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0702B1 - 음량 자동 조절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음량 자동 조절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0702B1
KR100810702B1 KR1020060121660A KR20060121660A KR100810702B1 KR 100810702 B1 KR100810702 B1 KR 100810702B1 KR 1020060121660 A KR1020060121660 A KR 1020060121660A KR 20060121660 A KR20060121660 A KR 20060121660A KR 100810702 B1 KR100810702 B1 KR 100810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output
volume
noise
unit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학
이근면
김희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1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07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with variable loudness of the ringing tone, e.g. variable envelope or amplitude of ring signal
    • H04M19/04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with variable loudness of the ringing tone, e.g. variable envelope or amplitude of ring signal according to the level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량 자동 조절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 수행 시 주변 소음에 따라 자동으로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음량 자동 조절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통화 연결 요청이 입력되는 통화 요청 과정과, 상기 통화 연결에 앞서 음향 출력 유닛을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주변 소음을 입력받는 소음 검출 과정과, 상기 검출된 주변 소음의 정도에 따라 상기 통화 연결 시 출력되는 음향 출력 값을 설정하는 음량 설정 과정, 및 상기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음향 출력 유닛을 통해 상기 음향 출력 값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통화 수행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량 자동 조절 방법과, 그에 이용되는 음량 자동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 요청에 따라 스피커 등을 통해 음향을 내보낼 때, 자동으로 주변 소음에 대응하는 음향 출력 값으로 조절하며 음향을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통화 시 마다 매번 음량의 출력을 직접 조절해야 하는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Figure R1020060121660
이동통신 단말기, 음량 조절, 스피커, 전자기 유도, 헤드 셋

Description

음량 자동 조절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volume contro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량 자동 조절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음량 자동 조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량 출력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량 자동 조절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음향 출력 값 설정 과정을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음량 자동 조절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 화 수행 시 주변 소음에 따라 자동으로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음량 자동 조절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란, 개인 이동 통신 단말기(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Terminal),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및 무선 랜 단말기 등과 같은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 통신을 비롯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한 단말기를 지칭한다.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해 발신자와 음성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근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별도의 음성 입출력 장치(예컨대 헤드 셋; headset)를 통해 통화를 수행하는 추세에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통화를 시작할 때, 음향 출력(또는 스피커 볼륨)이 이전에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크기로 출력된다. 따라서, 주변 소음이 큰 장소에서 통화를 시작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량 출력이 낮게 설정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신속하게 이동통신 단말기(또는 음성 입출력 장치)의 키 입력부를 조작하여 출력을 조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매우 정숙을 요하는 장소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들이 빈번하게 발생됨으로 인 하여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화 수행 시 주변의 소음 상태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알맞은 음량을 출력할 수 있는 음량 자동 조절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량 자동 조절 방법은 통화 연결 요청이 입력되는 통화 요청 과정과, 상기 통화 연결에 앞서 음향 출력 유닛을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주변 소음을 입력받는 소음 검출 과정과, 상기 검출된 주변 소음의 정도에 따라 상기 통화 연결 시 출력되는 음향 출력 값을 설정하는 음량 설정 과정, 및 상기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음향 출력 유닛을 통해 상기 음향 출력 값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통화 수행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량 자동 조절 장치는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는 음향 출력 유닛을 갖는 음향 출력 기기의 음량 자동 조절 장치에 있어서, 주변 소음의 입력에 따라 상기 음향 출력 유닛에서 유도되는 전류를 전송받아 음향 출력 값을 설정하는 음량 조절부 및 상기 음량 조절부로부터 상기 음향 출력 값을 전송받고, 상기 음향 출력 유닛으로 전송되는 상기 음향을 상기 음향 출력 값에 대응되도록 증폭하여 상기 음향 출력 유닛으로 전송하는 음량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량 자동 조절 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는 음향 출력 유닛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주변 소음의 입력에 따라 상기 음향 출력 유닛에서 유도되는 전류를 전송받아 음향 출력 값을 설정하는 음량 조절부 및 상기 음량 조절부로부터 상기 음향 출력 값을 전송받고, 상기 음향 출력 유닛으로 전송되는 상기 음향을 상기 음향 출력 값에 대응되도록 증폭하여 상기 음향 출력 유닛으로 전송하는 음량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음향 출력 유닛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모든 유닛을 포함하며, 음향이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유닛을 지칭한다. 즉,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스피커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잭(earphone jack)에 연결되는 이어폰이나 헤드 셋(headset), 더하여,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되는 무선 헤드 셋 등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유닛은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전류를 발생시키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음향 출력 유닛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파(예컨대 주변 소음 등)에 대응하여 진동하는 진동판과, 진동판의 진동을 통해 전류를 발생시키는 코일 및 영구 자석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음향 출력 유닛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량 자동 조절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음량 자동 조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근거리 통신부(120), 무선통신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키 입력부(160), 표시부(150), 저장부(170), 제어부(190), 및 음량 자동 조절 장치(180)를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부(120)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랜(LAN), 적외선(IrDA) 등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 가능한 기기들(예컨대 무선 헤드 셋)과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제어신호 및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3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 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3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90)로 출력하고, 제어부(19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코덱(CODEC: Coder/Decoder)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처리부(140)는 통화 시 무선통신부(130)를 통해 제어부(190)에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후술되는 음량 자동 조절 장치(180)로 전송하고, 마이크(144)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90)에 제공한다.
