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773B1 - 단말기를 이용한 생활편의서비스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를 이용한 생활편의서비스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9773B1
KR100819773B1 KR20070076213A KR20070076213A KR100819773B1 KR 100819773 B1 KR100819773 B1 KR 100819773B1 KR 20070076213 A KR20070076213 A KR 20070076213A KR 20070076213 A KR20070076213 A KR 20070076213A KR 100819773 B1 KR100819773 B1 KR 100819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aster
service
serv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76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국
Original Assignee
(주) 후하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후하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 후하시스템즈
Priority to KR20070076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97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77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를 이용한 생활편의서비스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비스의뢰자에 관한 정보, 서비스정보 및 서비스처리결과에 관한 서비스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 데이터베이스서버의 정보를 검색하고,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의뢰자 및 서비스제공자와 정보를 교환하고, 서비스이력 정보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처리부, 이동통신망, 데이터베이스 서버, 서비스처리부 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G/W 서버 및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AP(Application)서버를 포함하며, 화상채팅 또는 영상을 통해 서비스 의뢰가 있는 경우, 서비스처리부는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검색하여 그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영상, 재난, 단말기

Description

단말기를 이용한 생활편의서비스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Convenience service processing system using a termina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문자, 음성, 또는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주고받을 수 있는 단말기를 이용한 생활편의서비스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 및 이동 전화망을 이용한 화상전화 또는 채팅 등을 응용함으로써 의사표현을 지원하거나 대응조치를 처리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이용한 생활편의서비스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건이나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고객들은 물건이나 서비스의 종류, 수량 등을 지정하여 주문하게 된다. 이러한 주문은 전화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업체에 구체적인 주문 내역을 전달하며, 서비스제공자는 주문내역을 다시 확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주문, 확인 절차를 통하여 물건이나 서비스가 제공된다.
그런데, 이러한 주문 자체가 특정인들에게는 어려울 수 가 있다. 예를 들면, 청각 장애인들은 수화 또는 문자 등을 이용하여 개인의 의사표현을 하는데, 옆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의사전달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문자 등을 이용하는 경우, 단문 메시지를 이용함으로써 대화를 할 수 있으나 단방향으로만 처리되어 실제 대화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화재·수해와 같은 재난이 발생한 경우에는 정확한 현장파악과 이에 따른 적절한 대응조치가 중요하다. 따라서 재난 일시·장소 등 재난관련 정보의 신속한 전달, 유관기관 정보의 체계적인 관리· 활용이 중요시된다. 그런데 재난 현장 또는 유관기관과 중앙통제본부 간의 원활한 정보 교환의 한계 등으로 신속한 의사 결정이나 추가적인 대응조치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터넷 및 이동전화망을 이용할 수 있는 화상전화 또는 채팅을 응용하여 원활한 의사전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이용한 생활편의서비스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인터넷 및 이동전화망을 이용하여 재난현장과 상황실 간에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여 신속한 의사결정, 지휘 및 통제를 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이용한 생활편의서비스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표적인 수단으로는 서비스의뢰자에 관한 정보, 서비스정보 및 서비스처리결과에 관한 서비스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의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의뢰자 및 서비스제공자와 정보를 교환하고, 서비스이력 정보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처리부; 상기 이동통신망,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기 서비스처리부 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G/W 서버; 및 상기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AP(Application)서버;를 포함하며, 화상채팅 또는 영상을 통해 서비스 의뢰가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처리부는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검색하여 그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생활편의서비스처리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 및 이동전화망을 이용할 수 있는 화상전화 또는 채팅을 응용하여 원활한 의사전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가 부착된 PC나 휴대폰으로 수화를 하거나 문자채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의사표현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비장애인과 청각 장애인 상이에 콜센터를 운영함으로써 각각의 의사를 중간에서 변환하여 전달하는 체계를 구축하여 청각 장애인들도 일상생활을 아무런 불편 없이 할 수 있다. 청각장애인들의 서비스 요청사항을 전달하고, 그 처리결과를 통보하여 줌으로써 원활할 의사소통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 및 이동전화망을 이용하여 재난현장과 상황실 간에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여 신속한 의사결정, 지휘 및 통제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재난현장의 생생한 정보를 바탕으로 적절한 대응조치를 마련할 수 있으며, 유관기관과의 협력 체제를 공고히 할 수 있다. 