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6678B1 -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6678B1
KR100816678B1 KR1020070105355A KR20070105355A KR100816678B1 KR 100816678 B1 KR100816678 B1 KR 100816678B1 KR 1020070105355 A KR1020070105355 A KR 1020070105355A KR 20070105355 A KR20070105355 A KR 20070105355A KR 100816678 B1 KR100816678 B1 KR 100816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lifting body
frame
anchor hole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한진
Original Assignee
인중건설 주식회사
조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중건설 주식회사, 조한진 filed Critical 인중건설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각 상단과 교량 상부구조물 간의 협소한 공간에 간단히 비치하여 분진과 소음이 적으면서도 공기가 짧고 교각 손상은 최소화하는 가운데 저렴한 비용으로 교좌장치 설치용 또는 보강판 부착용 앵커공을 천공할 수 있는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교각 상단과 교량의 상부구조물 사이의 공간에 비치되는 것으로서 기어박스의 승강안내용 안내수단을 가진 프레임에 상기 안내수단에 대응하는 피안내수단과 피승강수단이 부착된 승강체가 수납되고, 이 승강체의 선단 쪽에는 출력기어 구동수단이 그리고 후단 쪽에는 기어식 구동수단에 의해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코어 비트용 관통고정 구동부가 갖춰지고, 출력기어 구동수단과 관통고정 구동부 간에는 동력중계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외부조작에 따라 상기 피승강수단을 끌어올리고 내리는 승강체용 승강수단이 설치된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 프레임, 승강체, 승강체 승강수단.

Description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 및 방법{anchor hole perfo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narrow part }
본 발명은 교량에 있어서 교각과 상부구조물 간의 좁은 공간에 비치하여 노후 교좌장치와 규격이 다른 신형 교좌장치로의 교체, 보수 보강 목적의 보강판 부착용 앵커공을 아주 간편하고 용이하게 천공할 수 있게 한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래된 교량의 교좌장치는 경시적 현상인 노후와 통행량에 따른 피로감의 누적으로 인하여 균열이 발생하고, 심지어 파손되기도 한다.
이런 상태로 방치하면 교량의 수명이 단축될 것은 불 보듯 뻔하고, 미리 헤아릴 수 없는 운행사고가 일어날 가능성도 크다. 때문에 오래된 교량은 적기에 보수 보강 또는 노후된 교좌장치 등을 교체하지 않으면 안 된다.
기존의 교좌장치를 내진용 교좌장치로 교체하거나 내진보강공사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노후 교좌장치를 규격이 다른 신형 교좌장치로 교체하거나 내진용 교좌장치로의 교체, 내진보강공사는 교각에서 일정한 높이로 상부구조물을 인상한 상태에서 수행하게 된다.
기존 교좌장치는 신형 교좌장치의 형식과 규격이 상이한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 지금까지는 보편적으로 콘크리트제 교각 또는 교량 상부구조물을 당해 부위를 신규 교좌장치를 고정하는 데 필요한 앵커를 설치할 깊이까지 깨기 작업으로 해체하고 신규 교좌장치를 설치하는 것이다.
또, 내진보강공사는 기존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교각의 사이에 내진보강장치의 설치 또는 교좌장치를 추가 설치하는 등의 작업인 데, 내진보강장치 또는 교좌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교각의 코핑부 상단부에다 앵커 설치용 앵커공을 파 앵커를 설치하고, 상부구조물의 단부측 저면에는 강판 부착용 앵커를 심기 위한 앵커공을 천공하는 방법으로 진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교좌장치의 교체 또는 내진보강공사를 위하여 교량 상부구조물을 일정한 높이로 들어올려도 여전히 비좁다.
이렇게 좁은 공간에서 교각의 코핑부 상단부에 앵커를 설치하기 위한 시설을 콘크리트 깨기 작업으로 해체하는 것은 어렵고, 교각 손상도 불가피하다.
또, 분진과 소음은 환경오염을 초래하고 민원 대상이기도 하다.
교량 상부구조물의 경우에는 교각 상단구조물 간의 비좁은 공간에서 교좌장치에 대응하는 보강판을 부착하기 위한 앵커공을 천공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그래서 대부분 앵커공의 천공할 수 있는 위치까지 보강판을 연장 설치하고 있는 데, 규격 이상의 보강판 투입으로 인한 공사비 가중이 염려된다.
