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382B1 - 수조식 압력용기 내압팽창검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조식 압력용기 내압팽창검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382B1
KR100822382B1 KR1020080003280A KR20080003280A KR100822382B1 KR 100822382 B1 KR100822382 B1 KR 100822382B1 KR 1020080003280 A KR1020080003280 A KR 1020080003280A KR 20080003280 A KR20080003280 A KR 20080003280A KR 100822382 B1 KR100822382 B1 KR 100822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water
tank
line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태원
안철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지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지테크
Priority to KR1020080003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3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 G01N3/12Pressure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용기 내압팽창검사 중 수조식 시스템의 가압방식과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편화 된 방법에 의하면 1차로 용기에 물을 가득 채운 후, 체결구에 의해 일정한 형식의 수조속에 넣고 뚜껑을 닫아 밀폐시킨 다음, 수조속의 공기 및 기포를 제거하면서 물을 충만시키고 측정부와 배관라인을 통하여 별도의 영점통을 이용하여 영점을 맞춘다. 영점을 맞춘 후 체결된 용기에 별도의 가압라인을 통하여 용기에 규정된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때 압력을 받은 용기는 소성변형을 일으켜 체적이 늘어나게 된다. 늘어난 체적의 양만큼 수조속의 물은 배관라인을 거처 측정부로 이동하여 초기 영점보다 수위가 증가하게 되며 이때의 양을 첵크하여 전증가로 표시한 다음 용기속의 압력을 제거하면 용기는 원래의 형태에 가깝도록 복귀하게 된다. 압력을 받은 용기는 소성변형에 의해 일부 소성변형양(압력을 제거한 후의 늘어나 있는 체적)이 남아 있게 된다. 이때 측정부의 증가했던 물은 감소하여 남아있는 소성변형량만큼 측정부에도 물이 남아 있게 되는데 이때의 양을 첵크하여 항구증가량으로 표시하며 즉 항구 증가율은 전증가량에 대한 항구 증가량의 백분율로 표시하고 규정된 수치에 의해 합/불 판정을 함에 있어서 본 발명은 용기에 압력을 가하는 구조와 원리, 방법론과/측정부의 측정원리를 달리함으로써 기존의 불합리성을 제거하여 측정값의 오차를 최소화하여 검사의 신뢰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설비를 간단히 하여 설비비용이 적게 들고 유지보수도 편리하며 아울러 검사시간도 현저히 줄어드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수조식, 압력용기, 전증가량, 항구증가량, 내압팽창검사

Description

수조식 압력용기 내압팽창검사 시스템{a pressure inspection system for water tank a pressure vessel}
본 발명은 압력용기 내압팽창검사 중 수조식 시스템의 가압방식과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용기에 규정된 압력을 가함에 있어 일정한 속도와 정해진 시간으로 가압함으로써 용기의 소성변형이 안정되게 일어나 측정치를 정확하게 하고, 측정부를 수조 최근접부 수평위치에 설치하여 수조와 측정부간의 높이차에 의한 압력 오차를 없애게 되어 연결배관이 간단해지고 길이가 현저히 축소되어 누수 및 정체, 기포발생을 억제하여 무엇보다 정확한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한 수조식 압력용기 내압팽창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용기는 폭발과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을 안고 있기 때문에 제조 및 사용과정에서 용기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내압팽창검사를 실시토록 법령화 되어 있다. 이러한 내압팽창시험에는 보편화 된 수조식과 비수조식으로 나누어져 있다.
종래 수조식은 용기에 물을 가득 채운 후 체결구에 의해 용기를 결합시켜 지하의 수조 속에 투입하고, 수조의 뚜껑과 밀폐시킨 후 지하의 수조와 지상의 검사 측정부를 배관으로 연결하여 영점을 잡고, 결합된 용기에 별도의 가압 라인을 통하여 가압펌프로부터 규정된 압력까지 가압하고 배압하여, 이때의 변위량을 지상의 측정부를 통하여 연산토록 하고 있다.
