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886B1 -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9886B1
KR100819886B1 KR1020060064102A KR20060064102A KR100819886B1 KR 100819886 B1 KR100819886 B1 KR 100819886B1 KR 1020060064102 A KR1020060064102 A KR 1020060064102A KR 20060064102 A KR20060064102 A KR 20060064102A KR 100819886 B1 KR100819886 B1 KR 100819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splay device
temperature
heat
insul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4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5024A (ko
Inventor
곽정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티
Priority to KR1020060064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9886B1/ko
Publication of KR20080005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1Environmental protection, e.g. against dust or humid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하우징과, 내부하우징으로 구성되며, 그 사이에 단열재 수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단열재 수용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온도 및 습도의 환경변화가 내부에 전도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재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LCD패널이 설치되어 전방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표시창을 포함한다.
LCD, 모니터, 환경변화, 온도, 습도, LCD 패널, 단열재, 냉온장치, 성에제거장치

Description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의 하우징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2의 하우징 결합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를 냉각 및 히팅하기 위한 냉온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5의 평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5의 냉온장치의 전류 흐름에 따른 작용을 보인 작용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에 설치된 냉온장치의 히팅과 냉각영역을 보인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에 설치되는 성에방지장치를 보인 설치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성에방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디스플레이장치 10: 하우징
11: 외부하우징 11a, 12a: 절곡부
12: 내부하우징 13: 단열재 수용부
14: 단열재 15: 표시창
16: 설치 홀 17: 고정대
20: LCD 패널 30: 구동 PCB
40: 냉온장치 41: 열전소자
41a: 제1금속 41b: 제2금속
42: 방열판 42a: 통풍구
43: 송풍 팬 44: 온도센서
50: 성에방지장치 51: 습도센서
52: 열선 60: 압력밸브
본 발명은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옥외에 설치되어 영상 및 문자 등으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외부의 온도 및 습도의 환경변화에 의해 내부가 이상변화 되는 것을 방지한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니터는 산업의 발달과 정보화의 시대적 요구로 액정의 배열구조를 변경하여 빛을 투과시키거나 차단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전력소모가 적고, 소형화 박형화 및 경량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최근에는 주로 적용되고 있으며, 하우징 내부에 광원 및 액정 등이 별도로 설치되거나 일체로 되는 LCD 패널이 설치되고, LCD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PCB가 기본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주로 환경변화가 비교적 적은 실내에 설치되고 있고, 실내에 적합하도록 제조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디스플레이장치가 실외 또는 실외환경과 유사한 조건인 공장 및 작업장 등에 설치될 경우 많은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장치를 옥외에 설치되게 되면, 옥외의 기온변화에 따라 민감하게 하우징을 통해 전도되므로 외부의 기온이 너무 높을 경우 내부에 전도되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LCD 패널 및 구동 PCB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온도에 민감한 부품들이 오작동하거나 제품의 수명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외부의 온도가 너무 낮을 경우에는 하우징 내부에 성에 등이 점착되고, 온도차에 의한 내부의 성에가 발생되어 성에에 의해 누전 및 단락이 발생되어 제품이 오작동 되거나 수면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외부의 환경변화와 무관하게 내부의 설정조건(온도 및 습도)에 따라 내부 환경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하우징과, 내부하우징으로 구성되며, 그 사이에 단열재 수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단열재 수용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온도 및 습도의 환경변화가 내부에 전도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재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LCD패널이 설치되어 전방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표시창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하우징과 내부하우징은 상기 단열재가 상기 단열재 수용부에서 고정될 수 있게 상기 단열재 수용부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마련되며, 상기 절곡부는 환경변화가 상호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열재는 발포합성수지, 발포제지 중에 선택된 하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LCD 패널에서 발생된 열을 냉각 및 혹한기 초기 기동을 위해 히팅 시키는 냉온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냉온장치는 상기 하우징 및 단열재를 관통하는 설치 홀과, 상기 설치 홀에 설치되며, 전류에 방향에 따라 흡열 또는 발열시키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에 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열전소자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는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에 설치되어 상기 방열판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 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방열판은 공기가 통풍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송풍 팬은 외부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방수처리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냉온장치는 하우징 내부의 온도에 따라 흡열 또는 발열을 전환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 전면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한 습도 증가로 성에가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성에방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성에방지장치는 하우징 전면에 부착되어 습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습도센서와, 상기 습도센서에서 감지된 습도에 따라 성에가 제거될 수 있도록 발열하는 열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습도센서는 상기 하우징 전면에 마련되는 표시창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상기 표시창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열선은 하우징 전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카본열선이 상기 표시창 가장자리에 프린트(Carbon Silk Print)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밀폐된 내압을 감지하여 내압이 높을 경우 이를 개방하는 압력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 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의 하우징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2의 하우징결합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하우징(10), LCD 패널(20), 구동 PCB(30), 냉온장치(40) 및 성에방지장치(50)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우징(10)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외부하우징(12)과 내부하우징(11)으로 구성되며, 외부하우징(12)과 내부하우징(11) 사이에 공간으로 마련되는 단열재 수용부(13)에는 외부의 온도가 내부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재(14)가 충진된다.
