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109B1 - 소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한 보일러 장치 - Google Patents

소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한 보일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109B1
KR100815109B1 KR1020060055377A KR20060055377A KR100815109B1 KR 100815109 B1 KR100815109 B1 KR 100815109B1 KR 1020060055377 A KR1020060055377 A KR 1020060055377A KR 20060055377 A KR20060055377 A KR 20060055377A KR 100815109 B1 KR100815109 B1 KR 100815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ombustion
waste
combustion chamb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5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5315A (ko
Inventor
성낙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구들택
성낙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구들택, 성낙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구들택
Publication of KR20070055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6Recuperation of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12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plastics, e.g. rub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5/00Heating of air supplied for combustion
    • F23L15/04Arrangements of recup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6/00Waste heat recuperation
    • F23G2206/20Waste heat recuperation using the heat in association with another installation
    • F23G2206/203Waste heat recuperation using the heat in association with another installation with a power/heat generating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28Plastics or rubber lik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2Heat utilisation in combustion or incineration of was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각 장치 및 보일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목을 이용하여 폐석유화학물을 효과적으로 소각함으로써 다이옥신의 발생을 저감하는 소각 장치 및 보일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소각 장치는, 폐석유화학물을 투입하기 위한 폐기물투입구,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1 공기공급구 및 기화된 상기 폐석유화학물의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제1 가스배출구가 형성된 용융기화실; 및 화목을 투입하기 위한 화목투입구, 상기 화목이 쌓여 연소되는 바닥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스배출구로부터의 상기 폐석유화학물 가스를 유입하기 위한 가스인입구,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2 공기공급구 및 상기 화목과 상기 폐석유화학물 가스가 연소되어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제2 가스배출구가 형성된 연소실을 포함하며, 상기 연소실은 상기 용융기화실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용융기화실은 상기 연소실에서의 연소로 인해 발생하는 열을 공급받아 상기 폐석유화학물 가스를 생성하며, 상기 폐석유화학물 가스는 상기 가스인입구에 의해 상기 연소실에서 연소되는 상기 화목으로 안내되어 연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폐석유화학물의 완전연소가 가능하여 다이옥신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다이옥신의 재합성을 방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이 제공된다.
폐기물, 폐석유화학제품, 폐유, 보일러, 소각로, 소각장치, 다이옥신

Description

소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한 보일러 장치{Incinerator and Boiler comprising the sam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장치의 상부 평면도,
도2는 도1에 개시된 A-A'에 따른 보일러 장치의 단면도 ,
도3은 도1에 개시된 B-B'에 따른 보일러 장치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장치에 연결된 구들 및 수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연소실
3: 공기공급관 4: 분진차단연소망
5: 하부연소실 6: 화목자동투입장치
7: 가스공급관 8: 온수탱크
9: 발열시스템연도 10: 급냉시스템연도
11: 용융기화실 12: 폐석유화학제품 투입구
13: 용융기화실 공기공급관 14: 폐유 공급관
15: 재배출구 16: 순환수인입관
17: 순환수토출관 18: 동코일관
19: 전기코일 20: 고온송풍기
21: 연도 22: 온도센서
23: 자동밸브 24: 냉각수토출관
25: 구들 26: 구들하부연도
27: 수로 28: 배수관
29: 굴뚝
본 발명은 소각 장치 및 보일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목을 이용하여 폐석유화학물을 효과적으로 소각함으로써 다이옥신의 발생을 저감하는 소각 장치 및 보일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산업폐기물을 매립하는 대신,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도 폐기물을 소각하는 방법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특히, 대표적인 환경오염 물질인 다이옥신의 발생 원인을 규명하고, 그에 따른 다이옥신의 발생을 저감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밝혀진 바에 따르면, 다이옥신은 연소실에서의 불완전한 연소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폐기물의 불완전한 연소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i) 충분한 산화반응을 위한 고온의 연소가스 온도(Temperature)가 확보되어야 하며, ii) 충분한 열분해 즉, 산화를 위한 고온 영역에서의 연소가스의 충분한 산화 반응시간으로서의 체류시 간(Time)이 확보되어야 하며, iii) 연료 또는 미연가스와 공기와의 충분한 혼합(Turbulence)에 의한 활성산소와의 접촉이 보장되어야 한다. 즉, 연소온도의 안정성과 충분한 산화반응의 진행을 위한 운전온도 확보가 중요하다.
