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3147B1 - 의료용 카테터 - Google Patents

의료용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3147B1
KR100813147B1 KR1020060111646A KR20060111646A KR100813147B1 KR 100813147 B1 KR100813147 B1 KR 100813147B1 KR 1020060111646 A KR1020060111646 A KR 1020060111646A KR 20060111646 A KR20060111646 A KR 20060111646A KR 100813147 B1 KR100813147 B1 KR 100813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hubs
monofilament
catheter
medical cath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1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현
김영신
김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to KR1020060111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3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9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025/0163Looped cath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인체 복강(腹腔) 내의 병변 부위로부터 담즙이나 농액을 체외(體外)로 간편하게 배출/제거할 수 있는 의료용 카테터를 개시한다.
그러한 의료용 카테터는, 관로를 구비하고 이 관로의 어느 한쪽편이 피그 테일(pig tail) 형상으로 말려진 상태의 삽입단을 갖도록 형성한 카테터 튜브와, 좌/우측으로 관통된 내부 통로를 갖는 2개의 허브로 구성하여 어느 하나의 허브 내부면 둘레와 다른 하나의 허브 외부면 둘레를 끼움 결합으로 고정하며 상기 카테터 튜브의 삽입단 반대편 단부와 연결 고정되는 허브 어셈블리와,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삽입단을 피그 테일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카테터 튜브 내부에 연결 고정되며 당김 또는 풀림 동작을 위한 일측 단부를 상기 허브들의 끼움 결합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한 모노필라멘트 및 상기 허브들의 끼움 결합 방향을 가이드하면서 비틀림 접촉력으로 상기 모노필라멘트의 일측 단부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가압부와 가이드부를 갖는 잠금수단을 포함한다.
인체 복강(腹腔)의 병변 부위 치료, 담즙이나 농액 제거, 2개의 허브, 허브 어셈블리, 카테터 튜브, 피그 테일 형상의 삽입단, 모노필라멘트, 비틀림 접촉 압력, 잠금수단, 가이드부, 테이퍼홈과 테이퍼돌기, 작동 안정성 향상

Description

의료용 카테터{drainage cathet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의 전체 외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의 모노필라멘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의 허브 어셈블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의 잠금수단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의 록킹용 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의료용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 복강(腹腔) 내의 병변 부위로부터 담즙이나 농액을 체외로 배출/제거하는 의료 시술에 사용되며, 특히 담즙이나 농액의 배출/제거 시술시 한층 향상된 작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의료용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테터는 환자의 복강 내의 병변에 있는 담즙이나 농액을 체외로 배출 및 제거하여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의료 시술에 널리 사용된다.
상기 카테터는, 피그 테일(pig tail) 형상의 삽입단을 갖는 삽입용 튜브와, 이 삽입용 튜브의 일단과 연결 고정되며 튜브의 삽입단 자세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수단을 갖는 허브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삽입용 튜브 내부에는 상기 잠금수단과 연계하여 작동하는 모노필라멘트가 위치한다. 이 모노필라멘트의 양측 단부 중에서 일측 끝단은 상기 삽입용 튜브의 삽입측 단부를 당길 수 있도록 연결되고, 반대편 끝단은 상기 잠금수단으로 가압하면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즉, 상기 모노필라멘트는 상기 삽입용 튜브를 인체 복강 내의 병변에 삽입한 상태에서 일측으로 당기는 동작에 의해 상기 삽입단이 담즙이나 농액의 배출이 용이한 형상(피그 테일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허브 어셈블리에 마련된 잠금수단은 가압 접촉력에 의해 모노필라멘트의 일측 단부를 당김 상태로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모노필라멘트를 간편하게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잠금수단을 갖는 카테터로는 2002년 5월 28일자로 실용신안등록 출원되어 등록 된 실용신안등록 제0286108호의 카테터 어셈블리가 있다.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0286108호의 카테터 어셈블리는 허브 어셈블리에 마련된 잠금장치를 통상의 버튼 타입으로 형성하여 버튼의 누름 동작에 의한 접촉력으로 모노필라멘트를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것이므로 이와 같은 버튼 타입의 잠금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먼저, 버튼의 누름 조작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허브 어셈블리의 외부면으로부터 과다하게 돌출된 상태로 잠금장치를 형성해야 하므로 카테터의 전체 크기가 커져서 소형화를 실현하기 어렵고, 과다하게 돌출된 장금장치는 시술성을 저하시키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 타입의 잠금장치는 버튼부와 주작동체, 한쌍의 돌출부 및 수용홈을 갖는 수용체 그리고, 걸쇠부와 같이 여러 개의 구성부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작동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작이 난이한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허브 어셈블리의 외부면에 돌출 상태로 잠금장치를 형성하면 상기 허브 통로를 벗어나서 상기 모노필라멘트를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구간에 다수개의 결합 틈새들이 발생하므로 만족할 만한 시일 성능을 기대할 수 없다.
