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806B1 -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9806B1
KR100819806B1 KR1020060071567A KR20060071567A KR100819806B1 KR 100819806 B1 KR100819806 B1 KR 100819806B1 KR 1020060071567 A KR1020060071567 A KR 1020060071567A KR 20060071567 A KR20060071567 A KR 20060071567A KR 100819806 B1 KR100819806 B1 KR 100819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file
unit
sec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8406A (ko
Inventor
마사루 오쿠다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98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8Rendering the image unintelligible, e.g. scrambling
    • H04N1/4486Rendering the image unintelligible, e.g. scrambling using digital data encry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고 싶지 않은 사적인 화상이 촬상 장치로부터 분리된 후에도 그 화상의 표시를 금지할 수 있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촬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촬상부와, 촬상 데이터를, 촬상 데이터를 화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태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태그 파일과, 화상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파일로 분할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태그 파일이 기록되는 외부 메모리와, 화상 파일이 기록되는 내부 메모리와, 촬상 데이터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Photograph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의 기능 블록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데이터 처리부에 의한 파일의 분할 처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기억 영역이 복수 개 있는 경우의 보관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각 보안 레벨의 처리 동작과 기능을 표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파일 에러를 표시하는 재생 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촬영 시의 보안의 설정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재생 시의 보안의 설정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재생 시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화상을 재생하는 재생 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일괄 재생 시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개별 해제 시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일괄 해제 시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APPI 210, 310: 보안 데이터
140: DHT 170: 압축 데이터
130: DQT 40: 외부 메모리
180: EOI 100: 촬상 데이터
150: SOF 20: 촬상부
110: SOI 10: 카메라
160: SOS 300: 태그 파일
50: 내부 메모리 60: 표시부
30: 데이터 처리부 200: 화상 파일
본 발명은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 표시 기능을 갖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에서의 보안(security) 기능을 개선하고, 사적(私的)인 화상을 표시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가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화상 표시 기능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촬영 시에는 이와 같은 화상 표시 기능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확인하면서 원하는 촬영을 할 수 있고, 또한 촬영한 화상을 화상 표시 기능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는, 촬영한 화상을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고 싶지 않은 경우에도 촬영된 화상의 표시를 금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시도로서,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0-299847호, 제2004-215103호 및 제1997-130782호에 개시된 기술이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0-299847호는 화상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4-215103호는 선택한 화상이 표시되는 것을 금지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1997-130782호는 암호 입력에 의해 화상을 보호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상술한 종래 기술들에 의하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서 촬영한 화상이 표시되는 것을 금지할 수 있다. 하지만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 파일은, 컴퓨터나 다른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통해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서는, 촬영된 화상 파일이 내장 메모리나 착탈 가능한(removable) 미디어에 저장된다. 그리고 USB 케이블이나 착탈 가능한 미디어를 통해서 컴퓨터 등에 다운로드함으로써 촬영된 화상 파일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단 화상 파일이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부터 분리되면,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고 싶지 않은 화상이라도 그 표시를 금지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고 싶지 않은 사적(私的)인 화상이 촬상 장치로부터 분리된 후에도 그 화상이 표시되는 것을 금지할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촬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촬상부와, 촬상 데이터를 화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태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태그 파일과 화상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파일로 촬상 데이터를 분할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태그 파일이 기록되는 제1 데이터 기록부와, 화상 파일이 기록되는 제2 데이터 기록부와, 촬상 데이터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데이터 처리부는 촬상 데이터를 분할 처리할 수 있다. 즉 촬상데이터는, 촬상 데이터를 화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태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태그 파일과, 화상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파일로 분할 처리된다. 이로 인하여, 화상 파일 또는 태그 파일 중 어느 하나만으로는 촬상 데이터를 화상으로 표시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컴퓨터나 다른 촬상 장치에서 촬상 데이터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금지할 수 있다. 즉 촬상 데이터가 촬상 장치로부터 분리된 후에도 촬상 데이터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금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촬상 장치는, 데이터 처리부에 의한 태그 파일의 암호화를 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암호 처리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태그 파일의 암호화는 모든 촬상 데이터에 대해서 수행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암호화가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암호 처리 설정부에 대한 설정은, 촬상부가 촬상 데이터를 취득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암호 처리 설정부에 대한 설정은, 표시부가 촬상 데이터를 화상으로 표시할 때에 수행될 수도 있다. 표시부가 촬상 데이터를 화상으로 표시할 때에 암호 처리 설정부의 설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촬상 장치에 기록되어 있는 모든 촬상 데이터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도 있고, 각 촬상 데이터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상술한 제1 데이터 기록부 및 제2 데이터 기록부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데이터 기록부 및 제2 데이터 기록부 중 어느 하나는 촬상 장치에 내장된 내부 메모리(예를 들면, 내장 하드 디스크 등)이고, 다른 하나는 촬상 장치로부터 착탈 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메모리 카드로 불리는 매체 등)일 수 있다.
