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3876B1 - 직기용 합성수지제 종광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직기용 합성수지제 종광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3876B1
KR100823876B1 KR1020060126793A KR20060126793A KR100823876B1 KR 100823876 B1 KR100823876 B1 KR 100823876B1 KR 1020060126793 A KR1020060126793 A KR 1020060126793A KR 20060126793 A KR20060126793 A KR 20060126793A KR 100823876 B1 KR100823876 B1 KR 100823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d
synthetic resin
loom
specie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6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수
Original Assignee
이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20060126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38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2Heal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2Healds
    • D03C9/024Eyele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2Healds
    • D03C9/026Material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 종광을 제조함에 있어서 종래사출성형에 의한 종광제조 방법과는 달리 열가소성수지로 압출방법에 의한 압출다이스로 후육부를 갖는 시트를 압출연신하며 시트를 얻고 이를 프레스재단금형으로 후육부에 맞추어 보강부를 형성하여 재단된 종관을 얻고 이를 열처리 및 분산염법에 의하여 염색처리한 직기용 합수지재 종광의 제조방법.

Description

직기용 합성수지제 종광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PREPARING PLASTIC HEDDIES FOR LOOM}
도 1은 합성수지시트의 횡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직기용 합성수지제 종광의 평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직기용 합성수지제 종광의 측단면도
본 발명은 직기용 합성수지재 종광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압출 다이스로 부터 얻어진 폴리아마이드(나이론)시트, 폴리에스텔시트, 폴리카본네이트시트, 테프론시트, 이축연신폴리푸로피렌시트로 종광의 형상으로 프레스재단하고 재단된 종광을 열처리하여 거치른 재단선을 안정화 시키고 고온 염색조에서 염색하여서되는 직기용 합성수지재 종광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직기용 종광은 스테인레스강재, 기타금속제로 제조하여 왔으나 근년에 들어 섬유를 비롯한 직물산업의 장기적인 경기침체에 따라 생산원가절감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염가의 합성수지재 종광으로 대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합성수지재 종광은 가볍고 제작비가 저렴하며 생산성이 높고 내부식성이 좋은 장점이 있으나 인장강도 및 내마 마모성에 있어서 취약점은 물론 종광의 기능에 있어서 개량보완할 여지가 많은 종광이라 할 수 있다.
현재 합성수지재로된 종광의 구체적인 예로는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 제20-0279041호)에 직기용 종광이 소개되고 있다 기술의 내용인즉 종광의 양단 부분에 조립공이 마련되어 있고 중심부에 종광눈이 형성된 합성수지 종광에 있어서 섬유통과공이 되는 종광눈 내측 가장자리에는 상하 걸림돌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하 걸림돌편 사이에 요입홈이 구성되며 안내공 내주면에는 만곡부가 형성된 경사안내구의 요입홈에 삽입되어 일체로 성형된 직기용 종광이라 할 수 있다 이는 프라스틱재로 형성된 내마모성이 약한 종광눈을 금속으로 된 경사안내구로 보강시킨 사출성형에 의한 종광이라 할 수 있다.
또 다른 종래 직기용 종광의 예로서 국내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 제20-0424175호)에 "재직용 수지 종광구조"가 소개되고 있다.