특히, 잠금장치의 시일 성능이 저하되면, 삽입용 튜브로 담즙이나 농액 등을 배출할 때 허브 어셈블리 내부 통로를 통과하는 담즙이나 농액이 상기 잠금장치의 내부 틈새로 스며들면서 누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장치는 모노필라멘트를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 상태를 해제하려면 별도의 키(key)를 이용해야 하므로 조작이 불편하여 시술성을 더욱 저하시 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노필라멘트의 조작이 용이하고, 특히 허브의 끼움 결합에 의한 비틀림 접촉력으로 모노필라멘트를 간편하게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의료용 카테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관로를 구비하고 이 관로의 어느 한쪽편이 피그 테일(pig tail) 형상으로 말려진 상태의 삽입단을 갖도록 형성한 카테터 튜브;
좌/우측으로 관통된 내부 통로를 갖는 2개의 허브로 구성하여 어느 하나의 허브 내부면 둘레와 다른 하나의 허브 외부면 둘레를 끼움 결합으로 고정하며 상기 카테터 튜브의 삽입단 반대편 단부와 연결 고정되는 허브 어셈블리;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삽입단을 피그 테일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카테터 튜브 내부에 연결 고정되며 당김 또는 풀림 동작을 위한 일측 단부를 상기 허브들의 끼움 결합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한 모노필라멘트;
상기 허브들의 끼움 결합 방향을 가이드하면서 비틀림 접촉력으로 상기 모노필라멘트의 일측 단부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가압부와 가이드부를 갖는 잠금수단;
을 포함하는 의료용 카테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의 외부와 내부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면 부호 2는 카테터 튜브를 지칭한다.
상기 카테터 튜브(2)는 내부에 관로(L)를 갖으며 이 관로(L)를 따라 가늘고 긴 튜브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카테터 튜브(2)의 재질은 통상의 의료용 카테터에 사용하는 튜브체 재질과 동일한 합성수지류 중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테터 튜브(2)는 도 1에서와 같이 일측 끝단이 원형으로 말려지면서 통상의 피그 테일(pig tail)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삽입단(4)을 갖는다.
상기 피그 테일 형상의 삽입단(4)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의료용 카테터의 튜브체를 성형하는 통상 작업을 거치면서 성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그 테일 형상을 갖는 삽입단(4)은 상기 카테터 튜브(2)를 환자의 복강 병변 부위에 삽입한 상태에서 병변 부위에 존재하는 답즙이나 농액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단(4)과 근접한 지점에는 상기 카테터 튜브(2)의 외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관로(L)와 연통하도록 복수개의 배출홀(L1)을 형성한다.
