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1579A - 듀얼모드 단말에서 유사 방송 서비스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모드 단말에서 유사 방송 서비스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1579A
KR20080061579A KR1020060136474A KR20060136474A KR20080061579A KR 20080061579 A KR20080061579 A KR 20080061579A KR 1020060136474 A KR1020060136474 A KR 1020060136474A KR 20060136474 A KR20060136474 A KR 20060136474A KR 20080061579 A KR20080061579 A KR 20080061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broadcast
services
group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6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철
김영집
정지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6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1579A/ko
Publication of KR20080061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15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2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by placing content in organized collections, e.g. local EPG data reposit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방송 표준을 지원하는 듀얼모드 단말에서 서로 다른 방송 서비스 간에 유사한 서비스를 묶어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방송 서버로부터 연계 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접속정보가 설정된 ESG 데이터가 수신되면, 단말은 그 ESG 데이터로부터 현재 DVB-H 서비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링킹(linking) 정보를 찾아 저장한 후, 방송 서비스 목록에 대한 표시 요청이 입력되면 서비스 링킹 정보를 참조하여 연계 서비스 목록을 구성하여 표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매번 방송 모드를 변경하지 않고도 한번에 통합 방송 서비스 목록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DMB, DVB-H, 서비스 링킹 정보

Description

듀얼모드 단말에서 유사 방송 서비스 표시 방법{METHOD FOR DISPLAYING SIMILARITY BROADCASTING SERVICE IN DUAL MOD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DVB-H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의 내부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라 서비스 그룹 선택에 따른 서비스 시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그룹 리스트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라 서비스 그룹 내 상세 서비스 선택에 따른 서비스 시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라 선택된 서비스 그룹 내의 상세 서비스 목록이 표시되는 화면예시도.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DMB/DVB-H 방송 표준 을 지원하는 듀얼모드 단말에서의 방송 서비스 목록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방송이라 함은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을 대체하여 고화질과 고음질, 그리고 보다 높은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를 말한다. 최근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서비스가 이동형 방송 표준으로 제공되고 있는데, 유럽을 중심으로 정식 서비스가 시작될 예정인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 Held) 서비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이동형 방송 표준이 제안되면서 하나의 단말에서 두 가지 이상의 이동형 방송 표준을 지원하는 멀티모드 단말에 대한 개발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방송 서비스에서는 하나의 물리적인 채널에 다수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프로그램을 쉽게 선택하고, 선택한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해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단말에서는 채널 선택 및 선택된 채널의 방송 정보들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구비하는데, 특히 휴대용 단말의 경우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 방송 프로그램 정보의 표시를 보다 효율적으로 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한편, 현재 상기한 바와 같은 DMB/DVB-H 등의 두 가지 이상의 이동형 방송 표준을 지원하는 멀티모드 단말도 개발되고 있다. 멀티모드 단말의 한 예로 DMB와 DVB-H 표준을 동시에 지원하는 DMB/DVB-H 듀얼모드 단말을 들 수 있다. DMB/DVB-H 듀얼모드 단말의 가장 큰 장점은 하나의 단말로 DMB와 DVB-H 망을 통해 전송되는 서비스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DMB와 DVB-H의 서비스의 구성 정보 전송 방법이 상이하고, 서비스의 수도 많기 때문에 단말에서 효율적인 서비스 목록 표시 및 선택 방법을 제공하지 못하면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DVB-H 망을 통해 전송되는 서비스와 DMB 등의 DVB-H 이외의 전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서비스 간의 연계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듀얼모드 단말을 이용할지라도 서비스 목록을 선택하는데 있어 DMB 모드 또는 DVB-H 모드를 선택한 후 해당 모드 내에서 서비스를 선택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방송 표준 방식을 지원하는 듀얼모드 단말에서 서로 다른 방송 표준 방식의 서비스 간에 연계정보를 이용하여 유사 방송 서비스끼리 묶어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방송 표준 방식을 지원하는 듀얼모드 단말에서 서로 다른 방송 표준 방식을 사용하는 서비스 간에 