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442B1 -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및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및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9442B1
KR100819442B1 KR1020067006238A KR20067006238A KR100819442B1 KR 100819442 B1 KR100819442 B1 KR 100819442B1 KR 1020067006238 A KR1020067006238 A KR 1020067006238A KR 20067006238 A KR20067006238 A KR 20067006238A KR 100819442 B1 KR100819442 B1 KR 100819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service
programs
network area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6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0048A (ko
Inventor
라리 베르몰라
하리 페코넨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060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0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6Arrangements for switching distribu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2Wireless systems of terrestri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2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programme guides [EP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07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multicast or broadcast services, e.g. MB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디지털 방송 네트워크에서, 이동단말기는 인접한 네트워크영역들에서 이용가능한 브로드캐스트 프로그램들에 관련한 계층적 ESG데이터를 수신한다. 단말기는 제1프로그램을 제1네트워크영역에서 송신기로부터 수신하는 동안 제2네트워크영역에의 핸드오버에 관한 필요를 검출하도록, 그리고 그 후 ESG데이터로부터 동일 프로그램이 제2네트워크영역에서 이용가능한지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동일 프로그램이 제2네트워크영역에서 이용가능하다면, 단말기는 그 프로그램을 제2네트워크영역에서 송신기로부터 수신한다. 그렇지 않다면, 제1프로그램에 유사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결정하고, 그것들을 사용자에 의한 선택을 위해 디스플레이 상에 제시한다. 이것은 어떤 프로그램들이 제1프로그램과 공통으로 식별자를 가지는지를 결정하는 것에 관계한다. 식별자는 예를 들면 프로그램식별자, 서비스식별자, 채널식별자, 카테고리식별자 및 장르식별자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네트워크영역들, 핸드오버, 이동단말기, 프로그램, 식별자, 송신기

Description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동단말기{A method and a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a handover in a broadcast system}
본 발명은 제1네트워크영역의 제1프로그램과 유사한 제2네트워크영역의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용가능한 브로드캐스트 프로그램들에 관련한 데이터를 제1 및 제2 네트워크영역들에서 이용하여 제1프로그램이 제2네트워크영역에서 이용가능한지를 결정하고 그렇지 않다면 제1프로그램에 유사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기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시스템들과 같은 점-대-다점(point-to-multipoint) 시스템들에서, 서비스들은 동시에 다수의 고객들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시스템들에서, 채널용량은 다른 수신기들 간이 아니라 다른 서비스들 간에 나누어진다. 서비스들이 점-대-다점 환경들에서 더욱 다중형태로 될수록, 목표로 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점점 더 필요하다. 목표지정은 예를 들면 사용자의 위치에, 사용자 단말기의 프로파일에 또는 그것들의 조합들에 기초할 수 있다. 그때 다른 서비스들은 다른 지리적 통신가능구역들(coverage areas)을 가질 수 있다.
멀티캐스트 시스템에서, 수신기는 서비스들이 수신기와 함께 움직이도록 요 구할 수 있고, 그래서 서비스들의 서비스영역은 수신기들이 주어진 서비스를 어떤 셀에서 소비하고 있는지에 따라 바뀐다.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는 특정 서비스를 특정 셀에서 광고하고 그러면 수신기는 소비를 시작한다. 수신기가 다른 셀로 움직일 때, 수신기는 서비스가 새로운 셀로 이동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그 후 멀티캐스트 오퍼레이터는 그 서비스를 그 새로운 셀에서 제공할지를 결정한다. 이 결정은 새로운 셀의 용량에 기초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가 서비스를 그 새로운 셀에서 제공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면, 서비스는 그 수신기의 관점에서 중단된다.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 오퍼레이터는 어떤 서비스들이 언제 어떤 네트워크영역에 송신될지를 결정하다. 수신기는 일반적으로 브로드캐스트들에 영항을 주지 않는다.
수신기가 새 셀로 이동할 때, 그 수신기는 이전에 수신하였던 것과 동일한 서비스를 수신하거나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의하면, 이동단말기를 조작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이용가능한 브로드캐스트 프로그램들에 관련한 데이터를 제1네트워크영역에서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이동단말기에 저장하는 단계; 제1네트워크영역에서 송신기로부터 제1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동안, 제2네트워크영역으로의 핸드오버에 관한 필요를 검출하는 단계; 이용가능한 브로드캐스트 프로그램들에 관련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프로그램이 제2네트워크영역에서 이용가능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이용가능하다면 제2네트워크영역에서 송신기로부터 제1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와, 그렇지 않다면 제1프로그램에 유사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결정하고, 후속하여 제2네트워크영역 송신기로부터 유사한 프로그램들 중의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동일한 프로그램 또는 하나 이상의 유사한 프로그램들이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시된다. 이것은 바로 그 또는 각각의 유사한 프로그램으로써 그 프로그램 및 제1프로그램에 공통인 하나 이상의 데이터요소들을 나타내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친화적으로 핸드오버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방법은, 유사한 프로그램들 중의 하나를 제2네트워크영역 송신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전에 사용자 확인을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단계는, 특히 핸드오버가 단말에 의해 끊어짐 없이 행해질 수 있다면, 생략될 수 있다.
둘 이상의 유사한 프로그램들이 있을 경우, 프로그램들 중의 하나를 제2네트워크영역 송신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전에 프로그램들 중의 그 하나를 선택할 것이 사용자에게 요구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용가능한 프로그램들에 관련한 데이터는 각 프로그램에 대한 식별자를 더 구비한다. 이것은 무슨 프로그램들인지를 비교적 직접 결정할 수 있게 한다. 그렇지 않다면, 단말기는 별개의 네트워크영역들에 있는 두 프로그램들이 동일한지의 결정을 할 수 있기 전에 어떤 중요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이용가능한 프로그램들에 관련한 데이터는 바람직하게는 계층적 분류 구조를 가진다. 인터넷 프로토콜 데이터캐스팅 네트워크들에서 그런 경우이기 쉽고, 특히 프로그램들이 타임슬라이싱(time-slicing)을 이용하여 브로드캐스트되는 그런 방송망들에서 그런 경우이기 쉽다. 어느 경우에서나, 그 특징은 프로그램들이 유사한지를 비교적 쉽게 결정할 수 있으므로 특히 유익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사한 프로그램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어떤 프로그램들이 제1프로그램과 공동으로 식별자를 가지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식별자는 예를 들면 프로그램식별자, 서비스식별자, 채널식별자, 카테고리식별자 및 장르식별자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용가능한 프로그램들에 관련한 데이터는 프로그램들의 송신 스케쥴들에 관련한 데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이용가능한 브로드캐스트 프로그램들에 관련한 데이터를 제1 및 제2 네트워크영역들에서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상기 프로그램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이동단말기가 제1네트워크영역에서 송신기로부터 제1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동안 제2네트워크영역으로의 핸드오버의 필요를 검출하도록 동작 가능한 핸드오버 핸들러; 이용가능한 브로드캐스트 프로그램들에 관련한 데이터를 제1 및 제2 네트워크영역들에서 이용하여 동일 프로그램이 제2네트워크영역에서 이용가능한지를 결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1프로그램에 유사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그램데이터 처리기; 및 제2네트워크영역의 송신기로부터 제1프로그램 또는 하나의 유사한 프로그램을 적당한 것으로 수신하도록 이동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본 발명은 하나의 셀, 서비스영역 또는 네트워크영역에서부터 다른 셀, 서비스영역 또는 네트워크영역으로 이동할 때 동일하거나 유사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상황들에서 이용가능한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러한 영역들은 작은 네트워크셀들로부터 다른 나라들의 서비스영역들 등까지 어느 것이나 될 수 있다. 현재 이용되는 서비스가 이용가능하지 않거나 또는 그 서비스가 단말기가 진입하는 새 셀로 이동될 수 없는 경우, 가장 가까운 대체물 또는 수 개의 가장 가까운 대체물들이 제공된다. 다른 통신가능영역들이 다른 서비스들 및 프로그램들을 가지는 경우, 지원되는 핸드오버는 매우 유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른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동일한 구조를 그들의 ESG들에 이용하는 것에 동의하여 로밍을 도울 수 있다.
실시예들은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및 ISDB(Integrated 서비스들 Digital Broadcasting)이 예들이 되는 디지털 방송망들에 특히 관계가 있고, 이 디지털 방송망들에서는 프로그램들이 타임슬라이싱을 가지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브로드캐스트되지만, 본 발명은 이것보다 더 넓은 응용을 가질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다음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로써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채용되는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서비스 세트들의 작성, 및 이동단말기에 대한 서비스들의 제공의 예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이 채용되는 시스템에서 어떻게 서비스컴포넌트들이 타임슬라이싱을 이용하여 채널로 전송되는 지의 예를 도시하며;
도 3a는 서비스컴포넌트들이 발견될 수 있는 계층구성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이며;
도 3b는 하나의 서비스의 부분적인 콘텐츠의 일 예를 보이며;
도 4는 어떻게 다른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에 의해 지원되는 셀들이 함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지의 개략적인 예를 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가 어떻게 ESG 디스커버리를 수행할 수 있는지를 보이는 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에 따르는 그리고 이 양태들에 따라 동작하는 이동단말기의 부분을 형성하는 선택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이용되는 이웃하지만 다른 네트워크들에 관련한 제1 및 제2 계층적 ESG들의 어떤 가지들을 도시하며;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이동단말기의 하나의 구현된 동작을 도시하는데 이용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멀티캐스트서비스 시스템은, 어떤 서비스들을 서비스세트가 되게 함께 묶는다. 각 서비스세트는 이 서비스세트 에 유일한 식별자를 구비한 식별용 데이터에 관련된다. 또한 식별용 데이터는 서비스세트 및 이 서비스세트에 포함된 서비스들 모두를 위한 다른 유형의 다수의 메타데이터 항목들을 구비한다. 식별자 및 메타데이터는 바람직하게는 전송스트림에서 테이블형식으로 송신된다. 이 테이블은 이를 테면 표준 ETSI EN 300 468 ('468 표준)의 부케관련테이블(bouquet association table; BAT)과 같이 DVB-T에서 사용되는 테이블들과 유사할 수 있다. 식별자 및 메타데이터 항목들은 바람직하게는 '468 표준에 정의된 것들과 유사한 기술자들(descriptors)로서 나타내어진다.