이러한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산업폐기물의 소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일러 장치에 이용되어 왔던 종래의 연소실은 연소공기의 주입위치 부근에 노즈(nose)부가 형성되어 잘록한 부위를 가짐으로써, 체류시간 및 충분한 혼합을 일으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연소실은 고온의 연소가스 온도를 확보하기 위한 효과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의 연소가스 온도를 확보하고 충분한 산화 반응시간 및 충분한 혼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폐석유화학물을 완전 연소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소각 장치 및 보일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각 장치는, 폐석유화학물을 투입하기 위한 폐기물투입구,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1 공기공급구 및 기화된 상기 폐석유화학물의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제1 가스배출구가 형성된 용융기화실; 및 화목을 투입하기 위한 화목투입구, 상기 화목이 쌓여 연소되는 바닥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스배출구로부터의 상기 폐석유화학물 가스를 유입하기 위한 가스인입구,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2 공기공급구 및 상기 화목과 상기 폐석유화학물 가스가 연소되어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제2 가스배출구가 형성된 연소실을 포함하며, 상기 연소실은 상기 용융기화실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용융기화실은 상기 연소실에서의 연소로 인해 발생하는 열을 공급받아 상기 폐석유화학물 가스를 생성하며, 상기 폐석유화학물 가스는 상기 가스인입구에 의해 상기 연소실에서 연소되는 상기 화목으로 안내되어 연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소실의 바닥은 깔때기 형상으로, 상기 연소실 바닥의 우묵한 끝단에는 하부로 돌출된 하부연소실이 형성되며, 상기 가스인입구는 상기 화부연소실의 바닥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연소실의 바닥은 깔때기 형상이며, 상기 가스인입구는 상기 연소실 바닥의 끝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각 장치는 상기 제2 가스배출구에 위치하여 상기 연소가스가 통과하는 미세한 망으로서, 통과하는 상기 연소가스가 연소되도록 상기 연소실에서의 연소로 인해 고온으로 달구어지는 분진차단연소망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보일러 장치는, 전술한 소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물을 저장하기 위한 온수탱크; 및 상기 제2 가스배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온수탱크를 관통하여, 상기 제2 가스배출구로부터의 상기 연소가스가 상기 온수탱크에 저장된 물과 열을 교환하여 급속 냉각되도록 하는 발열시스템연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시스템연도에 연장 형성되는 연도; 상기 연도에 연장 형성되며, 내부 및 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냉각수가 흐를 수 있는 관이 형성되는 급냉시스템연도; 상기 급냉시스템연도에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토출관; 상기 냉각수토출관에 설치된 자동밸브; 상기 급냉시스템연도를 관통한 상기 연소가 스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온도가 소정의 임계온도 이하가 되도록, 상기 자동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급냉시스템연도의 배기가스를 외부 온돌로 제공하기 위한 고온송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보일러 장치는, 상기 발열시스템연도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연소실과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연도; 상기 연도에 연장 형성되며, 내부 및 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냉각수가 흐르는 관이 형성되는 급냉시스템연도; 상기 급냉시스템연도에 상기 냉각수를 제공하기 위한 냉각수 토출관; 상기 냉각수 토출관에 형성되는 자동밸브; 상기 급냉시스템연도를 관통하는 상기 연소가스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연소가스의 온도가 소정의 임계온도 이하가 되도록, 상기 자동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보일러 장치는, 상기 발열시스템연도로부터 연장되고, 관통하는 상기 연소가스로 냉각수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밸브가 장착된 급냉시스템연도; 상기 급냉시스템연도를 관통하는 상기 연소가스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연소가스의 온도가 소정의 임계온도 이하가 되도록 상기 분사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소각 장치를 포함하는 보일러 장치의 상부 평면도, 도2는 도1에 개시된 A-A'에 따른 보일러 장치의 단면도 및 도3은 도1에 개 시된 B-B'에 따른 보일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일러 장치는, 본체(1)의 전면에는 개폐가능한 도어(31)가 형성되며, 본체(1)의 내부 중앙에는 연소실(2)이 형성되어 있다.
