삽입될 수 있는 장홈(8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원통형 기둥(1) 외주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다수개 형성된 상, 하부 돌기부(11, 12)와, 상기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상, 하부 돌기부(11, 12)에 각각 상, 하부 고정틀(2, 3)의 내측면에 형성된 요홈(24, 34)이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 고정틀(2)의 삽입구(22)에 삽입되어 지지핀(23)에 지지된 지지대(4)의 단부에는 상부 고정틀(2)의 하부면에 접촉되게 걸려서 수평을 유지하면서 다수의 테이블 유닛(8)이 조립된 원형의 테이블을 받쳐줄 수 있도록 걸림부(41)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부 고정틀(3)의 삽입구(32)에 삽입되어 지지핀(33)에 지지된 받침대(5)의 단부에는 하부 고정틀(3)의 상부면에 접촉되게 걸려서 수평을 유지하면서 원통형 기둥(1)을 지지하도록 걸림부(51)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 하부 캡(6, 7)이 원통형 기둥(1) 내부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된 돌기(13, 14)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사방에 ㄱ형의 수직홈(61, 71)과 수평홈(62, 72)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원통형 기둥(1) 내부 중앙에 통공(151)이 형성된 격 판(15)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공간부(16, 17)에 각각 다수의 테이블 유닛(8)을 중첩시켜 삽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수의 테이블 유닛(8)은 외주연을 따라 절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테이블 유닛(8)은 원형의 테이블을 10등분 내지 20등분으로 분리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테이블을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식 테이블을 조립하기 위하여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사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무게가 가볍고 튼튼한 신소재인 합성수지재로 원통형 기둥(1)을 사출한다. 상기 원통형 기둥(1)은 내부 중앙에는 격판(15)을 형성하고 격판(15)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는 공간부(16, 17)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격판(15)의 중앙에는 통공(15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원형의 테이블을 구성하기 위하여 여러 개로 등분한 다수의 테이블 유닛(8)을 형성한다. 이때 여러 개로 등분된 다수의 테이블 유닛(8)은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테이블을 16등분 하여 16개의 테이블 유닛(8)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원형의 테이블을 등분한 다수의 테이블 유닛(8)은 10등분 이하로 하게 되면 테이블 유닛(8)의 외주면으로 폭이 넓어지고, 또 20등분 이상으로 작게 등분하게 되면 테이블 유닛(8)을 중첩할 때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원통형 기둥(1)의 지름을 크게 하여야만 테이블 유닛(8)을 내부에 보관할 수 있게 되므로 이는 부피를 줄일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최소한으로 부피를 줄이기 위해서는 원형의 테이블을 10등분 내지 20등분 한 테이블 유닛(8)으로 구성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원형의 테이블을 16등분 한 다수개의 테이블 유닛(8)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상기 원통형 기둥(1)의 내부에 통공(151)이 천공된 격판(15)을 중심으로 상부 공간부(16)와 하부 공간부(17)에 각각 8개의 테이블 유닛(8)을 보관하면 된다. 즉,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블 유닛(8) 4개를 각각 서로 중첩한 후, 폭이 좁은 쪽을 서로 넓은 쪽으로 엇갈리게 포개면 사각형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포개어진 8개의 테이블 유닛(8)을 각각 상부 공간부(16)와 하부 공간부(17)에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등분된 16개의 테이블 유닛(8)을 조립하여 원형의 테이블로 이루기 위해서는 테이블 유닛(8)의 폭이 좁은 쪽을 원통형 기둥(1) 상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부 캡(6)의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삽입구(60)로 하나씩 삽입하면 된다. 이때 테이블 유닛(8)이 상부 캡(6)에 삽입이 되더라도 흔들리게 고정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테이블 유닛(8)의 일측에는 돌출부(81)를 형성하고, 또 다른 일측에는 장홈(82)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즉, 테이블 유닛(8)의 폭이 좁은 쪽을 상부 캡(6)의 삽입구(60)에 삽입하고, 이어서 또 다른 테이블 유닛(8)을 상부 캡(6)의 삽입구(60)에 삽입함과 동시에 테이블 유닛(8)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 출부(81)를 이미 상부 캡(6)에 삽입된 테이블 유닛(8)을 또 다른 일측에 형성된 장홈(82)에 삽입하는 작용을 반복하면서 원형의 테이블을 조립하게 되면 흔들림 없이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테이블 유닛(8)의 단부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어 삽입구(60)에 삽입이 될 때 단턱이 삽입구(60)와 삽입구(60)를 형성하기 위한 격벽의 두께만큼 단턱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시 틈이 생기지 않고 밀착되게 조립이 되는 것이다.
