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8337B1 - Usb 커넥터 - Google Patents

Usb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8337B1
KR100818337B1 KR1020080013609A KR20080013609A KR100818337B1 KR 100818337 B1 KR100818337 B1 KR 100818337B1 KR 1020080013609 A KR1020080013609 A KR 1020080013609A KR 20080013609 A KR20080013609 A KR 20080013609A KR 100818337 B1 KR100818337 B1 KR 100818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connection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3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액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액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액센
Priority to KR1020080013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8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01R13/055Resilient pins or blades co-operating with socket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장 가이드가 제거되어 외부로 노출된 USB 커넥터의 접속단자 중에서 컴퓨터의 USB 접속포트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의 일부만 노출되도록 보호부를 형성하여 USB 접속단자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하고, USB 접속포트와 USB 커넥터 사이의 접속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동시에 슬림한 접속구조를 갖는 USB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USB 접속포트에 삽입되어 상기 USB 접속포트의 접속핀들과 접속되는 다수의 접속단자를 형성한 인쇄회로기판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의 상면과 밀착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부가 보호되도록 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의 접속단자가 상기 USB 접속포트의 접속핀과 접속되도록 관통공을 형성한 보호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외장 가이드가 제거되어 외부로 노출된 USB 커넥터의 접속단자 중에서 컴퓨터의 USB 접속포트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의 일부만 노출되도록 하여 USB 접속단자가 보호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USB, 접속, 단자

Description

USB 커넥터{USB CONNECTOR}
본 발명은 USB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장 가이드가 제거되어 외부로 노출된 USB 커넥터의 접속단자 중에서 컴퓨터의 USB 접속포트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의 일부만 노출되도록 보호부를 형성하여 USB 접속단자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하고, USB 접속포트와 USB 커넥터 사이의 접속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동시에 슬림한 접속구조를 갖는 USB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용 기기(예를 들면, 이동식 저장장치, 엠피쓰리(MP3) 플레이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등)들은 컴퓨터 등과 접속하기 위한 보편적인 통신수단으로 USB(Universal Serial Bus)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USB는 컴퓨터의 USB 접속포트에 결합되는 USB 커넥터와, 그 USB 커넥터를 연결하는 케이블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USB 커넥터의 경우 컴퓨터나 노트북에 구비된 USB 접속포트에 안정되게 삽입되도록 육면체 형상의 외장을 이루는 외장가이드가 형성되고, 이러한 외장 가이드 내의 일 면에 USB 접속포트를 통해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가 손실되지 않도록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지지부가 형성되고, 이 지지부의 윗면에 전기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USB 접속단자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이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USB 커넥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USB 커넥터와 케이블로 구성된 USB 접속수단을 항상 휴대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최근에는 도 1과 같이, USB 기기 본체(10)의 일측에 USB 커넥터(20)가 돌출 고정되도록 한 USB 장치의 휴대 및 사용을 개선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USB 기기 본체(10)의 일측에 돌출 고정된 USB 커넥터(20)는 외장 가이드(21)를 접속단자(23)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22)의 외부에 설치됨으로써, USB 커넥터(20)의 두께가 충분히 감소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USB 기기의 소형화 및 슬림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도 2 및 도 3의 외장 가이드가 제거된 USB 커넥터(20a)를 USB 기기 본체(10a)에 설치함으로써 USB 커넥터(20a)의 두께를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되었고, 이에 따라 소형화 및 슬림화된 USB 기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외장 가이드가 제거된 USB 커넥터(20a)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 번째, 외장 가이드가 제거됨으로써 인쇄회로기판(22)에 설치된 접속단자(23)가 외부에 노출되어 접속단자(23)들 사이에 이물질에 의한 단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 컴퓨터에 설치된 USB 접속포트(30)에 USB 커넥터(20a)를 접속하는 경우 외장 가이드가 제거됨으로써, USB 접속포트(30)와 USB 커넥터(20a) 사이의 결합력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세 번째, 접속중에 외부 충격이 USB 기기에 가해지면 USB 커넥터(20a)에 충격이 전달되고, 이때 USB 접속포트의 