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895B1 -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895B1
KR100815895B1 KR1020010060483A KR20010060483A KR100815895B1 KR 100815895 B1 KR100815895 B1 KR 100815895B1 KR 1020010060483 A KR1020010060483 A KR 1020010060483A KR 20010060483 A KR20010060483 A KR 20010060483A KR 100815895 B1 KR100815895 B1 KR 100815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alignment
region
alignmen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0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7325A (ko
Inventor
김용범
이윤복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0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895B1/ko
Publication of KR20030027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 G02F1/14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using ferroelectric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11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organic films, e.g. polymeric films
    • G02F1/133723Polyimide, polyamide-imid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2Improving the response spe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changing the viewing angle properties, e.g. widening the viewing angle, adapting the viewing angle to the view dir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유전성 액정을 사용하여 응답속도가 개선된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전율이 다른 배향막을 R, G, B 화소별로 열전사 기법에 의해 형성하여 파장별 투과율 차이를 전기광학적으로 보상하기 위해 제1 내지 제3영역을 포함하는 제1기판과 제2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고분자층, 열전달층, 배향층과 접착제층으로 이루어진 제1 내지 제3배향막용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두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판에 상기 제1배향막용 필름을 정렬하고 상기 배향막용 필름의 열전달층이 녹도록 상기 제1영역의 상기 제1배향막용 필름에 적외선 레이저로 열전사한 후,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제1배향막용 필름의 접착체층 및 배향층이 전사되어 제1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배향막이 형성된 기판에 상기 제2배향막용 필름을 정렬하고 상기 제2배향막용 필름의 열전달층이 녹도록 상기 제2영역의 상기 제2배향막용 필름을 적외선 레이저로 열전사한 후, 상기 제2영역에 상기 제2배향막용 필름의 접착체층 및 배향층이 전사되어 제2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배향막이 형성된 기판에 상기 제3배향막용 필름을 정렬하고 상기 제3배향막용 필름의 열전달층이 녹도록 상기 제3영역의 상기 제3배향막용 필름을 적외선 레이저로 열전사한 후, 상기 제3영역에 상기 제3배향막용 필름의 접착체층 및 배향층이 전사되어 제3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 사이에 강유전성 액정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배향막용 필름의 배향층은 유전율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이다.
강유전성 액정, 열전사(Thermal Imaging), 고,중,저 유전율 배향막용 필름

Description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Method For Fabricating A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유전율이 다른 배향막용 필름 레이아웃.
도 3a 내지 도 3i는 본 발명의 열전사 방법에 의한 배향막 형성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고분자층 201 : 열전달층
202 : Red 폴리이미드층 203 : 접착제층
205 : 고유전율 배향막용 필름
232 : Green 폴리이미드층
235 : 중유전율 배향막용 필름
272 : Blue 폴리이미드층
275 : 저유전율 배향막용 필름
300 : 제1기판 301 : 접착제층
302 : Red 폴리이미드층 303 : 열전달층
304 : 고분자층 305 : 고유전율 배향막용 필름
332 : Green 폴리이미드층 335 : 중유전율 배향막용 필름
372 : Blue 폴리이미드층 375 : 저유전율 배향막용 필름
400 : 제1기판 401 : 편광판
402 : 게이트 전극 403 : 반도체층
404 : 게이트 절연막 406 : 소오스 전극
407 : 드레인 전극 408 : 제1보호막
414 : 투명전극 423, 424, 425 : 제1배향막
450 : 제2기판 451 : 편광판
452 : 블랙매트릭스 453 : 칼라필터
454 : 공통전극 463, 464, 465 : 제2배향막
본 발명은 R,G,B 화소별 배향막용 필름을 제작하고, 상기 필름에 열전사(Thermal Imaging) 기법에 의해 배향막을 형성하고, 상기 배향막을 사용하여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FLCD,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강유전성 액정을 사용하면 응답속도가 느린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부가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SID 98 DIGEST pp782-785를 참조하면, 러빙된 폴리이미드 배향막을 포함하여 제조된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는 매우 빠른 응답속도(40㎲)를 가 지고 있어 플리커가 거의 없는 안정된 영상을 구현하고, 그레이 표현이 우수하고 높은 명암대조비(230:1)를 갖는다.