이때, 외부하우징(12)은 옥외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환경에 의해 부식이 방지될 수 있도록 내식성이 우수하면서 고급스러운 재질로 마련되고, 내부하우징(11)은 내부에서 발생된 열이 균일하게 전도될 수 있도록 열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마련된다.
즉, 바람직하게는 외부하우징(12)은 스테인레스(Stainless) 재로 마련되는 것이 좋고, 내부하우징(11)은 알루미늄(Aluminum) 재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외부하우징(12)과 내부하우징(11)은 그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재 수용부(13)에 단열재(14)를 수용한 상태에서 단열재(14)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면서, 외부하우징(12)과 내부하우징(11)이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단열재(14)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11a,12a)가 마련된다.
여기서 외부하우징(12)과 내부하우징(11)에 각각 마련되는 절곡부(11a,12a)는 외부하우징(12) 또는 내부하우징(11) 중에 어느 하나에만 마련될 수 있고,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절곡부(11a,12a)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외부하우징(12)과 내부하우징(11)의 절곡부(11a,12a)는 끝단이 상호 접하지 않도록 소정의 간격(2mm 이상)의 틈새를 갖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틈새에 의해 외부하우징(12)이 외부환경변화에 따라 온도가 상승되거나 하강하여도 내부하우징(11)은 외부하우징(12)과 무관하게 된다.
그리고 외부하우징(12)과 내부하우징(11) 각각에 마련된 절곡부(11a,12a)가 이격되어 형성된 틈새를 밀폐시키면서, 외부하우징(12)과 내부하우징(11)을 이격된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대(17)를 마련하여 절곡부(11a,12a) 각각에 볼트로 결합하여 외부하우징(12)과 내부하우징(11)을 고정한다.
이때 고정대(17)는 절곡부(11a,12a)에 볼트로 결합하기 전에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양면테이프 등으로 접착한 후 볼트로 결합하며, 상기 고정대(17)는 내구성을 비롯해 내 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 투명성 등이 좋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마련된다.
상기 단열재(14)는 유리섬유 및 석면 등을 다양하게 적용시킬 수 있으나, 유 리섬유 및 석면 등의 경우 인체에 유해할 수 있음으로 발포 폴리에티렌 등의 발포 합성수지 또는 폐지 등을 이용하는 발포제지 등을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10) 내부에는 외부환경변화와 무관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내부가 폐쇄된다. 그래서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는 LCD 패널(20) 및 구동 PCB(3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킬 수 있도록 냉온장치(40)가 마련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를 냉각 및 히팅하기 위한 냉온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5의 평면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5의 냉온장치의 전류 흐름에 따른 작용을 보인 작용도이다.
도 5, 도 6 및 도 7a, 도 7b를 참고하면, 냉온장치(40)는 팰티어(PELTIER) 효과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우징(10)에 마련되는 설치 홀(16)과, 설치 홀(16)에 설치되는 열전소자(41), 열전소자(41)에 설치되는 방열판(42) 및 방열판(42)에 설치되는 송풍 팬(43) 그리고,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44:도 2참조)로 구성된다.
상기 설치 홀(16)은 하우징(10)의 후방을 관통하여 마련되되, 내부하우징(11)과 외부하우징(12) 및 단열재(14)를 관통시켜 마련되며, 설치 홀(16)의 내면에는 단열재(14)가 노출되지 않도록 외부하우징(12)의 절곡부(12a)와 내부하우징(11)의 절곡부(11a)가 마련된다. 그리고 외부하우징(12)의 절곡부(12a)와 내부하우징(11)의 절곡부(11a)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된다.