접속핀(31)과, USB 커넥터(20a)의 접속단자(23) 사이에 비틀림이 발생하여 USB 접속포트의 접속핀(31)과 USB 커넥터(20a)의 접속단자(23) 사이의 접점이 견고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네 번째, 외장 가이드가 제거된 USB 커넥터(20a)는 접착수단(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을 이용하여 USB 커넥터(20a)의 상면과 인쇄회로기판(22)의 저면을 단순 접착하여 구성함으로써, USB 접속포트(30)에 지속적으로 삽입/이탈할 경우 인쇄회로기판(22)이 USB 커넥터(20a)의 상면으로부터 탈락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장 가이드가 제거되어 외부로 노출된 USB 커넥터의 접속단자 중에서 컴퓨터의 USB 접속포트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의 일부만 노출되도록 보호부를 형성하여 USB 접속단자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하고, USB 접속포트와 USB 커넥터 사이의 접속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동시에 슬림한 접속구조를 갖는 USB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컴퓨터의 USB 접속포트에 설치된 다수의 접속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커넥터로서, 상기 USB 접속포트에 삽입되어 상기 USB 접속포트의 접속핀들과 접속되는 다수의 접속단자를 형성한 인쇄회로기판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의 상면과 밀착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부가 보호되도록 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의 접속단자가 상기 USB 접속포트의 접속핀과 접속되도록 관통공을 형성한 보호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호부의 선단에는 상기 보호부가 일정한 두께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USB 접속포트의 접속핀이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의 선단과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내측면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홈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의 USB 접속포트에 설치된 다수의 접속핀과 전기적으 로 연결되는 USB 커넥터로서, 상기 USB 접속포트에 삽입되고, 상면에 수용홈부를 형성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수용홈부에 수납되고, 상기 USB 접속포트의 접속핀들과 접속되는 다수의 접속단자를 형성한 인쇄회로기판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부가 보호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의 접속단자가 상기 USB 접속포트의 접속핀과 접속되도록 관통공을 형성한 보호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의 접속단자는 접지단자, + 데이터단자, - 데이터단자, 전원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USB 접속포트의 접속핀과 접속할 경우 상기 접지단자가 우선 접속되도록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영(Zero) 전위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부의 관통공의 크기 및 형상은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의 접속단자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장 가이드가 제거되어 외부로 노출된 USB 커넥터의 접속단자 중에서 컴퓨터의 USB 접속포트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의 일부만 노출되도록 하여 USB 접속단자가 보호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USB 접속포트의 접속핀과 USB 커넥터의 접속단자가 미리 설정된 영역에서만 접속이 가능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된 이물질에 의한 접속단자들 사이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부가 인쇄회로기판을 보호함으로써 USB 커넥터를 USB 접속포트에 삽입할 경우 인쇄회로기판과 USB 접속포트의 접속핀 사이의 직접적인 마찰을 방지할 수 있고, USB 커넥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USB 커넥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USB 커넥터를 결합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USB 커넥터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USB 커넥터는 USB 장치(100)의 본체부(110) 일측에 일체형으로 설치된다.
USB 장치(100)의 본체부(110)에는 컴퓨터의 USB 접속포트(200)와 결합하여 USB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USB 데이터 통신 수단과 함께, MP3 플레이어, PMP, 이동식 저장장치 등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구성이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식 저장장치로 구성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USB 커넥터는 지지부(111)와, 인쇄회로기판부(120)와 단자부(130)와, 보호부(140)로 구성된다.
지지부(111)는 본체부(110)의 일측으로 일정거리 돌출되어 형성된 사각형상 의 부재로 상면에 인쇄회로기판부(120)가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수용홈부(112)가 형성된다.
수용홈부(112)는 인쇄회로기판부(120)를 안착시킴으로써, USB 커넥터를 USB 접속포트(200)에 삽입하는 경우 인쇄회로기판부(120)의 선단부가 USB 접속포트(200)의 접속핀(210)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삽입/이탈에 따른 충격이 인쇄회로기판부(12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지지부(111)는 본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절연재로 구성된다.
인쇄회로기판부(120)는 지지부(111)의 수용홈부(112)에 안착되어 접착수단(예를 들면, 양면테이프, 접착제 등)을 통해 고정되고, 상면에는 다수의 접속용 단자부(130)가 형성된다.
접속용 단자부(130)는 접지단자(131), (+) 데이터단자(132), (-) 데이터단자(133), 전원단자(134)로 구성되고, 접속 단자부(130)의 접지단자(131)는 USB 접속포트(200)의 접속핀(210)과 접속할 경우 접지단자(131)가 접속핀(210)과 우선 접속되도록 형성되어 본체부(110)에 구성된 전기부품들이 전기적으로 영(Zero) 전위를 갖도록 하여 안정화되도록 한다.