그러므로,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는 강유전성 액정으로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들이 많이 개발되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a는 R, G, B 영역의 제1배향막과 제2배향막을 모두 동일한 배향막으로 사용하여 액정표시장치의 투과율을 나타낸 것이다. 광투과율은 d△n/λ의 함수로 R, G, B의 파장이 λR > λG > λB 의 크기 순서를 가지므로 화소별 투과율은 TB > TG > TR 이 된다.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색 균형이 맞지 않아 색특성이 좋지 않다.
그에 대한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편광판(101)이 부착된 제1기판(100)에 게이트 전극(102)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전극(102)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 게이트 절연막(10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전극(102) 상측의 상기 게이트 절연막(104) 위에 반도체층(103)이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층(103) 양측에 소오스 전극(106)과 드레인 전극(107)이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 전극(107) 일측의 상기 게이트 절연막(104) 위에 상기 드레인 전극(107)에 연결되도록 투명 전극(114)이 형성된다.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상부에 제1보호막(10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보호막(108)위에 제1배향막(113)이 형성된다. 또한, 제2기 판(150) 외부에 편광판(151)이 부착되고 상기 제2기판(150) 상에 블랙매트릭스(152)와 칼러필터(153)가 형성된다. 상기 칼러필터(153) 위에 공통 전극(154)이 형성되고, 상기 공통전극 위에는 제2배향막(163)이 형성된다. 상기 공통 전극(154)은 Red 영역, Green 영역과 Blue 영역 모두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배향막(113)과 상기 제2배향막(163)은 Red 영역, Green 영역과 Blue 영역에서 연결되고, 같은 물질로 형성된다.
R, G, B 영역 모두 같은 배향막으로 형성하므로 화소별 전기광학적 특성 차이에 의해 색차를 보상할 수 없다.
도 1b는 R, G, B 화소별로 셀갭을 달리하여 투과율을 보상하는 방법이다. 광투과율은 d△n/λ의 함수로 R, G, B의 파장이 λR > λG > λB 의 크기 순서를 가지므로, 셀갭 d를 변화시켜 투과율을 조절한다. 셀갭을 dR > dG > dB 로 설계하여 투과율이 같도록 조절한다. 이 경우도 상기 제1배향막(113)과 상기 제2배향막(163)을 각 R, G, B 화소별로 구별없이 같은 배향막을 사용한다. 셀갭을 조절하기 위해 Green 칼라필터의 화소 영역을 Red 칼라필터의 화소 영역보다 넓게 형성하고 Blue 칼라필터의 화소 영역을 Green 칼라필터의 화소 영역보다 넓게 형성한다. 공통 전극(154)은 Red 영역, Green 영역, Blue 영역에서 상기 칼라필터(153)를 따라 연결된다. 상기 제1배향막(113)과 상기 제2배향막(163)은 Red 영역, Green 영역과 Blue 영역에서 연결되고, 같은 물질로 형성된다. 그 외 제조방법은 도 1a와 동일하다.
이 방법의 문제점은 첫째, 화소별 단차로 인해 볼 스페이서의 적용이 어렵 다. 둘째,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는 평탄도가 나쁘면 배향성이 좋지 않고 콘트라스트(contrast)가 저하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도 1c의 방법은 칼라필터 레진에 포함된 안료의 농도를 조절하여 투과도를 일치시켜 색차를 줄이는 것이다. 광투과율은 d△n/λ의 함수이고 화소별 투과율은 TB > TG > TR 이므로 안료의 농도를 CB > CG > CR 로 만들어 화소별 투과율차이를 보상한다. 결과, 동일한 투과율을 나타낸다. Red 영역의 칼라필터(153a)와 Green 영역의 칼라필터(153b)와 Blue 영역의 칼라필터(153c)는 레진 농도가 모두 다르다. 공통 전극(154)은 Red 영역, Green 영역, Blue 영역에서 모두 연결된다. 상기 제1배향막(113)과 상기 제2배향막(163)은 Red 영역, Green 영역과 Blue 영역에서 연결되고, 같은 물질로 형성된다. 그 외 제조방법은 도 1a, 도1b와 같다.