가압의 방법으로는 주로 고압의 플랜지펌프나 로타리펌프, 왕복동의 부스터펌프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별도의 동력전달장치(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있다. 또한, 측정부는 지하에 설치된 수조와 원거리의 지상에 있고 별도의 배관박스를 통하여 각 회로를 구성하고 있으며 영점을 형성하기 위해 2단 또는 직수공급의 영점물통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수조식은 장치물이 복잡하고 지하의 수조와 지상의 실측정부간의 거리가 멀어 측정 및 조작회로의 반응속도가 느리고 원거리에 의한 배관상의 고유 저항력을 갖게 되며 특히 지상의 측정부와 지하의 수조에 의한 높이차로 인해 높이차이만큼 수조의 뚜껑에 압력이 가해짐을 알 수 있고, 반대로 측정부의 수위는 수위차에 의한 압력으로 인해 실제의 값보다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용기에 압력을 가하는 각종의 펌프는 펌프가 갖는 고유의 특성으로 인해 용기에 압력을 가해야하는 방법에 부적합하며, 즉 극소량의 콘트롤이 어렵고 별도의 동력원에 의해 구동되는바 가압의 적정속도(시간)로 설정 압력을 맞추기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이로 인해 용기에 가해지는 설정압력은 속도와 그 양에 의해 결정되고 그 결정 값은 용기의 소성변형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다.속도가 빠르면 순간적인 충격으로 파괴응력이 작용할 것이며 반대로 속도가 너무 느리면 영구응력으로 변하게 됨은 일반적인 상식에 불가할 것이다.
다음은 보편화 된 수조식시스템의 구조나, 동작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압력용기 수조식 내압팽창시험 시스템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1차로 물을 채운 용기(11)는 체결구(12)에 의해 수조(13) 속에 투입되고 뚜껑(14)을 밀폐시킨 후 밸브(20)(23)(24)를 열면, 탱크(30) 물은 수위차에 의해 P라인을 따라 수조 속에 물이 채워지고, 공기와 기포는 밸브(24)와 라인을 거쳐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
수조에 물이 가득 차면 밸브(24)를 닫고, 밸브(21)(22)를 열면 영점통(16)의 파이프 드레인라인(19)을 통하여 물이 넘치게 되고 이로 인해 자연히 측정부의 뷰렛(17)에 같은 높이의 수위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를 영점(a)이라 하고, 이는 용기에 압력을 가하기 전의 상태(A)임을 알 수 있다. 영점이 형성되고 나면 밸브(22)(23)를 닫고 밸브(25)를 열고 가압펌프(18)로 규정된 방법으로 정해진 압력까지 가압하게 된다.
이때, 용기(11)는 소성변형을 일으켜 (C)의 체적으로 늘어나게 되고 늘어난 체적만큼 측정부의 뷰렛(17)에 물이 증가하여 (c)의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의 값이 전증가량이며, 규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용기(11)속의 압력을 제거하면 용기는 다시 수축하여 원래의 형태대로 복귀하게 되나 압력으로 인한 응력에 의해 소성변형량(원래의 형태대로 복귀하지 못한 양)이 남아있게 되는데, 이때의 복귀하지 못한 형태(B)의 양만큼 측정부의 뷰렛(17), (b)의 수위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의 값이 항구증가량이 된다. 항구증가율은 전증가량에 대한 항구 증가량의 백분율로 표 시하고 규정된 수치에 의해 합/불 판정을 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을 참고로 하여 종래 시스템의 단점과 불합리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도 1에서와 같이 지하의 수조와 지상의 측정부는 적게는 3m에서 많게는 5~6m의 수위차(수조차)를 형성하고 있는바 실제 수조의 뚜껑에 미치는 힘은 무시하지 못할 것이며 이는 수조의 직경에 따라, 수위의 높이차로서 공식에 의한 계산식이 성립될 것이고, 그 작용하는 힘에 의해 수조내부나 배관상의 물은 그때의 물온도의 압축계수에 따라 압축되며 더욱이 측정단위가 0.1cc임을 감안하여 볼 때 과히 무시할 수는 없을 것이다.
현실적으로 각 용기검사장의 뚜껑의 밀폐는 과거의 공압 실린더에서 고압의 유압실린더로 교체되고 있음은 검사 중에 수위편차에 의한 뚜껑에 미치는 반발력을 억제하기 위함이며 실제로 뚜껑이 0.1mm만 움직여도 그 수조의 직경에 의해 많은 편차를 유발하게 된다. 이는 표준용기를 사용하여 실제 내용적 대비 물 온도에 의한 압축계수를 적용하여 실제 압축하고 그 양을 비교하면 수조식보다 많음을 알 수 있고 실제로 비수조식에 비해 수치가 낮음을 알 수 있다.