이 경우 태그 파일과 화상 파일이 같은 폴더(folder)에 존재하지 않아, 이 파일들의 연관성을 이해하기 어려우므로 보안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보안 기능을 탑재한 다른 카메라에 외부 메모리를 접속하더라도 재생이 불가능하므로, 보안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촬상 장치는, 데이터 처리부에 의한 촬상 데이터의 분할 처리를 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분할 처리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처리부에 의한 촬상 데이터의 분할 처리는, 모든 촬상 데이터에 대해서 행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할 처리 설정부에 대한 설정은, 촬상부가 촬상 데이터를 취득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할 처리 설정부에 대한 설정은, 표시부가 촬상 데이터를 화상으로 표시할 때에 수행될 수도 있다. 표시부가 촬상 데이터를 화상으로 표시할 때에 분할 처리 설정부의 설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촬상 장치에 기록되어 있는 모든 촬상 데이터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도 있고, 각 촬상 데이터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컴퓨터가 제공된다. 컴퓨터는 본 발명의 촬상 장치로서 기능하는 프로그램(소프트웨어나 펌웨어 등)과, 그 프로그램이 기록되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컴퓨터란, 데이터를 전자적으로 처리하는 모든 기기를 말하며,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은 어떤 프로그램 언어에 의해 기술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기록 매체로는, 예를 들면, CD-ROM, DVD-ROM, 플렉시블 디스크 등, 프로그램을 기록할 수 있는 기록 매체로서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록 매체, 또는 앞으로 사용될 어떠한 기록 매체도 채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1)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개요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개요를 설명한다.
일반적인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는 Exif 라는 JEITA 규격에서 정의된 태그 정보가 작성되어 있다. 태그 정보에는 이미지의 크기 등의 화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 태그 정보 안에는 실제의 이미지 데이터의 개시 오프셋(offset)이 포함되어 있고, 그 태그 정보의 값에 의해 화상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하다. 이 점은 참고문 헌: JEITA CP-3451「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for digital still cameras: Exif Version 2.2」에 기재되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Exif 태그 정보(이하, 태그 정보라고 약칭함)와 화상 정보를 각각의 파일로 나누어 보관함으로써, 화상 파일만으로는 화상을 재생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이하, '카메라'라고도 약칭함)에 대해서 설명한다. 컴퓨터나 다른 카메라에서는 화상 정보만으로는 화상을 재생할 수 없으므로, 보안 기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본 발명의 촬상 장치의 하나의 예에 불과하다.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촬상 기능을 갖는 모든 장치, 예를 들면,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 전화, 텔레비전 회의용 카메라, 네트워크 카메라(IP 카메라)에도 적용할 수 있다.
(2) 카메라의 기능 블록(도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의 기능 블록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사체를 촬상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취득하는 촬상부(20)와, 촬상부(20)가 취득한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30)와, 처리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외부 메모리(40) 및 내부 메모리(50)와, 촬상 데이터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6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구성 요소만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도 도 1에 나타낸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로 인해 본 발명 에 다른 구성 요소가 포함될 수 있음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촬상부(20)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취득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촬상부(20)에서는, CCD 나 CMOS 등의 이미지 센서에 광학 렌즈를 통해서 피사체의 상을 투영하고, 그 상을 아날로그 전기 신호로 입력한다. 그리고 입력된 아날로그 전기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기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디지털 신호는 일단 DRAM 등의 기억 소자에 기록된 후, 후단의 데이터 처리부(30)에서 처리된다.
데이터 처리부(30)는 촬상부(20)가 취득한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처리부(30)는 촬상부(20)가 취득한 화상에 대해서 색조 보정 등의 화상 처리를 행한 후, 화상 압축을 하여 데이터량을 줄이는 처리를 한다. 처리된 디지털 데이터는, 후단의 외부 메모리(40)와 내부 메모리(50)에 기입된다. 화상 처리나 압축 프로그램은 플래시 메모리(도시 생략) 등에 기입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이 데이터 처리부(30)의 데이터 처리에 특징이 있다. 데이터 처리부(30)의 처리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면서 후술한다.
외부 메모리(40)는 카메라(10)의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착탈 가능한 미디어이다. 예를 들면, 외부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로 이루어진 메모리 카드로 불리는 매체일 수 있다.
외부 메모리(40)에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는, 외부 메모리의 독출 장치(메모리 리더 라이터(reader/writer) 등으로 칭함)를 이용하여, 컴퓨터나 다른 카메라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메모리(40)를 넓은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메모리는 컴퓨터나, 착탈 가능한 하드 디스크나, CD 나 DVD 등의 기록 매체 등일 수도 있다. 외부 메모리(40)의 데이터의 보관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면서 후술한다.