연소실(2)내 하부에는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공기공급관(3)이 형성되며, 연소실(2)내 중앙 하부에는 용융기화실의 폐석유화학제품이 용융되어 기화되는 것을 돕고 이때 발생하는 가스를 연소시키는 하부연소실(5)이 형성되어 있다. 연소실(2)내 중앙 상부에는 특수합금(철크롬등)으로 제작된 미세한 망의 분진차단연소망(4)이 형성되어 있다. 분진차단연소망(4)은 연소실(2)의 화목 등의 연소로 인해 1000℃ 이상으로 달구어지며, 불완전 연소된 분진 및 불완전 연소가스를 재차 연소시켜 연도로 배출시킨다.
분진차단연소망(4)의 양 옆에는 일정량 화목을 지속적으로 투입하기 위한 화목자동투입장치(6)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1)의 중앙 상부에는 열전도율이 좋은 동판을 사용한 발열시스템연도(9)가 형성되어 연소실외부연도와 연결되며, 분진차단연소망(4)은 발열시스템연도(9)의 입구에 설치되어 있다.
본체(1)의 하부에는 용융기화실(11)이 형성되며, 여기에는 폐석유화학제품을 넣기 위한 투입구(12)와 폐유공급관(14)이 형성되어 있다. 용융기화실(11)내에는 용융기화실 공기공급관(13)이 형성되고, 용융기화실(11)과 하부연소실(5)은 가스공급관(7)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떨어진 재는 재배출구(15)로 배출된다.
연소실(2)의 상부와 옆부분에는 온수탱크(8)가 형성되어 연소실(2)의 열을 효과적으로 축열하고, 연소실(2)의 벽면을 1,000℃ 이상의 고온에서도 보호할 수 있다. 온수탱크(8) 내의 온수는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주택의 온돌에 설치된 난방용 파이프에 공급되며, 이를 위해 온수 순환용 인입관(16) 및 토출관(17)이 형성되어 있다. 온수탱크(8) 상부에는 순환하지 않는 깨끗한 온수 생산을 위해 동코일관(18)이 형성되어 식용 및 목욕용 온수를 공급한다. 계절별 영향을 고려하여 더욱 뜨거운 온수의 공급이 급히 요구되는 때에는 전기코일(19)을 이용하여 온수의 온도를 높이도록 되어 있다.
연도(21)의 입구부분에는 급냉시스템연도(1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연소실의 온도가 매우 고온일 때 연소가스가 발열시스템연도(9)를 통과한 후에도 소정의 임계온도 이상의 고온일 경우, 열교환을 통해 연소가스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것이다. 열교환이 급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열전도율이 좋은 동관이 사용되며, 그 내부도 열전도율이 좋은 동판이 바람개비 모양으로 형성된다.
급냉시스템연도(10) 입구에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토출관(24)이 연결되며, 하부 배기구에는 고온용 송풍기(20)가 형성되어 있다. 고온용 송풍기(20) 앞쪽에는 온도 센서(22)가 설치되어 급냉시스템연도(10)로부터의 배기가스 온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온도 센서(22)는 제어부(30)로 입력된다.
제어부(30)는 마이크로컨트롤러 등으로 구현 가능하며, 냉각수토출관(24)에 설치된 자동밸브(23)와 연결된다. 제어부(30)는 온도 센서(22)로부터의 측정온도가 소정의 임계온도 이상일 경우 자동밸브(23)가 냉각수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며, 이에 의해 배기가스의 온도를 임계온도 이하로 급냉시킨다.
도1 내지 도3에 개시된 용융기화실(11)은 폐석유화학물을 투입하기 위한 폐기물투입구로서 폐유공급관(14) 및 폐석유화학제품 투입구(12)가 형성되어 있으며, 폐석유화학물의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제1 가스배출구로서 가스공급관(7)의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폐석유화학물은 가정용 또는 산업용 비닐, 플라스틱, 페트병, 폐유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연소실(2)은 제1 가스배출구로부터의 폐석유화학물 가스를 유입하기 위한 가스인입구로서 가스공급관(7)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공급구로서 공기공급관(3)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도1 내지 도3에 개시된 보일러 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용융기화실(11)의 투입구(12)와 폐유공급관(14)에 폐석유화학제품을 넣고, 화목자동투입장치(6)를 통해 연소실(2)에 화목을 투입한 후, 본체(1) 전면의 도어(31)를 통해 화목을 발화시킨다.