2. 또한 측정부의 뷰렛(17)과 영점을 형성하기 위하여 별도의 영점통(16)을 설치하여 간접적으로 영점을 잡고 일정한 높이의 파이프 드레인라인(19)으로 흘러넘치는 수위에 의해 영점라인이 형성되는바(물론 컴퓨터 연산과정에서 +,- 보정을 하지만) 매번 부정확하고 물의 소비량도 만만치 않음을 알 수 있다.
3. 시스템의 구조상 지하의 수조와 지상의 측정부간(배관회로상 박스화 되어 있음)의 배관 연결거리가 멀고 여러 곡면을 거침으로 인해 검사의 반응속도가 느리고 누수와 정체의 원인을 제공하고 있으며 동절기 관리에도 많은 애로사항을 겪고 있는 현실이다.
4. 용기에 가압하는 펌프는 앞에서 나열하였던 단점 외에도 일반 산업용의 구조상 진동이 심하고 소음이 유발되며 순간적인 부하에 의해 떨림 현상이 심하게 일어 압력게이지의 손상을 초래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측정부를 수조 최근접부에 설치하여 수조차에 의해 발생하는 제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영점을 형성하는 방법을 달리하여 영점통, 파이프 드레인라인, 22,23밸브를 폐기하여 회로를 간단히 하여 설비비를 줄임과 동시에 유지관리를 손쉽게 하고, 또한 가압펌프는 공압을 이용한 가압실린더를 사용하여 펌프로서의 단점들을 개선함으로써 검사 시간이 대폭 단축되고 보다 정확한 검사 수행을 하기 위한 수조식 압력용기 내압팽창검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력용기 내압팽창검사의 가압방식과 측정방법에 있어서, 먼저 가압방식은 기존의 펌프류에서 가압실린더 시스템으로 개발 교체하여 1회의 흡입과 전진(가압)으로 가압을 완료함에 있어서 본 가압실린더는 공압(유압)을 원동력으로 하며 공압 실린더 부에 스테인레스 계열(녹 및 부식방지)의 실린더 튜브(일체형 또는 커버 분할형)를 장착하고 내부에는 공압 로드 선단을 이용하여 가압용 피스톤을 가공 조립하고 피스톤링을 설치하여 피스톤의 이동중심을 유지하게 되며, 튜브의 상부에는 별도의 분배블록 없이 입,출구 및 리턴구를 가공하여 배관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수조의 만수위와 측정부의 영점라인을 일치시킴으로써 수조차로인한 오차를 줄여 검사의 신뢰성을 제공하게 되고, 기존의 영점물통 및 일부 밸브와 배관라인을 없앰으로서 설비비를 대폭 줄임과 동시 유지보수가 간편 유지비가 절감되며, 또한 수조의 최근접부에 설치함으로써 누수 및 정체 검사의 응답 속도 등의 결함사항을 말끔히 해소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조식 압력용기 내압팽창검사 시스템을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실린더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조식 압력용기 내압팽창검사 시스템의 작동시켄스를 도시한 플로워챠트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조식 압력용기 내압팽창검사 시스템은, 1차로 물이 채워진 용기(111)를 체결하는 체결구(112)와; 수직으로 고정되는 수조(113)와; 수조(113) 내부로 외부의 측정수(물)를 공급하기 위한 측정수공급장치(100)와; 용기(111) 내부에 일정한 압력을 가압하기 위하여 수조(113)의 최근접부에 설치하여 압력손실을 최소화하고 규정된 가압방식을 유지하게 되는 가압실린더(66)와; 용기(111)의 압력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변위량측정장치(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조(113)는 상부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홈을 가공하여 패킹(110)이 구비되고, 내부에 밀폐용 수조뚜껑(114)이 구비된다.