또한 현장에서는 재난상황통제본부의 지시나 명령을 신속하게 접수하여 현장에서 필요한 대응조치를 체계적으로 취할 수 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영상, 문자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이용한 생활편의서비스처리시스템은, 서비스의뢰자에 관한 정보, 서비스정보 및 서비스처리결과에 관한 서비스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 상기 데이터베 이스서버의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의뢰자 및 서비스제공자와 정보를 교환하고, 서비스이력 정보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처리부; 상기 이동통신망,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기 서비스처리부 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G/W(Gate Way) 서버; 및 상기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AP(Application)서버;를 포함하며, 화상채팅 또는 영상을 통해 서비스 의뢰가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처리부는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검색하여 그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부 전화회선을 공유하고, 상기 서비스처리부 간에 회선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교환기; 및 데이터 및 전화 회선을 통합하는 CTI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화 회선을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제공자와의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처리부는 상기 서비스의뢰자와는 화상 또는 문자를 통해 정보를 교환하며, 상기 서비스제공자와는 음성 또는 문자를 통해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서비스처리부는 상기 영상을 상기 서비스의뢰자에 대응하여 소정의 방법으로 표시하며, 어느 하나의 서비스의뢰자와 정보를 처리하는 동안 나머지 서비스의뢰자의 영상은 대기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의뢰자에 관한 정보는 ID(Identification), 성명, 주소, 전화번호, 지역, 주로 이용하는 서비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공 가능한 서비스정보 는 ID, SEQ(Sequence), 지역, 전화번호, 제공서비스, 서비스상세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처리결과에 관한 서비스이력 정보는 ID, SEQ, 의뢰일시, 처리일시, 처리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를 이용한 생활편의서비스처리방법은, 영상 또는 문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의뢰하는 단계; 상기 의뢰내용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소정의 데이터서버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서비스 결과를 통보하고 그 서비스 처리이력 정보를 상기 D/B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서버는 상기 서비스를 의뢰자의 정보,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정보, 상기 서비스 처리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재난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이용한 재난상황처리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망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G/W 서버; 상기 수신된 재난정보를 레코딩하는 레코딩부; 상기 수신된 재난정보, 상기 레코딩된 재난정보, 대응조치정보 및 유관기관관련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 및 상기 재난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재난정보 및 상기 대응조치정보를 상기 유관기관에 전송, 제어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재난상황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난정보는 재난상태, 재난발생일시, 재난장소, 신고자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유관기관정보는 관련 기관의 기본 정보, 소방력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대응조치정보는 출동대 편성정보, 출동대 상태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재난상황처리부는 상기 재난상태정보에 대응하여 대응조치정보를 상기 유관기관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난정보 및 출동지령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AP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재난상황처리부 및 단말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를 이용한 재난상황처리방법은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난현장의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재난현장 정보를 참조하여 대응조치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대응조치 정보를 재난현장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재난정보 및 대응조치 이력을 상기 D/B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난현장의 정보를 레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난현장 정보는 상기 레코딩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난정보는 재난현장을 녹화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대응조치는 상기 재난현장의 정도에 대응하여 자체조치, 유관기관응원, 유관기관이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처리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활편의서비스처리시스템은 단말기(110), 이동통신망(120), 인터 넷(130), 서비스센터(140)를 포함한다. 단말기는 문자, 음성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정보송수신장치를 포함한다. 단말기(110)의 예로는 카메라가 부착된 PC나 휴대폰 등이 있다. 이동통신망(120) 및 인터넷(130)을 통해 단말기 상호 간에 무선 또는 유선을 매체로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하다. 서비스센터(140)에서는 단말기를 통해 발신자와 수신자 간의 다자간 통화, 1:1통화 또는 상화통제에 대한 서비스를 지원하고 제어한다. 서비스처리부나 재난상황처리부가 서비스센터에 해당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2를 참조하여 다자간 통화의 일 예로서 3자간 통화를 설명한다. 발신자는 단말기를 통하여 로그인한다. 발신자가 통신망을 통하여 콜센터에 접속되면, 콜센터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신자를 호출한다. 콜센터와 수신자 간에 연결이 되면, 콜센터, 발신자 및 수신자 3자간에 화상채팅 또는 문자채팅 서비스가 제공된다. 발신자가 로그 아웃하는 경우, 화상채팅 또는 문자채팅은 종료되며, 수신자와 연결이 중단된다.