내부 메모리(내장 메모리라고도 함, 50)는, 일반적으로 사용될 때에는 카메라(10)의 본체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메모리이다. 예를 들면, 내부 메모리는 내장 플래시 메모리나 내장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내부 메모리(50)에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 케이블 등의 외부 접속 기기를 사용하여 컴퓨터나 다른 카메라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내부 메모리(50)에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를 일단 외부 메모리(40)에 복사하고, 외부 메모리(40)를 통해서 컴퓨터나 다른 카메라로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내부 메모리(50)에 대한 데이터의 보관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면서 후술한다.
표시부(60)는, 촬상 데이터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표시부는 TFT(thin film transistor)를 사용한 액정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부(60)에 표시되는 구체적인 내용이나, 촬상 데이터를 표시부(60)에 표시하기 위한 조건 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3) 파일의 분할(도 2)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구성 요소인 데이터 처리부(30)의 데이터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데이터 처리부에 의한 파일의 분할 처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처리부(30)는, 사용자가 보안 기능을 유효(On)로 한 경우, 촬상 데이터(100)를 화상 데이터와 태그 정보로 분할하여 각각의 파일로 보관하고, 단독 파일로는 재생할 수 없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화상 파일(200)이라고 칭하고,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을 태그 파일(300)이라고 칭한다.
촬상 데이터(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데이터를 포함한다.
○ SOI(start of image, 촬상 데이터의 처음; 110)
○ APPI(섬네일(thumbnail; 견본) 데이터; 120)
○ DQT(양자화 테이블 정의; 130)
○ DHT(허프만(Huffman) 테이블; 140)
○ SOF(표준 DCT 압축 또는 프로그레시브 DCT 압축; 150)
○ SOS(인코드된 이미지 데이터; 160)
○ 압축 데이터(170)
○ EOI(end of image, 촬상 데이터의 말단; 180)
촬상 데이터(100)를 화상 파일(200)과 태그 파일(300)로 나눌 때에 중요한 것은, 화상 파일(200) 또는 태그 파일(300) 중 어느 하나만으로는 촬상 데이터(100)를 재생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태그 파일(300)에는 APPI(120)가 포함된다. 태그 파일(300)은, APPI(120)만일 수도 있고, 또는 이하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 DQT(양자화 테이블 정의; 130)
○ DHT(허프만 테이블; 140)
○ SOF(표준 DCT 압축 또는 프로그레시브 DCT 압축; 150)
○ SOS(인코드된 이미지 데이터; 160)
상술한 데이터 중에서, DQT(130)와 DHT(140)는 복수 개 존재할 수도 있는데, 그 경우에는 모두 태그 파일(300)로 분할하거나, 그 일부만을 태그 파일로 분할할 수도 있다. 다만, 일부만을 분할하면 복원 시(재생 시)에 결합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모두 태그 파일(300)로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OS(160)는 정보량이 많기 때문에, 데이터의 처음으로부터 일부분만을 태그 파일(300)로 분할하면 목적은 달성할 수 있다. 또한 APPI(120) 내에 있는 섬네일 데이터 등 파일 내에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 모두에 대해서 같은 처리를 행한다.
도 2는 촬상 데이터(100)를 화상 파일(200)과 태그 파일(300)로 분할한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화상 파일(200)은 보안 데이터(210)와, 촬상 데이터(100)의 일부인 SOI(110), SOS(160), 압축 데이터(170) 및 EOI(180)를 포함한다. 보안 데이터(210)는 분할된 태그 파일(300)과 연관시키기 위한 인식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 인식 번호는 카메라(10)마다 다른 독특한 번호이다. 예를 들어, 인식 번호는 기종 번호를 일부에 포함하는 번호, 또는 기종 번호 그 자체일 수 있다.
태그 파일(300)은, 보안 데이터(310)와, 촬상 데이터(100)의 일부인 APPI(120), DQT(130), DHT(140) 및 SOF(150)를 포함한다. 보안 데이터(310)는, 분할된 화상 파일(200)과 연관시키기 위한 인식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 인식 번호는, 예를 들어 화상 파일(200)의 보안 데이터(210) 내의 식별 번호와 동일한 번호 또는 이것을 일부에 포함하는 번호일 수 있다. 또한 APPI(120), DQT(130), DHT(140) 및 SOF(150)는 보안 레벨에 따라서는 암호화된다. 보안 레벨에 대해서는 다시 후술하기로 한다.
분할된 화상 파일(200) 및 태그 파일(300)은 화상의 오브젝트 파일로서 생성하고, DCF(design rule for camera file system)에 관련되는 파일로 대응시킨다. 또한 파일의 확장자명에 대해서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태그 파일(300)에는 숨김 속성(hidden attribute)을 추가할 수도 있다. 태그 파일(300)을 컴퓨터 상에서 보았을 때, 숨겨진 속성이 '숨김'으로 되어 있다면 파일을 인식할 수 없다.