연소실(2)에 공기공급관(3)을 통하여 공기를 공급하면서 화목을 연소시키면, 연소실(2)의 온도가 1000℃이상으로 상승되고 분진차단연소망(4)이 급격히 달궈진다.
이러한 고온의 연소상태에서 하부연소실(5) 및 용융기화실(11)의 온도 또한 상승되고, 용융기화실(11)에 투입된 폐석유화학물이 용융되어지며 가스가 발생한다.
또한, 연소실(2)에서 화목의 연소가 진행됨에 따라, 숯과 같은 중간물질이 생성되어 하부연소실(5)에 적재되는 동시에, 가스공급관(7)을 통해 용융기화실(11) 로 떨어지게 된다. 공기공급관(13)을 통해 용융기화실(11)에 공기를 공급하면 폐석유화학물은 발화되고 더 많은 가스가 발생된다.
이 가스는 가스공급관(7)을 통해 연소 중인 하부연소실(5)로 공급된다. 연소실(2)은 깔때기 형상으로 되어 있어 모든 화력이 하부연소실(5)로 집중되어 있으며, 폐석유화학물의 가스는 연소되고 있는 화목으로 안내되어 완전연소 상태에 근접하도록 연소된다. 이에 따라 다이옥신은 거의 분해되고, 연소실의 화력은 더욱 강화된다.
이어, 연소실(2)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연소가스는 1000℃ 이상으로 달궈진 분진차단연소망(4)을 통과하게 되므로, 일부 불완전 연소된 분진과 연소가스는 분진차단연소망(4)에서 재차 연소되며, 다이옥신 등의 환경오염물질 또한 완전 연소된다.
분진차단연소망(4)을 통과한 고온의 연소가스는 발열시스템연도(9)를 지나며 온수탱크(8)에 순간적으로 열을 빼앗겨 저온의 가스로 변환된다.
이때 저온의 가스가 고온용 송풍기(20) 입구에 설치된 온도센서(22)를 지나며 측정된 온도가 임계온도(200℃)이상일 경우, 제어부(30)는 냉각수 토출관(24)에 설치된 자동밸브(23)를 제어하여 냉각수를 급냉시스템연도(10)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연도를 관통하는 연소가스의 온도가 임계온도 이하로 떨어지며, 고온용 송풍기(20)에 의해 외부 온돌에 공급된다.
이때, 임계온도는 다이옥신의 재합성이 가능한 온도 중 최저온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200℃ 이하 150℃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발열시스템연도(9)가 연소가스를 급냉하도록 하고 있으나, 발열시스템연동(9)로부터 급냉시스템연도(10)에 이르는 동안 다이옥신의 재합성이 가능한 온도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구간 중에는 연소실(2)과의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고온을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급냉시스템연도(10)는 관통하는 연소가스의 온도가 임계온도 이하가 되도록, 냉각수를 연도의 내부 및 외부에 흐르도록 하거나, 가스 중에 혼입되도록 냉각수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융기화실(11), 하부연소실(5) 및 연소실(2)의 메커니즘을 통해 폐석유화학물의 완전연소가 가능하다. 즉, 연소실(2) 및 하부연소실(5)의 연소열에 의해 용융기화실(11)의 폐석유화학물이 공기와 함께 1차적으로 연소되어 용융 및 기화되며, 하부연소실(5)로부터 제공되는 숯과 같은 중간물질(연소 과정 중에 생성되는 물질)이 용융기화실(11)에서의 용융 및 기화를 촉진한다.
또한, 용융기화실(11)은 오직 하나의 가스배출구를 가지며, 이 가스배출구를 통해 모든 폐석유화학물 가스가 연소실(2)의 화목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모든 폐석유화학물 가스는 고온의 화목에서 2차 완전 연소된다. 이어, 폐석유화학물 가스는 연소실(2)의 가스배출구에 마련된 분진차단연소망(4)을 통해 3차 연소가 이루어져 분진 및 폐석유화학물의 완전한 연소를 보장한다.