본 2를 참조하여 1:1 통화를 설명한다. 발신자는 단말기를 통하여 로그인한다. 발신자가 통신망을 통하여 콜센터에 접속되면, 발신자와 수신자 간에 1:1 화상 또는 문자채팅 서비스가 제공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황통제의 일 예를 설명한다. 발신자는 단말기를 통하여 로그인한다. 발신자의 단말기와 콜센터 간에 통신망을 통하여 1:1 화상 또는 문자 데이터를 교환한다. 교환되는 데이터는 재난관련 정보가 좋은 예이다. 콜센터는 재난정보와 관련된 수신자를 검색하여 연결한다. 콜센터와 연결된 수신자의 단말기 간에 통신만을 통하여 1:1 화상 또는 문자 데이터를 교환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편의서비스처리시스템의 구성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생활편의서비스처리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생활편의서비스처리시스템은 단말기(310), 이동통신망(320), G/W서버(330), D/B서버(데이터베이스서버)(340), AP서버(350), 서비스처리부(360), CTI서버(370), 교환기(380), PSTN(390), 전화기(395)를 포함한다.
단말기(310)는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화상채팅이 가능한 휴대폰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화상채팅을 이용함으로써 청각장애인이 효과적으로 의사를 전달할 수 있다. 이동통신망(320)은 이동통신사업자들에 의하여 구축된 이동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W서버(330)는 이동통신망과 서비스센터 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D/B서버(340)는 기본정보 및 사용 중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서비스의뢰자에 관한 정보, 서비스정보 및 서비스처리결과에 관한 서비스 이력정보 등이 포함된다.
서비스의뢰자에 관한 정보는 의뢰자의 ID, 이름, 전화번호, 주소, 지역, 주로 이용하는 서비스 등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비스정보는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자의 ID, SEQ, 지역, 제공서비스, 전화번호, 서비스 상세정보 등이다.
서비스 이력정보는 서비스 의뢰/처리 이력정보와 제공서비스 이력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비스 의뢰/처리 이력정보는 ID, 이용 서비스, 의뢰일시, 확인유무, 처리일시, 처리유무 등이다. 제공서비스 이력정보는 ID, SEQ, 의뢰일시, 처리일시, 처리유무 등이다.
AP서버(350)는 서비스처리부 및 장비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버이다. 서비스처리부(360)와 각종 서버 등은 AP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통해 원활하게 상호작용한다. 인터페이스 AP서버는 프로그램의 업데이트도 담당한다.
서비스처리부(360)는 D/B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서비스의뢰자 또는 서비스제공자와 화상채팅이나 문자채팅의 수행, 전화통화 업무 등을 수행한다. 이러한 업무를 통하여 고객과 인터페이스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처리부(360)는 하나 이상으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CTI서버(370)는 컴퓨터와 전화를 통합한 시스템으로 PC를 통해 전화를 효율적인 사용을 제공한다. CTI(Computer and Telephony Integration;컴퓨터 전화 통합)는 개인용 컴퓨터(PC)나 워크스테이션, 또는 컴퓨터 통신망에서 전화의 기능을 이용하는 방법의 총칭이다. CTI의 주목적은 전화 서비스망과 구내 정보 통신망(LAN) 등의 데이터 통신망을 통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PC에 전화 기능 보드를 탑재하여 PC를 전화로 이용하거나, LAN 서버와 사설 구내 교환기(PBX)를 연동시켜 PC로부터 서버를 경유, 회선을 제어하고, 전화번호로부터 검색한 고객 데이터베이스로 텔레마케팅과 콜센터도 가능하다. PC에서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로 표시된 화면의 전화기나 이메일 등의 응용 프로그램으로부터 전화를 발 신하고, 자동 응답과 저장하는 기능도 가능하다.
교환기(380)는 외부전화회선을 내부사용자가 공유하고, 내선에 연결되어 있는 내부 사용자들 간에 전화를 자동으로 연결해 주기 위한 전환교환 시스템이다.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일반전화교환망)(390)은 전화에 의한 사람의 음성정보를 소통시킬 목적으로 설치된 통신망이다. 이러한 교환기 및 PSTN을 이용함으로써 서비스처리부에서는 서비스제공자와 원활한 의사소통을 진행할 수 있다. 서비스제공자와는 단말기를 통해 문자, 음성, 영상 데이터를 교환하여 의사소통을 하며, 도 3에서는 단말기의 일 예로 전화기(395)를 표시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편의서비스처리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생활편의서비스처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청각장애인은 단말기를 통해 영상 또는 문자 데이터를 전송하여 서비스를 의뢰한다. 서비스처리부는 영상 및 SMS 데이터를 처리(S410)하여 서비스의뢰자의 기본정보 및 서비스정보 내용을 확인한다(S420).
서비스처리부는 서비스 의뢰내용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D/B서버에서 검색한다(S430). 또한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 의뢰내용 및 부가정보를 확인한다(S440).