하나의 멀티캐스트서비스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오퍼레이터들로부터의 서비스들을 하나 이상의 서비스세트들로 묶을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라이브 콘텐츠 및/또는 저장된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캐스트서비스 시스템은 묶어진 서비스세트를 하나 이상의 멀티캐스트 오퍼레이터들에게 보낼 수 있고, 그러면 하나 이상의 멀티캐스트 오퍼레이터들은 보내져온 서비스세트들을 멀티캐스트들로써 수신기들에 IP(Internet Protocol) 방송버스트들로 송신할 수 있다. 이것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5 서비스제공자들(10~14)은 그들의 각각이 라이브 콘텐츠, 저장된 콘텐츠 또는 혼합된 콘텐츠의 제공자인 것으로 보이고 있다. 제1 내지 제3 서비스제공자들(10~12)은 서비스들을 제1 멀티캐스트서비스 시스템(16)에 제공한다. 제3 내지 제5 서비스제공자들(12~14)은 서비스들을 제2 멀티캐스트서비스 시스템(17)에 제공한다. 멀티캐스트서비스 시스템들(16, 17)의 각각은 수신된 서비스들을 묶음으로써 형성된 서비스세트들을 개별 멀티캐스트 오퍼레이터 (18, 19)에게 보낸다. 그러면 서비스세트들은 IP방송버스트들(15)로 멀티캐스트되며, 이동단말기(20)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각 서비스제공자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각 서비스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서비스컴포넌트들의 각각은 다른 매체형식을 가질 수 있다. 서비스는 통상 오디오 또는 비디오 스트림, 텔레텍스트 캐러셀(carousel), 일단의 웹링크들, 다른 콘텐츠의 다운로드가능 파일들 등등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통, 한번에 하나의 서비스만이 사용자에 의해 소비된다. 하나의 서비스는, 기존의 텔레비전 및 라디오 프로그램들과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연속하는 프로그램들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는 예를 들면 버스트 크기들, 최대버스트 지속시간, 어떤 IP스트림들이 특정 타임슬라이스 채널들에 포함되어 있는가 등과 같은 타임슬라이싱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정보(SI)를 수신한다. 또한 단말기는 IP기반 서비스가 발견될 수 있게 하는 SI정보로 예를 들면 반송주파수들, 사용되는 패킷식별자들(PID), 전송스트림식별자들 등과 같은 것들을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다. 타임슬라이싱에 관련한 실시간 매개변수들은 버스트들 내의 섹션들의 섹션헤더들로 운반된다. 이러한 실시간 매개변수들은 델타-T 매개변수, 즉, 현재 타임슬라이스 채널로부터의 다음 버스트가 현재 섹션, 버스트마커의 끝 등의 뒤에서 수신될 것이라고 추측될 수 있는 시간을 포함한다.
서비스세트 스케줄과 결합될 때 서비스세트, 서비스들 및 서비스컴포넌트들에 관련되고 이것들을 기술하는 데이터항목들은, 전자서비스가이드(Electronic service Guide; ESG) 데이터를 포함한다. ESG데이터는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그/그녀가 관심있어 하는 채널들, 서비스들 및 항목들을 선택하는 능력을 제공하는데, 그리고 그 단말에 저장된 항목들을 찾는데 이용된다. ESG데이터는 ESG를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데, ESG는 이용가능한 서비스들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다. ESG는 채널가이드, 전자프로그램가이드 또는 채널선택기라고 알려져 있을 수도 있다. ESG는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이용가능한 방식으로, 통상은 서비스 계층구성(hierarchy)을 통해 나타낸다.
특정 서비스에 관련한 서비스컴포넌트들(S11, .., S1m; S21, .., S2n)은 DVB-T네트워크를 통해 버스트로 송신될 수 있다. 이것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제1 및 제2 버스트들(30, 31)은 시작 및 끝 시간들('시작시간 1','시작시간 2'; '끝시간 1,' 끝시간 2')에 의해 정해지는 지속시간('지속시간 1','지속시간 2')을 가진다. 버스트들(30, 31)은 제1버스트의 끝과 제2버스트의 시작 사이의 간격('간격 1')으로 송신된다.
연속하는 버스트들(30, 31)의 콘텐츠는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그것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를 수 있다. 하나의 세트를 위한 모든 서비스컴포넌트들을 담고 있고 그 세트에만 관련된 서비스컴포넌트들을 담고 있는 버스트 대신에, 하나의 버스트가 서비스의 임의의 수의 서비스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그 버스트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 또는 서비스세트들로부터의 서비스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컴포넌트들이 버스트 내에 있는 순서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또는 멀티캐스트 오퍼레이터에 의해 결정된다.
서비스세트 스케쥴은 ESG데이터의 부분일 수 있거나, 별개로 송신될 수 있다.
ESG데이터 또는 그것의 부분들은 별도의 제2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이 제2네트워크는 보통은 GSM, GPRS, 3G 또는 UMTS와 같은 이동전화망일 수 있으나, WLAN 또는 임의의 다른 통신망일 수도 있다. 이 제2네트워크는 바람직하게는 무선일 수 있지만, 대신 유선일 수도 있다. 제2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ESG데이터는 ESG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DVB-T를 통해 송신된다면, ESG데이터는 IP제어채널(IP-CC)로 송신될 수 있다. 이 ESG데이터는 서비스들에 관한 메타데이터, 이를테면 어떤 유형들의 서비스들이 이용가능한지, 어떻게 서비스콘텐츠가 수신될 수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소비될 수 있는지와 같은 메타데이터를 구비한다. 이 메타데이터는 IP기반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일단의 안내파일들(announcement files)로서 송신된다. 일 실시예에서, IP-CC 로 보내진 ESG데이터는 반복적으로 캐러셀 스타일로 송신된다.
도 1의 시스템에서, 이용가능한 서비스들은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층적으로 구성된다. 도 3a는 서비스들의 계층구성의 일 예를 보이고 도 3b는 하나의 서비스의 부분 콘텐츠의 예를 보인다. 최상위레벨에서, 계층구성은 카테고리들을 담고 있다. 서비스들은 카테고리들로 분류된다. 많은 레벨들의 카테고리들이 있을 수 있다. 카테고리들은 서비스세트들로 분류된다. 카테고리들은 예를 들면 어떤 주제(topic) 또는 콘텐츠 유형으로부터의 채널들을 구비할 수 있다. 채널은 사용자가 하나의 이름 또는 브랜드, 예를 들면 CNN(RTM) 또는 BBC(RTM)로 분류할 수 있는 한 세트의 서비스들일 수 있다. 계층구성의 카테고리 아래에는 서브카테고리들 또는 서비스세트들이 있을 수 있다. 서비스세트들은 동일 종류의 서비스들을 서로 결합하지만, 그것들은 그 대신 식별가능한 엔티티, 예를 들면 CNN(RTM) 또는 BBC(RTM)에 관계가 있을 수 있다. 서비스세트는 서비스제공자(SP) 또는 콘텐츠제공자(CP)에 의해 소유된다. 하나의 CP 또는 SP는 많은 서비스세트들을 가질 수 있다. 서비스세트들은 하나의 CP 또는 SP의 동일 종류의 서비스들을 서로 결합할 수 있다. 하나의 서비스는 많은 다른 서비스세트들에 속할 수 있지만 하나의 서비스세트의 모든 서비스들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SP 또는 CP에 의해 소유된다. 번들은 판매가능한 엔티티, 즉 SP에 의해 함께 판매되는 서비스들의 그룹이다. 서비스는 항상 적어도 하나의 번들에 속한다. 서비스들은 이 예에서 계층구성의 최하위레벨이다. 이용가능한 서비스들의 계층은 매우 정적이다. 서비스들 및 서비스세트들은 변경될 수 있지만, 변경들은 아주 드물고 서비스에 대한 종료시간은 통상 사용자에게 안내된다. ESG데이터는 당해 레벨을 (그것이 카테고리, 서비스세트 또는 서비스인지를) 기술하는 메타데이터와 더 상세한 정보에 대한 링크들을 담고 있다. 서비스세트는 메타데이터에 의해 식별되는 디폴트 서비스, 즉 서비스세트에 들어가면 개방되는 서비스를 가질 수 있다. 서비스세트는 포함된 서비스들의 목록이 뒤에 존재하는 버튼이나 메뉴를 갖는 사용자인터페이스에 관련될 수도 있다.
각 엔티티는 식별자를 가진다. 이 식별자는 항상 데이터캐스트 오퍼레이터의 (그러한 엔티티들의) 식별자들의 범위 내에서 유일하다. 예를 들면, 서비스식별자는 데이터캐스트 오퍼레이터의 서비스식별자들의 범위 내에서 유일하고, 카테고리 식별자는 데이터캐스트 오퍼레이터의 카테고리Id들 등등 중에서 유일하다.