(4) 파일의 보관
화상을 분할한 후, 화상 파일(200)의 처음과 태그 파일(300)의 처음에 보안 데이터(210, 310)(도 2)를 보관한다. 이 보안 데이터(210, 310)에는, 화상 파일(200)과 태그 파일(300)을 동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인식 번호나 날짜 정보 등을 기록하고, 재생 시에 판단할 수 있도록 해둔다. 공통 인식 번호를 가지고 있는 태그용 오브젝트 파일이 존재하는 것만으로는, 분할된 오브젝트 파일과 화상 파일(200)의 관련이 재생되지 않는다. 어디까지나 화상과 동일한 인식 번호를 가진 데이터만 재생할 수 있다.
오브젝트 파일은 DCF 의 규격에서도 정의되어 있으며, 동일한 파일 번호를 갖도록 함으로써 화상과 대응될 수 있다. 오브젝트 파일은 AVI 파일 등과 동일하게 보관되므로, 기능을 모르는 사람이 파일을 보았다고 하더라도 이를 태그 파일(300)로 판단하기는 어렵다. 이 점에 대해서는, 참고문헌: JEITA CP-3461「design rule for camera file system: DCF Version 2.2」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화상 파일(200)과 태그 파일(300)의 분할은 촬영 시에 행할 수 있으나, 화상 재생 시에 기능을 선택하여 나중에 처리할 수도 있다. 이 점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5) 파일의 기록(도 3)
도 3은 기억 영역이 복수 개 있는 경우의 보관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분할된 파일은 동일한 폴더에 기록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의 카메라(10)와 같이 외부 메모리(40)와 내부 메모리(50)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된 파일을 외부 메모리(40)와 내부 메모리(50)로 나누어 기억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화상 파일(200)과 태그 파일(300)을 외부 메모리(40)와 내부 메모리(50)에 모두 저장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이하에서 설명되는 어느 하나의 저장 방법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a) 화상 파일(200)과 태그 파일(300)을 함께 외부 메모리(40)에 저장한다.
(b) 화상 파일(200)과 태그 파일(300)을 함께 내부 메모리(50)에 저장한다.
(c) 화상 파일(200)을 외부 메모리(40)에 저장하고, 태그 파일(300)을 내부 메모리(50)에 저장한다.
(d) 화상 파일(200)을 내부 메모리(50)에 저장하고, 태그 파일(300)을 외부 메모리(40)에 저장한다.
(c) 또는 (d) 에서 설명된 방법의 경우, 분할된 파일이 동일 폴더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파일 사이의 연관성을 이해하기 어려워 보안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외부 메모리(40)를 컴퓨터나 다른 카메라에 접속하더라도 재생할 수 없으므로,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6) 파일의 암호화
또한 태그 정보의 파일을 암호화함으로써 보안의 강도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이 때, 암호 입력 기능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암호를 사용하여 암호화할 수 있다.
또한 복호화하는 경우에는, 다시 한번 암호를 입력하도록 하고, 입력된 암호들이 일치한 경우에만 화상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파일(200)과 태그 파일(300)을 따로따로 보관하기 때문에, 태그 정보만을 암호화할 수 있다. 태그 정보는 화상 파일(200)에 비해서 정보량이 적으므로, 암호화 처리나 복원 처리를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예의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서 설명했다.
(7) 보안 레벨
본 실시예에 관한 응용예로서, 다양한 보안 레벨의 설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보안 레벨은, 재생용과 기록용으로 따로따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록 시에는 높은 보안 레벨로 설정해 놓고, 재생을 낮은 보안 레벨로 설정하면, 재생 시에는 낮은 보안 레벨의 화상만 재생할 수 있으므로, 높은 보안 레벨의 화상을 열람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재생할 수 없는 화상에 대해서는 '파일 에러'를 표시하거나, 어떠한 것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암호화되어 있는 파일을 재생할 때에는, 입력된 암호와 일치하는 화상만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모든 화상을 표시하는 상태에 있더라도, 암호화되어 있는 파일은 암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표시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다른 카메라로 암호화한 것이 다른 사람에게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키를 누르면서 파일 보내기를 함으로써, 보안 레벨이 낮은 화상만 재생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기능에 의하면, 사용자만이 용이하게 화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들을 수행함으로써 미디어에 보관되어 있는 화상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다른 사람에게 공개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8) 보안 데이터
상술한 바와 같이, 파일 분할을 행했을 때, 태그 파일과 화상 파일에 보안 데이터(210, 310)의 부가를 행한다(도 2). 보안 데이터(210, 310)는 다음과 같은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일 내에 화상이 복수 개 있는 경우 등에는 원화상의 위치 정보 등이 복수 개 존재한다. 또한 암호의 정보도 사용자가 알 수 없도록 암호화하여 기재해 둔다.
○ 보안 태그
○ 촬영 기기 고유 ID
○ 화상 ID
○ 보안 레벨
○ 보안 버전(version)
○ 분할된 데이터 종류
○ 원화상의 위치
촬영 기기 고유 ID 는 촬영 기기마다 할당된 ID 이며, 동일한 ID 를 가진 촬영 기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화상 ID 는 각 카메라에서 배당된 번호이며, 보안 기능을 추가할 때마다 번호가 증가한다. 동일한 촬영 기기 내에서는, 동일한 화상 ID 가 배당되지는 않는다. 촬영 기기 고유 ID 와 화상 ID 가 모두 동일한 ID 를 갖는 화상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들 두 개의 ID 에 의해 화상 파일(200)과 태그 파일(300)을 연관시킬 수 있다.