또, 앵커공 천공작업의 높은 난이도는 지점부에서 벗어난 위치에 앵커가 잘 못 설정되기 일쑤여서 구조적으로 원하는 보강 강도를 확보하기도 어렵다.
이러한 점에서 교각 상단과 교량 상부구조물 간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교좌장치의 교체와 내진보강공사, 교량의 보수 및 보강용 앵커 설치공사에 있어서 여러 문제가 내포된 기존의 깨기 방식을 지양하고 보다 효율적이고 능률적인 방법으로 앵커공을 천공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교각 상단과 교량 상부구조물 간의 협소한 공간에 간단히 비치하여 분진과 소음이 적으면서도 공기가 짧고 교각 손상은 최소화하는 가운데 저렴한 비용으로 교좌장치 설치용 또는 보강판 부착용 앵커공을 천공할 수 있는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는 교각 상단과 교량 상부구조물 사이의 공간에 비치되는 것으로서 기어박스의 승강안내용 안내수단을 가진 프레임에 상기 안내수단에 대응하는 피안내수단과 피승강수단이 부착된 승강체가 수납되고, 이 승강체의 선단 쪽에는 출력기어 구동수단이 그리고 후단 쪽에는 기어식 구동수단에 의해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코어 비트용 관통고정 구동부가 갖춰지고, 출력기어 구동수단과 관통고정 구동부 간에는 동력중계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외부조작에 따라 상기 피승강수단을 끌어올리고 내리는 승강체용 승강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방법은 관통고정 구동부의 하단 또는 상단의 일측에 코어비트를 장전하고, 타측에는 코어비트를 이용한 천공작업시 발생하는 마찰열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수 공급을 위한 냉각수 공급용 호스 및 펌프가 구성된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를 교각 상단과 교량 상부구조물 사이의 협소한 공간으로 들이밀어 코어비트가 천공할 앵커공 자리에 정위치하도록 준비하고, 프레임의 상단과 상부구조물 또는 프레임의 하단과 교각 상단 간의 공간에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가 진동 및 코어비트에 작용하는 회전반력으로 인한 거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목 따위의 밀착 부재를 고여 움직이지 않게 안정시킨 상태에서 구동수단을 가동하여 코어 비트로 하여금 콘크리트 깨기 방식이 아닌 순전한 구멍뚫기 방식으로 앵커공을 천공하게 된다.
허리를 굽혀 잔뜩 몸을 낮춰도 드나들기 힘든 교각 상단과 교량 상부구조물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도 간단히 본 발명의 천공장치를 비치하여 교좌장치 설치용 앵커공, 빔의 단부 저면 쪽에 교좌장치에 대응하는 보강판 부착용 앵커공 등 보수ㆍ보강을 위한 앵커공을 저분진 저소음에 저비용으로 단시간에 능률적이면서도 아주 간편하게 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협소부 앵커공 천공장치 및 승강체의 안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관통고정 구동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는 관통고정 구동부용 동력중계수단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5는 교각 상단에 앵커공을 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6은 교량의 상부구조물 단부 쪽 저면에 앵커공을 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는 승강체(20)와 구동수단(30) 및 승강체용 승강조작수단(40)을 수납 또는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서, 내면에 승강체용 안내수단(11) 및 피안내요소(21)가 갖춰지고, 높이는 최대한 낮춰서 통상의 교각 상단과 교량 상부구조물 사이의 협소한 공간으로 드나들기 쉽게 한 프레임(10)과;
상기 승강체용 안내수단(11)에 유도되는 피안내요소(21)와 후단부에 설치된 코어 비트 장전용 제자리 회전식 관통고정 구동부(22) 및 회전력 전달용 동력중계수단(23)이 내장된 채로 상기 프레임(10)에 승강 가능하게 수납된 승강체(20)와; 상기 동력중계수단(23)을 통해 관통고정 구동부(22)를 구동하도록 상기 승강체(20)의 선단에 장착된 구동수단(30)과;