기술의 구성인즉 통상의 재직용 합성수지 종광구조에 있어서 제직기의 종광틀에 장작되는 결합홈(결합공)이 구비된 양측결합부와 몸체 사이의 경계부(잘룩부)에 보강용 힘살을 형성시키므로서 종광의 상·하 고속운동시 휨이나 반복되는 누적스트레스(재료의 피로)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양측 결합부의 일측면에 하나이상의 고착결함방지용 돌기를 형성하되 가장자리 부분의 돌출부가 환형으로 사방으로 서로 연결되어 그 중앙내측에 일정한 밀폐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시키므로서 종광사이의 고착결함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개선된 종광구조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광구조는 경계부(잘룩부)의 보강과 결합부의 고착결함을 최소화시킨 종과 구조라 할 수있으나 종광 기능에 있어서 보다 중요한 것은 섬유통과 공(구멍)이 되는 종광눈으로 연속적으로 경사가 통과 하면서 종광 구멍을 마모시키므로서 가장먼저 종광눈(경사 통과공)이 파단되어 버린다. 그러므로 이의 보강없이는 종광 전체의 내구성을 기대할 수 없으며 이 또한 사출성형으로 제조된 종광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 제20-0377714호) 및 등록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 제20-0416018호)에 사출성형에 의한 합성수지재의 종광들이 소개되고 있으며 이를 포함한 전술한 종래 종광 역시 사출성형으로 얻어진 종광들이라 할 수 있으며 통상 사출성형에 의한 합성수지의 필름이나 시트들은 압출에 의해 연신된 필름이나 시트보다 인장강도, 내마모성이 취약하다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사출성형에 의한 종광제조방법을 압출다이스로부터 얻어지는 시트로 프레스재단에 의한 성형공정, 열처리공정, 염색안정화공정을 거치므로서 근본적으로 합성수지 재질의 물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압출방법이나 재단방법을 통해 종광의 경사통과공 및 결합부(고정부)와 몸체 사이의 경계부(잘룩부)를 강화시키므로서 종광의 인장강도와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므로서 종광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직기용 합성수지재 종광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압출 다이스로부터 시트화 하는 단계 합성수지시트를 재단 및 성형하는 단계, 성형된 종광을 열처리하는 단계, 염색 및 안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기용 합성수지재 종관의 제조방법으로서 이를 공정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압출다이스로부터 시트를 압출시키되 경사 안내구(경사통과공)가 성형될 부분과 고정부(결합부)와 몸체 사이의 경계부가 형성되는 부분을 후육부로 압출시켜 시트화하는 1단계(도1참조)
상기 단계로부터 얻어진 합성수지 시트를 재단프래스로 양측 결합공(고정공)을 갖는 결합부(고정부)와 중심부에 경사안내구조가 형성된 몸체로 구성되는 종광을 성형하는 2단계(도2참조)
상기 단계로부터 얻어진 재단된 종광의 재단된 부분을 사용된 합성수지의 연화점과 용융점에 해당하는 온도범위에서 열처리하는 3단계
상기 단계에서 열처리가 끝난 종광을 온도80~110℃범위의 고압부 염색조 내에서 20~30분간 염색함과 동시에 종간의 조직을 안정화 시키는 4단계를 포함하는 직기용 합성수지재 종광의 제조방법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종광제조방법의 1단계공정의 압출다이스에의한 시트화 공정에서는 압출다이스가 후육부를 가지게 되도록 금형이 설계되고 이 압출금형에의하여 압출된 합성수지시트는 도 1에서와 같이 중간후육부(1) 및 양측후육부(2)를 갖게되는 합성수 지시트(A)라 할 수 있으며 이를 재단시에는 중간후육부(1)에 경사통과공이 형성되며 양측후육부는 결합부와 몸체사이의 경계부(잘룩부)가 형성된다.
합성수지 시트 압출방법은 수직 또는 수평 모두가능하지만 합성수지시트 양면의 후육돌출부의 대칭되는 균형을 얻기위하여 수직압출방법이 유리하다. 압출다이스로부터 수직으로 압출되는 후육부를 갖는 합성수지시트는 반냉각시킨 상태에서 맞물림 탄성로울러(실리콘 또는 고무로울러)를 통과시켜 2차 냉각과 동시에 맞물림 일반로울러(실리콘 또는 고무로울러)로 인발하여 장력을 발생케하므로서 연신시킨다음 권취로울러에 권취하게 된다.
상기 합성수지시트로서 종광을 재단하는 방법은 얻고져하는 종광의 형상으로 설계 제작된 프레스절단 금형으로 절단하여 도 2와 같이 종광의 전체 테두리, 중간후육부(1)에는 경사통과공(11), 대칭되는 양측후육부(2)에는 경계부(잘룩부)(12), 양단부에는 결합공(13)이 형성된 결합부(14), 걸림턱(15), 몸체(16)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경사통과공(11)의 부위나 경계부(12)가 형성된 부분은 몸체 또는 결합부의 두께보다 전체적으로 30~40% 후육부를 갖게되고 또한 경사통과공(11) 주위의 폭은 몸체의 폭의 배가 된다.
이상과 같이 재단된 종광은 절단된 부분이 거칠고 날카로우며 미세한 입자들이나 세편들이 붙어있다 이와 같이 절단부가 거치른 종광을 그 합성수지의 연화점 내지 용융점범위의 온도로 열처리하면 절단된 부분의 표면이 연화용융되어 아주 매끄럽게 처리되므로서 접촉되는 경사와의 마찰저항을 크게 감소시킨다.