다이옥신의 재합성시 촉매역할을 담당하는 분진이 미세한 망을 통해 걸러지는 동시에 연소되며, 발열시스템연도(9) 및/또는 급냉시스템연도(10)를 통해 다이 옥신 재합성이 가능한 온도 이하로 급냉이 가능하므로, 다이옥신이 재합성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장치에 연결된 구들 및 수로의 단면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상부에 구들(25)이 형성되어 있고, 구들(25)의 하부는 사방으로 트여진 구들하부연도(26)가 형성되어 있으며, 구들하부연도(26) 바닥의 가장자리에는 수로(27) 및 배수관(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일러 장치의 고온용 송풍기(20)는 구들하부연도(26)에 연결되어 있으며 구들(25)을 덥힌 배기가스의 배출을 위한 굴뚝(29)이 형성되어 있다.
보일러 장치의 고온용 송풍기(20)에 의해 구들하부연도(26)에 공급된 배기가스와 온수는 구들(25)을 덥히고, 온수는 구들하부연도(26)의 바닥에서 식어 지면서, 구들(25) 난방 및 바닥으로부터의 찬 공기를 차단하는 효과를 나타내고, 이 물은 구들하부연도(26) 바닥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수로(27) 및 배수관(28)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지고, 구들(25)을 덥히고 난 배기가스는 굴뚝(29)을 통하여 배출되어 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폐석유화학물의 완전연소가 가능하여 다이옥신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다이옥신의 재합성을 방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이 제공된다.

Claims (10)

  1. 소각 장치에 있어서,
    폐석유화학물을 투입하기 위한 폐기물투입구,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1 공기공급구 및 기화된 상기 폐석유화학물의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제1 가스배출구가 형성된 용융기화실; 및
    화목을 투입하기 위한 화목투입구, 상기 화목이 쌓여 연소되는 바닥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스배출구로부터의 상기 폐석유화학물 가스를 유입하기 위한 가스인입구,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2 공기공급구 및 상기 화목과 상기 폐석유화학물 가스가 연소되어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제2 가스배출구가 형성된 연소실을 포함하며,
    상기 연소실은 상기 용융기화실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용융기화실은 상기 연소실에서의 연소로 인해 발생하는 열을 공급받아 상기 폐석유화학물 가스를 생성하며, 상기 폐석유화학물 가스는 상기 가스인입구에 의해 상기 연소실에서 연소되는 상기 화목으로 안내되어 연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의 바닥은 깔때기 형상으로, 상기 연소실 바닥의 우묵한 끝단에는 하부로 돌출된 하부연소실이 형성되며,
    상기 가스인입구는 상기 화부연소실의 바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의 바닥은 깔때기 형상이며, 상기 가스인입구는 상기 연소실 바닥의 끝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스배출구에 위치하여 상기 연소가스가 통과하는 미세한 망으로서, 통과하는 상기 연소가스가 연소되도록 상기 연소실에서의 연소로 인해 고온으로 달구어지는 분진차단연소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 장치.
  5. 삭제
  6. 보일러 장치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소각 장치;
    물을 저장하기 위한 온수탱크; 및
    상기 소각장치의 제2 가스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제2 가스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연소가스가 흐르는 연도로서, 상기 온수탱크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고온의 연소가스의 열과 상기 온수탱크에 저장된 물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발열시스템연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시스템연도에 연장 형성되는 연도;
    상기 연도에 연장 형성되며, 내부 및 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냉각수가 흐를 수 있는 관이 형성되는 급냉시스템연도;
    상기 급냉시스템연도에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토출관;
    상기 냉각수토출관에 설치된 자동밸브;
    상기 급냉시스템연도를 관통한 상기 연소가스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온도가 소정의 임계온도 이하가 되도록, 상기 자동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급냉시스템연도의 배기가스를 외부 온돌로 제공하기 위한 고온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시스템연도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연소실과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연도;
    상기 연도에 연장 형성되며, 내부 및 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냉각수가 흐르는 관이 형성되는 급냉시스템연도;
    상기 급냉시스템연도에 상기 냉각수를 제공하기 위한 냉각수 토출관;
    상기 냉각수 토출관에 형성되는 자동밸브;
    상기 급냉시스템연도를 관통하는 상기 연소가스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연소가스의 온도가 소정의 임계온도 이하가 되도록, 상기 자동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시스템연도로부터 연장되고, 관통하는 상기 연소가스로 냉각수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밸브가 장착된 급냉시스템연도;
    상기 급냉시스템연도를 관통하는 상기 연소가스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연소가스의 온도가 소정의 임계온도 이하가 되도록 상기 분사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장치.