이 방법의 문제점은 안료 농도의 차이는 칼라 레진의 농도 차이를 야기하므로 칼라필터 패턴의 두께를 일정하게 형성하는 공정이 어렵게 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기제작된 유전율이 다른 폴리이미드층이 포함된 필름을 사용하고 이 필름을 열전사(Thermal Imaging) 기법을 사용하여 기판 위에 전사하여, 배향막으로 사용하므로 평탄하고 칼라필터의 레진 농도를 다르게 하지 않고 화소별 투과율을 동일하게 하여 색차를 줄이는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제1 내지 제3영역을 포함하는 제1기판과 제2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고분자층, 열전달층, 배향층과 접착제층으로 이루어진 제1 내지 제3배향막용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두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판에 상기 제1배향막용 필름을 정렬하고 상기 배향막용 필름의 열전달층이 녹도록 상기 제1영역의 상기 제1배향막용 필름에 적외선 레이저로 열전사한 후,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제1배향막용 필름의 접착체층 및 배향층이 전사되어 제1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배향막이 형성된 기판에 상기 제2배향막용 필름을 정렬하고 상기 제2배향막용 필름의 열전달층이 녹도록 상기 제2영역의 상기 제2배향막용 필름을 적외선 레이저로 열전사한 후, 상기 제2영역에 상기 제2배향막용 필름의 접착체층 및 배향층이 전사되어 제2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배향막이 형성된 기판에 상기 제3배향막용 필름을 정렬하고 상기 제3배향막용 필름의 열전달층이 녹도록 상기 제3영역의 상기 제3배향막용 필름을 적외선 레이저로 열전사한 후, 상기 제3영역에 상기 제3배향막용 필름의 접착체층 및 배향층이 전사되어 제3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 사이에 강유전성 액정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배향막용 필름의 배향층은 유전율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유전율이 크면 구동전압이 작아지고, 유전율이 작으면 구동전압이 커지므로 B 영역은 유전율이 작은 배향막을 갖고, G 영역은 유전율이 중간 크기인 배향막을 갖고, R 영역은 유전율이 큰 배향막을 가져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색차를 없앤다. ( Red 폴리이미드 > Green 폴리이미드 > Blue 폴리이미드)
그리고, 열전사(Thermal Imaging) 기법을 사용하므로 평탄도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도 2b와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유전율이 다른 배향막용 필름 레이아웃이다.
도 2a는 유전율이 큰 Red 배향막용 필름을 형성하는 레이아웃이다. 상기 고분자층 상부에 상기 열전달층을 형성한다. 상기 고분자층은 지지층으로 이후 적외 선 레이저를 잘 통과시키도록 무색, 투명한 재료를 선택한다. 상기 열전달층은 상기 적외선 레이저를 잘 흡수할 수 있는 재료여야 하고, 상기 적외선을 열로 바꾸어 줄 수 있는 재료이다. 상기 열전달층 상부에 배향막으로 사용되는 폴리아믹산 용액이나 폴리이미드 용액을 0.1㎛ 두께로 롤 코팅한다. 코팅후 상기 접착제층을 도포한다. 형성된 필름은 상기 고분자층부터 상기 접착제층까지로 상기 고유전율의 폴리아믹산층이나 폴리이미드층을 포함한다. 도면 부호 205는 고유전율 배향막용 필름이다.
도 2b는 도 2a와 같은 구조로, 같은 방법으로 유전율이 중간인 Green을 나타내는 폴리아믹산층이나 폴리이미드층에도 적용한다. 도면 부호 235는 중유전율 배향막용 필름이다.
도 2c는 도 2a, 도 2b와 같은 구조로, 같은 방법으로 유전율이 작은 Blue를 나타내는 폴리아믹산층이나 폴리이미드층에도 적용한다. 도면 부호 275는 저유전율 배향막용 필름이다.
상기 방법으로 고유전율 필름(Red 필름), 중유전율 필름(Green 필름)과 저유전율 필름(Blue 필름) 3가지가 형성된다. 즉, 고,중,저유전율 폴리아믹산층이나 고,중,저유전율 폴리이미드층을 포함한 필름을 각각 제작한다.
도 3a 내지 도 3i는 본 발명의 열전사 기법에 의한 배향막 형성 공정도이다. 그 방법은 열전사(Thermal Imaging) 방법으로, 제작된 고,중,저유전율 필름을 기판에 접착제층이 접촉되도록 정렬하고 적외선 레이저로 조사하면 열전달층이 녹아 폴리아믹산이나 폴리이미드가 열전달층에서 떨어져 상기 접착제층으로 전사하는 레이 저 전사방법이다. 즉, 상기 적외선 레이저 전사시, 상기 열전달층과 상기 고,중,저유전율 폴리아믹산층이나 고,중,저유전율 폴리이미드층 사이에 적외선 조사에 따른 열이 전달되어 녹아서 부착력이 약해지고, 상기 접착체층이 잡아 당기므로 상기 고,중,저유전율층이 기판에 강하게 부착된다.