여기서 열전소자(41)는 상기 서로 다른 제1금속(41a)과 제2금속(41b)의 접합 으로 구성되며, 전류의 인가방향에 따라 흡열 또는 발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금속(41a)은 설치 홀(16)의 내부하우징(11)에 접하게 설치되며, 제2금속(41b)은 설치 홀(16)의 외부하우징(12)에 접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전류의 인가방향에 따라 내부하우징(11)과 외부하우징(12)은 방열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흡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금속(41a)에서 제2금속(41b)으로 정 방향으로 전류를 인가하면, 제1금속(41a)은 발열하고, 제2금속(41b)은 흡열하여 하우징(1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금속(41b)에서 제1금속(41a)으로 역방향의 전류를 인가하면, 제1금속(41a)은 흡열하고, 제2금속(41b)은 발열하여 하우징(10) 내부의 온도를 하강시킨다.
여기서 열전소자(41)에 정방향의 전류를 인가하여 하우징(1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킬 경우에는 LCD패널 및 구동PCB 등에서 함께 열이 발생되므로 내부의 온도를 쉽게 높일 수 있으나, 열전소자(41)에 역방향의 전류를 인가하여 하우징(10) 내부의 온도를 하강시킬 경우에는 LCD 패널(20) 및 구동 PCB(30)에서 발생되는 열을 함께 냉각하여야 함으로 제1금속(41a)에서의 흡열을 상승시키기 위해 제2금속(41b)에는 방열판(42)이 설치된다.
그리고 방열판(42)에는 송풍시켜 방열시킬 수 있게 송풍 팬(43)이 마련된다. 이때 방열판(42)은 5mm 내외의 통풍구(42a)가 다수 개 마련하여 통풍구(42a)를 지나면서 유속이 빨라지면 방열 효율이 상승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따라서 제2금속(41b)은 방열판(42)과 방열판(42)에 형성된 통풍구(42a) 및 송풍 팬(43)에 의해 방열효율이 상승되고, 팰티어(PELTIER) 효과에 의해 하우징(10) 내부에 위치하는 제1금속(41a)은 흡열효과가 상승된다. 그리고 제1금속(41a)과 접하는 내부하우징(11)을 통해 하우징(10) 내부를 보다 빠른 속도로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전류를 정방향으로 인가하여 히터로 작동되는지, 냉각기로 작동되는지는 설정온도에 의해 결정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에 설치된 냉온장치의 히팅 작동온도와 냉각 작동온도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냉온장치(40)는 히팅작동온도(H_on)와, 냉각작동온도(C_on)를 설정하여 하우징(10) 내부온도가 히팅작동온도(H_on)보다 낮을 경우 히팅이 작동되고, 냉각작동온도(C_on)보다 높을 경우 냉각이 작동되도록 한다.
이때 히팅이 작동되면 열전소자(41)에 정방향의 전류가 흐르게 되며, 제1금속(41a)은 발열하게 되고, 제2금속(41b)은 흡열하게 되어 하우징(10) 내부는 열 교환을 통해 내부온도가 상승한다.
그리고 하우징(10) 내부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불필요한 히팅에 따른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게 히팅정지온도(H_off)를 설정하여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내부온도가 지속적으로 높아지게 되면 냉각작동온도(C_on)에서 냉각이 작동되는데, 냉각이 작동되면 열전소자(41)에 역방향의 전류가 흐르게 되며, 제1금속(41a)은 흡열하게 되고, 제2금속(41b)은 발열하게 되어 하우징(10) 내부는 열 교 환을 통해 온도가 하강한다. 그리고 제2금속(41b)에 설치된 방열판(42)과 송풍 팬(43)에 의해 방열효율을 상승시키며, 방열효율의 상승으로 제1금속(41a)의 흡열효율이 상승한다.
그리고 하우징(10) 내부온도가 과도하게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불필요한 냉각에 따른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게 냉각정지온도(C_off)가 설정되어 일정한 온도 이하로 하강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온도설정은 낮은 온도에서부터 히팅작동온도(H_on), 냉각정지온도(C_off), 히팅정지온도(H_off), 냉각작동온도(C_on)의 순으로 설정되며, 냉각정지온도(C_off), 히팅정지온도(H_off) 사이에 설정시간동안 그 온도를 유지되는 경우 냉각정지온도(C_off), 히팅정지온도(H_off) 사이에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절전모드가 설정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에 설치되는 성에방지장치를 보인 설치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성에방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한편, 하우징(10) 내부는 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해 성에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하우징(10) 전면에는 LCD 패널(20)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표시창(15)이 마련되는데, 표시창(15)은 하우징(10)의 외부와 내부의 온도차가 발생될 경우 성에 발생 확률이 매우 높아진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성에방지장치(50)가 마련된다.