연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유사 방송 서비스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방송 표준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에서 유사 서비스 표시 방법에 있어서, 제 1방송 표준에 따른 방송 서비스와 제 2방송 표준에 따른 방송 서비스 간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서비스 링킹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링킹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들 중 유사 서비스들끼리 그룹별로 묶어 통합 서비스 그룹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과, 서비스 그룹 목록 표시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통합 서비스 그룹 목록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방송 표준을 지원하는 듀얼모드 단말에서 서로 다른 방송 서비스 간에 유사한 서비스를 묶어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방송 서버로부터 연계 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접속정보가 설정된 ESG 데이터가 수신되면, 단말은 그 ESG 데이터로부터 현재 DVB-H 서비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링킹(linking) 정보를 찾아 저장한 후, 방송 서비스 목록에 대한 표시 요청이 입력되면 서비스 링킹 정보를 참조하여 연계 서비스 목록을 구성하여 표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매번 방송 모드를 변경하지 않고도 한번에 통합 방송 서비스 목록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DMB/DVB-H 시스템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DMB/DVB-H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DVB-H 시스템은 DVB-H 송신 서버(110), 듀얼모드 단말(120), DVB-H 망(130), DMB 망(140) 및 DMB 서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DVB-H 송신 서버(110)는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의 종류, 단말에서 방송을 서비스받는데 필요한 여러 정보, 예를 들어, IP 주소, 유료 서비스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ESG 데이터를 구성하여 브로드캐스팅한다. 그리고 현재 방송 중인 임의의 서비스 또는 채널과 관련된 연계 서비스가 존재하면, 상기 ESG 데이터 구성시 본 발명에 따라 서비스 링킹 정보(service linking information)를 포함시킨다.
여기서, 서비스 링킹 정보란 DVB-H 방송 서비스와 DMB 방송 서비스 간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임의의 채널과 연계된 채널들과 관련된 정보를 말한다. 이 서비스 링킹 정보는 채널 또는 컨텐츠에 대응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임의의 채널과 협약에 의해 서비스적으로 연계된 다른 채널, 또는 임의의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 또는 유사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로 다른 채널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A 채널의 방송 서비스 링킹 정보는 A 채널과 유사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B 채널, C 채널에 관한 정보일 수 있는데, 각 채널들 간의 연계 설정은 방송 사업자들의 협약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한국 방송의 스포츠 채널과 문화 방송의 스포츠 채널 간에 연계가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한국 프로 야구를 서비스하는 모든 채널 간에 연계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서비스 링킹 정보를 ESG 데이터에 추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ESG XML을 위한 데이터 타입에 트랜스포트 타입(transport type)과 링킹인포 타입(linkinginfo type)에 대한 스키마를 다음 표 1과 같이 추가한다.
<simpleType name="TransportType"> <restriction base="string"> <enumeration value="DVB-H"/> <enumeration value="WLAN"/> <enumeration value="WIBRO"/> <enumeration value="MBMS"/> <enumeration value="BCMCS"/> </restriction> </simpleType> <complexType name="LinkInfoType"> <sequence> <element name="Transport" type="esg:TransportType"> <element name="PlatformID" type="anyURI" minOccurs="0"/> <element name="ServiceID" type="anyURI" minOccurs="0"/> <element name="ContentID" type="anyURI" minOccurs="0"/> <element name="SessionDescription" type="string" minOccurs="0"/> </sequence> <attribute name="SH" type="boolean" use="required"/> </complexType>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서비스 링킹 정보는 트랜스포트(Transport) 정보, IP 플랫폼 ID 정보, 서비스 ID 정보, 컨텐츠 ID 정보, 세션디스크립션(SessionDescription) 정보, 유사도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트랜스 포트 정보는 연계된 채널을 제공하는 방송망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DVB-H, WLAN, WIBRO, MBMS, BCMCS 등을 나타내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IP 플랫폼 ID는 해당 방송망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채널 중 실질적으로 연계된 채널에 대한 정보로서, 연계된 서비스가 DVB-H 망으로 전송되고 있는 경우, 연계된 서비스가 소속된 IP 플랫폼의 ID이다. 상기 서비스 ID 정보는 연계된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로서, 연계된 서비스가 DVB-H 망으로 전송되고 있는 경우, 연계된 서비스의 서비스 ID이다. 상기 컨텐츠 ID 정보는 연계된 채널이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서, 연계된 컨텐츠가 DVB-H망으로 전송되고 있는 경우, 연계된 컨텐츠의 컨텐츠 ID이다.