프레임(10) 내에서 승강체(20)를 올리거나 내려서 천공되는 앵커공의 깊이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프레임(10)에 가설된 횡축(43)에 설치된 승강구동요소(42)와 승강체(20)에 부착된 피승강요소(41)로 된 승강체 승강수단(40)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방법은 교각(c) 상부와 교량 상부구조물(a)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를 설치하되, 프레 임(10) 외부로 코어비트(50)가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된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b)를 거치시키는 단계; 프레임(10)에 가설된 횡축(43)에 설치된 승강구동요소(42)와 승강체(20)에 부착된 피승강요소(41)로 된 승강체 승강수단(40)의 조작으로, 프레임(10) 내에서 승강체(20)를 올리거나 내려서 코어비트(50) 단부가 프레임 외부로 돌출되어 천공면에 근접하도록 조작하는 단계; 구동수단(30)을 작동하여 코어비트(50)가 회전되면 승강체 승강수단(40)을 조작하여 천공되는 앵커공의 천공깊이를 조절하며 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에 의한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과 승강체(20), 구동수단(30) 및 승강체 승강수단(40)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0)은 승강체(20)와 구동수단(30) 및 승강체 승강수단(40)을 수납 또는 지지하는 프레임이며, 높이를 최대한 낮춰서 통상의 교각 상단과 교량 상부구조물 사이의 협소한 공간으로 드나들기 쉽게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내면에는 승강체 안내수단(1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체 안내수단(11)은 승강체(20)가 안정감 있게 수직으로 오르내리게 유도하여 천공되는 앵커공의 직선도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과 승강체(20)가 프레임(10)에서 오르내리더라도 상사점과 하사점을 이탈하지 못하게 저지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토록 된 것으로, 프레임(10)의 내면에서 장변 또는 단변 쪽 내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체 안내수단(11)은 레일 또는 봉이다(도 2 참조).
또한, 승강체(20)는 프레임(10) 내에서 앵커공의 천공 깊이에 맞춰 코어 비트의 높낮이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자 동력중계수단(23) 및 구동수단(30) 등을 탑재하는 데 필요한 것으로, 전적으로 프레임(10)에 수용된다.
상기 승강체(20)는 일차적으로 승강체 안내요소(11)에 대응하는 피안내요소(21)가 갖춰진다(도 2 참조).
피안내요소(21)는 승강체 안내요소(11)가 봉인 경우에는 봉공이고, 승강체 안내요소(11)가 레일인 경우에는 레일홈이다.
승강체(20)의 말미에는 관통고정 구동부(22)가 설치돼 있다.
관통고정 구동부(22)는 관통되어 내부에 암나사 가공이 되어 있으며, 천공방향 일측에 코어 비트(50)를 장전하고 타측에는 냉각수 공급용 호스 및 펌프를 장착하는 것으로, 상하단에 승강체(20)와 접하는 면에 베어링(25)이 설치된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회전체다. (도 3 참조)
도 4에서, 승강체(20)에는 또 동력중계수단(23)도 갖춰진다.
동력중계수단(23)은 구동수단(30)의 회전력을 관통고정 구동부(22)에 전달하는 것으로, 보편적인 기어식과 체인식 및 벨트 방식이 있다.
도시 예는 구동수단(30)의 출력기어(31)와 회전고정 구동부(22)의 기어(24) 간에 복수의 중계기어를 수평방향 일렬로 늘어 세운 다축 다기어식으로 예시돼 있다.
구동수단(30)은 모터 또는 감속기 부가형 모터이며, 승강체(20)의 선단 상면 또는 저면에 장착한다.
교각(c) 상단과 교량 상부구조물(a) 저면 간의 좁은 공간과 관통고정 구동부(22)에 물리는 코어 비트의 방향과 모터의 장착 자세에 따라 그 같이 좁은 공간으로 들이밀어 넣기가 곤란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구동수단(30)은 되도록 교각(c) 상단과 교량 상부구조물(a) 저면 간의 좁은 공간으로 들이밀지 않고도 앵커공을 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 점을 고려하여 구동수단(30)은 교각(c) 상단으로 진입시키지 않는 것을 전제로 교각(c) 상단으로 진입시키지 않아도 되는 승강체(20)의 선단부에 장착하는 것으로 한다.
교각(c) 상단과 교량 상부구조물(a) 사이에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를 비치하여 교각(c) 상단 또는 교량 상부구조물(a)의 저면에 교좌장치나 보강판 부착용 강판을 고정하기 위한 앵커공을 천공하려할 때와 천공 시 및 천공 후 장비를 회수할 때 코어 비트의 높낮이를 조절 또는 선택하려면 관통고정 구동부(22)가 예속된 승강체(20)의 높낮이 변화가 불가피하다.