(9) 보안 레벨(도 4)
도 4는 각 보안 레벨의 처리 동작과 기능을 표로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설정할 수 있는 보안 레벨을 나타낸다. 도 5는 파일 에러를 표시하는 재생 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설정할 수 있는 보안 레벨을 레벨 1~4로 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레벨 1은, 파일의 분할만을 행한다. 태그 데이터와 파일 데이터의 두 개의 파일이 동일한 폴더에 존재하므로, 보안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 카메라라면 재생을 할 수 있다. 또한 촬영한 카메라 이외에도 보안 기능을 복원할 수 있다. 보안 기능을 탑재하지 않은 카메라나 컴퓨터로 재생하고자 한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 이 파일 에러 표시를 한다.
레벨 2는, 파일의 분할과, 태그 파일에 대한 암호화를 수행한다. 암호화를 수행할 때에는, 미리 설정해 놓은 암호에 의해 암호화한다. 암호를 해제할 때에는 암호를 입력함으로써 재생할 수 있다. 태그 데이터와 파일 데이터의 두 개의 파일이 같은 폴더에 존재하므로, 보안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 카메라이면 암호를 입력함으로써 암호를 해제할 수 있다.
레벨 3은, 파일 분할을 행하고, 화상 파일(200)과 태그 파일(300)을 각각의 폴더에 보관한다. 레벨 3은, 본 실시예와 같이 외부 메모리(40)(메모리 카드 등) 이외에, 내부 메모리(50)(내장 플래시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 등)를 갖는 촬영 기기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화상 파일(200)과 태그 파일(300)을 각각의 메모리에 따로 보관함으로써, 외부 메모리(40) 만으로 재생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태그 파일(300)을 내부 메모리(50)에 기록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화상 파일(200)의 기록 장소가 외부 메모리(40)인 경우에는, 화상 파일(200)을 외부 메모리(40)에 기록하고, 태그 파일(300)은 내부 메모리(50)의 태그 파일용 폴더에 기록한다. 화상 파일(200)의 기록 장소가 내부 메모리(50)인 경우에는, 화상 파일(200)을 기록하는 폴더 이외에 태그 파일(300)을 기록하는 폴더를 작성하고, 그 폴더에 태그 파일(300)을 기록한다. 태그 파일(300)용 폴더는, 카메라(10)가 USB 등에 의해 접속된 경우라도, 사용자에게 공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벨 4는, 레벨 2와 레벨 3을 조합한 기능을 갖는다. 레벨 4도 레벨 3과 마찬가지로 외부 메모리(40)와 내부 메모리(50)의 복수의 기록 장소를 갖는 경우에만 선택할 수 있다. 레벨 4의 경우, 촬영한 기종과 입력한 암호가 일치한 경우에만 재생할 수 있다.
(10) 보안의 설정 방법(촬영 시)(도 6)
도 6은 촬영 시의 보안의 설정 흐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사용자는, 촬영 전에 보안 레벨(이하, 단지 레벨이라고도 함)을 선택하고(단계 S102), 이 상태에서 촬영 동작을 행함으로써(단계 S104), 촬영된 화상에 선택된 레벨에 대응하는 보안 기능을 설정한다. 선택된 보안 레벨의 아이콘 등을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안 레벨을 명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보안 레벨의 설정 방법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행할 수 있다.
(a) 메뉴로 선택하는 경우
초기 설정 시(셋업 시)나 촬영용 메뉴 항목에 보안 레벨 항목을 추가하여, 사용자가 레벨을 선택하도록 한다. 그 후에 촬영 처리를 행함으로써 화상에 대해서 보안 설정을 한다.
(b) 키로 선택하는 경우(1)
촬영 기기에 보안용 지시 조작 키(direction key)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키가 눌리면 레벨을 선택하는 메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레벨을 선택하도록 한다.
(c) 키로 선택하는 경우(2)
촬영 기기에 보안용 지시 조작 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키를 누를 때마다 무효(Off)→레벨 1→레벨 2→레벨 3→레벨 4→무효(Off)의 순서로 레벨을 변화시켜 선택하도록 한다.
(d) 키로 선택하는 경우(3)
셋업 메뉴 등에서,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레벨을 선택하도록 한다. 촬영 전에 보안용 지시 조작 키를 누르면서 촬영함으로써, 선택된 레벨에 대응하는 촬영 처리를 행한다.
4 가지를 예로 들었으나, 최종적으로 촬영하기 전에 보안 기능을 추가하기 전에 레벨의 선택 방법을 선택할 수 있고, 방법에 대해서는 특정하지 않는다. 또한 보안 기능을 유효(On)로 한 경우, 재생 시에는 도 5와 같은 화면이 된다. 즉 파일 에러가 표시되고, 화면에는 보안 기능이 유효(On)임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된다.