상기 세션디스크립션 정보는 연계된 서비스에 실제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다. DVB-H 망으로 전송되는 연계 서비스에 대해서는 세션디스크립션을 통해 SDP정보가 전송된다. 연계 서비스가 DVB-H 이외의 망으로 전송될 경우에는 세션디크립션에 해당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한 IP address 등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유사도 정보란 연계된 채널에서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또는 컨텐츠들의 유사도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동일한 컨텐츠가 제공되는지, 유사 컨텐츠가 제공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연계된 컨텐츠가 유사 컨텐츠인 경우 소프트 링크(soft link)라하고, 연계된 컨텐츠가 동일 컨텐츠인 경우 하드 링크(hard link)라고 한다.
그리고 현재 DVB-H 송신 서버(110)가 송신중인 서비스 임의의 서비스 또는 임의의 채널에 연계된 서비스가 존재하고, 상기 연계된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링킹 정보가 ESG 데이터에 존재함을 나타내기 위해 다음 표 2와 같이 ESG의 서비스 프래그먼트 스키마에 상기 서비스 링킹과 관련된 엘리먼트를 추가한다.
<complexType name="ServiceType"> <sequence> <element name="ServiceName" type="tva:ServiceInformationNameType" maxOccurs="unbounded"/> <element name="ServiceNumber" type="unsignedShort" minOccurs="0"/> <element name="ServiceLogo" type="mpeg7:TitleMedia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element name="ServiceDescription" type="tva:Synopsis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element name="ServiceGenre" type="tva:Genre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element name="ServiceType" type="tva:ControlledTerm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element name="ParentalGuidance" type="mpeg7:ParentalGuidance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element name="ServiceLanguage" type="language" minOccurs="0" /> <element name="ServiceProvider" type="esg:ProviderType" minOccurs="0" /> <element name="AcquisitionRef" type="esg:AcquisitionRef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element name="RelatedMaterial" type="esg:RelatedMaterial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element name="LinkedService" type="esg:LinkInfoType" minOccurs="0"/> <element name="PrivateData" type="esg:PrivateData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 </sequence> <attribute name="serviceID" type="anyURI" use="required"/> <attribute name="freeToAir" type="boolean" use="optional"/> <attribute name="clearToAir" type="boolean" use="optional"/> </complexType>
상기 표 2에서, 새롭게 추가된 엘리먼트는 LinkedService이고 이 엘리먼트를 통해 현재 서비스와 연계된 서비스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현재 DVB-H 송신 서버(110)가 송신중인 임의의 컨텐츠에 연계된 서비스가 존재하고, 상기 연계된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링킹 정보가 ESG 데이터에 존재함을 나타내기 위해 다음 표 3과 같이 ESG의 컨텐츠 프래그먼트 스키마에 상기 서비스 링킹과 관련된 엘리먼트를 추가한다.