여기서 성에방지장치(50)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51)와 상기 습도센서(51)의 습도 감지에 따라 전원을 인가함으로서 발열되는 열선(5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상하좌우 각각의 위치에서의 습도가 다르게 감지될 수 있음으로 상하좌우 각각의 위치에 습도센서(5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부와 하부에 상부습도센서(51a)와 하부습도센서(51b)를 설치한다. 그래서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습도센서(51a)와 하부습도센서(51b) 중에 어느 하나가 감지되면 OR게이트(53)에 의해 열선(52)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무 접점 릴레이가(54) 스위칭 되어 전원이 인가되고, 상부습도센서(51a)와 하부습도센서(51b) 모두 감지되지 않으면 열전에 전원이 차단된다.
그리고 습도센서(51)는 성에발생확률이 높은 표시창(15)의 가장자리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열선(52)은 표시창(15)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습도센서(51)와 열선(52)은 하우징(10)의 자장자리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열선(52)은 표시창(15)의 가장자리를 따라 카본 열선(52)을 도포하여서 마련되며, 열선(52)의 발열로 성에를 제거하거나, 표시창(15)으로 전도되어 성에를 제거한다.
한편,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압력밸브(60)가 설치된다. 여기서 압력밸브(60)는 밀폐된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는 LCD 패널(20) 및 구동 PCB(30) 등에서의 발열로 내부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하우징(10)의 후방에 설치된다.
따라서 온도상승으로 내부압력이 상승하면, 압력밸브(60)는 자동 개방된다. 이때 자동 개방은 3기압 내외에서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는 옥외로 한정하지 않고, 온도 및 습도의 환경변화가 큰 장소에는 모두 설치가 가능하며, 디스플레이장치에 단열재 및 냉온장치, 성에제거장치를 적용하였으나,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TV 및 카메라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를 밀폐하면서 단열재로 단열시킨 하우징과, 전류방향전환으로 히팅과 냉각이 가능한 냉온장치와, 성에제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본 발명은 하우징을 단열재로 단열시킴으로서 내부의 온도는 외부의 무관해져 외부환경변화에 따른 내부의 이상변화를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성에제거장치와 냉온장치를 설치하여 설정온도에 따라 내부의 온도를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늘 일정한 상태의 온도와 습도로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압력밸브를 더 설치하여 내부압력이 상승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신속하게 압을 제거함으로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외부하우징과, 내부하우징으로 구성되며, 그 사이에 단열재 수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단열재 수용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온도 및 습도의 환경변화가 내부에 전도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재;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LCD패널이 설치되어 전방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표시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과 내부하우징은 상기 단열재가 상기 단열재 수용부에서 고정될 수 있게 상기 단열재 수용부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마련되며,
    상기 절곡부는 환경변화가 상호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발포합성수지, 발포제지 중에 선택된 하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LCD 패널에서 발생된 열을 냉각 및 혹한기 초기 기동을 위해 히팅 시키는 냉온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장치는 상기 하우징 및 단열재를 관통하는 설치 홀;
    상기 설치 홀에 설치되며, 전류에 방향에 따라 흡열 또는 발열시키는 열전소자;
    상기 열전소자에 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열전소자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는 방열판;
    상기 방열판에 설치되어 상기 방열판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공기가 통풍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팬은 외부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방수처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장치는 하우징 내부의 온도에 따라 흡열 또는 발열을 전환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전면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한 습도 증가로 성에가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성에방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성에방지장치는 하우징 전면에 부착되어 습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습도센서;
    상기 습도센서에서 감지된 습도에 따라 성에가 제거될 수 있도록 발열하는 열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센서는 상기 하우징 전면에 마련되는 표시창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상기 표시창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은 하우징 전면의 내부에 설치되며, 카본열선이 표시창 가장자리에 프린트(Carbon Silk Print)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밀폐된 내압을 감지하여 내압이 높을 경우 이를 개방하는 압력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60064102A 2006-07-07 2006-07-07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 KR100819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102A KR100819886B1 (ko) 2006-07-07 2006-07-07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102A KR100819886B1 (ko) 2006-07-07 2006-07-07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024A KR20080005024A (ko) 2008-01-10