상기 조립된 원형의 테이블을 더욱 안정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상부 캡(6)에 테이블 유닛(8)을 고정시키기 전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형 기둥(1)에 장착된 지지대(4)와 받침대(5)를 펼친 후 테이블 유닛(8)을 상부 캡(6)의 삽입구(60)에 삽입하여 원형의 테이블을 조립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원통형 기둥(1)의 외주면 상부에 형성된 돌기부(11)에 지지대(4)를 장착한 상부 고정틀(2)의 내부면에 형성된 요홈(24)을 삽입하게 되면 상부 고정틀(2)은 원통형 기둥(1)의 외주면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원통형 기둥(1)의 외주면의 하부에 형성된 돌기부(12)에 받침대(5)를 장착한 하부 고정틀(3)의 내부면에 형성된 요홈(34)을 삽입하게 되면 하부 고정틀(3)은 원통형 기둥(1)의 외주면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 하부 고정틀(2)(3)이 돌기부(11)(12)에서 상하로 슬라이드로 이동시킨 후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 하부 고정틀의 요홈(24)(34)이 돌기부(11)(12)를 지나자마자 도 6에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상, 하부 고정틀(2)(3) 을 회전시키면 상, 하부 고정틀(2)(3)의 두께에 돌기부(11)(12)가 걸려서 고정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원통형 기둥(1) 외주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하로 슬라이드 되도록 장착된 상, 하부 고정틀(2, 3)에는 사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부(21, 31)에 이루어진 삽입구(22, 32)에 각각 지지대(4)와 받침대(5)가 지지핀(23, 33)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지지핀(23, 33)을 축으로 90도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원통형 기둥(1)에 장착된 하부 고정틀(3)을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후 하부 고정틀(3)의 사방에 장착된 받침대(5)를 90도로 회전시켜 펼친 후 받침대(5)를 바닥에 고정시켜서 원통형 기둥(1)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원통형 기둥(1)에 장착된 상부 고정틀(2)은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후 상부 고정틀(2)의 사방에 장착된 지지대(4)를 90도로 회전시켜 펼친 후 원통형 기둥(1)의 상부에 삽입고정된 상부 캡(6)에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테이블 유닛(8)을 조립하게 되면, 조립된 원형의 테이블은 사방으로 펼쳐진 지지대(4)에 지지되어 안정되게 테이블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 하부 고정틀(2, 3)에 장착된 지지대(4)와 받침대(5)는 상, 하부 고정틀(2, 3)의 돌기부(21, 31)에 의해 형성된 삽입구(22, 32)에 삽입되어 지지핀(23, 33)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지지대(4)와 받침대(5)는 지지핀(23, 33)을 축으로 90도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된 지지대(4)가 90도 이상 더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대(4)의 단부에 돌출된 걸림부(41)가 상부 고정틀(2)의 하부면에 접촉이 되면서 걸 리도록 되어 있어 지지대(4)는 더 이상 회전이 되지 않고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또 이와 반대로 받침대(5)도 90도 이상 상부로 젖혀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받침대(5)의 단부에 돌출된 걸림부(51)가 하부 고정틀(3)의 상부면에 접촉이 되면서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어 더 이상 상부로 회전이 되지 않고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대(4)와 받침대(5)는 걸림부(41)(51)에 의해서 90도 이상 젖혀지지 않지만, 또 한편으로는, 지지핀에 지지된 걸림부(41)(51)의 단부에 형성된 원호면은 자유롭게 회전을 돕고 있는 동시에 90도로 회전이 된 후에는 걸림부(41)(51)의 단부면이 고정틀(2)(3)에 형성된 삽입구(22)(32)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회전이 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원통형 기둥(1) 상부와 하부에 장착되는 상부 캡(6)과 하부 캡(7)이 원통형 기둥(1)에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부 캡(6)과 하부 캡(7)의 사방에는 ㄱ자형의 수직홈(61, 71)과 수평홈(62, 7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통형 기둥(1) 내주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된 돌기(13, 14)에 ㄱ자형으로 이루어진 수직홈(61, 71)으로 삽입시킨 후 다시 수평홈(62, 72)으로 삽입이 되어 고정되도록 상, 하부 캡(6, 7)을 회전하게 되면 돌기(13, 14)는 수평홈(62, 72)에 고정되게 되므로 상, 하부 캡(6, 7)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되게 원형의 테이블을 조립한 후에는 상부 캡(6)의 중앙에 천공된 삽입공(63)으로 파라솔(미도시)의 봉을 삽입하게 되면 파라솔 봉은 원통형 기둥(1)의 내부 격벽(15)에 형성된 통공(151)을 거쳐 하부 캡(7)에 천공된 삽입 공(73)으로 삽입되어 파라솔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원형의 테이블을 구성하는 테이블 유닛(8)의 단부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연을 절곡하여 사용자가 조립시 다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원형의 테이블을 안정감 있고 부드러운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테이블 유닛(8)의 단부에서 절곡되는 외주연은 약간 높이를 주어 원형의 테이블에서의 물건이 테이블 외주연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리고 상기 상부 캡(6)이 파손되어 테이블 유닛을 삽입하기 어려울 때에는 비상용으로 원통형 기둥의 하부 캡(7)을 하부에서 분리하여 상부 캡(6)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조립식 원형의 테이블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조립식 부품이기 때문에 각 부품이 파손되더라도 이들 부품만을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이고 오래도록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량을 가볍게 하고 또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신소재의 합성수지재로 사출함으로써, 이동 및 취급이 용이하고, 조립 및 분해가 쉬워 누구나 손쉽게 휴대하여 가지고 다니면서 필요한 장소에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 반복하여 사용하더라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분해하여 보관하였을 때에도 적은 부피를 유지할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한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8)