촬영된 화상에는 B2Y 나 JPEG 등의 소정의 압축 처리가 행해진다(단계 S106). 보안 기능이 유효인지를 판단하고(단계 S108), 무효(Off)이면 일반적인 기록을 행한다(단계 S110). 유효(On)이면 보안 데이터를 작성하고(단계 S112), 화상 파일(200) 및 태그 파일(300)을 작성한다(단계 S114).
또한 보안 레벨에 따라서 암호 처리를 행한다(단계 S116). 보안 레벨이 2 또는 4인 경우에는, 태그 파일의 암호화를 행한다(단계 S118). 이 태그 파일의 암호화 처리는, 셋업 시 등에 설정하는 암호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재생 시에는 이 암호를 입력함으로써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보안 레벨에 따라서 기록 장소의 폴더가 결정된다(단계 S120). 보안 레벨이 3 또는 4인 경우에는, 화상 파일(200)과 태그 파일(300)을 각각의 폴더에 기록한다(단계 S122). 보안 레벨이 3 또는 4가 아닌 경우에는, 화상 파일(200)과 태그 파일(300)을 동일한 폴더에 기록한다(단계 S124).
(11) 보안의 설정 방법(재생 시)(도 7)
도 7은 재생 시의 보안의 설정 흐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보안 기능의 설정은 재생 시에도 가능하다.
먼저 보안 기능을 설정하는 파일을 선택하고(단계 S202), 메뉴로부터 보안 기능 설정을 선택한다. 보안 기능 설정은 파일에 대하여 따로따로 설정하거나, 복수 개의 파일에 대하여 함께 설정할 수도 있다. 복수 개를 함께 설정하는 경우에는, 설정할 때 선택한 레벨로 통일되어 보안 기능이 설정된다. 또한 설정 방법은 촬영 시와 마찬가지로, 메뉴 또는 지시 조작 키로 행할 수 있다.
보안 기능 설정 방법은 상술한 도 6의 단계 S112~S124 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단계 S206~S218). 보안 기능 설정은 모든 파일에 관한 설정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하여 행해진다(단계 S220).
(12) 개별 재생 시의 처리(도 8, 도 9)
도 8은 재생 시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9는 화상을 재생하는 재생 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보안 화상의 재생에는, 개별 재생과 일괄 재생이 있다. 먼저, 개별 재생에 대해서 설명한다. 개별 재생인 경우에는, 보안 기능이 유효(On)인 화상(보안 파일) 에 대해서 재생 선택을 행함으로써 재생할 수 있다. 개별 재생 시의 처리 흐름이 도 8에 도시되었다.
먼저, 파일 보내기 또는 되돌리기 조작으로 재생하는 파일을 선택한다(단계 S304). 재생 대상의 파일이 보안 파일인지를 판단하고(단계 S304), 보안 파일이 아닌 경우에는 일반적인 촬영을 한다(단계 S306). 보안 파일이면, 보안 화상 재생을 선택함으로써 이하와 같이 재생할 수 있다.
대상 파일의 보안 레벨을 판단하고(단계 S312), 보안 레벨이 1 또는 2가 아닌 경우에는 태그 파일을 검색한다(단계 S314). 이어서, 태그 파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316), 태그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일 에러를 표시한다(단계 S318). 태그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태그 파일을 읽어 들인다(단계 S320).
또한 대상 파일의 보안 레벨을 판단하고(단계 S322), 보안 레벨이 2 또는 4 인 경우에는 암호의 입력을 요구한다(단계 S324). 암호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326), 암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일 에러를 표시한다(단계 S318). 암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태그 파일의 암호를 해제하고(단계 S328) 화상을 재생한다(단계 S330). 한편, 단계 S322에서 보안 레벨이 2 또는 4 가 아닌 경우에는, 대상 파일이 암호화 되어 있지 않으므로 암호의 입력을 요구하지 않고 바로 화상을 재생한다(단계 S330).
재생된 화상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안 기능이 유효(On)로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된다.
(13) 일괄 재생 시의 처리(도 10)
다음으로, 일괄 재생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일괄 재생의 경우에는, 모든 화상에 대해서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일괄 재생의 경우, 암호를 먼저 입력하지만, 재생 시에 암호 에러가 발생하면 그 화상은 재생 불가(파일 에러 표시)가 된다. 일괄 재생이 수행되는 기간은 재생을 하고 있는 동안에만 지속되고, 촬영 상태로 바꾸거나, 전원을 끄거나 하면, 다시 재생 불가 상태가 된다. 도 10은 일괄 재생 시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먼저, 보안 화상 일괄 재생을 선택한다(단계 S402). 일괄 재생의 경우, 암호를 먼저 입력하고(단계 S404), 그 후 파일 보내기 또는 되돌리기 조작에 의해 재생할 파일을 선택한다(단계 S406). 재생 대상의 파일이 보안 파일인지를 판단하고(단계 S408), 보안 파일이 아닌 경우에는 일반적인 재생을 한다(단계 S410). 재생 대상의 파일이 보안 파일인 경우에는, 이하와 같이 재생할 수 있다.