또한, 접지단자(131)가 접속된 후에 전원단자(134)가 USB 접속포트의 접속핀(210)과 접속되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전원이 공급된 이후에 (+) 데이터단자(132), (-) 데이터단자(133)가 접속핀(210)과 접속되도록 하여 데이터 송수신 등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즉 접지단자(131), (+) 데이터단자(132), (-) 데이터단자(133), 전원단자(134)는 인쇄회로기판부(120)의 종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각각의 단자들은 USB 접속포트(200)의 접속핀(210)과 순차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각 단자의 종방향 크기를 인쇄회로기판부(120) 상에 접지단자(131) > 전원단자(134) > (+) 데이터단자(132) = (-) 데이터단자(133) 순서로 형성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USB 커넥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부(120)를 사각형상으로 나타내어 설명했지만, 본체부(110)에 포함된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부(140)는 저면이 지지부(111)의 수용홈부(112)에 안착된 인쇄회로기판부(120)의 상면과 밀착되어 인쇄회로기판부(120)가 보호되도록 하고, 보호부(140)의 횡방향을 따라 관통공(141)을 형성하여 USB 접속포트(200)에 형성된 접속핀(210)이 인쇄회로기판부(130)에 형성된 단자들(131 내지 134)과 접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보호부(140)의 저면과 인쇄회로기판부(120)의 상면은 접착수단을 통해 더욱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도 있고, 보호부(140)를 지지부(111)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관통공(141)의 크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핀(210)이 접지단자(131), 전원단자(134), (+) 및 (-) 데이터단자(132, 133)의 순서로 접촉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면 충분하다.
또한, 보호부(140)의 두께(H1)는 접속핀(210)의 단부에 형성된 굴곡부(211) 의 높이(H2)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 1 실싱예에 따른 USB 커넥터의 동작을 설명한다.
USB 장치(100)를 컴퓨터의 USB 접속포트(200)와 접속하는 경우, USB 장치(100)의 본체부(110) 일측에 일체로 설치된 USB 커넥터를 USB 접속포트(200)에 슬라이드 삽입시킨다.
이때, 지지부(111)의 저면과 USB 접속포트(200)의 상면이 밀착되고, 접속핀(210)의 선단에 형성된 굴곡부(211)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보호부(140)의 상면으로 휨 변형이 발행하여 보호부(14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보호부(140)의 상면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던 굴곡부(211)는 관통공(141)에서 접속핀(21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고, 이때 굴곡부(211)와 단자부(130)가 접촉하며 접점이 발생하게 된다.
접점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접지단자(131)와 첫 번째 접촉을 하게 되고, USB 커넥터가 USB 접속포트(200)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전원단자(134)가 두 번째로 접촉을 하게 되며, (+) 및 (-) 데이터단자(132, 133)가 세 번째로 접촉을 하게 된다.
한편, USB 장치(100)가 USB 접속포트(200)와 접속을 유지하는 동안 USB 장치(10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USB 접속포트(200)의 내부에서 USB 커넥터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접지단자(131) 및 전원단자(134)와 접촉한 굴곡부(211)가 관통공(141)의 내측면과 밀착하여 지지한다.
USB 장치(100)를 컴퓨터의 USB 접속포트(200)와 분리(도 6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 및 (-) 데이터단자(132, 133)가 굴곡부(211)와 첫 번째로 분리되고, 전원단자(134)가 두 번째로 분리되며, 접지단자(131)가 세 번째로 분리된다.
(제 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USB 커넥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USB 커넥터를 결합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USB 커넥터는 USB 장치(300)의 본체부(310) 일측에 일체형으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USB 커넥터는 지지부(311)와, 인쇄회로기판부(320)와 단자부(330)와, 보호부(340)로 구성된다.
지지부(311)는 본체부(310)의 일측으로 일정거리 돌출되어 형성된 사각형상의 부재로 상면에 인쇄회로기판부(320)가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수용홈부(312)가 형성된다.
수용홈부(312)는 인쇄회로기판부(320)를 안착시킴으로써, USB 커넥터를 USB 접속포트(200)에 삽입하는 경우 인쇄회로기판부(320)의 선단부가 USB 접속포트(200)의 접속핀(210)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삽입/이탈에 따른 충격이 인쇄회로기판부(32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지지부(311)는 본체부(310)와 일체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절연재 로 구성된다.