승강체용 승강수단(40)은 그래서 필요하다.
도시 예의 승강체용 승강수단(40)은 승강체(20)의 외면에 부착된 종형 랙으로 표시된 피승강요소(41)와 프레임(10)에 부착된 횡축고정부(45)에 삽입된 형태로 설치된 횡축(43)에서 상기 피승강요소(41)와 같은 위치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형 승강구동요소(42)로 나타나 있다.
대체 가능한 수단으로는 주지의 체인-스프로켓식과 와이어 로우프-로우프차식이 있다.
승강구동요소(42)는 프레임(10)의 횡축고정부(4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횡축(43) 상에 설치되며, 횡축(43)은 프레임(10) 밖으로 노출된 축단에 외부 조작이 가능한 핸들(44) 또는 핸들 대용의 초저속 모터와 같은 기계식 구동수단이 장착된다.
노후 교좌장치를 규격이 다른 신형 교좌장치로 교체하는 경우, 도 5와 같이 별도의 작업으로 교량의 상부구조물(a)을 들어올리고 교각(c)에 기설치된 노후 교좌장치를 제거한다.
관통고정 구동부(22)의 하단에 천공비트(50)가 물린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b)를 들이밀 때 천공비트(50)의 선단이 프레임(10) 저면 아래로 노출되면 교각 상단에 거치적거려서 진입시키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해 승강체용 승강수단(40)으로 승강체(20)를 올려 천공비트(50)의 선단이 교각(c) 상면에 닿지 않도록 숨긴다.
이 상태로 교각(c)과 상부구조물(a) 사이 공간으로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b)의 말단부 쪽을 밀어 넣고 코어 비트(50)의 중심이 천공할 신형 교좌장치용 앵커공의 중심에 일치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b)와 교량 상부구조물(a) 사이에 각목 따위의 밀착 부재(d)를 고여 안정시킨다.
또한, 승강체(20)의 관통고정 구동부(22)의 코어 비트(50)가 설치된 반대쪽 관통부에 분진 등 비산먼지 방지 및 코어비트(50)가 마찰열로 인하여 손상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수 공급용 호스를 체결하고 펌프에서 가압된 냉각수가 관통공을 통과하여 코어비트(50) 내부를 통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작업 준비를 하고 승강체용 승강수단(40)을 작동시켜 승강체(20)가 하강하도록 하면 코어비트(50)의 선단이 교각(c) 상단에 접촉하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척 구동수단(30) 및 냉각수 공급용 펌프를 가동한다.
그러면 코어비트(50)는 동력중계수단(23)을 거쳐 오는 구동수단(3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앵커공을 뚫는다.
앵커공의 천공 깊이는 천공 정도에 따라 승강체 승강수단(40)을 작동하여 하강하는 승강체(20)의 하강 정도를 통제하는 것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교각(c) 상단에 대한 신교좌장치용 앵커공의 천공이 마무리되면 구동수단(30)의 가동을 멈추고 승강체용 승강수단(40)의 역조작으로 승강체(20)를 상승시켜 당해 앵커공으로부터 코어비트(50)가 빠져나오게 한 후 후속 앵커공 천공위치로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b)를 옮기든가 철수한다.
교량 상부구조물(a)의 단부 저면에 교좌장치에 대응하는 보강판을 부착하거나 규격이 다른 보강판으로 교체하는 경우 또는 내진보강 등의 목적으로 보강체 설치를 위한 앵커홀 천공이 필요한 경우 도 6과 같이 작업이 가능하다.
관통고정 구동부(22)의 상단에 코어비트(50)가 물린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b)를 들이밀 때 코 비트(50)의 선단이 프레임(10) 상단 위로 노출되면 교량 상부구조물(a)의 저면에 거치적거려서 진입이 쉽지 않다.
이 점을 고려해 승강체용 승강수단(40)으로 승강체(20)를 내려서 코어 비트(50)의 선단이 교량 상부구조물(a)의 저면에 닿지 않도록 프레임(10) 속으로 숨 긴다.