상기 복수개의 배출홀(L1)은 상기 카테터 튜브(2)의 외부면에서 도 1에서와 같이 다각형으로 관통 형성하거나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원형으로 관통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복수개의 배출홀(L1)은 병변에 있는 담즙이나 농액이 상기 카테터 튜브(2)의 관로(L)로 유입되도록 하는 일종의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카테터 튜브(2) 내부에는 모노필라멘트(Y)가 위치한다. 이 모노필라멘트(Y)는 상기 관로(L) 내부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당겨지는 동작에 의해 상기 삽입단(4)을 피그 테일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 고정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관로(L) 내부에서 일측 끝단을 고정하여 고정단(Y1)을 형성하고, 반대편 끝단은 상기 삽입단(4)을 향하도록 상기 관로(L)를 따라 연장되면서 피그 테일 구간에서 튜브(2) 외부면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을 관통한 후 다시 반대편측으로 연장된 자유단(Y2)을 형성하여 이 자유단(Y2)을 당기는 동작에 의해 피그 테일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한 모노필라멘트(Y)는 도 3에서와 같은 방향으로 상기 자유단(Y2)을 당기는 동작에 의해 상기 삽입단(4)을 피그 테일 형성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모노필라멘트(Y)는 통상의 의료용 카테터에 사용하는 모노필라멘트와 동일한 물성 특성을 갖는 의료용 세사(細絲)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테터 튜브(2)는 허브 어셈블리(6)와 연결되며, 이 허브 어셈블리는 제1 허브(8)와 제2 허브(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허브(8)와 상기 제2 허브(10)는 도 4에서와 같이 내부에 관통홀(H1, H2)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 허브(8)의 관통홀(H1) 내부에 상기 제2 허브(10)의 돌출부(12)를 끼워서 상기 2개의 통로(H1, H2)가 서로 연통하도록 결합 고정한다.
즉, 상기 제1 허브(8)와 상기 제2 허브(10)는 통상의 암(female)/수(male) 끼움 결합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허브(10)의 일측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연결부(C)를 형성한다.
상기 연결부(A)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관로(L)와 상기 통로(H1, H2)들을 통하여 담즙이나 농액을 공기 부압으로 빨아들이기 위한 통상의 장치(주사기)와 연결된다.
상기 제1 허브(8)의 일측에는 상기 카테터 튜브(2)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허브 캡(14)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허브 캡(14)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1 허브(8)와 통상의 나사 결합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이들의 결합면 사이로 상기 카테터 튜브(2)의 둘레를 가압하면서 연결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모노필라멘트(Y)의 고정단(Y1)은 상기 허브 캡(12)과 상기 제1 허브(8)를 결합할 때 이들의 나사 결합부 사이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노필라멘트(Y)의 자유단(Y2)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1 허브(8)와 상기 제2 허브(10)의 끼움 결합 틈새에서 관통홀(Q)을 통해 도면에서와 같 이 외부로 인출한다.
이와 같이 상기 모노필라멘트(Y)의 고정단(Y1)을 고정한 상태로 상기 허브 어셈블리(6) 외부에서 상기 자유단(Y2)을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카테터 튜브(2)의 삽입단(4)을 액체 배출 작업이 용이한 형상(피그 테일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도 3참조)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는 잠금수단(K)을 포함한다.
상기 잠금수단(K)은 도 4에서와 같이 테이퍼홈(R1) 및 테이퍼돌기(R2)를 갖는 가압부(16a)와, 가이드홈(R3) 및 가이드돌기(R4)를 갖는 가이드부(16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부(16a)는 상기 제1 허브(8)와 상기 제2 허브(10)의 내부면과 외부면에 테이퍼홈(R1)과 테이퍼돌기(R2)를 형성한다.
