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1429B1 - 미세하고 지속적인 거품을 형성시키는 크림타입의수성세안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세하고 지속적인 거품을 형성시키는 크림타입의수성세안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1429B1
KR100811429B1 KR1020010075607A KR20010075607A KR100811429B1 KR 100811429 B1 KR100811429 B1 KR 100811429B1 KR 1020010075607 A KR1020010075607 A KR 1020010075607A KR 20010075607 A KR20010075607 A KR 20010075607A KR 100811429 B1 KR100811429 B1 KR 100811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weight
irritation
cream
b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5207A (ko
Inventor
맹유재
문권기
이천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10075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429B1/ko
Publication of KR20030045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4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2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mid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5Anti-irrita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림상 세안제로서 거품이 미세하면서도 지속력이 우수하여 민감한 피부를 가진 사용자가 자극을 피하고 싶거나 피부에 강한 자극을 받은 경우에 사용하여 자극 없이 피부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고 사용 후 부드럽고 촉촉한 피부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우수한 사용감을 나타내는 크림상 세안제에 관한 것이다.
크림상, 세안제, 피부자극,아미노산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고급지방산비누

Description

미세하고 지속적인 거품을 형성시키는 크림타입의 수성세안제 조성물{Washable cleansing composition foaming fine and good foam stability}
본 발명은 크림상 세안제로서 거품이 미세하면서도 지속력이 우수하여 민감한 피부를 가진 사용자가 자극을 피하고 싶거나 피부에 강한 자극을 받은 경우에 사용하여 자극 없이 피부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고 사용 후 부드럽고 촉촉한 피부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우수한 사용감을 나타내는 크림상 세안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안제라 하면 티슈오프 타입의 유성세안제와 워시오프 타입의 수성세안제가 있으며 이들의 주된 목적은 피부의 청결을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화장료이다. 세안제는 피부표면의 땀이나 피지, 먼지, 노화된 각질 등의 각종 노폐물과 메이크업 잔여물, 기타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피부 상태를 촉촉하고 건강하게 유지해주어 결과적으로 화장을 잘 받도록 하여 주는 것이다. 만약 상기한 불순물이 피부에 그대로 남아있으면 모세혈관이 수축되어 혈액순환이 약화되며 모공이 막히게 되어 신진대사에 필요한 산소와 영양공급을 방해받게 되어 피부가 건강하지 않게 되며 또한 각화현상이 더욱 심해지고 여드름이나 뾰류지 발생 또는 잡티 등이 나타나고 과산화지질 등이 축적되어 조기 노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종래의 크림타입의 수성세안제인 폼클렌징은 모든 피부에 사용하며 피부 노폐물 뿐만 아니라 메이크업까지도 완벽하게 세안하여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세안제 중의 하나이지만, 세안시 피부간의 마찰에 의한 자극과 피지막이 과도하게 제거 되어 피부가 당기고 주름이 생기기 쉬워 피부 상태를 망칠 우려가 있다. 과도한 피지제거를 방지하기 위하여 메이크업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동시에 물에도 잘 헹궈지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올리에이트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이소스테아레이트 등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였다(미국특허 제5,462,691호). 이러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들은 피부 노폐물도 제거하고 사용 후 피부 사용감을 촉촉하게 나타낸다. 하지만 이때 사용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세정성이 약하기 때문에 깨끗한 피부 세안을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에 의한 크림타입의 수성세안제인 폼클렌징은 완벽한 세안은 물론 풍부하고 미세한 거품 형성으로 피부 마찰에 의한 자극을 없애고 과도한 피지막 제거를 줄여줄 수 있는 크림타입 수성 세안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크림타입의 수성세안제인 폼클렌징의 조성물은 주 세정제로 고급지방산비누를 10.0 ~ 40.0중량% 혼합하고 미세한 기포형성과 형성된 기포의 안정성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아미노산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0.5 ~ 20.0 중량% 혼합하였고, 다가알콜 10.0 ~30.0 중량%, 사용 안정성을 위하여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에틸클라이콜모노스테 아레이트 및 밀납을 3.0 ~ 15.0 중량%를 혼합하였고, 향, 방부제, 물 등을 적당량 첨가하여 완성시킨 크림타입의 수성세안제이다.
본 발명에서 주 세정제로 사용된 고급지방산 비누는 탄소수가 8 ~ 22개인 고급 지방산을 알카리 중화제 즉, 수산화칼륨, 트리에탄올아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의 적당량과 혼합하여 중화시켜 만든 비누형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이의 사용량은 10.0 ~ 40.0 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 35.0 중량%이다.
본 발명은 뛰어난 세정력 및 피부에 대한 강한 보호작용을 나타내고, 고급지방산비누의 거친 기포형성을 미세하고 풍부하며 쾌적한 거품을 일으키어 세안시 거품에 의한 마사지 효과와 부드러움으로 피부 자극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사용 후 피부상태를 촉촉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는 아미노산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소디움코코일메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소디움라우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소디움미리스틸메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며, 그 사용함량은 0.5 ~ 20.0 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10.0 중량%이다, 이때 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미세한 기포형성 능력이 떨어지고, 20.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크림타입 수성세안제상을 유지할 수가 없다.
본 발명에서는 세안 후 피부당김을 없애기 위한 보습성분으로 다가알콜을 사용하며, 이때 사용되는 다가알콜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및 폴리에틸렌글라이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성분들의 함량은 중량%이다.
하기 표1 및 표2에 나타나 있는 성분 및 성분비(중량%)로 크림타입 수성세안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온도별 안정성, 초기 기포력, 기포 유지력, 사용감 등을 살펴보았으며, 사용감은 사용시 기포만족감과 사용 후 피부 상태에 대한 패널 응답을 통하여 판정하였다.
온도별 안정성은 0℃, 25℃, 37℃, 40℃에서 크림타입 수성세안제의 상 유지하는 정도를 판정하였고, 초기 기포력과 기포 유지력은 정제수에 크림타입 수성세안제를 희석시켜 시료를 만든 후 기포력 시험기로 기포를 형성시킨 후 초기 기포형성 부피를 측정하여 초기 기포력을 보았고, 이를 30분 방치한 후 남아있는 기포부피를 측정하여 기포 유지력을 관찰하였다.
Figure 112001031695380-pat00001