인쇄회로기판부(320)는 지지부(311)의 수용홈부(312)에 안착되어 접착수단(예를 들면, 양면테이프, 접착제 등)을 통해 고정되고, 상면에는 다수의 접속용 단자부(330)가 형성된다.
접속용 단자부(330)는 접지단자(331), (+) 데이터단자(332), (-) 데이터단자(333), 전원단자(334)로 구성되고, 접속 단자부(330)의 접지단자(331)는 USB 접속포트(200)의 접속핀(210)과 접속할 경우 접지단자(331)가 접속핀(210)과 우선 접속되도록 형성되어 본체부(310)에 구성된 전기부품들이 전기적으로 영(Zero) 전위를 갖도록 하여 안정화되도록 한다.
또한, 접지단자(331)가 접속된 후에 전원단자(334)가 USB 접속포트의 접속핀(210)과 접속되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전원이 공급된 이후에 (+) 데이터단자(332) 및 (-) 데이터단자(333)가 접속핀(210)과 접속되도록 하여 데이터 송수신 등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접지단자(331), (+) 데이터단자(332), (-) 데이터단자(333), 전원단자(334)는 인쇄회로기판부(320)의 종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각각의 단자들은 USB 접속포트(200)의 접속핀(210)과 순차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각 단자의 종방향 크기를 인쇄회로기판부(320) 상에 접지단자(331) > 전원단자(334) > (+) 데이터단자(332) = (-) 데이터단자(333) 순서로 형성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USB 커넥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부(120)를 별도의 사각형상으로 도시하여 설명했지만, 본체부(310)에 포함된 인쇄 회로기판(미도시)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부(340)는 저면이 지지부(311)의 수용홈부(312)에 안착된 인쇄회로기판부(320)의 상면과 밀착되어 인쇄회로기판부(320)가 보호되도록 하고, 인쇄회로기판부(320)의 상면에 형성된 단자부(330)에 대응하여 다수의 관통공(350)이 형성된다.
또한, 보호부(340)의 저면과 인쇄회로기판부(320)의 상면은 접착수단을 통해 더욱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도 있고, 보호부(340)를 지지부(311)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보호부(340)에 형성된 관통공(350)의 크기 및 형상은 인쇄회로기판부(320)에 형성된 접속단자(33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각의 관통공 크기는 접지단자 관통공(351) > 전원단자 관통공(354) > (+) 및 (-) 데이터단자 관통공(352 및 353)의 순서로 형성되고, 보호부(340)의 종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각각의 단자들이 USB 접속포트(200)의 접속핀(210)과 순차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각각의 단자들이 순차적으로 접속할 필요가 없는 경우 관통공(350)의 크기를 동일하게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보호부(340)의 두께(H3)는 접속핀(210)의 단부에 형성된 굴곡부(211)의 높이(H2)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USB 커넥터의 동작을 설명한다.
USB 장치(300)를 컴퓨터의 USB 접속포트(200)와 접속하는 경우, USB 장치(300)의 본체부(310) 일측에 일체로 설치된 USB 커넥터를 USB 접속포트(200)에 슬라이드 삽입시킨다.
이때, 지지부(311)의 저면과 USB 접속포트(200)의 상면이 밀착되고, 접속핀(210)의 선단에 형성된 굴곡부(211)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보호부(340)의 상면으로 휨 변형이 발행하여 보호부(34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보호부(340)의 상면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던 굴곡부(211)는 접지단자 관통공(351)이 형성된 부분에서 접속핀(21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고, 이때 굴곡부(211)와 접지단자(331)가 접촉하게 되어 USB 장치(100)의 전기부품들이 영 전위를 갖게 된다.
USB 커넥터가 USB 접속포트(200)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전원단자 관통공(354)이 형성된 부분에서 접속핀(21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고, 이때 굴곡부(211)와 전원단자(334)가 접촉하게 되어 USB 장치(300)에 전원이 인가되게 된다.
또한, USB 커넥터가 USB 접속포트(200)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 및 (-) 데이터단자 관통공(352 및 353)이 형성된 부분에서 접속핀(210)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고, 이때 굴곡부(211)와 (+) 및 (-) 데이터단자(132, 133)가 접촉하게 되어 USB 장치(300)가 동작되도록 한다.