서비스처리부는 검색된 서비스 제공을 서비스제공자에게 요청한다(S450). 이 경우 의뢰내용대로 전화통화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문자나 다른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서비스제공자는 서비스진행 및 그 처리결과를 서비스처리부에 통보한다. 서비스제공 진행 정도 및 그 결과는 이러한 서비스제공자 및 제공 서비스는 D/B에 등록되어 향후 데이터검색 자료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비스처리부는 처리된 서비스 결과를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의뢰자에게 통보하고 그 서비스 처리이력 정보를 D/B서버에 저장한다(S460). 예를 들면, 청각장애인이 요청한 서비스 처리 결과를 검색하거나 확인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전달할 수 있다. 서비스처리결과를 영상이나 문자정보를 이용하여 전달함으로써, 청각장애인이 원활하게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상황처리시스템 구성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난상황처리시스템은 단말기(510), 이동통신망(520), 레코딩부(525), G/W서버(530), D/B서버(540), AP서버(550), 재난상황처리부(560), 통신부(580), 지령접수부(595)를 포함한다.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단말기(510)를 통해 재난현장의 영상 데이터 등을 송수신함으로써 재난관련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단말기는 카메라, 마이크 및 헤드셋을 이용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코딩부(525)는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영상 데이터 등을 레코딩한다. 산불현장이나 교통사고의 현장 상황 등을 레코딩함으로써 현장상황정보에 언제든지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소방관의 고글이나 헬멧에 화상전화와 어댑터로 연결된 카메라를 부착하게 되면, 소방관의 현장 진입정도에 따라 현장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유관기관이나 재난통제본부에 전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화상대화를 통해 현장통제와 관리가 훨씬 효율적으로 이뤄지게 된다.
G/W서버(530)는 이동통신망과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며 수신된 재난정보 등을 레코딩한다. 또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al: 접속설정프로토콜)나 Multicast 전송처리를 담당한다.
D/B서버(540)는 재난정보, 레코딩된 재난정보, 대응조치정보 및 유관기관관련정보등을 저장, 관리한다. 또한 D/B 서버는 마스터데이터, 업무처리 관련 데이터, VOD관련 데이터 등을 관리한다. 재난정보는 재난발생일시, 재난장소, 신고자 등 재난관련 기본정보를 포함한다. 대응조치정보는 재난이력정보, 출동대편성정보 및 출동대 정보 등을 포함한다. 재난이력정보는 재난신고시로부터 재난종결시까지 발생되는 재난대응 관련된 정보이다. 출동대편성정보는 재난 지역별 관할 출동대(1차, 2차, 3차...)에 관한 정보이다. 출동대정보는 출동대의 기본정보 및 상태(대기, 출동, 순찰 등)에 관한 정보이다. 유관기관관련정보는 유관기관 및 유관기관이관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유관기관정보는 관련 기관의 기본정보 및 소방력에 관한 정보이다. 유관기관이관정보는 유관기관 신고이관 및 동시출동 등에 관한 정보이다.
AP서버(550)는 재난정보, 상황관제 및 출동지령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G/W서버와 단말기 간의 송수신 업무를 처리하며, 레코딩이나 VOD업무를 지원한다.
재난상황처리부는 재난정보를 등록하고, 재난정보 및 대응조치정보를 유관기관에 전송, 제어한다. 유관기관은 지령접수부(595)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유관기관이 하나 이상인 경우, 유관기관은 각각의 지령접수부를 이용하게 된다. 재난상황처리부와 유관기관 간의 정보 송수신은 통신부(580)를 이용하 여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난상황처리부(560)는 출동대편성, 출동지령 및 재난현장과의 영상 및 음성통신을 담당한다. 또한 관련업무 프로세스를 클라이언트에 응용하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 등록, 수정 및 저장하며, VOD데이터를 검색 및 재생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상황처리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재난상황처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난현장의 정보를 전달한다. 단말기를 통해 재난정보처리부로 현장보고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난상황처리부는 재난정보를 D/B서버에 저장하고 그 재난진행 상황을 관리하며 재난이력을 저장한다(S610, S620).
재난현장의 정보를 참조하여 유관기관 검색하며, 대응조치를 마련한다. 대응조치는 유관기관관련정보 등을 참조하여 자체처리하거나(S630) 또는 유관기관응원을 요청하거나(S640) 또는 재난현장상황에 대응하여 유관기관으로 이관(S650)할 수 있다. 자체처리하는 경우, 출동대를 편성(S660)하여 출동지령을 발송한다(S662). 출동대는 출동지령을 접수하는 경우, 출동지령에 따라 재난 현장으로 출동하게 된다(S670). 유관기관응원을 요청하는 경우(S642), 유관기관에서는 출동(S670)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재난상황처리를 유관기관으로 이관하는 경우, 재난이력정보를 함께 제공한다(S650).