ESG정보의 더 동적인 부분은 프로그램 부분이다. 프로그램 부분은 서비스세션들을 구비하며, 서비스세션들은 서비스들의 인스턴스들이고 시작시간 및 정지시간을 가진다. 서비스세션들은 서비스항목들 또는 서비스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서비스항목들은 개별적으로 소비될 수 있는 콘텐츠 "조각들(pieces)"이다. 서비스세션의 모든 서비스항목들은 동일한 종류의 전송매개변수들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서비스세션들을 이용하면, 서비스항목들은 서비스세션 대신에 그것들 소유의 시작시간 및 정지시간을 가질 수 있다. 만들어진 서비스항목들의 스케쥴들이 사용자들에게 보여질 지는 멀티캐스트 오퍼레이터(18, 19)에게 달려 있다. 서비스세션의 송신 후, 세션들 및 항목들에 관련된 정보는 더 이상 관심이 없고, 그래서 더 이상 브로드캐스트되지 않는다.
이 계층적 구조는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논리적이고 연합하기 쉬운(associative) 형식으로 제시할 수 있고 ESG 프레젠테이션 및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단말기(20)의 사용자가 관심있어 하는 서비스들을 찾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오퍼레이터(18, 19)가 세션들을 스케쥴 잡는 것을 용이하게 하여 동일한 사람에 관심있어하기 쉬우리라 여겨지는 서비스세션들이 가능한 한 적게 겹치도록 한다. ESG는 두 부분, 즉, 카테고리들에 관련하며 주로 데이터캐스트/ 멀티캐스트 오퍼레이터에 의해 관리되는 제1부분, 및 카테고리들 밑의 모든 계층레벨들에 관련되며 서비스제공자들에 의해 관리되는 제2부분을 포함한다고 생각될 수 있다.
일 예는 도 3a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서비스 카테고리는 서비스세트 "CNN News Watch"와 그 밑의 서비스 "Live Update"를 가지는 "News"일 수 있다(도 1a). 서비스 News.CNNNewsWatch.LiveUpdate는 서비스세션들, 예를 들면 도 3b에 보인바와 같은 최근 비즈니즈 뉴스에 관한 프로그램을 담고 있다. 이 서비스세션들은 세상의 다른 부분들에 관련된 예를 들어 뉴스일 수 있는 항목들을 구비한다. 이 항목들도 스케쥴 잡아지고 그 스케쥴들이 사용자에게 보인다면, 사용자는 관심있는 부분 또는 부분들이 송신된 경우에만 뉴스를 볼 수 있다.
송신되는 ESG정보에 관련된 두 종류의 안내들은 계층안내와 서비스세션 안내이다. 이 분할은 설명된 ESG 부분들에 기초한다. 안내파일들의 송신은 연속적으로 또는 캐러셀형 송신으로서 행해진다. 즉, 모든 안내파일들이 송신되자마자 그것들은 다시 송신된다. 두 연속하는 송신들 간에는 휴지(pause)가 있을 수 있다. 단말기는 ESG정보가 필요할 때 안내들을 청취하기 시작할 수 있다. 두 종류의 안내들은 단일 캐러셀로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두 캐러셀들을 이용하여 별개로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캐러셀들 외에도, 메인페이지들을 위한 캐러셀, 보안협약(Security Association; SA)파일들을 위한 캐러셀, 및 경보캐러셀이 있을 수 있다. 그래서, 5개의 캐러셀들, 즉 계층세션, 메인페이지, SA파일들 및 경보 캐러셀들이 있을 수 있다.
항목 안내들이 이동전화기 통신망과 같은 대화채널을 통해 검색될 수 있다. 즉, 그것들은 다른 안내들이 그런 것처럼 브로드캐스트되지 않는다.
보안협약은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보안매개변수들을 기술한다. SA파일은 보호를 제거할 수 있게 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 서비스는 카테고리들, 서비 스세트들 및 서비스들로 된 계층구성에서 최하위레벨이다. 서비스는 항상 하나의 CP/SP에 속한다. 서비스들은 서비스에 관련된 콘텐츠의 스케쥴된 송신을 의미하는 서비스세션들을 가진다. 서비스세션은 하나 이상의 IP세션들을 담고 있을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계층구성은 카테고리들, 서비스세트들 및 서비스들을 담고 있다. 계층구성은 전형적으로는 XML을 이용하여 표현되는 하나의 파일로 기술된다. 그래서, 하나의 언어만이 지원된다면, 캐러셀은 동일한 계층구성 파일을 몇번이고 되풀이하여 송신한다. 다중 언어들이 지원된다면, 각 언어마다 하나의 파일이 송신된다. 계층구성 파일 또는 파일들의 송신은 계층 안내를 구성한다.
계층구성파일들에 구비된 정보는 채널들, 번들들, 카테고리들, 서비스세트들, 서비스들, 및 또다른 정보를 구매하는 것에 관련한 후술되는 바와 같은 정보를 구비한다. 계층적 분류 외에도, 서비스들은 다른 분류 및/또는 식별 데이터 이를테면 서비스의 장르에 관련될 수 있다.
구매 채널들은 번들들이 구입될 수 있는 채널을 기술한다. 채널을 기술하는 속성들은, 채널들에 대한 유일 식별자, 구매요구가 송신되는 통로인 베어러(bearer)의 식별표시, 구매주소, 구매요구의 기술(description), 구매응답이 송신되는 통로인 베어러의 식별표시, 응답형식의 기술, 및 전자상거래 오퍼레이터의 유일 식별자를 구비한다.
서비스들은 번들들로 구입될 수 있다. 그래서, 번들들은 판매가능한 항목들이다. 이러한 번들들은 다음의 데이터항목들 중의 하나 이상과 관계가 있다: 번들들에 유일한 식별자, 번들을 기술하는 이름, 예를 들면 전체 가입기간의 가격, 가 입기간의 잔여시간의 가격과 같은 번들의 가격정보, 가입기간 시작시간, 가입기간 종료시간, 화폐, 구매코드, 품질표시, 및 번들이 구입되는 통로인 각 구매채널의 식별자. 품질표시는 사용자에게 구매항목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해 보일 수 있고, "3개월 구매", "금월 말에 구매", 등의 형식을 취할 수 있다. 구매코드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 구매된 번들을 식별하는데 이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매될 수 있는 번들 및 기간의 조합마다에 대해, 구매코드가 있다. 대체실시예에서는, 각 번들마다 코드가 있고 각 기간마다 코드가 있어, 각 번들/기간 조합이 두 코드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구매코드에 의해 식별될 수 있게 된다. 번들은 하나의 구매채널을 통해 구매가능할 수 있거나, 또는 둘 이상의 구매채널들을 통해 이용가능할 수 있다.
대체실시예에서, 번들들 외에도 프로그램들, 채널들 및 세션들은 개별적으로 구매될 수 있다. 이 경우, 코드는 개별적으로 판매가능한 항목들의 각각에 제공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경우, 항목들이 자연적인 종료시간을 가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종료시간이나 지속시간이 있을 필요는 없고, 그래서 구매코드들은 더 단순해질 수 있다.
카테고리정보를 형성하기 위해, 다음의 데이터항목들 중의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모두 또는 거의 모두)이 주어진다: 카테고리의 이름, 카테고리의 유일 숫자 식별자, 카테고리의 단문(short)기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가 카테고리레벨의 대체물들을 보여주기 원하는 디스플레이순서, 시청연령제한(parental rating)의 표시자, 및 부모(parent)카테고리 식별자.
서비스세트정보를 위해, 다음 데이터 중의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모두 또는 거의 모두)이 주어진다: 서비스세트의 이름, 서비스세트의 유일 숫자 식별자, 서비스세트의 단문기술, 오퍼레이터가 카테고리의 서비스세트들을 보여주기 원하는 디스플레이순서, 시청연령제한의 표시자, 서비스세트들의 메인페이지들에 대한 참조, 서비스세트의 서비스들에 관한 정보, 서비스세트에 속한 서비스들의 식별데이터, 서비스세트 내의 서비스 표시순서(이 순서로 서비스들은 사용자에게 보임), 디폴트 서비스 식별표시, 및 예컨대 작가, 작성일과 같은 다른 오퍼레이터 특유 속성들. 속성들의 값은 문자열(string), 정수, 날짜, URL 또는 이러한 것들의 전부 또는 일부의 임의의 조합, 예를 들면 정수 및 문자열 값의 조합일 수 있다. 속성들은 속성의 이름, 기술 및 유일 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세트정보는 서비스가 속한 각 번들의 식별자를 구비할 수도 있다.
서비스들의 각각에 대해 다음 데이터 중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모두 또는 거의다)가 주어진다: 서비스의 이름, 서비스의 유일 식별자, 서비스 장르의 표시자, 서비스의 단문기술, 상세한 기술이 발견될 수 있는 URL, 서비스가 속하는 번들들의 식별자들의 목록, 서비스의 시청연령제한의 표시자, 서비스의 등급을 위한 URL, 서비스의 유형의 표시자, 및 예를 들면 작가 및/또는 작성일과 같은 다른 오퍼레이터특유 속성들. 속성들의 값은 문자열, 정수, 날짜, URL 또는 이것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속성들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속성의 이름, 기술 및 유일 식별자. 서비스의 장르는 '468 표준 v 1.4.1에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대체물들을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서비스 유형의 표시는 다 른 서비스들, 예를 들면 DVB 멀티캐스트 서비스들, 온라인서비스들 및 3G 멀티캐스트 서비스들 간을 단말기가 구별할 수 있게 한다.
세션항목에 관련된 데이터는 세션시작시간, 종료시간 또는 대신하여 세션의 지속시간을 포함한다.