위에서 열처리된 합성수지재 종광을 분산염료를 사용하여 분산염법으로 염색 하되 온도80~110℃로 유지된 고압부에서 20~30분간 염색처리함과 동시에 합성수지재질의 안정화 처리를 하게되면 본 발명의 합성수지재 종광을 얻게된다,
이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종광은 도2a,b에서와 같이 양측으로 대칭되게 결합공(고정공)(13) 및 걸림 턱(15)이 구비된 결합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양결합부(14)사이에는 몸체부(16)로 길게 연결되어 있으며 양결합부(14)와 몸체부(16) 사이에는 양측 후육부(2)의 경계부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부(16)의 중심부 있는 광폭의 후육부(1)에 경사통과공(11)이 형성되어 있는 직기용 합성수지재 종광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과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직기용 합성수지재의 특징은 합성수지를 압출다이스에서 시트화하여 프레스재단으로 종광을 성형하므로서 사출성형에 의하여 성형된 종광보다 인장강도, 충격강도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조직이 강인함을 들수있고 또 합성수지재 종광은 길고 엷은 시트로 된 성형체로서 사출금형이 극히 정밀하지 않거나, 정밀한 사출금형이라해도 시간이 경과하면 불필요한 버(burr)가 발생하여 이를 제거하는 마무리공정(사상공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이로인해 불량율이 높아지는 반면에 합성수지시트로서 프레스절단 성형방법은 위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종광의 성형방법에 따른 차이점으로 재질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구조상으로는 취약부위인 경계부(12)에 후육부(2)를 형성하여 경계부를 보강시켰으며 경사통과공(11) 주변에는 광폭의 후육부(1)를 형성하므로서 경사통과공(11)을 보강하였고 양측결합부(14)의 결합공(13)의 내측으로 걸림턱(15)을 형성 하므로서 종간을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고 종간의 상하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밖에도 압출성형으로 얻어진 종간에 직접 염색하는 방법은 사출성형으로 제조된 착색된 종간에 비하여 인장강도면에서 유리하다 종래 사출성형에 의하여 제조된 착색종간은 사출기의 혼련과정에서 안료를 첨가하므로서 원하는 색상의 종간을 얻게 된다. 이와 같이 합성수지에 안료나 기타 첨가제가 첨가되는 경우에는 종간의 인장강도를 약화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종간과 종래 사출성형에 의하여 제조된 종간의 기능 및 작용을 좀더 구체적으로 비교하면 동일 중량 및 크기의 종간의 물성을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표(1)를 얻었다
항목\구분 종래종간 (사출성형의 종간) 본 발명종간 (압출성형에 의한종간) 비 고
인장강도 100%기준 135% *본 발명에 의한 종간은 종래종간에 비해 인장강도35%, 내마모성62%, 내구성51%가 증가되었다. *사용한 합성수지는 폴리아마이드를 사용하였다
경사통과공 내마모성 100%기준 162%
전체적인 내구성 100%기준 151%
측정기준
(1) 인장강도 측정은 본 발명종간 100본의 각각의 인장강도를 합산하고 종래 종간 100본의 인장강도를 합산하여 종래의 종간총합산 인장강도를 100%로하고 이를 기준하여 본 발명 종간 총 합산한 인장강도를 백분율로 나타낸 수치임.
(2) 전체적인 내구성 측정은 본 발명에 의한 종간 100본과 종래 종간 100본을 직기의 경사 고정구에 결합(고정)하여 재직하는 과정에서 파단되거나 교체시기에 도달한 각각의 종간들의 사용한 날짜를 합산하여 종래 종간의 전체적인 사용한 시간을 100%로 하고 이를 기준하여 본 발명 종간의 전체적인 사용한 시간을 백분율로 나타낸것임.
(3) 경사통과공 내마모성에 대한 내구성 측정은 (2)항의 전체적인 내구성 측정과정에서 경사를 통과시키므로서 경사통과공이 파단되거나 교체시기에 도달한 본 발명 종간 20분과 종래 종간 20분을 사용한 각각의 시간을 합산하여 종래 종간 사용한 합산시간을 100%으로 기준하여 본 발명 종간을 사용한 합산시간을 백분율로 환산한것임(경사통과공의 사용시간만을 합산한것임).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종간제조방법은 압출성형으로 시트화한후 이를 프레스성형하므로서 종간 재료의 물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구조적으로도 경계부의 후육부와 경사통과공을 광폭후육부에 형성시키므로서 합성수지재 종광의 취약부를 보강할 수 있는 종간 제조방법이라 할 수 있고 또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합성수지재 종광은 종래사출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종광에 비해 인장강도 내마모성이 크게 향상되고 합성수지 종광의 취약점이 보강되어 있어 전체적인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킨 종광이라 할 수 있다.

