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320B1 - 굴진기용 압륜 - Google Patents

굴진기용 압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9320B1
KR100819320B1 KR1020030082787A KR20030082787A KR100819320B1 KR 100819320 B1 KR100819320 B1 KR 100819320B1 KR 1020030082787 A KR1020030082787 A KR 1020030082787A KR 20030082787 A KR20030082787 A KR 20030082787A KR 100819320 B1 KR100819320 B1 KR 100819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ulsion
excavator
propulsion pipe
jac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2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9018A (ko
Inventor
남장현
김정근
박정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30082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9320B1/ko
Publication of KR20050049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5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by forcing prefabricated elements through the ground, e.g. by pushing lining from an access pit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40Devic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or placing units of linings or supporting units for tunnels or gall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8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tu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진잭과 연결되어 굴진기 또는 추진관에 추진잭의 압력을 전달하는 압륜으로서, 상기 굴진기 또는 추진관의 후미에 밀착되는 환형의 몸체, 상기 굴진기 또는 추진관의 단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원주면에 형성된 단턱, 상기 굴진기와 연결되는 각종 배선이 상기 몸체의 측면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원주면에 형성된 절개부, 및 상기 추진잭의 추력을 굴진기 또는 추진관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상기 몸체의 형태가 상기 절개부로 인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절개부에 끼워지는 고정편을 포함한다. 이 압륜을 이용하면 굴진기를 전진시키기 위해 계속적으로 설치되는 추진관의 연결작업시간이 단축되므로 전체적인 터널공사의 작업속도가 빨라진다.