상기 테이퍼홈(R1)은 상기 제1 허브(8)의 내부면 둘레를 따라 도 4에서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테이퍼돌기(R2)는 상기 제2 허브(10)의 돌출부(12) 외부면에서 상기 테이퍼홈(R2)에 대응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6b)는, 상기 제1 허브(8)의 외부면에 상기 가이드홈(R3)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허브(10)의 외부면에 상기 가이드돌기(R4)를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홈(R3)은 도 5에서와 같이 직선 가이드구간(F1)과 경사가이드구간(F2) 그리고, 걸림구간(F3)을 가지며, 이들 각 구간(F1, F2, F3)들은 상기 제1 허브(8)의 외부면에 도면에서와 같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가이드부(16b) 즉, 가이드홈(R3) 및 가이드돌기(R4)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돌기(R4)가 상기 가이드홈(R3)의 각 구간(F1, F2, F3)들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상기 허브(8, 10)들을 비틀림 결합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허브(8, 10)들의 비틀림 결합에 의해 상기 테이퍼홈(R1)과 테이퍼돌기(R2)가 비틀림 접촉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접촉하면서 상기 모노필라멘트(Y)의 자유단(Y2) 일측을 비틀림 접촉력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도 7참조)
이러한 고정 구조는 종래의 의료용 카테터에 적용한 버튼 고정 방식에 비하여 상기 허브 어셈블리(6)의 외부로 일체의 돌출부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각 허브(8, 10)를 결합하면서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2개의 허브(8, 10)는 상기 가이드홈(R3)과 가이드돌기(R4)에 의해 비틀림 방식으로 끼움 결합되므로 결합 또는 결합 해제를 위한 조작이 용이하고, 비틀림 접촉에 의해 한층 향상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는 시일부재(1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시일부재(18)는 상기 허브 어셈블리(6)를 형성하는 상기 제1 허브(8)와 상기 제2 허브(10)의 끼움 결합면 틈새의 시일이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시일부재(18)는 통상의 고무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2 허브(10)의 돌출부(12) 둘레를 감싸는 상태로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노필라멘트(Y)는 상기 허브 어셈블리(6) 내측에서 상기 시일부재(18)의 내부면과 상기 돌출부(12) 외부면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2개의 허브(8, 10)가 결합하는 접촉면 둘레를 따라 시일부재(18)를 설치하면, 상기 카테터 튜브(2)로 담즙이나 농액 등을 배출 할 때 결합 틈새 사이로 누액(漏液)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는, 상기 제1 허브(8)와 상기 제2 허브(10)의 결합 상태를 한 번 더 고정하기 위한 록킹용 핀(2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록킹용 핀(20)은 상기 제1 허브(8)의 외부면을 관통하여 도 8에서와 같은 자세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허브(10)의 돌출부(12) 외부면에는 상기 록킹용 핀(20)에 대응하는 걸림홈(22)을 형성한다.
상기 록킹용 핀(20)은 상기 제1 허브(8)와 상기 제2 허브(10)를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아래쪽으로 누루면 아래쪽 끝단이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제2 허브(10)의 걸림홈(22)측에 걸려지면서 상기 제1 허브(8)와 상기 제2 허브(10)의 끼움 결합 상태를 한 번 더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록킹용 핀(20)을 더 설치하면, 상기 허브 어셈블리(6)의 결합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예를들어, 의료 시술 중에 진동이나 외력이 전달되면서 상기 2개의 허브(8, 10)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허브 어셈블리 내측에 구비된 잠금수단으 로 모노필라멘트를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하면서 카테터 튜브의 삽입 단부를 피그 테일 형상으로 간편하게 조절 및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잠금수단은, 허브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허브들의 끼움 결합에 의한 비틀림 접촉력으로 모노필라멘트를 간편하게 고정 및 해제할 수 있으므로 록킹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한층 향상된 조작성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잠금수단 구조는 예를들어, 누름 버튼으로 누루면서 고정하는 종래의 버튼 방식에 비하여 전체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으므로 카테터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복강 병변에 있는 담즙이나 농액을 체외로 배출 제거하는 시술을 할 때 한층 향상된 사용 편의성과 시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5)

  1. 관로를 구비하고 이 관로의 어느 한쪽편이 피그 테일(pig tail) 형상으로 말려지고 외부와 연통하도록 배출홀이 형성된 삽입단을 가지는 카테터 튜브;
    좌/우측으로 관통된 내부 통로를 갖는 2개의 허브로 구성되며 어느 하나의 허브 내부면 둘레와 다른 하나의 허브 외부면 둘레가 끼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카테터 튜브의 삽입단 반대편 단부와 연결 고정되는 허브 어셈블리;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삽입단을 피그 테일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카테터 튜브 내부에 연결 고정되며 당김 또는 풀림 동작을 위한 일측 단부가 상기 허브들의 끼움 결합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된 모노필라멘트;
    상기 허브들의 끼움 결합 방향을 가이드하면서 비틀림 접촉력으로 상기 모노필라멘트의 일측 단부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가압부와 가이드부를 갖는 잠금수단;
    을 포함하는 의료용 카테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2개의 허브 중에서 어느 하나의 허브 내부면 둘레에 테이퍼홈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허브 외부면 둘레에 테이퍼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테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2개의 허브 중에서 어느 하나의 허브 외부면에 가이드돌기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허브 외부면에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테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카테터는 록킹용 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록킹용 핀은 상기 허브들의 끼움 결합 지점에서 어느 하나의 허브에서 다른 하나의 허브 일측과 걸림 접촉이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테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카테터는 시일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일부재는 시일용 고무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허브들의 끼움 결합 틈새의 시일이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테터.