<complexType name="ContentType"> <sequence> <element name="Title" type="mpeg7:Title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element name="MediaTitle" type="mpeg7:TitleMedia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element name="ServiceRef" type="esg:ESGIDRef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element name="Synopsis" type="tva:Synopsis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element name="Keyword" type="tva:Keyword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element name="Genre" type="tva:Genre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element name="ContentType" type="tva:ControlledTerm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element name="ParentalGuidance" type="mpeg7:ParentalGuidance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element name="Language" type="mpeg7:ExtendedLanguage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element name="CaptionLanguage" type="tva:CaptionLanguage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element name="SignLanguage" type="tva:SignLanguage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element name="CreditsList" type="tva:CreditsListType" minOccurs="0"/> <element name="RelatedMaterial" type="esg:RelatedMaterial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element name="Duration" type="duration" minOccurs="0"/> <element name="LinkedContent" type="esg:LinkInfoType" minOccurs="0"/> <element name="PrivateData" type="esg:PrivateData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 </sequence> <attribute name="contentID" type="anyURI" use="required"/> </complexType> </complexType>
상기 표 3에서, 새롭게 추가된 엘리먼트는 LinkedContent이고 이 엘리먼트를 통해 현재 컨텐츠와 연계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듀얼모드 단말(120)은 서비스 검색 과정을 통해 각 주파수로 전송되는 서비스 정보를 수집하여 서비스 목록을 생성한다. 서비스 정보는 DMB 모드에서 DMB 서버(150)로부터 DMB 망(140)을 통해서는 FIC로 전송되는 MCI/SI 정보에 실려 전송되며, DVB-H 모드의 경우 ESG를 통해 전송된다.
그러면 듀얼모드 단말(120)은 DVB-H와 DMB의 서비스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집하고, 서비스 정보 수집 과정에서 각 서비스에 대한 수신 신호 세기도 함께 수집한다. 듀얼모드 단말(120)은 DMB와 DVB-H의 서비스 정보를 모두 수집하면 DVB-H ESG의 서비스 프래그먼트(Service fragment) 또는 컨텐츠 프래그먼트(Content fragment)로 전송되는 서비스링킹 정보를 통해 DMB와 DVB-H 서비스 간 관계를 분석한다.
이하, 유사 방송 서비스를 그룹별로 묶어 표시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듀얼모드 단말(120)의 구성 요소 및 그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모드 단말은 제어부(200), 듀얼 수신부(210), 메모리(220) 및 표시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듀얼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서비스링킹 정보를 참조하여 DMB 서비스와 DVB-H 서비스 중 유사 서비스(동일 서비스 포함)를 구분하고, 유사 서비스는 하나의 서비스 그룹으로 분류한 후 이를 메모리(220)에 저장해놓는다. 향후,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목록 표시 요청이 입력되면 제어부(200)는 메모리(220)에 저장해놓은 서비스 그룹별로 분류된 서비스 목록을 표시부(230) 상에 표시한다.
듀얼 수신부(210)는 DMB 모드 또는 DVB-H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선택적으로 동작하며, DMB 서버 또는 DVB-H 서버로부터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다.
메모리(220)는 서로 다른 방송 표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목록을 그룹별로 분류한 통합 서비스 목록을 저장하며, 서비스 그룹별 제목(label)은 그 서비스 그룹을 구성하는 서비스 중 수집된 수신 신호 세기가 가장 높은 서비스의 제목으로 정하여 저장된다.
표시부(230)는 제어부(200)의 제어하에 메모리(220)에 저장된 통합 서비스 목록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통합 서비스 목록이 표시되는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서비스 그룹만을 선택하여 바로 서비스의 시작을 명령할 수도 있고, 다르게는 서비스 그룹 내 상세 서비스를 다시 탐색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세 서비스의 탐색을 요구하게 되면, 표시부(230)에는 서비스 그룹 내 각 서비스 제목이 표시되며, 그 제목과 함께 해당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송망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하, 서비스 목록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서비스 선택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에서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다음과 같이 분리하여 기술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는 서비스 그룹 제목을 선택하여 서비스의 시작을 요청할 때 서비스의 시작 과정을 설명하며,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는 서비스 그룹에 속하는 상세 서비스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될 때 서비스의 시작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라 서비스 그룹 선택에 따른 서비스 시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은 300단계에서 서비스를 그룹별로 표시하고 305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서비스 그룹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서비스를 그룹별로 표시한 화면 예는 도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그룹 리스트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로, 각 서비스 그룹 목록의 제목은 하나의 그룹으로 묶여진 유사 서비스 중 수신 신호 세기가 가장 높은 서비스의 제목으로 정해진다. 도 5와 같이 통합 서비스 그룹 목록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어느 한 서비스 그룹을 선택하여 서비스의 시작을 요청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서비스 그룹을 선택하게 되면 단말은 바로 서비스 수신을 시작하게 된다. 그 서비스 그룹 선택에 따른 동작 설명은 하기와 같다.