Description

굴진기용 압륜{THRUST RING FOR TUNNELING MACHINE}
도 1은 일반적인 비개착 터널공사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비개착 터널공사에 사용되는 종래 압륜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륜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 3을 이용한 비개착 터널공사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굴진기 110 : 추진관
120 : 추진잭 130, 200 : 압륜
210 : 단턱 220 : 절개부
230 : 고정편 240 : 플랜지
본 발명은 추진잭의 압력을 추진관 또는 굴진기에 전달하는 압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추진관의 추가 설치작업마다 수행하는 각종 배선의 분리 결합 횟수를 줄일 수 있는 굴진기용 압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선과 전력선의 지하매설이 전신주를 이용한 공사보다 일반화되면서 지층에 터널을 뚫는 굴진작업이 빈번히 행해지고 있다. 굴진작업은 전면에 다수의 커터가 장착된 굴진기와 이 굴진기를 터널 깊숙이 미는 추진관 및 이 추진관에 추력을 제공하는 추진잭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비개착 터널공사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터널의 제일 안쪽에는 굴진기(1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굴진기(100)의 뒤쪽으로는 복수개의 추진관(110)이 연결되어 있다. 일렬로 배열된 추진관 중 맨 끝에 위치한 추진관(110)에는 추진잭(120)이 연결되어 있다. 추진잭(120)은 추진관(110)을 터널 방향으로 힘을 가해 추진관(110)의 맨 앞 쪽에 결합된 굴진기(100)를 전진시킨다.
추진관(110)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며, 추진잭(120)은 유압에 의해 이동되는 피스톤으로 힘을 전달한다. 때문에, 추진잭(120)을 추진관(110)에 바로 연결하여 힘을 전달하면 콘크리트로 된 추진관(110)이 부분적으로 깨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추진관(110)과 추진잭(120) 사이에는 강재질의 압륜(130)이 설치된다. 도 2는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종래 압륜(130)을 나타낸 것이다. 종래 압륜(130)은 추진관 또는 굴진기의 단부와 일치되는 환형모양이다. 압륜(130)의 원주면에는 측면으로 돌출된 플랜지(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131)에는 추진잭(120)과 연결되기 위한 체결공(13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터널공사가 점차 진척됨에 따라 새로운 추진관(110)을 계속하여 연결 하게 된다. 이때, 새로운 추진관(110)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굴진기(100)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력선(150)을 분리하고 연결하는 작업을 반복해야 한다. 추진관(110)의 추가설치 작업을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추진관(110) 후미에 결합된 압륜(130)을 후퇴시켜 새로운 추진관(110)이 연결된 공간을 마련한다. 그런 다음, 전력선(150)을 분리하고 새로운 추진관(110)을 이전 추진관(110) 후미에 위치시킨다. 분리된 전력선(150)을 새로운 추진관(110)과 압륜(130) 내부로 관통시켜 빼낸 후 연결한다. 새로운 추진관(110)을 이전 추진관(110)에 연결한 후 압륜(130)을 새로운 추진관(110)의 후미에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다시 추진잭을 이용하여 추진관(110)을 터널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이와 같은 추진관(110) 추가작업은 거의 대부분 좁은 맨홀 내에서 이루어지는데, 전력선(150)의 연결단위가 통상 수십 미터에서 수백 미터에 이르므로 전력선(150)을 분리하고 연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계속적인 추진관(110)의 추가작업을 하면서 전력선(150)의 분리결합을 반복하게 되므로 연결부위(151)의 접촉상태가 나빠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종 배선의 분리결합 횟수를 줄여 굴진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굴진기용 압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추진잭과 연결되어 굴진기 또는 추진관에 추진잭의 압력을 전달하는 압륜으로서, 상기 굴진기 또는 추진관의 후미에 밀착되는 환형의 몸체; 상기 굴진기 또는 추진관의 단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원주면에 형성된 단턱, 상기 굴진기와 연결되는 각종 배선이 상기 몸체의 측면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원주면에 형성된 절개부, 및 상기 추진잭의 추력을 굴진기 또는 추진관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상기 몸체의 형태가 상기 절개부로 인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절개부에 끼워지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굴진기용 압륜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륜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압륜(200)은 전체적으로 환형모양이나, 실질적으로는 추진잭의 압력에 변형되지 않도록 두께가 두꺼운 도넛모양이다. 압륜(200)의 원주면에는 단턱(21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단턱(210)은 추진관(110)의 단부에 밀착되고, 단턱(210)이 형성된 압륜(200)의 원주면은 추진관(110)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압륜(200)과 추진관(110)의 접촉면적이 전체적으로 증대되어 압륜(200)과 추진관(110)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압륜(200)의 원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절개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개부(220)는 전력선(150)이 압륜(200)의 내부로 출입하기 위한 통로이다. 절 개부(220)의 양 측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압륜(200)은 추진잭(120)의 압력을 추진관(110)에 전달하는 매개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따라서 압륜(200)은 상당한 압력을 받는데, 원주면에 개방된 절개부(220)가 형성되어 있으면 압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위 절개부(220)에 결합되는 고정편(230)이 마련되어 있다. 고정편(230)의 양 측면에는 돌기(2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231)는 절개면에 형성된 홈과 일치되는 형태이다. 따라서, 고정편(230)은 홈에 끼워지는 돌기(231)에 의해 절개부(220)에 고정 결합된다. 고정편(230)의 윗면에는 고리(232)가 결합되어 있다. 이 고리(232)는 절개부(220)에 결합된 고정편(230)을 분리시키기 위한 일종의 손잡이이다.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압륜(200)이 추진잭(120)으로부터 힘을 전달 받는 과정에서 절개부(220)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만약 고정편(230)에 고리(232)와 같은 손잡이가 없으면, 추후 고정편(230)을 압륜(200)으로부터 분리시키는데 어려움을 격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편(230)의 윗면에 고리(232)를 결합시킨 것이다.
압륜(200)의 원주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240)가 있다. 이 플랜지(240)에는 추진잭(120)이 연결된다. 플랜지(240)와 추진잭(120)의 연결은 통상적으로는 볼트체결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플랜지(240)에는 이를 위해 체결공(241)이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형성된 압륜을 이용한 굴진작업을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을 이용한 비개착 터널공사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굴진기(100)를 터널내부에 설치한다. 전력선(150)에 일정수의 추진관(110)을 통과시킨다. 다수의 추진관(110)을 관통한 전력선(150)을 굴진기(100)에 연결한다. 굴진기(100)를 가동시켜 터널공사를 수행한다. 이때, 추진잭(120)을 이용하여 굴진기(100) 또는 굴진기(100)와 연결된 추진관(110)을 천천히 밀어 넣는다. 추진관(110)이 터널내부로 완전히 유입되면, 추진잭(120)과 연결된 압륜(200)을 후퇴시키고 새로운 추진관(110)을 이전 추진관(110) 후미에 연결한다. 이때, 추진관(110)에는 전력선(150)이 관통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추진관(110) 연결작업을 위해 전력선(150)을 분리할 필요가 없다.
추진관(110)의 연결이 끝나면 뒤로 후퇴시켰던 압륜(200)의 고정편(230)을 분리시켜 전력선(150)을 압륜(200) 내부로 배치한다. 압륜(200) 내부에 전력선(150)의 내부배치가 끝나면 고정편(230)을 압륜(200)의 절개부(220)에 다시 결합시켜 압륜(200) 내부에 배치된 전력선(150)이 압륜(200)의 원주방향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압륜(200)을 추진관(110) 후미에 밀착시킨 후 추진잭(120)을 이용하여 추진관(110)을 비롯한 굴진기(100)을 전진시킨다. 추진관(110)이 터널내부로 깊숙하게 진입하면 다시 압륜(200)을 후퇴시켜 새로운 추진관(110)을 연결시키는 동작을 반복한다.
한편, 전력선(150)에 끼워졌던 추진관(110)이 모두 터널공사에 쓰여지면, 전력선(150)을 분리하고 다시 일정수의 추진관(110)을 미리 전력선(150)에 비치한다. 추진관(110)의 비치가 끝나면 전력선(150)을 연결하여 굴진작업을 계속 진행한다. 이때, 전력선(150)에 비치하는 추진관(110)의 수는 전력선(150)의 길이에 맞게 설정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의 압륜을 이용하여 굴진작업을 수행하면, 전력선(150)의 분리결합 횟수가 줄어들어 연결부위(151)의 접촉불량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전력선(150)의 분리결합 횟수가 줄어든 만큼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굴진기를 전진시키기 위해 계속적으로 설치되는 추진관의 연결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전체적인 터널공사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굴진기용 압륜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1)