ESG데이터는 캐러셀의 유형, 다른 캐러셀들의 IP주소들 및 포트들, 캐러셀정보의 만료시간들 및 갱신간격들과 같은 캐러셀정보, 계층데이터의 수정시간, 및 오퍼레이터 메인페이지에 대한 참조들을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수정시간은 계층구성이 마지막으로 수정되었던 시간이다. 오퍼레이터 메인페이지는 사용자가 ESG를 열 때 처음 볼 수 있는 페이지이다. 오퍼레이터 메인페이지는 10개의 가장 대중적인 IPDC 서비스들, 최신 서비스들의 목록, 권고내용들의 목록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메인페이지는 ESG를 연 후에 사용자에게 매우 신속히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메인페이지는 메인페이지 캐러셀로 송신된다. ESG데이터는 ESG의 유일 식별자, 및 ESG의 언어들에 관련한 정보를 구비할 수도 있다. 각각의 지원 언어는 별도의 ESG데이터 파일을 가진다.
만료시간정보도 안내되는데, 이것은 안내된 정보가 통상적으로 변경되기 전의 시간을 나타낸다. 이 만료시간은 계층구성, 세션 및 메인페이지 캐러셀들을 위해 안내된다. 세션들 및 메인페이지 캐러셀들의 경우, 다음 갱신들을 위한 시간들이 계층구성파일을 점검하는 일 없이 계산될 수 있게 하는 갱신간격(초 단위)이 주어질 수 있다.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예가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의 네트 워크는 DVB-T를 이용하는 IP데이터캐스트 네트워크이지만 반드시 그것일 필요는 없다. 도시된 네트워크는 셀들(C1~C9)로 구성되고, 이 셀들은 콘텐츠가 보내질 수 있는 최소단위이다. DVB-T 네트워크에서, 셀은 하나의 IP캡슐화기(encapsulator)의 송신영역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의 IP캡슐화기는 수 개의 셀들에 송신할 수 있다. 그 경우 그러한 셀들 내의 송신된 콘텐츠들은 동일하지만 그것들은 다른 주파수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의 셀의 콘텐츠는 수 개의 IP캡슐화기들의 콘텐츠들로부터 결합될 수 있다. 동일한 콘텐츠를 송신하는 셀들은 함께 네트워크영역을 형성한다. 네트워크영역들은 고정되지 않고, 동적으로 변하게 될 수 있다. 이용되는 캐러셀들은 네트워크영역들에 대해 국소적이다. 그래서, 정보는 네트워크영역에 특유의 것이다. 이 예에서, 셀들(C1~C3)은 제1네트워크영역(N1)을 형성하며, 셀들(C4~C6)은 제2네트워크영역(N2)을 형성하고, 셀들(C7~C9)은 제3네트워크영역(N3)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제2네트워크영역(N2)은 자신 소유의 계층구성, 메인페이지, 세션, 보안협약 및 경보 캐러셀들(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계층구성 안내들은 다른 네트워크영역들에 대해 다른 IP주소로 만들어진다.동일한 서비스를 송신하는 네트워크영역들은 함께 그 서비스의 서비스영역을 구성한다. 서비스의 모든 서비스세션들은 전체 서비스영역에 걸쳐 동일하다. 그래서, 오퍼레이터가 영역마다 다른 지역뉴스를 송신하기 원한다면, 서비스 역시 다른 영역들에서 달라져야 한다. 다르다고 식별되기 위해, 서비스들은 적어도 다른 서비스식별자들을 가져야 한다. 도 4에서 제1 및 제2 네트워크영역들(N1 및 N2)은, 서비스 X가 그러한 영역들에서만 활동적이게 된다면, 함께 서비스 X의 서비스영역을 형성할 것이다. 제3네트워크영역(N3)은, 그것이 적어도 다른 서비스식별자들을 가지지만 혹시 다른 서비스들도 가진다면, 다른 서비스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단말기(20)가 처음으로 턴 온된 때에, 이 단말기는 어떠한 ESG정보도 가지지 않는다. ESG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기 위해, 단말기(20)는 예를 들면 IP-CC를 통해 ESG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ESG 디스커버리를 수행해야 한다. 정보 수신은 5개 단계로 나누어질 수 있고, 요컨대, 5개 단계들은 계층구성파일을 위한 IP주소를 얻는 단계, 계층구성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메인페이지들을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세션 기술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마지막으로는 상세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이다. 이것은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단계 S1에서, 단말기는 먼저 계층정보를 위한 IP주소가 무엇인지를 알아내어야 한다. 각각의 네트워크영역마다 하나의 주소씩 ESG정보를 위해 예약된 다수의 주소들이 있다. 현재 셀의 계층 정보파일을 위한 IP주소의 정체는 네트워크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이것을 위한 메커니즘은 네트워크에 의존한다.
DVB-T네트워크에서, 계층구성파일을 위한 올바른 IP주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 다음의 정보흐름을 통해 수신된다. 먼저, 단말기(20)에 구비된 수신기는 소망된 DVB-T네트워크가 발견되기까지 이용가능한 주파수를 통해 스캔한다. 소망된 네트워크는 발견된 최초의 네트워크, 사용자정의 네트워크, 단말에 맞게 구성된 네트워크 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수신기는 네트워크정보테이블(Network Information Table; NIT)을 수신한다. 이런 맥락에서, 수신기 역시 IP/MAC 통지테 이블(INT)을 찾는다. 이것은 NIT테이블 내의 유형 0x0B의 모든 연결기술자(linkage descriptor)들을 해석함으로써 행해진다. 하나의 DVB-T링크는 채널들로서 생각될 수 있는 수 개의 IP플랫폼들을 운반할 수 있다. 단말기(20)는 어떤 IP플랫폼들이 이용가능한지를 수신기에 문의하고, 수신기는 NIT테이블로부터 파싱된 정보를 단말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단말기는 IP플랫폼을 선택하고 선택된 IP플랫폼을 수신기에 식별시킨다. 그러면 수신기는 INT테이블을 수신하고 그것을 파싱한다. 계층구성파일을 위한 IP주소를 얻기 위해, 단말기는 수신기에게 그것이 ESG IP주소 범위에 속하는 주소를 위한 매핑을 가지는지를 문의한다. 그러면 수신기는 IP주소를 반환한다. 당업자는 IP주소가 다른 네트워크유형에 대해 어떻게 얻어지는지를 잘 이해할 것이다.
단말기(20)가 올바른 IP주소를 결정한 경우, 그 단말기는 그 주소를 개방하고 청취를 시작한다. 단계 S32에서, 단말기는 계층구성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을 수신하고 그것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계층구성 파일은 예를 들면 XML로 기재될 수 있다. 단말기(20)는 계층구성 파일로부터 특히 다른 캐러셀들을 위한 IP주소들을 얻을 수 있다. 이는 단말기가 메인페이지들의 IP주소를 청취하도록 움직여서 메인페이지들을 수신할 수 있게 하는데, 이것은 단계 S3에서 행해진다. 메인페이지들은 그것들이 필요할 때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도록 단말기(20)에 저장된다. 단계 S4에서 단말기는 세션안내들의 IP주소를 더 청취하고 세션안내들을 수신한다. 서비스세션 정보는 예를 들면 계층구성 정보의 부분을 형성하는 세션기술프로토콜(Session Description Protocol; SDP) 및 XML 파일들을 이용하여 기술된다. SDP파 일들은 단말기가 세션들을 수신하고 소비할 수 있게 하는데 필요로 하는 정보를 담고 있다. XML파일은 사용자를 위해 세션들의 콘텐츠를 기술하는데 이용된다. 단말기(20)가 세션 SDP파일들 및 XML파일들을 단계에서 수신한 경우, 그 단말기는 그 파일들을 파싱하여 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계층구성 및 세션 안내들을 수신한 후, 최종사용자가 여전히 서비스들, 서비스세션들 또는 항목들에 관한 추가 정보를 얻기 원한다면, 더 상세한 정보는 예를 들면 웹포탈을 통해 가져와질 수 있다. 이러한 웹포탈들을 식별하는 URL들은 안내들로 주어진다.
도 6에 보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부분적으로만 보인 이동단말기(20)는 DVB-T 수신기를 가지는 DVB-T 클라이언트로서 구현된다. 이 수신기는 DVB-T 네트워크와의 무선인터페이스를 가진다. 단말기(20)는 DVB-T네트워크로부터의 정보 R을 수신기를 통해 IP데이터캐스팅 버스트들로서 입수한다. ESG데이터는 ESG데이터베이스(34)에 저장된다.
사용자가 구식이 된 정보를 가지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정보는 때때로 갱신되어야 한다. 안내들은 계속 송신될 수 있고, 그래서 단말기(20)는 언제나 최근의 안내들을 청취하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전력을 절약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안내는, 다음 버전이 적당할 때를 나타내는 절대시간인 만료시간을 담고 있다. 새로운 버전은 구 버전과는 반드시 다르지는 않지만, 하나의 버전이 유효한 동안 어떠한 변경도 없을 것임을 보장한다. 갱신간격은 변경의 확률이 다르기 때문에 ESG의 다른 부분들에 대해 다르게 된다. 예를 들면, 계층구성의 갱 신간격은 통상 세션들을 위한 갱신간격보다 훨씬 길다. 만료시간은 수신기 턴 온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단말기는 현재 저장된 안내가 막 만료되려고 할 때 안내들을 수신하는 것만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ESG정보를 처음으로 수신한 후, 단말기(20)가 하나의 네트워크영역에서부터 다른 네트워크의 영역으로 이동하지 않는다면, 단말기는 갱신을 위한 시간일 때 안내들을 청취하는 것만을 필요로 한다. 계층구성파일 갱신의 경우, 단말기(20)는 계층구성파일을 수신한 다음, 계층구성의 변경시간이 자신의 ESG데이터베이스(34) 내의 계층구성의 변경시간보다 나중인지를 판단한다. 수신된 계층구성이 더 새 것이라면, ESG데이터베이스(34)가 갱신된다. 그렇지 않다면 단말기(20)는 다음 만료시간에 주목한다. 계층구성파일을 점검할 때, 단말기(20)는 세션 및 메인페이지 캐러셀들의 만료시간도 판독한다. 그러나, 이러한 캐러셀들의 갱신간격은 계층구성의 갱신간격보다 짧을 수 있기 때문에, 다음의 만료시간들이 계층구성파일을 점검하는 일 없이 계산될 수 있도록 하는 갱신간격이 세션들 및 메인페이지들을 위해 주어질 수도 있다.