도 5와 같은 통합 서비스 그룹 목록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단말은 305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서비스 그룹이 있는지를 판단한 후 310단계에서 선택된 그룹 내에서 수신 신호 세기가 가장 높은 서비스를 파악하여 해당 서비스를 선택한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서비스 그룹을 통해 서비스의 시작을 명령할 경우, 단말은 서비스 그룹 내에서 수집된 수신 신호 세기가 가장 높은 서비스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서비스를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나서 단말은 315단계에서 선택된 서비스가 전송되는 방송망을 판단한다. 만일 선택된 서비스가 전송되는 방송망이 DMB 망일 경우 단말은 320단계로 진행하여 DMB 망을 통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듀얼 수신부(210)를 DMB 용도 즉, DMB 모드로 설정한다. 이와 달리 선택된 서비스가 전송되는 방송망이 DVB-H 망일 경우 단말은 325단계로 진행하여 듀얼 수신부(210)를 DVB-H 모드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듀얼 수신부를 통해 수신할 모드가 정해지면 단말은 330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서비스가 전송중인 주파수로 튜닝한 후 서비스 수신을 시작하게 된다. 한편, 서비스 수신을 수행하면서 단말은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서비스 품질을 항상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단말은 방송 수신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335단계에서 수신 신호 세기가 양호한지를 판단한다. 즉, 현재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송망으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세기가 수신 상태 불량을 나타내는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가 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판단 결과 수신 신호 세기가 양호한 경우 단말은 330단계로 되돌아가 서비스 수신을 계속적으로 수행한다. 이와 달리 수신 신호 세기가 양호하지 않은 경우 단말은 도 4의 340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도 3의 335단계와 도 4의 340단계가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심볼 A를 사용하였다.
340단계에서 단말은 서비스 그룹 내의 다른 서비스 중 현재 모드로 전송되는 서비스가 있는지를 판단한 후 해당 서비스가 있는 경우 345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모드로 전송되는 다른 서비스 중 수신 신호 세기가 가장 높은 서비스를 파악하여 그 서비스를 선택한다. 다시 말하면, 수집된 수신 신호 세기가 가장 높은 서비스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해당 서비스와 동일 모드로 전송되는 서비스 중 수집된 수신 신호 세기가 다음으로 높은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이다. 하지만 하나의 모드에서 어떠한 서비스도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모드를 전환한 후, 수집된 수신 신호 세기가 가장 높은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340단계에서 해당 서비스가 없는 경우 단말은 350단계로 진행하여 서비스 그룹 내의 다른 서비스 중 다른 모드로 전송되는 서비스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다른 모드로 전송되는 서비스가 있는 경우 단말은 355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모드로 전송되는 다른 서비스 중 수신 신호 세기가 가장 높은 서비스를 파악하여 그 서비스를 선택한다. 그리고나서 단말은 그 선택한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360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모드를 변경한다. 즉, 현재 모드가 DVB-H 모드일 경우에는 듀얼 수신부(210)를 DMB 모드로 설정하고, DMB 모드일 경우에는 듀얼 수신부(210)를 DVB-H 모드로 설정한다. 한편, 350단계에서 다른 모드로 전송되는 서비스도 없을 경우에는 단말은 365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게 방송 수신이 불가능함을 알린다.
이와 같이 수신 신호가 가장 높은 서비스를 선택하게 되면 단말은 37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서비스가 종료되지 않는 한 도 3의 330단계로 되돌아가 선택된 서비스가 전송중인 주파수로 튜닝 후 서비스 수신을 계속하게 된다. 여기서, 도 4의 370단계와 도 3의 330단계가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심볼 B를 사용하였다.