또한 재난상황처리부는 대응조치 정보를 재난현장에 제공하여 재난 상황을 신속하게 전파하며(S680), 재난정보 및 대응조치 이력을 D/B서버에 저장한다. 이러 한 재난정보 및 대응조치 이력은 향후 재난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처리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편의서비스처리시스템의 구성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편의서비스처리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생활편의서비스처리시스템 구성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정보처리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재난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이용한 재난상황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G/W서버;
    재난상태, 재난발생일시, 재난장소, 신고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재난정보를 레코딩하는 레코딩부;
    상기 수신된 재난정보 및 상기 레코딩된 재난정보와, 출동대편성정보 및 출동대상태정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대응조치정보와, 관련기관의 기본정보 및 소방력정보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관기관 관련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 및
    상기 재난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재난정보 및 상기 재난정보에 대응한 상기 대응조치정보를 상기 유관기관 및 재난현장에 전송 및 제어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재난상황처리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재난상황처리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정보 및 출동지령 프로그램을제공하는 AP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재난상황처리부 및 단말기로 제공되는 단말기를 이용한 재난상황처리시스템.
  11. 재난정보 및 출동지령프로그램을 제공하는 AP서버와 상기 AP서버로부터 상기 출동지령프로그램을 제공받는 재난상황처리부와 단말기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재난상황처리방법에 있어서,
    영상 또는 음성데이터를 이용하여 재난현장의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재난현장 정보를 참조하여 대응조치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대응조치정보를 재난현장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재난정보 및 대응조치이력을 상기 D/B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재난상황처리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현장의 정보를 레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난현장 정보는 상기 레코딩된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재난상황처리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정보는 재난현장을 녹화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대응조치는 상기 재난현장의 정도에 대응하여 자체조치, 유관기관응원, 유관기관이관 중 어느 하나인 단말기를 이용한 재난상황처리방법.
KR20070076213A 2007-07-30 2007-07-30 단말기를 이용한 생활편의서비스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19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76213A KR100819773B1 (ko) 2007-07-30 2007-07-30 단말기를 이용한 생활편의서비스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76213A KR100819773B1 (ko) 2007-07-30 2007-07-30 단말기를 이용한 생활편의서비스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9773B1 true KR100819773B1 (ko) 2008-04-08

Family

ID=39533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76213A KR100819773B1 (ko) 2007-07-30 2007-07-30 단말기를 이용한 생활편의서비스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97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956A (ko) * 2000-06-30 2002-01-10 이계철 이동단말을 통한 긴급호출 서비스 방법
KR20020007937A (ko) * 2000-07-19 2002-01-29 원용관 알림 조건을 이용한 맞춤형 정보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956A (ko) * 2000-06-30 2002-01-10 이계철 이동단말을 통한 긴급호출 서비스 방법
KR20020007937A (ko) * 2000-07-19 2002-01-29 원용관 알림 조건을 이용한 맞춤형 정보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8877B2 (en) Emergency responder reply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9548883B2 (en) Support incident routing
CN100464539C (zh) 在不同通信系统之间提供通信的通信服务器和方法
US20050071178A1 (en) Data session notification means and method
US20110026687A1 (en) Emergency 911 services with just-in-time provisioning for voip customers
US200700255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an emergency at a call center
AU2011266741B2 (en) System and procedure for commercial communications
KR100819773B1 (ko) 단말기를 이용한 생활편의서비스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US7095825B2 (en) Multi-media transactions presentation based on user physical characteristics
JP2005267208A (ja) ホームヘルパー支援システム
US201000859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munication between parties
KR20090129783A (ko) Vrs 기반 영상 안내 메뉴를 이용한 상담원 통화 연결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RU2631255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телефонной связи по интернету
JP7489106B2 (ja) 電話リレーシステム、及びコミュニケーションプラットフォーム
JP7150243B2 (ja) 自動メッセージ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5387889B2 (ja) 通話中継装置、管理サーバ、通話システムおよび通話方法
KR100612439B1 (ko) 구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상태 정보 설정 및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0755262B1 (ko) 콜미 요청시 인터넷전화를 이용한 고객호출 제어시스템 및그 방법
US20190372918A1 (en) A system for getting service over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
JP2020136997A (ja) 処理装置、処理プログラム、処理方法及び処理システム
JP2022186526A (ja) サーバ装置
KR100807769B1 (ko) 인터넷전화의 자동 호분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1136560A (ja) 処理システム、処理方法、管理者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