이때, 수조뚜껑(114)에는 수조(113)와 연통 가능하도록 오버플로어공(114a)을 형성하고, 이 오버플로어공(114a)에는 오버플로어라인(114-A)이 연결된다. 이때, 오버플로어공에는 연결되는 라인은 오버플로어라인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에 동등한 원리의 배관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오버플로어라인(114-A)에는 자동밸브(124)를 설치하고, 후단에 물감지센서(150)를 장착하여 수조(113)의 만수위를 인식하도록 하며, 수위로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 및 기포를 외부로 방출시키게 되고, 오버플로어라인(114-A)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은 집수조(114B)에 별도로 포집된다.
상기 측정수공급장치(100)는 외부의 측정수(물)가 저장되는 급수탱크(115)와; 급수탱크(115)와 수조(113) 사이에 연결되는 물 공급라인(P)과; 물 공급라인(P)의 적정 위치에 장착되어 물공급을 선택적으로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제1밸브(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실린더(66)는 공압 또는 유압을 원동력으로 하는 실린더(118)의 상부에 스테인레스 계열(녹 및 부식방지)의 실린더 튜브(153: 일체형 또는 커버 분할 형)를 장착하고, 내부에는 공압 또는 유압의 로드(157) 선단을 이용하여 가압용 피스톤(154)을 가공 조립하며, 피스톤(154)의 외주연에는 피스톤링(155) 및 웨아링(156)을 설치하여 피스톤의 이동중심을 유지하게 되며, 튜브(153) 상부에는 별도의 분배블록 없이 입,출구(153a)(153b) 및 리턴구(153c)를 가공하여 배관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튜브(153)의 입구(153a)와 물 공급라인(P) 또는 급수탱크(115)를 직결하여 흡입라인(S1)이 연결되고, 튜브(153)의 출구(153c)과 용기(111) 사이에는 가압라인(S2)이 연결되며, 튜브(153)의 리턴구(153c)와 급수탱크(115) 사이에는 리턴라인(R)이 연결된다.
상기 흡입라인(S1), 가압라인(S2) 및 리턴라인(R)에는 자동개폐밸브(151,125,152)가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속도조절용 밸브나 첵밸브(52a)가 각각 장착된다.
상기한 가압실린더(66)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피드콘트롤러(158A)(158B)와 규정된 압력을 설정하기 위한 압력조정계(159)가 각각 연결되어 가압에 필요한 시간을 맞추게 되고, 규정된 압력을 유지하여 떨림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압력계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가압실린더(66)는 양방향 복동이나 중간정지형, 단동 등의 솔레노이더밸브(160)가 연결되어 상하로 동시로 전,후진하게 된다.
상기 변위량측정장치(200)는 수조(113)와 뷰렛(117) 사이에 연결되는 0점수라인(K)이 연결되고, 뷰렛(117)은 미도시된 로드셀(전자저울), 인디게이트(지시계) 와 PC에 연결되어 최종적인 연산을 하게 된다.
이때, 0점수라인(K)에는 물감지센서(150)의 감지신호(물 통전신호)에 의해 개방되어 뷰렛(117)에 물을 공급하게 되는 제2밸브(121)가 장착된다. 이러한 뷰렛(117)은 수량의 비교측정을 하도록 투명한 계량컵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서와 같이 내부에 물이 채워진 용기(111)를 체결구(112)에 결합한 다음, 오버플로어라인(114-A)에 설치된 자동밸브(124)를 0N(열고)시킨 후, 수조(113) 내부에 투입하고, 수조뚜껑(114)을 닫으면, 수조뚜껑(114)이 패킹(110)에 의해 밀폐된다. 이때, 밀폐력을 높이기 위하여 수조뚜껑을 누르는 장치(미도시)를 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물 공급라인(P)의 제1밸브(120)가 ON되어 급수탱크(115)의 측정수(물)가 수조(113) 내부로 공급됨에 따라 수조(113) 내부에 측정수가 채워지면서 수조뚜껑(114)의 오버플로어공(114a)에 연결된 오버플로어라인(114-A)을 통하여 수조 수위에 의해 공기, 기포는 자동으로 방출되고, 만수위에 의해 배출되는 물은 집수조(114B)에 별도로 포집되어 재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조의 물이 만수위가 되어 오버플로어라인(114-A)을 거쳐 후단의 물 감지센서(150)를 통과하면 물의 통전 신호가 발생 되고, 이 신호(물 통전신호)에 의해 0점수라인(K)의 제2밸브(121)가 개방되어 수조(113) 내부의 측정수(물)가 뷰렛(117) 내부로 물이 공급됨에 따라 수조의 오버플로어 수위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일정한 시간이 지나 뷰렛의 물 높이가 안정되면 공급라인(P)의 제1밸브(120)가 OFF되어 수조(113) 내부가 만수위가 이루어지고, 이 만수위와 뷰렛(117)의 0점(aa)이 일치된다. 따라서 뷰렛(117)이 수조(113)의 만수위 최근접부 수평면에 설치되어 수조차에 의해 발생하는 제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조(113)의 만수위와 뷰렛(117)의 0점(aa)이 일치되면, 오버플로어라인(114-A)의 자동밸브(124)가 OFF되어 이때 영점값이 뷰렛(117)에 연결된 로드셀, 인디게이트에 의해 컴퓨터에 기록되고, 흡입라인(S1)의 자동개폐밸브(151)가 ON되어 급수탱크(115) 내부의 물이 흡입라인(S1)을 따라 가압실린더(66)의 입구(153a)와 연통된 튜브(153) 내부로 통하게 된다.