한편, 전술한 바에서는 특정 서비스 그룹에 대한 선택만으로도 서비스가 시작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하기에서는 서비스 그룹 내의 상세 서비스를 탐색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사용자가 정한 우선 순위순으로 또는 사용자가 직접 하나의 서비스를 선택할 경우를 설명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라 서비스 그룹 내 상세 서비스 선택에 따른 서비스 시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우선 순위에 따라 서비스가 시작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은 도 5와 같은 서비스 그룹 목록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60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서비스 그룹 선택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하나의 서비스 그룹이 선택되면 단말은 605단계로 진행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서비스 그룹 내의 상세 서비스 목록을 표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라 선택된 서비스 그룹 내의 상세 서비스 목록이 표시되는 화면예시도로, 서비스 그룹 내 각 상세 서비스는 서비스 제목과 함께 해당 서비스가 전송되는 방송방도 함께 표시된다. 이러한 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하나의 서비스 그룹 내에서 다수의 서비스를 동시에 여러 개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여러 개의 서비스를 선택할 때 우선 순위를 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610단계에서 그 상세 서비스 목록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정해된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서비스를 선택한다. 즉, 사용자가 여러 개의 서비스에 우선 순위를 부여한 경우, 단말은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서비스에 대한 수신을 시작하게 된다. 이어, 단말은 선택된 우선 순위가 높은 서비스를 시작하는데 있어, 615단계에서 현재 모드와 선택된 서비스가 전송되는 모드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일치할 경우 단말은 바로 625단계로 진행하여 모드 변경없이 서비스 수신을 시작하게 되지만,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620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듀얼 수신부(210)를 해당 서비스에 대한 모드로 설정하여 서비스를 수신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현재 모드가 DMB 모드이며, 선택된 서비스는 DVB-H 방송망을 통해 제공되는 것이라면 단말은 듀얼 수신부(210)를 DVB-H 모드로 설정하여 서비스 수신을 시작하게 된다. 이와 달리 현재 모드가 DVB-H 모드이며, 선택된 서비스도 DVB-H 방송망을 통해 제공되는 것이라면, 단말은 듀얼 수신부(210)의 모드를 그대로 유지한 채 서비스 수신을 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당 서비스가 전송 중인 주파수로 튜닝 후 서비스를 수신하는 상태에서 단말은 630단계에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수신 신호 세기가 양호한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단말은 수신 신호 세기가 양호할 경우에는 현재 모드를 계속해서 유지하면서 서비스를 제공하며, 수신 신호 세기가 양호하지 않을 경우에는 635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우선 순위의 서비스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즉, 서비스 진행 중에 해당 서비스의 수신 환경이 나빠져서 더이상 수신이 불가능할 경우, 단말은 다음 우선 순위의 서비스에 대한 수신 환경을 확인한다.
따라서, 635단계에서 판단 결과 다음으로 우선 순위가 높은 서비스가 존재할 경우에는 640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우선 순위의 서비스를 선택하고, 해당 서비스가 없을 경우에는 645단계로 진행하여 방송 수신이 불가능함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와 같이 수신 환경이 나쁘면 그 다음 우선 순위의 서비스에 대한 수신환경을 확인한다. 그리고나서 650단계에서 서비스 종료가 되지 않는 한 615단계로 되돌아가 전술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가 유사 서비스 간 우선 순위를 지정하여 핸드오버 시 선호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서비스받을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에서는 사용자가 상세 서비스 목록 중 여러 개의 서비스를 선택하여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사용자는 직접 상세 서비스 목록 중에서는 하나의 서비스만을 선택하여 서비스 시작을 요청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듀얼모드 단말은 서비스 링킹 정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방송 표준 방식에 따른 서비스 간에 유사 서비스를 묶어서 하나의 통합 서비스 목록을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서비스 목록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통합 서비스 목록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모드 간 전환 없이도 한번에 모든 서비스 리스트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선 순위를 사용자가 정할 수 있어 선호하는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서로 다른 방송 표준을 지원하는 듀얼모드 단말에서 유사 방송 서비스 표시 방법에 있어서,
    제 1방송 표준에 따른 방송 서비스와 제 2방송 표준에 따른 방송 서비스 간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서비스 링킹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링킹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들 중 유사 서비스들끼리 그룹별로 묶어 통합 서비스 그룹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과,
    서비스 그룹 목록 표시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통합 서비스 그룹 목록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방송 서비스 표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방송 표준 및 상기 제 2방송 표준은,