대상 파일의 보안 레벨을 판단하고(단계 S412), 보안 레벨이 1 또는 2 가 아닌 경우에는 태그 파일을 검색한다(단계 S414). 이어서, 태그 파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416), 태그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일 에러를 표시한다(단계 S418). 태그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태그 파일을 읽어 들인다(단계 S420).
또한 대상 파일의 보안 레벨을 판단하고(단계 S422), 보안 레벨이 2 또는 4인 경우에는 암호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424). 개별 재생 시와 달리, 암호는 단계 S404 에서 미리 입력되어 있다. 암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일 에러를 표시한다(단계 S418). 암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태그 파일의 암호를 해제하고(단계 S426) 화상을 재생한다(단계 S428). 한편, 단계 S422에서 보안 레벨이 2 또는 4 가 아닌 경우에는, 대상 파일이 암호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암호의 일치를 판단하지 않고 즉각 화상을 재생한다(단계 S428).
(14) 개별 해제 시의 처리(도 11)
보안 기능 해제는, 한 번 재생을 허가한 것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해제하는 방법과, 일괄적으로 해제하는 방법이 있다. 먼저, 개별 해제에 대해서 설명한다. 개별 해제는, 보안 기능이 유효(On)로 되어 있는 화상을 재생하고, 그 화상에 대해서 보안 기능 해제를 선택하면 분할된 파일이 본래의 하나의 파일로 되돌아가도록 하는 처리이다. 도 11은 해제 시의 흐름(개별 해제)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먼저, 보안 기능을 해제하는 화상을 재생한다(단계 S502). 보안 파일이 재생 가능한지를 판단하고(단계 S504), 재생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일 에러를 표시한다(단계 S506). 재생 가능한 경우에는, 메뉴에 보안 기능 해제를 선택할 수 있으며(단계 S508), 이하와 같이 보안 기능을 해제한다.
대상 파일의 보안 레벨을 판단하고(단계 S510), 보안 레벨이 2 또는 4인 경우에는 암호의 입력을 요구한다(단계 S512). 암호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514), 암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보안 기능 해제를 실행할 수 없다는 경고를 표시한다(단계 S516).
대상 파일의 보안 레벨이 2 또는 4가 아닌 경우, 또는 보안 레벨이 2 또는 4이지만 암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화상 파일(200)과 태그 파일(300)을 결합하고 (단계 S518), 본래의 촬상 데이터(100)로 저장한다(단계 S520). 그 후 불필요해진 화상 파일(200)과 태그 파일(300)을 삭제한다(단계 S522).
(15) 일괄 해제 시의 처리(도 12)
다음으로 일괄 해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괄 해제는, 미디어 내의 보안 기능이 걸려 있는 화상에 대해서 한꺼번에 해제를 한다. 다만 레벨 2 또는 4의 파일의 경우에는, 해제 실행 시에 입력한 암호와 일치하지 않으면 해제를 행하지 않는다. 도 12는 해제 시의 흐름(일괄 해제)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일괄 해제가 선택되면(단계 S602), 암호의 입력을 요구한다(단계 S604). 일괄 해제를 실행 중이라고 화면에 표시된다(단계 S606).
메모리 내의 화상 파일을 순차적으로 검색하고(단계 S608), 화상 파일이 보안 파일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610). 보안 파일이 검색되면, 그 대상 파일이 보안 레벨 1 또는 2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612). 보안 레벨이 1 또는 2가 아닌 경우에는, 태그 파일을 검색한다(단계 S614). 이어서, 태그 파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616), 태그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시 메모리 내의 화상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 S608로 되돌아간다.
태그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대상 파일의 보안 레벨이 2 또는 4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618). 보안 레벨이 2 또는 4인 경우에는, 암호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620), 암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시 메모리 내의 화상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 S608로 되돌아간다.
대상 파일의 보안 레벨이 2 또는 4가 아닌 경우, 또는 보안 레벨이 2 또는 4 이지만 암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화상 파일(200)과 태그 파일(300)을 결합하고(단계 S622), 본래의 촬상 데이터(100)로 저장한다(단계 S624). 그 후 불필요해진 화상 파일(200)과 태그 파일(300)을 삭제한다(단계 S626).
전체 화상 파일에 대해서 처리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628),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메모리 내의 화상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 S608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하여, 전체 화상 파일에 대해서 일련의 처리를 행한다.
이상, 본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10)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와 같은 카메라(10)는 컴퓨터에 상술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써, 컴퓨터가 본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10)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면, CD-ROM)에 기록된 형태로, 또는 전자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될 수 있는 형태로 시장에 유통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0)의 기능을 갖지 않는 카메라에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설치하는 형태로 기능을 추가하여, 그 카메라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0)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촬상 장치에 이용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 표시 기능을 갖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에서의 보안 기능을 개선하고, 사적인 화상을 표시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 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촬상장치는,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고 싶지 않은 사적(私的)인 화상이 촬상 장치로부터 분리된 후에도 그 화상이 표시되는 것을 금지할 수 있다.