적외선 레이저는 폴리아믹산층이나 폴리이미드층을 사각의 모양으로 전사하여야 하므로 출구의 모양이 사각형이 된다. 우선, 상기 고유전율의 폴리아믹산층이나 폴리이미드층을 전사하고, 두 번째 상기 중유전율의 폴리아믹산층이나 폴리이미드층을 전사하고, 세 번째 상기 저유전율의 폴리아믹산층이나 폴리이미드층을 전사하는 순차적 전사법을 사용한다. 상기 방법은 감광막 잔사가 없고 패턴폭이 균일한 장점이 있다.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고,중,저유전율 폴리아믹산층이나 폴리이미드층, 유리 기판과 접착후 가열되면 더욱 강력한 접착력을 가지는 접착제 종류를 선택한다. 전사된 상기 폴리아믹산층이나 폴리이미드층은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고, 그 전면에 보호막이 증착된 부분에 배향막으로 형성된다.
도 3a는 제1기판(300) 상부에 기제작한 상기 고유전율 배향막용 필름(305)을 정렬하고 상기 고유전율 배향막용 필름(305)을 전사할 영역(영역1)에 상기 적외선 레이저를 조사하는 도면이다. 상기 고유전율 배향막용 필름(305)은 상기 고분자층(304)과 상기 열전달층(303)과 상기 고유전율 폴리이미드층(302)과 상기 접착제층(301)으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열전달층(303)은 일정 열을 받으면 녹아 결합력이 약해져 상기 고유전율 폴리이미드층(302)을 떨어뜨린다. 상기 접착제층(301)은 일정 열을 받으면 접착력이 증가되어 상기 고유전율 폴리이미드층(302)과 상기 제1기판(300)을 접착시킨다. 도면 부호 304는 투명한 상기 고분자층으로 지지층이다.
도 3b는 상기 적외선 레이저로 조사하여 상기 열전달층(303)과 상기 고유전율 폴리이미드층(302) 결합을 떨어뜨려 상기 고유전율 폴리이미드층(302)이 상기 접착제층(301)으로 접착되고 상기 접착제층(301)은 상기 제1기판(300)에 접착된다. 영역1에서는 상기 열전달층(303)이 열에 녹아 없어지므로 상기 고유전율 배향막용 필름(305)에는 투명한 상기 고분자층(304)만 남는다. 영역2, 영역3에서는 상기 적외선 레이저를 조사받지 못하였으므로 상기 고유전율 배향막용 필름(305)이 전사되지 않는다.
도 3c는 상기 고유전율 배향막용 필름(305)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물리적으로 영역1에서는 투명한 상기 고분자층(304)만 제거되고, 영역2, 영역3에서는 상기 고유전율 배향막용 필름(305)이 모두 제거된다. 영역1에 원하는 상기 고유전율 폴리이미드층(302)이 형성된다.
도 3d는 중유전율 배향막용 필름(335)을 상기 제1기판(300)상부에 정렬한 후, 영역2에 상기 적외선 레이저를 조사하는 도면이다. 상기 중유전율 배향막용 필름(335)은 상기 고분자층(304)과 상기 열전달층(303)과 상기 중유전율 폴리이미드층(332)과 상기 접착제층(30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열전달층(303)은 일정 열을 받으면 결합력이 약해져 상기 중유전율 폴리이미드층(332)을 떨어뜨린다. 상기 접착제층(301)은 일정 열을 받으면 접착력이 증가되어 상기 중유전율 폴리이미드층(332)과 상기 제1기판(300)을 접착시킨다. 도면 부호 304는 투명한 상기 고분자층으로 지지층이다.
도 3e는 상기 적외선 레이저로 조사하여 상기 열전달층(303)과 상기 중유전율 폴리이미드층(332) 결합을 떨어뜨려 상기 중유전율 폴리이미드층(332)이 상기 접착제층(301)으로 접착되고 상기 접착제층(301)은 상기 제1기판(300)에 접착된다. 영역2에서는 상기 열전달층(303)이 열에 녹아 없어지므로 상기 중유전율 배향막용 필름(335)에는 투명한 상기 고분자층(304)만 남는다. 영역1, 영역3에서는 상기 적외선 레이저를 조사받지 못하였으므로 상기 중유전율 배향막용 필름(335)이 전사되지 않는다.