  1. 원통형의 기둥 상, 하부에 각각 장착된 상, 하부 고정틀과,
    상기 상부 고정틀의 사방으로 돌출된 돌기부에 의해 형성된 삽입구로 삽입되어 지지핀에 의해 고정되어 90도 회전이 가능한 지지대와,
    상기 하부 고정틀의 사방으로 돌출된 돌기부에 의해 형성된 삽입구로 삽입되어 지지핀에 의해 고정되어 90도 회전이 가능한 받침대와,
    상기 원통형의 기둥 상, 하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 하부 캡과,
    상기 상, 하부 캡의 중앙에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으로 원형의 테이블을 여러 조각으로 등분한 다수의 테이블 유닛의 단부를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삽입구와,
    상기 다수의 테이블 유닛이 원형으로 조립하여 고정되도록 테이블 유닛 일측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테이블 유닛 타측에 장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의 기둥 외주면에 상부와 하부에 각각 다수개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돌기부에 각각 상, 하부 고정틀의 내측면에 형성된 삽입구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틀의 삽입구에 삽입되어 지지핀에 지지된 지지대의 단부에는 상부 고정틀의 하부면에 접촉되게 걸려서 수평을 유지하면서 다수의 테이블 유닛이 조립된 테이블을 받쳐줄 수 있도록 걸림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틀의 삽입구에 삽입되어 지지핀에 지지된 받침대의 단부에는 하부 고정틀의 상부면에 접촉되게 걸려서 수평을 유지하면서 원통형의 기둥을 지지하도록 걸림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캡이 원통형 기둥 내부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된 돌기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사방에 ㄱ형의 수직홈과 수평홈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기둥 내부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격판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공간부에 각각 다수의 테이블 유닛을 중첩시켜 삽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테이블 유닛은 외주연을 따라 절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유닛은 원형의 테이블을 10등분 내지 20등분으로 분리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
KR1020070003163A 2007-01-11 2007-01-11 조립식 테이블 KR100824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163A KR100824818B1 (ko) 2007-01-11 2007-01-11 조립식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163A KR100824818B1 (ko) 2007-01-11 2007-01-11 조립식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4818B1 true KR100824818B1 (ko) 2008-04-23

Family

ID=39572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3163A KR100824818B1 (ko) 2007-01-11 2007-01-11 조립식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48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9776A1 (ko) * 2015-02-13 2016-08-18 주식회사 비빅 조립식 테이블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테이블 패키지
KR102414315B1 (ko) 2020-12-28 2022-06-29 주식회사 이노뷰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7713U (ko) * 1990-04-25 1991-11-28 이해섭 조립식 테이블
KR200248153Y1 (ko) * 2001-07-10 2001-10-17 유영일 조립식 테이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7713U (ko) * 1990-04-25 1991-11-28 이해섭 조립식 테이블
KR200248153Y1 (ko) * 2001-07-10 2001-10-17 유영일 조립식 테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9776A1 (ko) * 2015-02-13 2016-08-18 주식회사 비빅 조립식 테이블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테이블 패키지
KR102414315B1 (ko) 2020-12-28 2022-06-29 주식회사 이노뷰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8878B2 (en) Shelf positioning mechanism for sectional rack
US4128064A (en) Free standing shelves
US7004082B2 (en) Outdoor table, outdoor table and chair set
US3236389A (en) Layer cake separator
US11324313B2 (en) Portable paper organizer
KR19990067058A (ko) 경량 플라스틱 가구
US3787018A (en) Base for an upright for forming a stand or the like
KR100824818B1 (ko) 조립식 테이블
US7393049B2 (en) Replaceable stool assembly
JPH05253041A (ja) モジュール式棚
JP2018535063A (ja) 解体可能なベッドベース
US9700158B1 (en) Rotatable pedestal components and assemblies
JPH0734573A (ja) フレキシブルパ−ティション
US11297913B2 (en) Sunshade umbrella with hand-held portable rotatable base mechanism
US5499726A (en) Multiple-height modular display pedestal for displaying merchandise
KR102398687B1 (ko) 공간 활용성 및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킨 선반 회전이 가능한 북 선반
KR20160003566U (ko) 캠핑용 테이블
KR102350513B1 (ko) 가변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한 테이블
JP3954359B2 (ja) 共有空間構造体
US3985410A (en) Miniature bar
KR102279091B1 (ko) 포터블 접이테이블
KR200145613Y1 (ko) 보관대용 칸막이 고정장치
WO2004036060A1 (en) Furniture system
KR102506304B1 (ko) 이동식 사물 받침대
GB2547626A (en) Furniture and tubular components and joints for assembly of furni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