Claims (9)

  1.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촬상 장치로서,
    피사체를 촬상하여 촬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 데이터를 분할하는 처리를 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분할 처리 설정부와,
    상기 분할 처리 설정부의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데이터를, 상기 촬상 데이터를 화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태그 정보 중 적어도 일부와 제1 보안 데이터를 포함하는 태그 파일과, 화상 정보와 상기 제1 보안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보안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상 파일로 분할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태그 파일이 기록되는 제1 데이터 기록부와,
    상기 화상 파일이 기록되는 제2 데이터 기록부와,
    상기 촬상 데이터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태그 파일에 대해서 암호화를 수행하는 촬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장치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의한 상기 태그 파일의 암호화를 수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암호 처리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처리 설정부에 대한 설정은, 상기 촬상부가 상기 촬상 데이터를 취득하기 전에 수행하는 촬상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처리 설정부에 대한 설정은, 상기 표시부가 상기 촬상 데이터를 화상으로 표시할 때에 수행하는 촬상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기록부 및 제2 데이터 기록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촬상 장치에 내장된 내부 메모리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착탈 가능한 외부 메모리인 촬상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처리 설정부에 대한 설정은, 상기 촬상부가 상기 촬상 데이터를 취득하기 전에 수행하는 촬상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처리 설정부에 대한 설정은, 상기 표시부가 상기 촬상 데이터를 화상으로 표시할 때에 수행하는 촬상 장치.
KR1020060071567A 2006-03-30 2006-07-28 촬상 장치 KR100819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95889 2006-03-30
JP2006095889A JP4700542B2 (ja) 2006-03-30 2006-03-30 撮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406A KR20070098406A (ko) 2007-10-05
KR100819806B1 true KR100819806B1 (ko) 2008-04-07

Family

ID=38676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567A KR100819806B1 (ko) 2006-03-30 2006-07-28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700542B2 (ko)
KR (1) KR1008198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262B1 (ko) * 2009-10-26 2016-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기능을 구비한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0363A (ko) * 1999-12-28 2001-07-25 이데이 노부유끼 디지털 촬상 장치
KR20030057480A (ko) * 2001-12-28 2003-07-0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생성장치 및 검증데이터 생성방법
KR20040083177A (ko) * 2003-03-21 2004-10-0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탈 카메라의 이미지 정보 숨김 방법 및, 이미지 정보숨김이 가능한 디지탈 카메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6459A (ja) * 1999-12-27 2001-07-06 Canon Inc 撮像装置、情報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3271437A (ja) * 2002-03-15 2003-09-26 Konica Corp データ構造、画像取り扱い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画像分類方法
JP2004054201A (ja) * 2002-05-28 2004-02-19 Fuji Photo Film Co Ltd 撮影装置の制御装置、撮影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599920B2 (ja) * 2003-09-02 2010-12-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生成装置、および画像生成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0363A (ko) * 1999-12-28 2001-07-25 이데이 노부유끼 디지털 촬상 장치
KR20030057480A (ko) * 2001-12-28 2003-07-0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생성장치 및 검증데이터 생성방법
KR20040083177A (ko) * 2003-03-21 2004-10-0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탈 카메라의 이미지 정보 숨김 방법 및, 이미지 정보숨김이 가능한 디지탈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00542B2 (ja) 2011-06-15
KR20070098406A (ko) 2007-10-05
JP2007274219A (ja) 200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9561B2 (ja) 画像ファイル作成装置
US7139407B2 (en) Image generation apparatus, image file generation method, image verification apparatus and image verification method
US7764290B2 (en) Archival imaging system
JP4457316B2 (ja) 画像再生装置及び方法
US20150035999A1 (en) Method for sharing digital photos securely
US8306393B2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information copying system, method for copying information,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000035423A (ko) 기록 장치
KR101595262B1 (ko) 보안 기능을 구비한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819806B1 (ko) 촬상 장치
JP2000013720A (ja) ディジタルカメラ
JPH10248046A (ja) 電子撮像装置、電子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記憶媒体
JP5990055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253396B2 (ja) 電子カメラ装置
US11889204B2 (en) Imaging device,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4065184B2 (ja)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804270B2 (ja) 画像再生装置
KR20040083177A (ko) 디지탈 카메라의 이미지 정보 숨김 방법 및, 이미지 정보숨김이 가능한 디지탈 카메라
JP2011223109A (ja) 撮像装置および画像ファイル生成方法
US7017184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for
JP2010166264A (ja) 画像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03333519A (ja) 撮像装置及び画像データ受渡方法
JP2011108108A (ja) デジタルビデオシステム
JP2008219425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13141064A (ja) 撮像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9200577A (ja) 画像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