KR100819886B1 true KR100819886B1 (ko) 2008-04-07

Family

ID=39215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102A KR100819886B1 (ko) 2006-07-07 2006-07-07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988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106B1 (ko) * 2009-02-09 2009-10-16 (주)뷰앤아이테크 옥외용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79213B1 (ko) 2008-04-16 2010-08-31 주식회사 엠쏘 공조시스템을 가지는 광고판
KR101021535B1 (ko) * 2009-02-18 2011-03-11 최창주 옥외용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021534B1 (ko) * 2009-02-18 2011-03-14 최창주 난반사 방지용 보호판을 구비한 옥외용 표시 장치 및 그 보호판 제조 방법
KR101153923B1 (ko) 2012-03-06 2012-06-08 권병관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179B1 (ko) * 2007-12-07 2015-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0969677B1 (ko) * 2008-01-17 2010-07-14 이영배 실외 영상 디스플레이어용 온도 및 습도 자동 제어 장치
KR100953213B1 (ko) * 2008-05-07 2010-04-15 (주)삼진테크 옥외용 디스플레이 함체
KR101014560B1 (ko) * 2008-05-07 2011-02-16 (주)삼진테크 옥외용 디스플레이 함체
KR100953215B1 (ko) * 2008-05-07 2010-04-15 (주)삼진테크 옥외용 디스플레이 함체
KR100954514B1 (ko) * 2009-02-18 2010-04-28 권병관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737391B1 (ko) 2011-02-01 2017-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46542A (ko) * 2016-10-28 2018-05-09 주식회사 현대아이티 옥외용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시스템
KR20180058425A (ko) * 2016-11-24 2018-06-01 (주) 지펙케이앤디 온도센서 센서값 설정을 통해 온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81907B1 (ko) * 2019-02-11 2021-07-26 주식회사 가온테크놀러지 양어장 해수공급시스템의 조수간만 정보기반 제어유니트 및 양어장 해수공급 제어유니트용 조수간만 정보기반 컨트롤러 제공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5076A (ja) * 1998-11-25 2000-06-16 Mitsubishi Electric Corp 屋外用表示装置の筺体
KR20050017075A (ko) * 2003-08-13 2005-02-21 주식회사 래도 방열층을 구비한 전광판용 픽셀 모듈의 led 고정부재
KR20060032480A (ko) * 2004-10-12 2006-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5076A (ja) * 1998-11-25 2000-06-16 Mitsubishi Electric Corp 屋外用表示装置の筺体
KR20050017075A (ko) * 2003-08-13 2005-02-21 주식회사 래도 방열층을 구비한 전광판용 픽셀 모듈의 led 고정부재
KR20060032480A (ko) * 2004-10-12 2006-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213B1 (ko) 2008-04-16 2010-08-31 주식회사 엠쏘 공조시스템을 가지는 광고판
KR100922106B1 (ko) * 2009-02-09 2009-10-16 (주)뷰앤아이테크 옥외용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21535B1 (ko) * 2009-02-18 2011-03-11 최창주 옥외용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021534B1 (ko) * 2009-02-18 2011-03-14 최창주 난반사 방지용 보호판을 구비한 옥외용 표시 장치 및 그 보호판 제조 방법
KR101153923B1 (ko) 2012-03-06 2012-06-08 권병관 옥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024A (ko) 200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886B1 (ko) 옥외용 디스플레이장치
US8248784B2 (en) Display apparatus
US8319936B2 (en) Display device with cooling control
US5621614A (en) Apparatus for mounting and enclosing an appliance
WO2009147897A1 (ja) 画像表示装置
WO2009147898A1 (ja) 画像表示装置
KR101865002B1 (ko) 온습도 통합관리 및 제어기능을 갖춘 자동제어반
CN101438909B (zh) 陈列柜
US20150116507A1 (en) Monitoring system for an outdoor display
KR101711401B1 (ko) 히팅기능을 갖는 옥외광고용 디스플레이 장치
JP2006336233A (ja)
JP2986297B2 (ja) Led表示装置
KR20120129225A (ko) 옥내외용 액정 광고보드의 방열구조
KR101179041B1 (ko) 냉각모듈 공조시스템을 적용한 엘시디 및 엘이디 디지털 전광판
KR20110034345A (ko) 실외 광고용 모니터의 구조
KR101491654B1 (ko) 차량 탑재용 광고장치
KR200397965Y1 (ko) 온도조절 기능을 갖는 감시 카메라
US20140002784A1 (en) Heat dissipation construction for indoor-outdoor lcd sign board
JP5818701B2 (ja) 換気装置
CN220122990U (zh) 防起雾的摄像机
JP3765308B2 (ja) 表示装置
JP5317734B2 (ja) 画像表示装置
KR20100096635A (ko) 열전소자에 의한 온,습도의 제어가 가능한 실외 광고장치
KR100598943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된 룸미러
JP2006284129A (ja) 密閉型装置の冷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