한편, USB 장치(300)가 USB 접속포트(200)와 접속을 유지하는 동안 USB 장치(30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접지단자 관통공(351), (+)/(-) 데이터 단자 관통공(352 및 353) 및 전원단자 관통공(354)에 각각 삽입된 접속핀(210)의 굴곡부(211)가 각각의 관통공(350)을 지지하게 되어 USB 접속포트(200)의 내부에서 USB 커넥터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USB 장치(300)를 컴퓨터의 USB 접속포트(200)와 분리하는 경우 (+) 및 (-) 데이터단자(332, 333)가 첫 번째로 분리되고, 전원단자(334)가 두 번째로 분리되며, 접지단자(331)가 세 번째로 분리되도록 한다.
(제 3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USB 커넥터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USB 커넥터를 결합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USB 커넥터는 USB 장치(400)의 본체부(410) 일측에 일체형으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USB 커넥터는 보호부(411)와, 인쇄회로기판부(430)와 단자부(440)로 구성된다.
보호부(411)는 본체부(410)의 일측으로부터 일정거리 돌출되어 형성된 사각형상의 부재로 저면이 인쇄회로기판부(430)의 상면과 밀착되어 인쇄회로기판부(430)가 보호되도록 하고, 인쇄회로기판부(430)의 상면에 형성된 단자부(440)와 대응하여 다수의 관통공(420)이 형성된다.
또한, 보호부(411)의 저면과 인쇄회로기판부(430)의 상면은 접착수단을 통해 견고하게 밀착되고, 후술되는 플랜지(412)의 내측에 홈부(점선)를 형성하여 인쇄회 로기판부(430)의 선단부를 삽입시킴으로써, 보호부(411)와 인쇄회로기판부(430)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보호부(411)에 형성된 관통공(420)은 인쇄회로기판부(430)에 형성된 접속단자(44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 관통공의 크기는 접지단자 관통공(421) > 전원단자 관통공(424) > (+) 및 (-) 데이터단자 관통공(422 및 423)의 순서로 형성되고, 보호부(411)의 종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각각의 단자들이 USB 접속포트의 접속핀과 순차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보호부(411)는 본체부(410)와 일체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절연재로 구성된다.
또한, 보호부(411)의 선단에는 플랜지(412)를 형성하여 상기 보호부(411)가 일정한 두께를 형성함과 동시에 USB 접속포트의 접속핀이 인쇄회로기판부(430)의 선단과 접촉하는 것이 차단되도록 한다.
한편, 각 단자들이 순차적으로 접속할 필요가 없는 경우 관통공(350)의 크기를 동일하게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인쇄회로기판부(430)는 보호부(411)의 저면과 밀착되고, 상면에는 다수의 접속용 단자부(440)가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본체부(410)에 포함된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부(430)의 두께는 보호부(411)의 선단에 형성된 플랜지(412)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다.
접속용 단자부(440)는 접지단자(441), (+) 데이터단자(442), (-) 데이터단자(443), 전원단자(444)로 구성되고, 접속용 단자부(440)의 접지단자(441)는 USB 접속포트의 접속핀과 접속할 경우 접지단자(441)가 접속핀과 우선 접속되도록 형성되어 본체부(410)에 구성된 전기부품들이 전기적으로 영(Zero) 전위를 갖도록 하여 안정화되도록 한다.