예기치 않은 갱신들이 갱신간격 동안 발생한다면, 단말기는 경보서비스를 통해 ESG정보가 갱신되어야함을 알게 될 수 있다. 이것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예를 들면 통지 캐러셀들을 이용하여 일어날 수 있다.
이동단말기(20)의 동작이 이제 도 6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부분적으로만 보인 이동단말기(20)는 대체로 메모리(21)를 구비하며, 이 메모리는 서비스데이터핸들러(22) 및 사용자인터페이스(23)에 연결된다. 사용자인 터페이스(23)는 디스플레이(24)와 브라우징선택기(25), 예를 들면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입력기를 구비한다. 서비스데이터핸들러(22)는 서비스세트결합기 애플리케이션(26), ESG핸들링 애플리케이션(27) 및 비교 애플리케이션(미도시)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계층구성들, 프로그램들, 서비스덜, 채널들, 카테고리들, 장르들 중의 하나 이상에 관련한 데이터 및 다른 특징적인 데이터 항목들의 유사도를 결정한다. 메모리(21)는 N개까지의 서비스컴포넌트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그러한 서비스컴포넌트들 중의 3개는 28~30으로 하여 그것들에 대응하는 서비스식별데이터(31~33)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21)는 ESG데이터저장영역(34)에 ESG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동단말기(20)는 ESG데이터와 서비스컴포넌트들 및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IP데이터캐스팅 버스트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 수신된 데이터는 그것을 저장하기 전에 버퍼링되어도 좋다. ESG데이터 및 관련된 데이터 항목들에 기초하여, 단말기(20)는 서비스컴포넌트들을 적당한 서비스세트들과 관련시킬 수 있다. 단말기(20)의 사용자는 수신된 콘텐츠를 관람 또는 렌더링하기 위해 브라우즈하고 선택한다. 각종 서비스컴포넌트들을 기술하는 데이터항목들은 수신된 콘텐츠 항목들을 분류하기 위한 계층구성을 구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추가로 서비스세트 스케쥴에서의 데이터는 서비스들을 그것들의 타이밍(지금, 다음, 오늘, 다음주 등)에 따르는 순서로 배치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좋다.
이동단말기(20)는 수신된 ESG데이터로부터,수신된 서비스세트 스케쥴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수신된 서비스정보(SI) 및 프로그램특유 정보(PSI) 테이블들로부터 서비스세트들 또는 서비스세컴포넌트들의 송신 타이밍 및 그것들의 반송파 송신주파수 또는 주파수들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서비스세트 또는 서비스컴포넌트의 선택에 뒤이어, 단말기(20)는 소망된 또는 선택된 서비스세트 또는 서비스컴포넌트가 송신되는 적당한 시간에 올바른 주파수로 튜닝될 수 있다. 단말기는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다른 시간들에 턴 오프로 남아있을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른 서비스세트들은 단말기의 사용자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사용자인터페이스는 브라우징 및 선택 수단을 포함한다.
단말기(20)는 수신된 서비스컴포넌트들 및 대응하는 서비스식별데이터뿐 아니라 수신된 ESG데이터를 메모리(21)의 적당한 부분들에 저장하도록 동작한다. ESG데이터는 DVB-T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35로 도시된 이동전화기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서비스세트결합기 애플리케이션(26)은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별 서비스세트들의 부분을 형성하도록 의도된 서비스들만을 구비한 서비스세트들을 형성한다. 계층구성데이터는 다른 콘텐츠 유형들을 분류하는데 이용된다. 서비스컴포넌트들은 하나를 넘는 서비스세트에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데이터는 적당한 방식으로 저장된다.
서비스 선택은 임의의 적당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23)에 의해 인에이블된다. 서비스 선택에 뒤이어, 그 서비스는 소비된다.
수신된 ESG는 단말기의 위치에 대해서만 유효할 수 있거나, 또는 현재의 셀 및 얼마간의 이웃하는 셀들에 대해 유효할 수 있거나,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영역들 에 대해 유효할 수 있다. 단말기는 ESG 또는 ESG를 위한 스케쥴들의 부분만을 수신하거나, 또는 모든 이용가능한 서비스들 및 그것들의 스케쥴들을 기술하는 전체 ESG를 수신할 수 있다.
이제 단말기의 일 예의 동작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원래는 제1네트워크영역(N1)의 범위 내에 있는 단말기가 그 네트워크영역에 관련한 제1전자서비스가이드(ESG1)를 수신하고 저장한다. 그 후 단말기는 제2네트워크영역(N2)을 위해 제공된 서비스들을 수신할 수도 있는 위치로 이동한다. N2에서의 서비스들은 N1에서의 서비스들과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다를 수 있다. 단말기가 동일한 방향에서 추가로 계속 움직이는 경우, 그 단말기는 제2네트워크영역(N2)에 관해서만 서비스들을 수신한다. 즉, 그 단말기는 더 이상 제1네트워크영역(N1)에 관해서는 서비스들을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이 일어나기 전에, 단말기는 필드세기 또는 비트에러율(Bit Error Rate; BER)을 이용하여 핸드오버가 필요한지를 검출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르게는 사용자는 핸드오버가 소망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새로운 네트워크영역에 제공된 서비스들에 액세스할 수 있기 전에, 단말기는 이 네트워크영역을 위한 ESG를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필요로 한다. 관련 ESG는 전술한 바와 같이 ESG디스커버리 프로세스의 결과로서 수신될 수 있다. 다르게는, 단말기는 새로운 서비스영역의 ESG 또는 새로운 서비스영역의 ESG를 위한 스케쥴을 요구의 결과로서 미리 수신할 수도 있다. ESG에 관련한 데이터에 대한 요구와, 스케쥴 또는 ESG 또는 그 부분들을 포함하는 응답은 다른 네트워크, 예를 들면 이동전화기네트워크(35)를 이용하여 통신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하나의 지리적 위치로부터 다른 지리적 위치로 이동하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으며 신호 수신의 품질이 더 이상 만족스럽지 않음을 검출한 경우, 그 단말기는 서비스디스커버리 프로세스를 시작함으로써 서비스의 수신을 계속하는 대안적인 방법들을 위해 검색을 시작한다. 그 결과로서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대해 유효한 ESG의 네트워크주소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SI 및/또는 PSI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ESG는 다른 네트워크영역들 내에 제공된 서비스들이 다른 경우에도 하나를 넘는 네트워크영역들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기는 이용가능한 서비스들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새로운 네트워크영역에 관련한 SI 및 PSI정보도 수신할 필요가 있다. 그때 SI와 특히 그 안의 INT테이블은 현재의 셀에서 소비되는 동일한 서비스가 새로운 셀에서 이용가능한지를 확인하는데 이용된다. 전형적으로, 하나의 셀 내에 INT테이블은 현재 및 이웃 셀들로부터의 정보를 담고 있다. 따라서, 수신기는 동일한 서비스가 새로운 셀에서 이용가능한지를 핸드오버 전에도 알 수 있다. 하나의 서비스가 하나 이상의 IP스트림들을 포함할 수 있다면, INT테이블은 현재 네트워크로부터 IP스트림들을 찾을 방법과 장소를 수신기에게 알리는데 이용될 수 있다. INT테이블은 하나를 넘는 서비스제공자들 간에 나누어질 수도 있다. 그래서, 동일한 스트림들이 현재의 서비스 오퍼레이터의 INT테이블로부터 발견되지 않는다면, 수신기는 동일한 IP스트림들을 하나 이상의 다른 서비스 오퍼레이터들의 INT테이블들로부터 찾는 것을 시도할 수 있다.
단말기가 단말기의 위치에 대해 유효한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ESG를 수신한 경우, 그 단말기는 동일한 서비스들 또는 유사한 서비스들을 찾기 위해 수신된 ESG 내의 데이터를 저장된 ESG 데이터와 비교한다. 새로운 ESG가 이전의 ESG와 동일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로부터 유래한다면, ESG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유사하기가 쉽다.