KR1020060055377A 2005-11-24 2006-06-20 소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한 보일러 장치 KR1008151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834 2005-11-24
KR20050112834 2005-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315A KR20070055315A (ko) 2007-05-30
KR100815109B1 true KR100815109B1 (ko) 2008-03-20

Family

ID=38112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377A KR100815109B1 (ko) 2005-11-24 2006-06-20 소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한 보일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15109B1 (ko)
CN (1) CN10054099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62404B (zh) * 2009-11-17 2012-10-03 毛樟水 减轻各种烟囱排放有害烟尘、粉尘、气体的燃烧装置
CN110006060B (zh) * 2019-04-30 2024-05-24 湖南申联环保科技有限公司 Srl炉高温烟气三次焚烧及余热利用一体化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0618A (ja) 2000-03-29 2001-10-10 Mn Engineering Kk 廃棄物の炭化溶融機構
JP2002310412A (ja) 2001-04-05 2002-10-23 Plantec Inc 灰溶融装置を備えた竪型ごみ焼却施設とその運転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0618A (ja) 2000-03-29 2001-10-10 Mn Engineering Kk 廃棄物の炭化溶融機構
JP2002310412A (ja) 2001-04-05 2002-10-23 Plantec Inc 灰溶融装置を備えた竪型ごみ焼却施設とその運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315A (ko) 2007-05-30
CN1971138A (zh) 2007-05-30
CN100540998C (zh) 200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789B1 (ko) 유기성 폐기물의 가스화 방법 및 장치
RU2286837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пасных отходов
SK288020B6 (sk) Reactor and method for gasifying and/or melting materials
JP2009085452A (ja) ダイオキシン生成を抑制する固体バイオマス焚廃プラスチック小型焼却炉及び煙突上部構造
CN104913313A (zh) 新型热解气化熔融环保炉及其对废弃物进行处理的方法
JP3929064B1 (ja) 産業廃棄物溶融固化装置
JP2008014570A (ja) 廃棄物の熱分解処理設備及び廃棄物の熱分解処理設備の運転方法
KR101398103B1 (ko) 폐기물 소각장치
JP2009052845A (ja) 排ガス処理装置及びボイラシステム
KR100815109B1 (ko) 소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한 보일러 장치
KR101074001B1 (ko) 연소가스 재순환을 이용한 고발열 폐기물의 소각 과열방지장치가 설치된 폐기물소각로
CN204678349U (zh) 新型热解气化熔融环保炉
JPH1038234A (ja) 熱分解焼却装置
JP6063539B1 (ja) ごみ焼却炉及びその冷却方法
JP2007271205A (ja) 溶融炉の炉内状況監視・制御方法及び該装置
KR100660757B1 (ko) 폐기물소각로의 조업방법 및 폐기물소각로
JP2006023052A (ja) 灰溶融炉の排ガス処理方法およびその処理設備
JP2005326042A (ja) ガス化炉及び複合リサイクル装置
KR200409444Y1 (ko) 건류 또는 반건류식 소각로의 수냉식 1차연소실
EP3604921B1 (en) Biomass heat generator for domestic use
KR200210600Y1 (ko) 브라운가스 연소화염의 가열판 가열에 의한 가열매체가열방식.
KR100619283B1 (ko) 폐비닐을 이용한 보일러
KR200321572Y1 (ko) 폐섬유 소각 장치
KR19980068750A (ko) 축로식 소각로의 매연 방지장치
KR100488901B1 (ko) 소각로의 고온 배기가스의 다이옥신 냉각분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