  1. 추진잭과 연결되어 굴진기 또는 추진관에 추진잭의 압력을 전달하는 압륜으로서,
    상기 굴진기 또는 추진관의 후미에 밀착되는 환형의 몸체,
    상기 굴진기 또는 추진관의 단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원주면에 형성된 단턱,
    상기 굴진기와 연결되는 각종 배선이 상기 몸체의 측면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원주면에 형성된 절개부, 및
    상기 추진잭의 추력을 굴진기 또는 추진관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상기 몸체의 형태가 상기 절개부로 인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절개부에 끼워지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굴진기용 압륜.
KR1020030082787A 2003-11-20 2003-11-20 굴진기용 압륜 KR100819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787A KR100819320B1 (ko) 2003-11-20 2003-11-20 굴진기용 압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787A KR100819320B1 (ko) 2003-11-20 2003-11-20 굴진기용 압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018A KR20050049018A (ko) 2005-05-25
KR100819320B1 true KR100819320B1 (ko) 2008-04-02

Family

ID=37247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2787A KR100819320B1 (ko) 2003-11-20 2003-11-20 굴진기용 압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93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449Y1 (ko) * 2007-12-24 2009-10-30 문영달 플라스틱 온돌파이프용 관이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6093U (ko) * 1989-02-10 1990-08-23
JPH0516896U (ja) * 1991-08-12 1993-03-02 株式会社奥村組 推進工法における配線類の継手用仮管
JPH10331578A (ja) * 1997-05-30 1998-12-15 Konoike Constr Ltd 推進工法
JPH11289625A (ja) 1998-04-01 1999-10-19 Shinko Telecom Engineering Corp 側開推進管およびその推進管を用いた連続敷設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6093U (ko) * 1989-02-10 1990-08-23
JPH0516896U (ja) * 1991-08-12 1993-03-02 株式会社奥村組 推進工法における配線類の継手用仮管
JPH10331578A (ja) * 1997-05-30 1998-12-15 Konoike Constr Ltd 推進工法
JPH11289625A (ja) 1998-04-01 1999-10-19 Shinko Telecom Engineering Corp 側開推進管およびその推進管を用いた連続敷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018A (ko) 2005-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06360A (zh) 一种非开挖管道拉顶铺设施工方法
KR20050093749A (ko) 이중 터널굴착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굴착장치
JPH0674713B2 (ja) 既設管を新管と敷設替え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30045695A (ko) 터널 굴착 공법
CN214273641U (zh) 非圆形断面掘进机开挖盲区预处理设备
KR100819320B1 (ko) 굴진기용 압륜
KR100893795B1 (ko) 복합 세미쉴드공법용 어뎁터 링
JP3863888B2 (ja) 2段階推進工法および連結器
JPH08284140A (ja) 掘進装置及び推進工法
KR101368999B1 (ko) 관거매설공의 보강이 가능한 관거 추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거 시공 공법
CN217761009U (zh) 水平高压旋喷施工装置
JP4983762B2 (ja) 掘削工具
CN115217480A (zh) 双模式掘进机主机与主顶进装置的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CN2593002Y (zh) 前置式刀盘切削泥水排土扩孔装置
JP7398330B2 (ja) 曲線状トンネル・地中梁又は先行支保を構築するための推進装置の発進設備
JP7309599B2 (ja) 推進工法
JP2001234700A (ja) トンネル埋め戻し装置及びトンネル埋め戻し方法
JP2009046959A (ja) 地中管路の構築工法
JP2637691B2 (ja) 地中推進装置及び地中推進方法
JP4368763B2 (ja) セグメントの組付装置及びトンネルの構築方法
JP3519829B2 (ja) 地中管の周面摩擦低減方法
JP3640805B2 (ja) 管推進機
CN116427951A (zh) 一种顶拉组合式顶管施工设备及其施工方法
JP2012087544A (ja) 中押工法
JP4368762B2 (ja) セグメントの連結装置及びトンネル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