또한, 접지단자(441)가 접속된 후에 전원단자(444)가 USB 접속포트의 접속핀과 접속되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전원이 공급된 이후에 (+) 데이터단자(442) 및 (-) 데이터단자(443)가 접속핀과 접속되도록 하여 데이터 송수신 등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따라서, 외장 가이드가 제거되어 외부로 노출된 USB 커넥터의 접속단자 중에서 컴퓨터의 USB 접속포트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의 일부만 노출되어 USB 접속단자가 보호될 수 있으며, 슬림 타입의 USB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USB 커넥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USB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도 2의 USB 커넥터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USB 커넥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도 4의 USB 커넥터를 결합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도 4의 USB 커넥터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USB 커넥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 은 도 7의 USB 커넥터를 결합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USB 커넥터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 은 도 9의 USB 커넥터를 결합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100, 300, 400: USB 장치 110, 310, 410: 본체부
111, 311: 지지부 112, 312: 수용홈부
120, 320, 430: 인쇄회로기판부 130, 330, 440: 단자부
131, 331, 441: 접지단자 132, 332, 442: (+) 데이터단자
133, 333, 443: (-) 데이터단자 134, 334, 444: 전원단자
140, 340, 411: 보호부 141: 관통공
200: USB 접속포트 210: 접속핀
211: 굴곡부 350, 420: 관통공
351, 421: 접지단자 관통공 352, 422: + 데이터단자 관통공
353, 423: - 데이터단자 관통공 354, 424: 전원단자 관통공

Claims (6)

  1. 컴퓨터의 USB 접속포트에 설치된 다수의 접속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커넥터로서,
    상기 USB 접속포트에 삽입되어 상기 USB 접속포트의 접속핀들과 접속되는 다수의 접속단자를 형성한 인쇄회로기판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의 상면과 밀착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부가 보호되도록 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의 접속단자가 상기 USB 접속포트의 접속핀과 접속되도록 관통공을 형성한 보호부를 포함하는 USB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의 선단에는 상기 보호부가 일정한 두께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USB 접속포트의 접속핀이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의 선단부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내측면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홈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커넥터.
  4. 컴퓨터의 USB 접속포트에 설치된 다수의 접속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커넥터로서,
    상기 USB 접속포트에 삽입되고, 상면에 수용홈부를 형성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수용홈부에 수납되고, 상기 USB 접속포트의 접속핀들과 접속되는 다수의 접속단자를 형성한 인쇄회로기판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부가 보호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의 접속단자가 상기 USB 접속포트의 접속핀과 접속되도록 관통공을 형성한 보호부를 포함하는 USB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의 접속단자는 접지단자, + 데이터단자, - 데이터단자, 전원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USB 접속포트의 접속핀과 접속할 경우 상기 접지단자가 우선 접속되도록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영(Zero) 전위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의 관통공의 크기 및 형상은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의 접속단자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커넥터.
KR1020080013609A 2008-02-14 2008-02-14 Usb 커넥터 KR100818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3609A KR100818337B1 (ko) 2008-02-14 2008-02-14 Usb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3609A KR100818337B1 (ko) 2008-02-14 2008-02-14 Usb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8337B1 true KR100818337B1 (ko) 2008-04-02

Family

ID=39533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3609A KR100818337B1 (ko) 2008-02-14 2008-02-14 Usb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83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684B1 (ko) * 2011-02-15 2013-04-26 전재은 단자보호구조를 갖는 스틱형 유에스비 메모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925Y1 (ko) 2004-10-27 2005-01-21 주식회사 미디언 슬라이드식 usb커넥터 고정수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925Y1 (ko) 2004-10-27 2005-01-21 주식회사 미디언 슬라이드식 usb커넥터 고정수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684B1 (ko) * 2011-02-15 2013-04-26 전재은 단자보호구조를 갖는 스틱형 유에스비 메모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6586B2 (ja) コネクタシステム用の磁気インサート及びレセプタクル
CN104160561B (zh) 具有分流触点的连接器插座
JP5997780B2 (ja) 側部接地コンタクトを有する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
US7714569B2 (en) Adaptor for electrical connector
JP2010010129A (ja) ソケット、プラグ、及びコネクタ装置
US20200161785A1 (en) Connector
US6322382B1 (en) Bay for receiving removable computer peripheral devices
EP3723209A1 (en) Electrical contact structure
CN110401050B (zh) 卡托组件和电子装置
KR101124668B1 (ko) 사각프레임을 구비한 양방향 플러그
JP2005044783A (ja)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用の改良型スイッチ端子
US8905792B2 (en) Connector receptacle with side ground contacts
US9954318B2 (en) Pin alignment and protection in combined connector receptacles
US20170264057A1 (en) Non-reversible plug connector for device charging
US8251751B2 (en) Plug and connector assembly using same
KR100818337B1 (ko) Usb 커넥터
US8435050B2 (en) USB connector having vertical to horizontal conversion contacts
US7685478B2 (en) Method of testing memory card operation
KR20030011704A (ko) 카드 어댑터
CN108899696A (zh) 磁吸式电连接器组件
US20170352976A1 (en) Composite connection socket
KR20130132042A (ko) 멀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적용되는 플러그 커넥터
US20140080344A1 (en) Card edge connector
TWM483533U (zh) 讀取裝置
CN110911878B (zh) 插座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