도 3f는 상기 중유전율 배향막용 필름(335)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물리적으로 영역2에서는 투명한 상기 고분자층(304)만 제거되고, 영역1, 영역3에서는 상기 중유전율 배향막용 필름(335)이 모두 제거된다. 영역2에 원하는 상기 중유전율 폴리이미드층(332)이 형성된다.
도 3g는 저유전율 배향막용 필름(375)을 상기 제1기판(300)상부에 정렬한 후, 영역3에 상기 적외선 레이저를 조사하는 도면이다. 상기 저유전율 배향막용 필름(375)은 상기 고분자층(304)과 상기 열전달층(303)과 상기 저유전율 폴리이미드층(372)과 상기 접착제층(30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열전달층(303)은 일정 열을 받으면 결합력이 약해져 상기 저유전율 폴리이미드층(372)을 떨어뜨린다. 상기 접착제층(301)은 일정 열을 받으면 접착력이 증가되어 상기 저유전율 폴리이미드층(372)과 상기 제1기판(300)을 접착시킨다. 도면 부호 304는 투명한 상 기 고분자층으로 지지층이다.
도 3h는 상기 적외선 레이저로 조사하여 상기 열전달층(303)과 상기 저유전율 폴리이미드층(372) 결합을 떨어뜨려 상기 저유전율 폴리이미드층(372)이 상기 접착제층(301)으로 접착되고 상기 접착제층(301)은 상기 제1기판(300)에 접착된다. 영역2에서는 상기 열전달층(303)이 열에 녹아 없어지므로 상기 저유전율 배향막용 필름(375)에는 투명한 상기 고분자층(304)만 남는다. 영역1, 영역2에서는 상기 적외선 레이저를 조사받지 못하였으므로 상기 저유전율 배향막용 필름(375)이 전사되지 않는다.
도 3i는 상기 저유전율 배향막용 필름(375)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물리적으로 영역3에서는 투명한 상기 고분자층(304)만 제거되고, 영역1, 영역2에서는 상기 저유전율 배향막용 필름(375)이 모두 제거된다. 영역3에 원하는 상기 저유전율 폴리이미드층(372)이 형성된다.
상기의 방법으로 상기 고유전율 폴리이미드층(302), 상기 중유전율 폴리이미드층(332)과 상기 저유전율 폴리이미드층(372)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편광판(401)이 부착된 제1기판(400)에 게이트 전극(402)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전극(402)을 포함한 기판 전면에 게이트 절연막(40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전극(402) 상측의 상기 게이트 절연막(404) 위에 반도체층(403)이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층(403) 양측에 소오스 전극(406)과 드레인 전극(407)이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 전극(407) 일측의 상기 게이트 절연막(404) 위에 상기 드레인 전 극(407)에 연결되도록 투명 전극(414)이 형성된다.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상부에 제1보호막(40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보호막(408)위에 제1배향막(423, 424, 425)이 형성된다. 또한, 제2기판(450) 외부에 편광판(451)이 부착되고 상기 제2기판(450) 안쪽에 블랙매트릭스(452)와 칼러필터(453)가 형성된다. 상기 칼러필터(453) 위에는 공통 전극(454)이 형성되고, 상기 공통전극 위에는 제2배향막(463, 464, 465)이 형성된다. 상기 공통 전극(454)은 Red 영역, Green 영역과 Blue 영역에서 모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배향막과 상기 제2배향막도 Red 영역, Green 영역, Blue 영역의 배향막은 서로 다르지만 각 영역에서 연결된다.
R, G, B 화소별 유전율이 다른 배향막을 형성하여 R, G, B 영역의 색차를 없앴으므로 투과율이 같다. 상기 제1기판(400)과 상기 제2기판(450)의 배향막으로 유전율이 다른 상기 폴리이미드층(423, 463; 424, 464; 425, 465)이 정렬되도록 합착하고 강유전성 액정을 진공 주입하는 셀공정을 하여 형성된 액정의 배열을 보면 세 화소 영역이 안정된 배열이 형성된다. 여기서, Red, Green, Blue 영역의 제1배향막과 제2배향막은 각 화소별로 같은 유전율의 배향막이다.
폴리아믹산 배향막은 열소성 처리에 의해 폴리이미드로 전환한 후 같은 방법으로 배향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강유전성 액정은 일반적인 주입 방법외에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 액정을 떨어뜨려 액정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기제작된 유전율이 다른 폴리아믹산층이나 폴리이미드층이 포함된 필름을 사용하고 이 필름을 열전사(Thermal Imaging) 기법을 사용하여 기판위에 전사하므로 감광막 잔사가 없고 패턴폭이 균일하다.