KR1020060111646A 2006-11-13 2006-11-13 의료용 카테터 KR100813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646A KR100813147B1 (ko) 2006-11-13 2006-11-13 의료용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646A KR100813147B1 (ko) 2006-11-13 2006-11-13 의료용 카테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3147B1 true KR100813147B1 (ko) 2008-03-17

Family

ID=39410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1646A KR100813147B1 (ko) 2006-11-13 2006-11-13 의료용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31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194B1 (ko) 2010-10-20 2013-01-22 서수원 배액 카테터
KR20150125240A (ko) * 2014-04-30 2015-11-09 주식회사 엠아이텍 카테터
KR20200111026A (ko) 2019-03-18 2020-09-28 (주)이롭 수술 후 통증 완화를 위한 카테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0275A (ja) * 1990-01-12 1991-09-13 Ube Ind Ltd カテーテル
US5219332A (en) 1992-11-30 1993-06-15 Merit Medical Systems, Inc. Rotation tool for medical guidewire
JPH11221229A (ja) 1997-09-24 1999-08-17 Eclipse Surgical Technol Inc カテーテル
KR200286108Y1 (ko) 2002-05-28 2002-08-22 이낙호 카테터 어셈블리
JP2005230471A (ja) 2004-02-23 2005-09-02 Japan Lifeline Co Ltd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0275A (ja) * 1990-01-12 1991-09-13 Ube Ind Ltd カテーテル
US5219332A (en) 1992-11-30 1993-06-15 Merit Medical Systems, Inc. Rotation tool for medical guidewire
JPH11221229A (ja) 1997-09-24 1999-08-17 Eclipse Surgical Technol Inc カテーテル
KR200286108Y1 (ko) 2002-05-28 2002-08-22 이낙호 카테터 어셈블리
JP2005230471A (ja) 2004-02-23 2005-09-02 Japan Lifeline Co Ltd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194B1 (ko) 2010-10-20 2013-01-22 서수원 배액 카테터
KR20150125240A (ko) * 2014-04-30 2015-11-09 주식회사 엠아이텍 카테터
KR101602395B1 (ko) 2014-04-30 2016-03-10 주식회사 엠아이텍 카테터
KR20200111026A (ko) 2019-03-18 2020-09-28 (주)이롭 수술 후 통증 완화를 위한 카테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9139B2 (en) Connector
US7740608B2 (en) Locking drainage catheter with rotatable lever handle and release tool
CN204798476U (zh) 导管组件
EP2874533B1 (en) Endoscope overtube for natural body orifice insertion
KR102240262B1 (ko) 변환기 세척/흡인 장치
JP4647365B2 (ja) 医療用の接続器具
CA2404440C (en) Locking catheter
US9504630B2 (en) Nasogastric tube
US6350260B1 (en) Catheter coupling
JP2022136158A (ja) 弁付き針組立体および留置針組立体
WO2009093300A1 (ja) 医療装置および内視鏡
CN218943294U (zh) 插入部
KR100813147B1 (ko) 의료용 카테터
JP6043059B2 (ja) ガイドワイヤ保持具
US20120288823A1 (en) Dental handpiece
US20140088432A1 (en) Biopsy Channel Attachment Adaptor
MX2007002776A (es) Equipo de tubo medico.
JP5751515B2 (ja) 内視鏡用挿入補助器具
CN208031628U (zh) 上消化道内镜手术专用牙垫
JPH0434802Y2 (ko)
JP6046455B2 (ja) ガイドワイヤ保持具
JPH03111025A (ja) 内視鏡用鉗子栓
CN220002718U (zh) 猪尾巴引流管
CN101296719B (zh) 用于低真空创口引流系统的针装置
CN220917936U (zh) 一种鞘管接头以及鞘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