이때, 상부에 위치한 피스톤(154)을 후진하게 하여(즉,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118의 피스톤:119이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160의 밸브를 동작시켜 158a 라인에 설정된 공압이나 유압을 공급하면 피스톤:119는 후진하게 되고 로드로 연결된 154의 피스톤도 후진 하게 된다) 급수탱크의 물을 흡입하게 된다.
이러한 공압 또는 유압을 원동력으로 하는 실린더(118)에 위치 제어용 센서를 장착하여 용기(111)의 용량(규격)별로 선정된 위치에 정지하게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용기의 규격이 13kg이면, 실린더(118)에 설정된 13kg 위치에 실린더(118)의 피스톤(119)이 정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흡입라인(S1)의 자동개폐밸브(151)를 OFF시키고 가압라인(S2)의 자동개폐밸브(125)를 ON시켜 실린더(118)의 스피드콘트롤러(158B) 라인으로 공압 또는 유압을 공급하면 피스톤(119)은 설정된 용기 규격의 위치에서 상방으로 전진 하게 되어 압축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때의 압축력으로 설정압력까지 용기(111)를 가압하게 된다.
이 설정압력에 의해 가압라인(S2)의 자동개폐밸브(125)가 OFF되고, 리턴라인의 자동개폐밸브(152)가 ON되어, 남아 있는 가압수가 리턴라인(R)을 통하여 급수탱크(115)로 리턴(환수)되고, 가압실린더는 최초의 위치(전진상태)에서 대기하게 된다.
이때, 용기(111)는 소성변형으로 인해 (CC)형태가 되고, 늘어난 양만큼 수조(113) 내부의 측정수가 개방된 0점수라인(K)의 제2밸브(121)를 통하여 뷰렛(117) 내부로 공급되어 (cc)의 전증가값을 나타내게 된다.
다음 규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전증가 값을 컴퓨터에 기록하고, 자동개폐밸브(25,152)를 ON시켜 S2와 R라인을 통하여 압빼기(배압)를 실시하게 된다. 용기(111) 속의 압력을 제거하면 용기가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려고 하나 잔류 응력으로 인해 완전하게 복귀하지 못한 상태(BB)로 남겨 되며 이때, 측정부의 뷰렛(117)의 물은 감소하여 (bb)의 라인을 형성하게 되며 이를 항구증가 값으로 표기하게 된다.
이때의 값이 항구증가량이 된다. 항구증가율은 전증가량에 대한 항구 증가량의 백분율로 표시하고 규정된 수치를 컴퓨터가 연산하여 합/불 판정을 하게 된다.
다음 수조뚜껑(114)을 열어야하나 수조와 밀폐로 인한 진공이 형성되어 잘 열리지 않으므로 자동밸브(124)를 ON시켜 수조뚜껑(114)을 열고 체결구(112)와 용기(111)를 분리한 다음, 용기속의 물을 배수시키면 용기의 검사가 종료된다.