실험예 1 : 온도안정성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유화물의 온도 안정성을 5점 척도로 평가하여 표시하였다.
크림타입의 수성세안제의 상 유지 수준에 따라 우수하면 5점, 약간의 경도 변화만 있으면4점, 경도변화가 심하나 제형이 유지되면 3점, 경도변화가 심하고 제형에 약간의 이상이 있으면 2점, 제형에 심한 이상이 있으면 1점으로 표시하였다.
Figure 112001031695380-pat00002
표 2에서 보듯이 실시예1 및 비교예1과 비교하여 온도 안정성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기포력
각각 실시예와 비교예의 초기 기포력과 기포 유지력은 정제수에 크림타입 수성세안제를 희석시켜 시료(수성세안제 10g+정제수 200g)를 만든 후 기포력 시험기의 1L메스실린더에 시료를 넣고 다공 원판형 피스톤을 60rpm으로 60회 왕복 시켜 기포를 형성시킨 후 초기 기포형성 부피를 측정하여 초기 기포력을 보았고, 이를 30분 방치한 후 기포유지부피를 측정하여 기포유지력을 관찰하였다
기포유지력을 나타낼 수 있는 기포 유지율을 아래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기포유지율(%) = 기포유지부피(ml) / 초기 기포형성부피(ml) x 100
Figure 112001031695380-pat00003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보듯이 실시예의 경우가 비교예의 경우 보다 초기기포형성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기포유지력도 월등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 사용감
크림타입 수성세안제를 주로 사용하는20세에서 30세의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크림타입 수성세안제를 사용 후 각각의 사용감을 평가하게 하였다. 사용감은 사용시 기포만족감과 사용 후 피부상태에 대한 관능평가를 하여 하기 표 4에 사용감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때 관능평가는 매우우수(5점), 우수(4점), 보통(3점), 나쁨(2점), 매우나쁨(1점)의 기준에 의거하여 수행하고 평점은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였다.
수학식 2
평점 =(매우우수 인원수)*5 + (우수인원수)*3 + (보통 인원수)*0 + (나쁨 인원수)*(-3) + (매우나쁨 인원수)*(-5) / 평가 인원수
Figure 112001031695380-pat00004
상기 표 4의 결과로부터 실시예의 경우가 비교예의 경우보다 사용시 기포만족도가 우수하였으며, 사용 후 피부의 촉촉한 느낌에 대한 만족감도 우수하여 전반적인 만족도도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크림타입의 수성세안제 조성물은 고급지방산비누에 아미노산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기포력과 기포안정성으로 피부자극이 거의 없으면서도 우월한 사용감을 갖는 것이다.