단말기는 동일한 서비스가 새로운 셀에서 이용가능하다고 결정하고 단말기(20)가 그 서비스에 액세스한다면, 그 서비스는 새로운 셀에서 소비된다. 핸드오버는 가능하면 스무스해져야 한다. 동일한 서비스가 어떤 이유로 새로운 셀에서 이용가능하지 않다면, 단말기(20)는 단말기가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셀들로부터 그 서비스가 이용가능한지를 판단하고, 가능하다면 새로운 셀들 중의 임의의 셀로부터 그 서비스를 소비한다. 서비스가 임의의 새로운 셀에서 이용가능하지 않다면, 단말기(20)는 유사한 서비스를 결정하고 사용자인터페이스(23)를 통해 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가 유사한 서비스를 요구함을 나타낸다면, 이 서비스는 소비된다. 특히 소망스러운 서비스들의 예들로는 일기예보들, 교통정보 서비스들 및 스포츠 이벤트들이 있다. 단말기(20)에 의한 유사한 서비스의 선택은 어떤 규준들, 예를 들면 일치(matching)채널들, 채널카테고리들, 서브카테고리들, 장르들 또는 프로그램유형들 등에 기초한다. 유사한 서비스 선택은 단말기(20)에서 임의의 기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사한 서비스 선택은 자동으로 될 수 있다. 즉, 유사한 서비스는 사용자에 의한 승인을 요구하는 일 없이 소비된다. 다르게는, 그것은 수동으로 될 수 있다. 이 경우, 새로운 셀에서 이용가능한 서비스들 중의 어느 것들이 소비되었던 서비스와 유사한지를 판단하고, 이러한 서비스들을 사용자인터페이스 상에서 이용가능한 옵션들로서 나타낸다. 그러면 서비스 선택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행해져야 하지만, 이용가능한 옵션들은 단말기가 유사하다고 간주하는 것들이다. 그 대신 유사한 서비스 선택은 예를 들면 단일의 제안된 유사한 서비스의 사용자 승인을 그것을 사용하기 전에 요구하는 그러한 두 극단들 간에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대안으로, 서비스 선택은 단말기(20)에 저장된 사용자 선호정보(preference)들을 검사하는 것과 그러한 선호정보 및 어떤 서비스들이 유사한지의 결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관심있어할 유사한 서비스들의 목록을 준비하는 것에 관계가 있다. 사용자 선호정보들과 어떤 서비스들이 유사한지의 결정은, 단일의 제안된 유사 서비스가 사용자 선호정보들에 의해 요구된다면, 또는 사용자 선호정보 및 유사한 서비스 요건들에 맞는 하나의 서비스만이 존재한다면, 단일의 제안된 유사 서비스를 준비하는데 이용된다. 사용자 선호정보들은 무료이거나 또는 사용자가 이미 가입되어 있는 서비스들만이 유사한 서비스들의 목록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이것이 설정되지 않았다면, 목록으로부터 유사한 서비스의 선택은 지불 또는 가입 처리를 이것이 서비스에 적당하다면 시작할 것이다.
이것의 예는 이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 예에서, 사용자는 영국에서 런던부터 멘체스터로 열차 여행을 한다. 대(greater) 런던 및 대 멘체스터 둘 다는 그것들 소유의 방송서비스영역들을 가지고 채널들은 그러한 영역들에 대해 유사하다. 대 런던 셀의 통신가능구역(coverage area)에 있는 동안, 사용자는 로컬코너(LocalCorner) 채널의 3가지 서비스들 중 하나인 프리미어리그(PremierLeague)라 불리는 서비스로부터 전국적인 스포츠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첼시-아스날(Chelsea-Arsenal)"이라 불리는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의 시청은 적당한 IP스트림들로 송신되는 스트리밍형 비디오 데이터의 소비에 관계된다. 로컬코너 채널은 스포츠분류의 축구 서브카테고리하에서 발견된다. 여행 중에 때때로, 단말기는 대 런던 서비스영역을 형성하는 셀 또는 셀들의 통신가능구역으로부터 이동한다. 그 때, 단말기는 대 멘체스터 서비스영역의 부분을 형성하는 셀로부터 수신하기 시작한다. 단말기(20)는 새로운 셀을 위한 ESG디스커버리를 수행한다. ESG데이터로부터 단말기(20)는 이전에 시청했던 프로그램이 새로운 셀에서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알게 된다. 그러면 단말기(20)는 새로운 네트워크영역으로부터의 프로그래밍 정보 및 ESG데이터를 현재 소비되고 있는 콘텐츠와 비교한다. 단말기(20)는 동일한 채널인 로컬코너가 존재하지만 이 채널이 하나의 서비스만을, 이 경우 맨풋볼(ManFootball)이란 이름의 그것의 디폴트 서비스만을 가진다고 판정한다. 맨풋볼 서비스의 현재의 프로그램은 축구협회(Football Association; FA) 컵 예고(previews)이다. 그래서 단말기는 이 프로그램이 가장 유사한 서비스라고 판정하고, 그것을 제안한다. 제안은 보통 현재 보여진 프로그램이 더 이상 이용가능하지 않을 것임을 나타내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수반하고, 제안된 프로그램들(이 경우, 하나만 있음)을 수락옵션 및 모든 제안 거절 옵션과 함께 나타낸다. 각각의 제안된 프로그램은 바람직하게는 그 프로그램이 무료로 시청 가능한지, 사용자가 그때의 프로그램을 커버하는 유효한 가입자인지 또는 부가적인 가입이 필요한지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이 예에서, 유일하게 제안된 프로그 램은 전국적인 모바일방송 오퍼레이터로부터의 사용자의 기본 가입 패키지에 포함되고, 그래서 가입이나 지불이 필요하지 않다. 사용자는 제안된 프로그램을 단말기(20)의 사용자인터페이스(23)를 이용하여 선택함으로써 그 프로그램의 소비를 시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안된 프로그램을 거부한다면, 단말기(20)는 대 멘체스터 서비스영역을 위한 ESG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ESG는 처음에는 상단, 즉 서비스 카테고리 레벨에 보일 수 있거나, 또는 서비스영역들의 둘 다에 공통인 최하위레벨에서, 이 경우 로컬코너에서 보일 수 있다.
일부 방식들에서는 더 상세한 다른 예가 이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다음에서, 떠나온 셀에 관련한 ESG는 오래된 ESG라 하고, 들어간 셀에 관련한 ESG는 새로운 ESG라 한다.
새로운 ESG가 수신된 경우, 단말기는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비스에 연결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예는, 새로운 네트워크영역이 동일한 데이터캐스트 오퍼레이터에 의해 현존하는 네트워크영역으로서 소용된다면 ESG의 구조는 특히 카테고리들 및 서브카테고리들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되기가 쉽다는 사실을 이용한다. 또한, 양 네트워크영역들에 송신된 서비스들은 그러한 네트워크영역들 내에 동일한 세션_id를 가지기 쉽다. 이 경우, 단말기(20)는 수신된 새로운 ESG에서 세션_id를 검색함으로써 동일한 서비스를, 하나 존재한다면,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은 단계 S1에 보이고 있다.
동일한 서비스(세션_id 에 의해 식별됨)는 동일한 오퍼레이터의 다른 채널들(서비스세트_id에 의해 식별됨)에서 발견될 수 있다. 그래서, 동일한 서비스는 다 른 채널, 또는 다른 카테고리 또는 서브카테고리의 부분으로서 새로운 ESG에서 발견될 수 있다. 동일한 서비스가 새로운 ESG에서 발견된 경우, 단계 S2로의 진행이 이루어지고, 그렇지 않으면 동작은 단계 S3으로 진행한다.
검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단말기가 떠나가는 셀 또는 서비스영역을 위한 ESG로부터의 어떤 데이터가 그 단말에 저장된다. 단계 S1의 검색을 위해, 적어도 세션은 일시적으로 전부가 저장된다. 각각 카테고리, 서비스세트 및 서비스의 식별자들인 카테고리_id, 서비스_세트_id 및 서비스_id와 같이, 서비스에 관련한 다른 기술적인 분류용 및/또는 식별용 데이터는 전부가 또는 부분적으로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이 정보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단계 S3, S11, S15 및 S19를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그것은 또한 현존하는 ESG 및 새로운 ESG 사이의 유사성들을 결정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이것은 보통 검색된 세션_id에 관련한 다른 식별자들을 비교하는 것을 수반하고 그래서 오래된 ESG 및 새로운 ESG 사이의 유사성에 대해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단말기는 이러한 ESG들의 유사도들에 관련한 데이터를 서비스들을 검색할 때 사용하기 위해 저장할 수 있다. 유사도에 관한 결정은 단계 S1의 검색 동안 또는 그 후에 행해질 수 있다. 그 결론들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S2, S8 및 S16의 단계들에 이용된다.
단계 S2에서, 서비스가 발견되는 계층구성이 오래된 ESG 및 새로운 ESG에서 동일한지가 판단된다. 둘 이상의 계층구성들 하에서 둘 다 또는 어느 하나의 ESG에서 서비스가 발견되는 경우, 어떠한 일치라도 있다면 긍적적인 판정이 이루어진다. 긍정적인 판정은 단계 S4로 진행되게 한다.
단말기는 단계 S4에서 서비스를 위한 보호_id가 양 ESG들에서 동일한지를 점검하는데, 반드시 그런 경우는 아니기 때문이다. 보호_id가 동일하다면 또는 제공되지 않는다면, 단계 S5에서 핸드오버는 서비스의 중단 없이 스무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동일하지 않다면, 그 사실은 단계 S6에서 사용자에게 통지된다. 여기서, 사용자에게는 서비스, 또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번들들을 구매하는 가능성들에 관련한 정보가 주어질 수도 있다. 새로운 영역에서 서비스의 가격은 다른 영역들에서 서비스를 가입 또는 구매한 사용자들에 대해 다를 수 있다. 가입 또는 구매 데이터는 가격결정의 목적을 위해 오퍼레이터 또는 서비스제공자에게 적절히 전달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 S5에서 새로운 ESG는 동일한 오퍼레이터에 관련되고 프로그램이 다른 채널로 제공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는 다른 오퍼레이터나 오퍼레이터들에게 관련된 새로운 ESG가 공통의 프로그램 식별자들에 일치한다고 추정된다. 프로그램은 단계 S7에서 소비된다.