이 상태로 교각(c)과 교량 상부구조물(a) 사이 공간으로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b)의 후단부 쪽부터 밀어 넣고 코어 비트(50)의 중심이 천공할 앵커공의 중심에 일치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b)의 저면과 교각(c) 상단 사이에 각목 따위의 밀착 부재(d)를 고여 안정시킨다.
또한, 승강체(20)의 관통고정 구동부(22)의 코어 비트(50)가 설치된 반대쪽 관통부에 분진 등 비산먼지 방지 및 코어비트(50)가 마찰열로 인하여 손상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수 공급용 호스를 체결하고 펌프에서 가압된 냉각수가 관통공을 통과하여 코어 비트(50) 내부를 통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구동수단(30) 및 냉각수 공급용 펌프를 가동한다.
그러면 코어비트(50)는 동력중계수단(23)을 거쳐 오는 구동수단(3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앵커공을 뚫기 시작한다.
이때, 앵커공의 천공 깊이는 승강체용 승강수단(40)의 조작으로 승강체(20)를 어느 정도의 높이로 올리는가를 가지고 결정한다.
교량 상부구조물(a)에 대한 신 보강판이나 내진보강 등 목적의 보강체 설치 용도의 앵커공 천공이 마무리되면 구동수단(30) 및 냉각수 공급용 펌프의 가동을 멈추고 승강체용 승강수단(40)의 역조작으로 승강체(20)를 하강시켜 당해 앵커공으로부터 코어 비트(50)가 빠져나오게 한 다음 앵커공 천공위치로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b)를 옮기든가 철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협소부 앵커공 천공장치 및 승강체의 안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관통고정 구동부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관통고정 구동부용 동력중계수단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교각 상단에 앵커공을 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교량의 상부구조물 단부 쪽 저면에 앵커공을 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부호의 설명-
10: 프레임 11: 승강체용 안내요소
20: 승강체 21: 피안내요소
22: 관통고정 구동부 23: 동력중계수단
30: 구동수단 31: 출력기어
40: 승강체 승강수단 41: 피승강요소
42: 승강구동요소 43: 횡축

Claims (5)

  1. 승강체(20)와 구동수단(30) 및 승강체용 승강조작수단(40)을 수납 또는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서, 내면에 승강체용 안내수단(11) 및 피안내요소(21)가 갖춰지고, 통상의 교각 상단과 교량 상부구조물 사이의 협소한 공간으로 드나들기 쉽게 한 프레임(10)과;
    상기 승강체용 안내수단(11)에 유도되는 피안내요소(21)와 후단부에 설치된 코어 비트 장전용 제자리 회전식 관통고정 구동부(22) 및 동력중계수단(23)이 내장된 채로 상기 프레임(10)에 승강 가능하게 수납된 승강체(20)와; 상기 동력중계수단(23)을 통해 관통고정 구동부(22)를 구동하도록 상기 승강체(20)의 선단에 장착된 구동수단(30)과;
    프레임(10) 내에서 승강체(20)를 올리거나 내려서 천공되는 앵커공의 깊이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프레임(10)에 가설된 횡축(43)에 설치된 승강구동요소(42)와 승강체(20)에 부착된 피승강요소(41)로 된 승강체 승강수단(4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중계수단(23)은 복수의 중계기어를 수평방향 일렬로 늘어 세운 다축 다기어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
  3. 삭제
  4. 교각(c) 상부와 교량 상부구조물(a)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를 설치하되, 프레임(10) 외부로 코어비트(50)가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된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b)를 거치시키는 단계;
    프레임(10)에 가설된 횡축(43)에 설치된 승강구동요소(42)와 승강체(20)에 부착된 피승강요소(41)로 된 승강체 승강수단(40)의 조작으로, 프레임(10) 내에서 승강체(20)를 올리거나 내려서 코어비트(50) 단부가 프레임 외부로 돌출되어 천공면에 근접하도록 조작하는 단계;
    구동수단(30)을 작동하여 코어비트(50)가 회전되면 승강체 승강수단(40)을 조작하여 천공되는 앵커공의 천공깊이를 조절하며 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b)는 승강체(20)와 구동수단(30) 및 승강체용 승강조작수단(40)을 수납 또는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서, 내면에 승강체용 안내수단(11) 및 피안내요소(21)가 갖춰지고, 통상의 교각 상단과 교량 상부구조물 사이의 협소한 공간으로 드나들기 쉽게 한 프레임(10)과; 상기 승강체용 안내수단(11)에 유도되는 피안내요소(21)와 후단부에 설치된 코어 비트 장전용 제자리 회전식 관통고정 구동부(22) 및 동력중계수단(23)이 내장된 채로 상기 프레임(10)에 승강 가능하게 수납된 승강체(20)와; 상기 동력중계수단(23)을 통해 관통고정 구동부(22)를 구동하도록 상기 승강체(20)의 선단에 장착된 구동수단(30)과; 프레임(10) 내에서 승강체(20)를 올리거나 내려서 천공되는 앵커공의 깊이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프레임(10)에 가설된 횡축(43)에 설치된 승강구동요소(42)와 승강체(20)에 부착된 피승강요소(41)로 된 승강체 승강수단(40)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중계수단(23)은 복수의 중계기어를 수평방향 일렬로 늘어 세운 다축 다기어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방법.