Claims (3)

  1. 주 세정제로서 탄소수 8 ~ 22개인 고급 지방산비누 10.0 ~ 40.0 중량% 을 사용하고, 소디움코코일메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소디움라우로일메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소디움미리스틸메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이상의 아미노산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0.5 ~ 20중량%,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및 폴리에틸렌글라이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다가알콜 10.0 ~ 30.0 중량%, 글리세일스테아레이트앤드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에틸클라이콜모노스테아레이트 및 밀납을 3.0 ~ 15.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타입 수성세안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KR1020010075607A 2001-12-01 2001-12-01 미세하고 지속적인 거품을 형성시키는 크림타입의수성세안제 조성물 KR100811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607A KR100811429B1 (ko) 2001-12-01 2001-12-01 미세하고 지속적인 거품을 형성시키는 크림타입의수성세안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607A KR100811429B1 (ko) 2001-12-01 2001-12-01 미세하고 지속적인 거품을 형성시키는 크림타입의수성세안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207A KR20030045207A (ko) 2003-06-11
KR100811429B1 true KR100811429B1 (ko) 2008-03-07

Family

ID=29572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607A KR100811429B1 (ko) 2001-12-01 2001-12-01 미세하고 지속적인 거품을 형성시키는 크림타입의수성세안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4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717B1 (ko) * 2003-12-12 2011-06-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클렌징 조성물
KR101336859B1 (ko) * 2007-01-03 2013-12-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저점성 유액타입의 수성세안제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7592A1 (en) * 1995-05-27 1996-1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sing compositions
KR19990009159A (ko) * 1997-07-08 1999-02-05 서경배 샴푸조성물
US5985809A (en) * 1995-05-27 1999-11-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queous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comprising specific nonocclusive liquid polyol fatty acid polyester
JP2000007554A (ja) * 1998-06-19 2000-01-11 Pola Chem Ind Inc 洗浄用の化粧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7592A1 (en) * 1995-05-27 1996-1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sing compositions
US5985809A (en) * 1995-05-27 1999-11-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queous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comprising specific nonocclusive liquid polyol fatty acid polyester
KR19990009159A (ko) * 1997-07-08 1999-02-05 서경배 샴푸조성물
JP2000007554A (ja) * 1998-06-19 2000-01-11 Pola Chem Ind Inc 洗浄用の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207A (ko) 200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7121B2 (ja) ノンガスフォーマー容器入り液体洗浄剤
JP5041113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5723188B2 (ja) ジェル状クレンジング用化粧料
JP5968692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KR101029945B1 (ko) 다가알콜과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비수계 세안제 조성물
JP3699719B1 (ja) 固型石鹸組成物
JP2012240962A (ja) 洗浄化粧料
KR101336859B1 (ko) 저점성 유액타입의 수성세안제 조성물
KR20080064468A (ko) 미세하고 지속적인 거품을 자체 형성하는 수성 세안제조성물
JP2002241263A (ja) 水性洗浄料
KR100811429B1 (ko) 미세하고 지속적인 거품을 형성시키는 크림타입의수성세안제 조성물
KR101042717B1 (ko) 클렌징 조성물
JP6048054B2 (ja) 皮膚用洗浄剤組成物
JP2001031561A (ja) 皮膚洗浄料
JP4401419B1 (ja) 起泡可能なクレンジングオイル、及びそれを用いるスキンケア方法
JP7327902B2 (ja) 洗浄料組成物
JP5946416B2 (ja) 皮膚洗浄用化粧料
JPH06116135A (ja) 皮膚洗浄料組成物
JP2002284672A (ja) クレンジング化粧料
KR101105810B1 (ko) 인체 세정제 조성물
JP2001031560A (ja) 皮膚洗浄料
JP2002241262A (ja) エアゾール洗浄剤
JP4381270B2 (ja) ペースト状洗顔料組成物
JP7379246B2 (ja) 洗浄料組成物
KR102500100B1 (ko) 클렌징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