도 1은 종래 수조식 압력용기 내압팽창검사 시스템을 도시한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조식 압력용기 내압팽창검사 시스템을 도시한 회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실린더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조식 압력용기 내압팽창검사 시스템의 작동시켄스를 도시한 플로어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6 : 가압실린더 100 : 측정수공급장치
111 : 용기 113 : 수조
114 : 수조뚜껑 114a : 오버플로어공
114-A : 오버플로어라인 115 : 급수탱크
117 : 뷰렛 118 : 실린더
121 : 제1밸브 124 : 자동밸브
125,151,152 : 자동개폐밸브 150 : 물감지센서
152a : 첵밸브 153 : 튜브
153a,153b : 입,출구 153c : 리턴구
158a,158b : 스피드콘트롤러 159 : 압력조정계
200 : 변위량측정장치 K : 0점수라인
S1 : 흡입라인 S2 : 가압라인
R : 리턴라인

Claims (5)

  1. 물이 채워진 용기가 체결구로써 고정되고, 상부에는 기밀이 유지되록 수조뚜껑이 구비된 수조와; 상기 수조 내부로 측정수(물)를 공급하기 위한 측정수공급장치와; 실린더의 상부에 실린더 튜브를 장착하고, 내부에는 로드 선단을 이용하여 가압용 피스톤을 가공 조립하며, 피스톤의 외주연에는 피스톤링을 설치하여 피스톤의 이동중심을 유지하게 되며, 튜브 상부에는 입출구 및 리턴구를 가공하여 상기 용기 내부에 정해진 압력을 가압하기 위하기 위한 가압실린더와; 상기 수조와 뷰렛 사이에 연결되는 0점수라인이 연결되어 용기의 변위량을 측정하기 위한 변위량측정장치로 이루어진 수조식 압력용기 내압팽창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조뚜껑(114)은,
    수조(113)와 연통되도록 오버플로어공(114a)이 형성되어 오버플로어라인(114-A)이 연결되고,
    상기 오버플로어라인(114-A)에는 자동밸브(124)를 설치하고, 후단에 물감지센서(150)를 장착하여 수조(113)의 만수위를 인식과 공기 및 기포를 외부로 방출시키게 되며,
    상기 오버플로어공(114a)과 동일한 높이로 뷰렛(117)의 0점(aa)이 일치되도록 뷰렛(117)을 설치하여 수조(113)와 뷰렛(117)의 측정부간 압력오차를 최소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식 압력용기 내압팽창검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실린더(66)는
    튜브(153)의 입구(153a)와 물 공급라인(P) 또는 급수부탱크(115) 사이에 흡입라인(S1)이 연결되고,
    상기 튜브(153)의 출구(153b)와 상기 용기(111) 사이에는 가압라인(S2)이 연결되며, 상기 튜브(153)의 리턴구(153c)와 급수탱크(115) 사이에는 리턴라인(R)이 연결되고,
    상기 흡입라인(S1), 가압라인(S2) 및 리턴라인(R)에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개폐밸브(151,125,152)가 각각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식 압력용기 내압팽창검사 시시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실린더(66)의 실린더(118)는
    상기 수조(113)의 근접부에 설치되어 압력손실을 최소화하고, 스피드콘트롤러(158A)(158B), 압력조정계(159) 및 방향제어밸브(160)가 라인으로 연결되어 속도 조절과 가압에 필요한 시간을 맞추고, 규정된 압력을 상기 용기(111)에 가압하는 원리와 원동력을 유,공압으로 사용하여 출력단을 갖는 실린더, 피스톤 압축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식 압력용기 내압팽창검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실린더(66)로 가압한 후 잔여 압축수는 상기 자동개폐밸브(152)의 동작으로 상기 리턴라인(R)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식 압력용기 내압팽창검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량측정장치(200)의 0점수라인(K)에는 물감지센서(150)의 감지신호(물 통전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뷰렛(117)에 물을 공급하게 되는 제2밸브(121)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식 압력용기 내압팽창검사 시스템.