동일한 세션_id가 단계 S1에서 발견되지 않는다면, 동일한 서비스(서비스_id에 의해 식별됨)가 새로운 ESG에서 발견되는지가 단계 S3에서 판단된다. 이 서비스는 새로운 ESG에 어느 때에나 반드시 동일한 카테고리 내에 있을 필요없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동일한 서비스가 발견된다면, 단말기는 단계 S8에서 새로운 ESG 및 오래된 ESG가 서비스들의 레벨로 내려가는 동일한 계층구성을 가지는지를 판단한다. 사용자에게는 긍정적인 결과가 통지되고, 그때 현재의 프로그램은 단계 S9에서 사용자에게 즉시 또는 사용자가 현재의 프로그램의 수신을 수락한 후에 보여진다. 수신된 서비스가 파일다운로드 캐러셀로부터 다운로드된 파일이었다면, 단계 S9는 동일한 세션_id를 위해 캐러셀을 검색하는 것에 관계가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게는 파일다운로드처리 시에 중단이 가능함이 통지된다. 단말기 및 서비스 능력들에 의존하여, 다운로드는 인터럽트되고 버려지거나 또는 새로운 다운로드 캐러셀로부터 다시 시작된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 S9는 단말기가 사용자에게 사용자인터페이스(23)를 통해 동일한 카테고리 및/또는 서브카테고리를 갖는 서비스세트로 현재의 프로그램들 중의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것에 관계된다. 그것들의 제목들 또는 다른 설명데이터는 이 제공물의 부분으로서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그러면 사용자는 보여진 프로그램들 중의 하나를 보거나 수신하기 위해 선택/수락할 수 있다. 단계 S8이 부정적 결과를 반환한다면, 단말기는 단계 S10에서 사용자에게 사용자인터페이스(23)를 통해 그 서비스세트의 현재의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제공한다.
단계 S3에서 동일한 서비스_id가 발견되지 않는다면, 단계 S11에서는 동일한 서비스_세트_id(즉 동일 채널)이 발견되는지가 판단된다. 그렇다면 단말기는 단계 S12에서 디폴트 서비스가 이 채널을 위해 정해지는지를 점검한다. 디폴트 서비스가 정해진다면, 단말기는 단계 S13에서 사용자에게 그것을 통지하고 디폴스 서비스(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시작한다. 대안으로, 단말기는 디폴트 서비스를 보여주기 전에 그 디폴트 서비스의 수락을 요구할 수 있다. 단계 S12가 정해진 디폴트 서비스가 없다는 것을 드러낸다면, 단계 S14에서 사용자에게는 이 채널에서 이용가능하며 임의의 적당한 규준들에 따라 선택되는 서비스들(프로그램들) 중의 하나 이상의 소비를 선택하는 옵션이 제시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제시된 프로그램들 중의 하나(또는 하나만 디스플레이된다면 그 프로그램)를 보기 위해 선택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는 사용자가 ESG의 적당한 부분을 고를 수 있다.
동일한 채널이 단계 S11에서 발견되지 않는다면, 단말기는 단계 S15에서 동일한 카테고리(카테고리_id를 통해 식별됨)가 발견되는지를 판단한다. 그렇다면, 단계 S16에서 카테고리 계층구성에서 유사성이 있는지를(즉, 하나를 넘는 유사한 카테고리가 발견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긍정적인 결과에 대해,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단계 S17에서 하나 이상의 채널들(하나 이상의 서비스_세트_id)의 목록을 보여준다. 부정적인 결과에 대해, 카테고리들/서브카테고리들에는 유사성이 없다고 추정되고, 사용자에게는 단계 S18에서 ESG의 적당한 부분, 예를 들면 ESG루트(root) 또는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관련된 시작페이지 또는 유사물이 주어진다.
단계 S15에서 카테고리 일치가 발견되지 않는다면, 사용자에게는 ESG의 적당한 부분, 예를 들면 ESG루트 또는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관련된 시작페이지 또는 유사물이 주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 단말기는 서비스가 유사한지를 결정하기 위해 서비스의 장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것은 단계 S19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사용자인터페이스(23)를 이용하여 미리 제공된 사용자 선호정보 설정에 의존한다. 단계 S19에서, ESG의 부분을 형성하는 어떤 서비스들이 오래된 서비스와 동일한 장르를 가지는지가 결정된다. 어떤 그러한 서비스들이 존재한다면, 그것들은 단계 S20에서 선택을 위해 제시된다.
그 대신에 장르결정단계(S19)는 도 8의 서비스결정처리의 임의의 다른 단계에서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S19는 단계 S1, S3 및 S11의 어느 것에서의 부정적인 결정에 바로 뒤따를 수도 있다.

Claims (24)

  1. 이동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이용가능한 브로드캐스트 프로그램들에 관련한 데이터로서 각각의 이용가능한 브로드캐스트 프로그램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제1네트워크영역에서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이동단말기에 저장하는 단계;
    제1네트워크영역에서 송신기로부터 제1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동안, 제2네트워크영역으로의 핸드오버에 관한 필요를 검출하는 단계;
    이용가능한 브로드캐스트 프로그램들에 관련한 데이터로서 각각의 이용가능한 브로드캐스트 프로그램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제2 네트워크 영역에서 이용하여 제1프로그램이 제2네트워크영역에서 이용가능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이용가능하다면 제2네트워크영역에서 송신기로부터 제1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 및
    그렇지 않다면 제2네트워크영역에서 상기 제1 프로그램에 관련한 상기 데이터와 이용가능한 브로드캐스트 프로그램들에 관련한 상기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제2네트워크영역에서 이용가능하고 상기 제1 프로그램과 공통으로 하나 이상의 식별자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결정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다른 프로그램들을 식별하고, 후속하여 제2네트워크영역 송신기로부터 상기 다른 프로그램들 중의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사익 제1프로그램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프로그램들을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제시하는 단계는 제1프로그램 또는 각각의 다른 프로그램으로써 그 다른 프로그램에 그리고 상기 제1프로그램에 공통인 하나 이상의 데이터요소들을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2네트워크영역의 송신기로부터 상기 다른 프로그램들 중의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사용자 확인을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다른 프로그램들 중의 하나를 선택할 것을 그것을 제2네트워크영역의 송신기로부터 수신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용가능한 브로드캐스트 프로그램들에 관련한 데이터는 계층적 분류 구조를 가지는 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이용가능한 브로드캐스트 프로그램들에 관련한 데이터는 각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이용가능한 브로드캐스트 프로그램들에 관련한 데이터는 각 프로그램에 대한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이용가능한 브로드캐스트 프로그램들에 관련한 데이터는 각 프로그램에 대한 채널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이용가능한 브로드캐스트 프로그램들에 관련한 데이터는 각 프로그램에 대한 카테고리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이용가능한 브로드캐스트 프로그램들에 관련한 데이터는 각 프로그램에 대한 장르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이용가능한 브로드캐스트 프로그램들에 관련한 데이터는 프로그램들의 송신 스케쥴들에 관련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법.
  15. 이용가능한 브로드캐스트 프로그램들에 관련한 데이터를 제1 및 제2 네트워크영역들에서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로서, 상기 데이터는 각 이용가능한 브로드캐스트 프로그램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수신기;
    상기 프로그램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이동단말기가 제1네트워크영역에서 송신기로부터 제1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동안 제2네트워크영역으로의 핸드오버의 필요를 검출하도록 동작 가능한 핸드오버 핸들러;
    이용가능한 브로드캐스트 프로그램들에 관련한 데이터를 제1 및 제2 네트워크영역들에서 이용하여 동일 프로그램이 제2네트워크영역에서 이용가능한지를 결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2 네트워크 영역에서 상기 제1프로그램에 관련한 데이터를 이용가능한 브로드캐스트 프로그램들에 관련한 데이터와 비교하여 제2 네트워크 영역에서 이용가능하고 제1 프로그램과 공통으로 하나 이상의 식별자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결정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다른 프로그램들을 식별하도록 구성된 프로그램데이터 처리기; 및
    제2네트워크영역의 송신기로부터 제1프로그램 또는 상기 다른 프로그램들 중 하나를 수신하도록 이동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제1프로그램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프로그램들을 제시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사용자인터페이스는 제1 또는 각각의 다른 프로그램으로써 그 프로그램에 그리고 제1프로그램에 공통인 하나 이상의 데이터요소를 나타내는 이동단말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제어기는 제2네트워크영역의 송신기로부터 상기 다른 프로그램들 중의 하나를 수신하기 전에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확인을 요구하는 이동단말기.
  19. 제15항에 있어서, 제어기는 둘 이상의 다른 프로그램들 중의 하나를 제2네트워크영역의 송신기로부터 수신하기 전에 그것을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이동단말기.
  20. 삭제
  21.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용가능한 프로그램들에 관련한 데이터는 계층적 분류 구조를 가지는 이동단말기.
  22. 삭제
  23. 제15항에 있어서, 이용가능한 브로드캐스트 프로그램들에 관련한 데이터는 각 프로그램에 대해 프로그램 식별자, 서비스식별자, 채널식별자, 카테고리식별자 및 장르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24. 제15항에 있어서, 이용가능한 브로드캐스트 프로그램들에 관련한 데이터는 프로그램들의 송신 스케쥴들에 관련한 데이터를 구비하는 이동단말기.