둘째, 사진식각공정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공정이 단순하고 배향막의 손상이 없는 광시야각 액정표시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셋째, 배향막의 평탄도를 유지하면서 R, G, B 화소별 TV 곡선을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색특성이 좋다.

Claims (6)

  1. 제1 내지 제3영역을 포함하는 제1기판과 제2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고분자층, 열전달층, 배향층과 접착제층으로 이루어진 제1 내지 제3배향막용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두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판에 상기 제1배향막용 필름을 정렬하고 상기 배향막용 필름의 열전달층이 녹도록 상기 제1영역의 상기 제1배향막용 필름에 적외선 레이저로 열전사한 후,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제1배향막용 필름의 접착체층 및 배향층이 전사되어 제1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배향막이 형성된 기판에 상기 제2배향막용 필름을 정렬하고 상기 제2배향막용 필름의 열전달층이 녹도록 상기 제2영역의 상기 제2배향막용 필름을 적외선 레이저로 열전사한 후, 상기 제2영역에 상기 제2배향막용 필름의 접착체층 및 배향층이 전사되어 제2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배향막이 형성된 기판에 상기 제3배향막용 필름을 정렬하고 상기 제3배향막용 필름의 열전달층이 녹도록 상기 제3영역의 상기 제3배향막용 필름을 적외선 레이저로 열전사한 후, 상기 제3영역에 상기 제3배향막용 필름의 접착체층 및 배향층이 전사되어 제3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 사이에 강유전성 액정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배향막용 필름의 배향층은 유전율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층이 폴리아믹산 또는 폴리이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R영역이며, 상기 제1배향막용 필름은 고유전율의 배향층을 갖으며,
    상기 제2영역은 G영역이며, 상기 제2배향막용 필름은 중유전율의 배향층을 갖으며,
    상기 제3영역은 B영역이며, 상기 제3배향막용 필름은 저유전율의 배향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010060483A 2001-09-28 2001-09-28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0815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483A KR100815895B1 (ko) 2001-09-28 2001-09-28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483A KR100815895B1 (ko) 2001-09-28 2001-09-28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325A KR20030027325A (ko) 2003-04-07
KR100815895B1 true KR100815895B1 (ko) 2008-03-21

Family

ID=29562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483A KR100815895B1 (ko) 2001-09-28 2001-09-28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58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638139A (en) * 2005-04-28 2006-11-01 Systems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lignment film of liquid crystal displa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8699A (ko) * 1994-11-29 1996-06-17 다까노 야스아끼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970022423A (ko) * 1995-10-02 1997-05-28 구자홍 액정표시용 기판의 제조방법
KR100205260B1 (ko) * 1997-05-28 1999-07-01 구자홍 광배향을 이용한 액정셀의 제조방법
KR20000020574A (ko) * 1998-09-22 2000-04-15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액정표시장치의 배향막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8699A (ko) * 1994-11-29 1996-06-17 다까노 야스아끼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970022423A (ko) * 1995-10-02 1997-05-28 구자홍 액정표시용 기판의 제조방법
KR100205260B1 (ko) * 1997-05-28 1999-07-01 구자홍 광배향을 이용한 액정셀의 제조방법
KR20000020574A (ko) * 1998-09-22 2000-04-15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액정표시장치의 배향막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325A (ko) 2003-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6355B2 (en) Color filter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5919606A (en) Liquid crystal cell and method for assembly thereof
JP2004093760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TW201137435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201040642A (en) Electronic devices having plastic substrates
US6018380A (en) LCD having trench formed on the substrate(s) to stop sealing material flowing to display areas
JPH10161108A (ja) 位相差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備えた立体表示装置
JP3483730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604717B1 (ko) 액정 표시장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JP4469331B2 (ja) 液晶表示装置の配向膜形成方法
JP3103981B2 (ja) 半導体単結晶基板液晶パネル装置
KR101093253B1 (ko) 횡전계 방식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677062B1 (ko) 편광기능이 구비된 컬러필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69531A (ko) 액정표시장치
EP0497980B1 (en) Optical valve device
KR100815895B1 (ko)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1002328B1 (ko)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H07261181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050065828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3131239A (ja) 液晶表示装置
JPH09258230A (ja) 液晶表示パネル
JPH11281943A (ja) 液晶表示装置の膜厚設定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769172B1 (ko) 멀티도메인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0859470B1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3128191B2 (ja) 液晶素子及び該液晶素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