KR1020080003280A 2008-01-11 2008-01-11 수조식 압력용기 내압팽창검사 시스템 KR100822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280A KR100822382B1 (ko) 2008-01-11 2008-01-11 수조식 압력용기 내압팽창검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280A KR100822382B1 (ko) 2008-01-11 2008-01-11 수조식 압력용기 내압팽창검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2382B1 true KR100822382B1 (ko) 2008-04-16

Family

ID=39571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280A KR100822382B1 (ko) 2008-01-11 2008-01-11 수조식 압력용기 내압팽창검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238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250B1 (ko) 2012-08-23 2013-09-05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고압가스 실린더 부피변화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피변화 측정방법
CN103482561A (zh) * 2013-09-30 2014-01-01 遵义中土粮油收储有限公司 一种高精度油品输送称量系统及其使用方法
KR101790007B1 (ko) * 2016-12-27 2017-10-25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용기용 혼합형 팽창 시험장치
KR101790006B1 (ko) * 2016-12-27 2017-10-25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용기용 수조식 팽창 시험장치
KR101928034B1 (ko) 2017-07-13 2018-12-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장비의 수압시험에 사용되는 하부 밀폐 및 상부 덮개 커넥터형 챔버 시험장치
KR102655356B1 (ko) * 2023-12-06 2024-04-05 한국가스안전공사 수소 금속배관의 가속수명 시험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395B1 (ko) 2005-09-02 2005-11-01 홍종승 비수조식 압력용기 내압검사 시스템
KR100714160B1 (ko) 2006-01-10 2007-05-02 하태원 압력용기 내압팽창검사 비수조식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395B1 (ko) 2005-09-02 2005-11-01 홍종승 비수조식 압력용기 내압검사 시스템
KR100714160B1 (ko) 2006-01-10 2007-05-02 하태원 압력용기 내압팽창검사 비수조식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250B1 (ko) 2012-08-23 2013-09-05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고압가스 실린더 부피변화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피변화 측정방법
CN103482561A (zh) * 2013-09-30 2014-01-01 遵义中土粮油收储有限公司 一种高精度油品输送称量系统及其使用方法
CN103482561B (zh) * 2013-09-30 2016-02-24 遵义中土粮油收储有限公司 一种高精度油品输送称量系统及其使用方法
KR101790007B1 (ko) * 2016-12-27 2017-10-25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용기용 혼합형 팽창 시험장치
KR101790006B1 (ko) * 2016-12-27 2017-10-25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용기용 수조식 팽창 시험장치
KR101928034B1 (ko) 2017-07-13 2018-12-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장비의 수압시험에 사용되는 하부 밀폐 및 상부 덮개 커넥터형 챔버 시험장치
KR102655356B1 (ko) * 2023-12-06 2024-04-05 한국가스안전공사 수소 금속배관의 가속수명 시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382B1 (ko) 수조식 압력용기 내압팽창검사 시스템
NO854539L (no) Fremgangsmaate for bestemmelse av pumpekarakteristika, samt pumpe for utfoerelse av fremgangsmaaten.
CN106053243B (zh) 智能型转盘式液化石油气钢瓶水压试验快速检测线
KR100524395B1 (ko) 비수조식 압력용기 내압검사 시스템
CN102419285A (zh) 一种压力容器高压爆破试验系统
CN100582711C (zh) 一种测试产品漏气量的装置
CN108627222A (zh) 一种油表校核系统
CN105157781A (zh) 洁净罐体容积自动测量装置及方法
KR100714160B1 (ko) 압력용기 내압팽창검사 비수조식 시스템
CN108730266A (zh) 一种液压油缸内泄量测量装置及方法
CN102536775A (zh) 用于abs压力调节器的柱塞泵性能测试台
US5445034A (en) Method of measuring the pressure of a gas in a gas accumulator, and a gas accumulator for carrying out the method
CN201819763U (zh) 电动式超高压活塞式压力计
RU2234004C1 (ru) Стенд для испытания гидроцилиндров
CN217033527U (zh) 岩心渗透率损害流动实验装置
CN110082048A (zh) 一种气体流量检测装置
CN210513586U (zh) 上游泵送密封试验系统
CN209507543U (zh) 灌装抽吸装置
KR101111607B1 (ko) 주유배관누설측정 및 감지장치
CN203519429U (zh) 一种液压试验机
CN105445143A (zh) 用于半渗透隔板岩心毛管压力快速测量装置
CN112697599A (zh) 一种阀门耐压性测试装置
CN219757611U (zh) 一种孔隙水压力计校验设备
RU2397453C1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объема жидкости в закрытом резервуаре
KR101794717B1 (ko) 영점 보정기능이 포함된 개도율 측정모듈을 가지는 컨트롤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