KR1020067006238A 2003-10-03 2004-09-29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및 이동단말기 KR100819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323214.7 2003-10-03
GB0323214A GB2406754A (en) 2003-10-03 2003-10-03 Same or similar service hando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048A KR20060060048A (ko) 2006-06-02
KR100819442B1 true KR100819442B1 (ko) 2008-04-04

Family

ID=29415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6238A KR100819442B1 (ko) 2003-10-03 2004-09-29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및 이동단말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697478B2 (ko)
EP (1) EP1687919B1 (ko)
KR (1) KR100819442B1 (ko)
CN (1) CN1860707A (ko)
AT (1) ATE465591T1 (ko)
DE (1) DE602004026765D1 (ko)
GB (1) GB2406754A (ko)
WO (1) WO20050343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89592A1 (en) * 2004-06-29 2005-12-29 Larri Vermola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listings
US8976767B2 (en) * 2004-09-24 2015-03-10 Simple 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over an 802.15.4 network
US7636340B2 (en) * 2004-09-24 2009-12-22 Simple 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over an 802.15.4 network
US7486640B2 (en) * 2004-10-20 2009-02-03 Nokia Corporation Signaling mechanism for handover in digital broadcasting
US9084178B2 (en) 2005-02-08 2015-07-14 Nokia Technologies Oy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s access
US7715842B2 (en) * 2005-04-09 2010-05-11 Lg Electronics Inc. Supporting handover of mobile terminal
US20060262793A1 (en) * 2005-05-19 2006-11-2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handover between service delivery platforms by following content
JP4781719B2 (ja) 2005-05-31 2011-09-28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
US7574212B2 (en) * 2005-06-22 2009-08-11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mmunication sessions during multi-mode mobile station handoff
JP2009506644A (ja) * 2005-08-24 2009-02-12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複数の送信領域の存在下でディジタル地上波テレビジョン番組を移動取得する方法
US7873974B2 (en) * 2005-09-19 2011-01-18 Sony Corporation Identification of television programming using a portable wireless device
US7344084B2 (en) * 2005-09-19 2008-03-18 Sony Corporation Portable video programs
KR100735399B1 (ko) 2005-09-23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055258B2 (en) 2005-10-14 2011-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aming service method in a mobile broadcasting system, and system thereof
KR100856256B1 (ko) 2005-10-14 200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및방법
KR100698115B1 (ko) * 2005-10-28 2007-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로밍 기능을 갖는 모바일 방송단말기 및 로밍 방법
US8763036B2 (en) * 2005-11-04 2014-06-24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indicating service types in the service guide
KR100701774B1 (ko) 2005-12-23 2007-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셀 방송 메시지의 업데이트 방법 및그 이동 통신 단말기
EP1811767A1 (en) * 2006-01-19 2007-07-25 Motorola, Inc. Enhanced digital video broadcast idle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9326221B2 (en) * 2006-01-26 2016-04-26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system for signaling neighboring signals in TPS bits
US8127041B2 (en) * 2008-05-09 2012-02-28 Roundbox, Inc. Datacasting system with automatic delivery of service mangement capability
US7778638B2 (en) * 2006-02-28 2010-08-1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roaming in broadcast service and system and terminal thereof
KR101340720B1 (ko) * 2006-03-24 2013-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서비스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07136196A1 (en) 2006-05-18 2007-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encrypted electronic service guide in dvb-h cbms system
KR100800737B1 (ko) * 2006-06-23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Dvb-h 시스템에서 유사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0842621B1 (ko) * 2006-08-07 2008-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KR100827103B1 (ko) * 2006-08-08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방송 단말기에서 파일 다운로드 정보 표시장치 및 방법
US8346945B2 (en) * 2006-09-14 2013-01-01 Nokia Corporation Dynamic SDP update in IPDC over DVB-H
WO2008056909A1 (en) * 2006-11-07 2008-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vice variation information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20080127291A1 (en) * 2006-11-08 200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service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100832318B1 (ko) * 2006-12-19 2008-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버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및방법
KR101308856B1 (ko) * 2006-12-28 2013-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방송 단말기에서 ip 플랫폼 전환 제어 방법
US7912057B2 (en) 2007-01-12 2011-03-22 Wi-Lan Inc. Convergence sublayer for use in a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US8774229B2 (en) * 2007-01-12 2014-07-08 Wi-Lan, Inc. Multidiversity handoff in a wireless broadcast system
US8064444B2 (en) * 2007-01-12 2011-11-22 Wi-Lan Inc.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US7944919B2 (en) * 2007-01-12 2011-05-17 Wi-Lan, Inc. Connection identifier for wireless broadcast system
KR100957390B1 (ko) * 2007-01-19 201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및 로밍을 지원하기 위한이동성 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8548520B2 (en) 2007-01-26 2013-10-01 Wi-Lan Inc. Multiple network access system and method
KR100824321B1 (ko) * 2007-02-16 2008-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재생 방법
US9294208B2 (en) * 2007-03-02 2016-03-22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Method and system to signal network information in TPS bits
US7903604B2 (en) 2007-04-18 2011-03-08 Wi-La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scheduler for a macro-diversity portion of a transmission
EP2140580B1 (en) 2007-04-18 2017-02-22 Wi-LAN Inc. Base station synchronization for a single frequency network
KR101377954B1 (ko) * 2007-06-13 2014-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정보 수신 방법
CN101119455B (zh) * 2007-09-13 2012-04-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在手机电视中快速显示节目信息的方法
WO2009079653A2 (en) * 2007-12-18 2009-06-25 Zte U.S.A., Inc. Wimax multicast broadcast services (mbs) efficient handover and power saving support for intra and inter-mbs zones
KR20090076689A (ko) * 2008-01-09 2009-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전자 서비스 가이드를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90076765A (ko) * 2008-01-09 2009-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모바일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전자 서비스 가이드발견 방법 및 장치
JP4609506B2 (ja) * 2008-03-05 2011-01-12 ソニー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20090253416A1 (en) * 2008-04-04 2009-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user defined bundle in a mobile broadcast system
KR101523377B1 (ko) * 2008-05-29 2015-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1677259A (zh) * 2008-09-16 2010-03-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服务端下发电子业务指南及终端获取电子业务指南的方法
KR20100039622A (ko) * 2008-10-08 2010-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101611168B1 (ko) * 2008-10-09 2016-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일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과정에서 핸드오버 또는 로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8811302B2 (en) * 2009-03-26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Regulating the scope of service geographically in wireless networks
EP2262137A1 (en) * 2009-06-10 2010-12-15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providing multicast services
CN101588616B (zh) * 2009-06-12 2011-02-16 华为终端有限公司 保证终端的业务服务连续的方法及装置
KR20110009569A (ko) 2009-07-22 2011-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DE102010040589A1 (de) * 2009-09-11 2011-04-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Verfahren zur Übergabe zwischen einem Kommunikationsnetz und einem Rundfunknetz zur Bereitstellung von Rundfunkinhalt, Kommunikationsnetz-Übergabesteuergerät, und Rundfunknetz-Übergabesteuergerät
US9331800B2 (en) 2009-11-24 2016-05-03 Qualcomm Incorporated Virtual home channel for mobile broadcast networks
KR101637388B1 (ko) * 2010-03-03 201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esg 관리 방법
CN104737514B (zh) * 2012-10-23 2018-08-17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分布媒体内容服务的方法和设备
KR102094505B1 (ko) * 2013-10-04 2020-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에 의한 BLE(Bluetooth Low Energy) 패킷 브로드캐스트 방법, 디바이스에 의한 AP(application processor)의 동작 모드 조절 방법
MX368686B (es) 2014-07-14 2019-10-11 Sony Corp Dispositivo de transmisión, método de transmisión, dispositivo de recepción y método de recepción.
US10602213B2 (en) 2017-06-27 2020-03-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ellular broadcast streaming media sele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2076A1 (en) 2000-03-21 2001-09-27 Nokia Corporation Handover in a multi-bearer-type network
US20020166128A1 (en) 2000-07-28 2002-11-07 Tamotsu Iked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20030032389A1 (en) 2001-08-07 2003-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elevision broadcasting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4989A (ko) 1997-03-28 1998-11-05 배순훈 알디에스방송수신용 카오디오의 이오엔정보저장처리방법
US6205126B1 (en) 1997-09-30 2001-03-20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an ISP local access number based on device location
US6968364B1 (en) * 2000-03-30 2005-11-2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selection and programming of an associated audio/visual system
US7213256B1 (en) * 2000-12-29 2007-05-01 Dan Kikinis Method and apparatus for finding the same of similar shows
JP4321073B2 (ja) * 2002-03-22 2009-08-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メディア受信装置
US7313375B2 (en) * 2002-05-02 2007-12-25 Lucent Technologies Inc. Follow-me broadcast reception method and system
US6977914B2 (en) * 2002-12-23 2005-12-20 Nokia Corporation Broadcast hand-over in a wireless networ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2076A1 (en) 2000-03-21 2001-09-27 Nokia Corporation Handover in a multi-bearer-type network
US20020166128A1 (en) 2000-07-28 2002-11-07 Tamotsu Iked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20030032389A1 (en) 2001-08-07 2003-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elevision broadcasting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87919A1 (en) 2006-08-09
ATE465591T1 (de) 2010-05-15
EP1687919B1 (en) 2010-04-21
GB2406754A (en) 2005-04-06
GB0323214D0 (en) 2003-11-05
US20060262751A1 (en) 2006-11-23
DE602004026765D1 (de) 2010-06-02
WO2005034396A1 (en) 2005-04-14
CN1860707A (zh) 2006-11-08
US7697478B2 (en) 2010-04-13
KR20060060048A (ko) 200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442B1 (ko)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및 이동단말기
US10244287B2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US7843864B2 (en) Providing service selection and obtaining services
US9331802B2 (en) Identifying scope ESG fragments and enabling hierarchy in the scope
US8145120B2 (en) Apparatus,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rvice selection and sorting
US7870377B2 (en) Automatic electronic-service-guide selection
KR101309421B1 (ko) 비디오 컨텐츠 아이템들의 수신자들을 관심 있는 비디오 컨텐츠 아이템들로 안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800407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 service in a DVB-H CBMS system
KR20080054434A (ko) 모바일 tv 채널 및 서비스 액세스 필터링
MX2007012072A (es) Contenedor de guia de servicio electronico mejorado.
US20190261253A1 (en) Broadcast identifier signaling
CN101127827B (zh) 在dvb-h系统中优化esg数据传输的系统和方法
US20180359518A1 (en) Service list
KR20080061579A (ko) 듀얼모드 단말에서 유사 방송 서비스 표시 방법
RU2380856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приема сообщения уведомления в системе широковещательной передачи, и система для этог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