    각각 DMB 및 DVB-H에 대응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방송 서비스 표시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링킹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임의의 DVB-H 서비스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계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링킹 정보가 포함되어 수신되는 ESG 데이터로부터 획득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방송 서비스 표시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서비스 그룹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서비스 그룹 내에서 수신 신호 세기가 가장 높은 서비스를 파악하여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서비스가 전송되는 방송 표준망에 따른 모드를 설정하여 상기 선택된 서비스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방송 서비스 표시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서비스를 수신하는 상태에서 수신신호 세기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가 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신호 세기가 상기 임계값 이하가 되면 상기 선택된 서비스 그룹 내의 다른 서비스 중 현재 모드로 전송되는 서비스를 파악하는 과정과,
    상기 파악된 서비스 중 수신 신호 세기가 가장 높은 서비스를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방송 서비스 표시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모드로 전송되는 서비스가 없을 경우 상기 선택된 그룹 내의 다른 서비스 중 다른 모드로 전송되는 서비스를 파악하는 과정과,
    상기 파악된 서비스 중 수신 신호 세기가 가장 높은 서비스를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방송 서비스 표시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서비스 그룹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서비스 그룹의 상세 서비스 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상세 서비스 목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에 대한 우선 순위가 정해지면, 정해진 우선 순위에 따라 서비스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서비스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사 방송 서비스 표시 방법.
KR1020060136474A 2006-12-28 2006-12-28 듀얼모드 단말에서 유사 방송 서비스 표시 방법 KR200800615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474A KR20080061579A (ko) 2006-12-28 2006-12-28 듀얼모드 단말에서 유사 방송 서비스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474A KR20080061579A (ko) 2006-12-28 2006-12-28 듀얼모드 단말에서 유사 방송 서비스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1579A true KR20080061579A (ko) 2008-07-03

Family

ID=39813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474A KR20080061579A (ko) 2006-12-28 2006-12-28 듀얼모드 단말에서 유사 방송 서비스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15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600B1 (ko) * 2009-08-11 2013-0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신호 수신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600B1 (ko) * 2009-08-11 2013-0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신호 수신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442B1 (ko) 브로드캐스트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및 이동단말기
US7957747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quick service access
US8005987B2 (en) Multi-representation media event handoff
KR101340720B1 (ko)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서비스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7870377B2 (en) Automatic electronic-service-guide selection
US20060015908A1 (en) Multiple services within a channel-identification in a device
US20090328099A1 (en) Broadcast system with a local electronic service guide generation
US200703002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imilar broadcasting service in dvb-h system
US200702343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lectronic service guide of interaction channel in a digital video broadcasting system
WO2007034381A2 (en) Transmission of pre-set channel allocation information
US200602883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US201001155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electronic service guide b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system
KR100827156B1 (ko) 방송 화면 구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dvb―h 시스템
KR20080061579A (ko) 듀얼모드 단말에서 유사 방송 서비스 표시 방법
KR20100132153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방송 채널 미리 보기 방법 및 장치
CN1929348B (zh) 提供服务链接信息的方法和切换服务的方法
US2007029472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SG in a digital video broadcasting system
KR100703852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 전화 단말기에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US20120167138A9 (en) Method for receiving and sending media, user equipment, and service guide server
KR101058244B1 (ko) 베이직 전자 가이드를 기반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베이직 전자 가이드 제공 방법 및 모바일 디지털 방송 시스템
KR20120114572A (ko) 방송을 포함한 실시간 음성 및 영상 수신 장치 및 상기 수신 장치의 채널 공유 방법
KR20080024813A (ko) 휴대용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저장 장치 및 방법
US20110047587A1 (e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KR20060063412A (ko) 방송재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