KR1020070105355A 2007-06-11 2007-10-19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 및 방법 KR1008166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56615 2007-06-11
KR1020070056615 2007-06-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6678B1 true KR100816678B1 (ko) 2008-03-31

Family

ID=39411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355A KR100816678B1 (ko) 2007-06-11 2007-10-19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66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929B1 (ko) 2008-11-07 2009-02-23 매크로드 주식회사 구조물 틈새의 협소부 천공장치
KR20180047099A (ko) * 2016-10-31 2018-05-10 케이알엠건설 주식회사 앵커홀 가공장치용 수평유지장치
KR102473314B1 (ko) * 2022-06-30 2022-12-05 케이플랜 주식회사 협소부 천공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9945A (ko) * 2003-04-15 2004-10-22 (주)태산산업개발 협소부 천공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보수·보강 공법
KR20060000115U (ko) * 2006-11-21 2006-12-11 인중건설 주식회사 협소부 천공 보조장치의 와이어로프 인상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9945A (ko) * 2003-04-15 2004-10-22 (주)태산산업개발 협소부 천공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보수·보강 공법
KR20060000115U (ko) * 2006-11-21 2006-12-11 인중건설 주식회사 협소부 천공 보조장치의 와이어로프 인상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929B1 (ko) 2008-11-07 2009-02-23 매크로드 주식회사 구조물 틈새의 협소부 천공장치
KR20180047099A (ko) * 2016-10-31 2018-05-10 케이알엠건설 주식회사 앵커홀 가공장치용 수평유지장치
KR102473314B1 (ko) * 2022-06-30 2022-12-05 케이플랜 주식회사 협소부 천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7693B2 (ja) 掘削機取付用コアドリル装置
KR100856356B1 (ko) 구조물 틈새에서의 앵커홀 천공장치
KR100816678B1 (ko)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 및 방법
KR100884929B1 (ko) 구조물 틈새의 협소부 천공장치
JP4448481B2 (ja) 土壌作業方法および土壌作業機械
KR100838597B1 (ko)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
CN110107221A (zh) 一种适用于复杂地质条件的超大孔径成孔工作装置及方法
KR20150001706U (ko) 소형굴삭기에 장착되는 천공장치
CN215104771U (zh) 一种用于桥梁施工的植筋打孔装置
KR100726780B1 (ko) 굴삭기에 장착되는 암반천공장치
KR20020090848A (ko) 와이어 쏘오 머신
CN116802364A (zh) 用于挖掘机的取芯钻探系统
JPH1148164A (ja) 穿孔装置
CN112854199A (zh) 一种地铁车站洞门处地下连续墙施工方法及其切割装置
KR200366291Y1 (ko) 고층건물의 콘크리트벽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승강시스템
KR20110048964A (ko) 암반천공장치
CN210264495U (zh) 一种冲孔灌注桩机
CN115198733B (zh) 一种钻孔灌注桩施工工艺
CN212428564U (zh) 一种建筑工程用快速打桩设备
CN220953402U (zh) 一种桩柱的调垂结构
CN219990857U (zh) 用于电缆施工的升降设备
KR19990064950A (ko) 고공천공장치
KR102196558B1 (ko) 콘기둥 형상 천공 언더컷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공장치
CN215165554U (zh) 一种土木工程用打桩机
CN212689918U (zh) 一种隧道施工打孔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