Claims (1)

  1. 압출다이스로부터 열가소성 합성수지 시트를 압출하되 종간의 경사통과공이 형성될 부분에 중간 후육부(1), 양측결합부(고정부)와 몸체사이의 경계부가 형성될 부분에 양측 후육부(2)가 형성되도록 압축시켜 시트화 하는 1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얻어진 합성수지시트를 재단프레스로 재단하되 중간 후육부(1)에는 경사통과공, 양측 후육부(2)에는 경계부가 형성되도록 종간을 재단 성형하는 2단계와
    상기 단계로 부터 얻어진 재단 성형된 종광을 이 종광에 사용된 합성수지의 연화점과 용융점에 해당하는 온도범위에서 열처리하는 3단계와
    상기 열처리 단계를 거친 종광을 온도80~110℃ 범위로 유지된 염색 고압부에서 분산염료를 사용하여 분산염법으로 염색처리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직기용 합성수지재 종광의 제조방법.
KR1020060126793A 2006-12-13 2006-12-13 직기용 합성수지제 종광의 제조방법 KR100823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793A KR100823876B1 (ko) 2006-12-13 2006-12-13 직기용 합성수지제 종광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793A KR100823876B1 (ko) 2006-12-13 2006-12-13 직기용 합성수지제 종광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3876B1 true KR100823876B1 (ko) 2008-04-22

Family

ID=39572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6793A KR100823876B1 (ko) 2006-12-13 2006-12-13 직기용 합성수지제 종광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38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67216A (zh) * 2008-09-18 2011-12-07 鸿利达塑胶制品有限公司 三色剪刀的成形方法
EP2505703A1 (de) * 2011-03-28 2012-10-03 Groz-Beckert KG Weblitze aus Kunststoff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aus einer Folienbah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233B1 (ko) 2002-12-24 2003-03-26 금유섭 직기용 알루미나 나일론합성수지 종광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233B1 (ko) 2002-12-24 2003-03-26 금유섭 직기용 알루미나 나일론합성수지 종광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67216A (zh) * 2008-09-18 2011-12-07 鸿利达塑胶制品有限公司 三色剪刀的成形方法
CN102267216B (zh) * 2008-09-18 2013-11-27 鸿利达塑胶制品有限公司 三色剪刀的成形方法
EP2505703A1 (de) * 2011-03-28 2012-10-03 Groz-Beckert KG Weblitze aus Kunststoff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aus einer Folienbahn
CN102704137A (zh) * 2011-03-28 2012-10-03 格罗兹-贝克特公司 由塑料制成的综丝及由箔带制造该综丝的方法
KR20120110036A (ko) * 2011-03-28 2012-10-09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헤들 및 포일 스트립으로부터 헤들을 제조하는 방법
JP2012207358A (ja) * 2011-03-28 2012-10-25 Groz Beckert Kg 樹脂ヘルドおよびフォイル条片からのその製法
KR101966053B1 (ko) * 2011-03-28 2019-04-05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헤들 및 포일 스트립으로부터 헤들을 제조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3876B1 (ko) 직기용 합성수지제 종광의 제조방법
KR101827867B1 (ko) 고탄력 및 고강도 모노필라멘트를 이용한 원단 제조공법
EP0426158A2 (en) Unidirectionally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s and method of manufacture
JPH04308222A (ja) ポリフェニレンサルファイドを含むモノフィラメント
CN105002596A (zh) 一种应用于滤料基布的复合单丝及其制备方法
DE112016006700T5 (de) Ausgeformter Flächenreißverschlus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US9080265B2 (en) Fabric strap with soft side edges
DE3206072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gewebter schichtstoffe
CN207362413U (zh) 一种包芯型低熔点热熔纱线及管状织物
EP1593876A2 (de) Kraftübertragungsriem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20080001880U (ko) 직기용 종광
DE102019208734A1 (de) Abriebfestes Material und Herstellungsverfahren
KR101151596B1 (ko) 이색조 경량직물용 나일론 6/염기성염료 가염형 나일론 6 필라멘트사의 균일혼섬방사방법
CN109722815A (zh) 一种采用tpu纱线编织表面的面料及其制作方法
Goggin et al. Vinylidene Chloride Polymers
JP5401346B2 (ja) 織編物とその織編物を含む衣料品
CN213681135U (zh) 基于生物基材料涤锦复合纤维的面料
CN111534918B (zh) 局部立体经编网布及其制造方法
KR20130056528A (ko) 이형단면사용 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섬유
KR101178442B1 (ko) 신축성이 우수한 직물
KR102294470B1 (ko) 원착 탄성 모노필라멘트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CN105220257A (zh) 抗结晶及高耐磨性的改性单丝及工业滤网的制备方法
US2092756A (en) Elastic foraminous sheet material
CN109134814A (zh) 一种聚氨酯纺纱胶圈及其制备方法
KR101272615B1 (ko) 고신축성 혼섬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