키 입력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90)에게 전달한다. 이를 위해 키 입력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키(도시되지 않음) 및 문자와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숫자 키(도시되지 않음)들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입력부(160)는 음량 조절 키(162)를 포함한다.
음량 조절 키(162)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스피커 등을 통해 벨 소리나 통화 음성 등과 같은 음향을 내보낼 때 음향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출력을 높이는 상향 키와 출력을 낮추는 하향 키를 포함한다. 이러한 음량 조절 키(162)는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옆면에 장착되는 사이드 키(side key)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제어 키를 이용하거나, 소프트웨 어적으로 구현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150)는 카메라 모듈(180)에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1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부(150)는 LCD 제어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LCD를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50)의 화면은 입력부로 동작될 수 있다.
저장부(17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데이터 메모리에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제어부(19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통화 수행 시 사용자가 음량 출력 키(162)를 조작하여 특정한 음향 출력 값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음향 출력 값을 후술되는 음량 출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는 음향 출력 값 설정 과정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량 자동 조절 장치(180)는 음량 증폭부(82)와, 음량 조절부(84), 및 음량 출력 데이터베이스(86)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음향 출력 유닛(185)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모든 유닛을 나타낸다. 또한, 음량 증폭부(82)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제 어부(190)나 오디오 처리부(140)로부터 전송된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음량 자동 조절 장치(100)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음량 증폭부(82)는 제어부(190)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고 이를 증폭하여 음향 출력 유닛(이하, 스피커; 185)으로 전송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음량 증폭부(82)는 음량 조절부(84)로부터 전송되는 음향 출력 값을 기반으로 하여 오디오 신호를 증폭한다.
음량 조절부(84)는 소음 검출부(844)와 음량 설정부(842)를 포함한다. 특히, 소음 검출부(844)는 소음 증폭부(846)와 소음 측정부(848)를 포함한다.
소음 증폭부(846)는 스피커(185)로부터 입력되는 전류를 감지하고, 이를 증폭하여 소음 측정부(848)로 전송한다.
소음 측정부(848)는 소음 증폭부(846)로부터 증폭된 전류를 입력받고, 이로부터 소음 값으로 산출하여 음량 설정부(842)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음 값으로 데시벨(DB(86))을 이용하는 예를 보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량 설정부(842)는 소음 측정부(848)로부터 소음 값을 전송받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스피커(185)로 출력될 음향의 출력 값을 설정하여 음량 증폭부(82)로 전송한다.
음량 출력 데이터베이스(이하, 음향 출력 DB(86))는 음량 설정부(842)에서 음향의 출력 값을 설정할 때 참조하는 것으로, 도 3에 본 실시예에 따른 음량 출력 데이터베이스의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음향 출력 DB(86)는 크기에 따라 다양한 레벨로 분류된 소음 값이 저장되는 소음 값 필드와, 각각의 소음 값에 대응되는 음향 출력 값이 저장되는 음향 출력 값 필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음 값의 단위로 데시벨(DB(86))을 사용하며, 음향 출력 값의 단위로 와트(mW)를 이용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음향 출력 DB에 저장되는 소음 값과 음향 출력 값은 미리 정의되어 있으며, 후술되는 본 실시예의 음향 출력 값 저장 과정(도 3의 S16 과정 내지 S19 과정)을 통해 사용자에 적합한 음향 출력 값으로 재 설정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음량 자동 조절 장치(180)를 이용한 음량 자동 조절 방법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음량 자동 조절 방법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전술한 음량 자동 조절 장치(180)의 구성 또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량 자동 조절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음향 출력 값 설정 과정을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대기 상태(S11)인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통화 요청이 입력되는 과정이 진행된다(S12). 본 실시예에서 S12 과정의 통화 요청은 호 수신에 의한 통화 요청과, 발신을 위해 사용자가 직접 키 입력 등을 통해 수행하는 통화 요청을 모두 포함한다. 호 수신에 의한 통화 요청의 경우, 호 수신을 요청하는 신호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면, 제어부(190)는 이를 통화 요청이 입력된 것을 판단한다. 그리고, 발신을 위한 통화 요청의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발신 번호를 입력한 후 통화 키를 입력면, 제어부(190)는 이를 통화 요청이 입력된 것을 판단한다.
S12 과정에서 통화 요청이 입력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S13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값 추출 과정을 수행한다.
제어부(190)는 먼저 S131 과정에서 음량 자동 조절 장치(180)의 음량 조절부(84)를 구동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스피커(185)를 통해 주변 소음을 입력받는다. 즉, 하나의 동일한 스피커(185)를 이용하여 음향의 출력과 입력을 모두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입력과 출력 중 어떠한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제작하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따라서 스피커를 입력 유닛으로 이용하여 마이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이미 공지된 사실이다. 스피커를 입력 유닛으로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보다는 입력되는 음질이 저하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소음의 세기 정도만을 검출하므로 무리없이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스피커(185)가 음향 출력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제어부(190)는 음량 자동 조절 장치(180)의 음량 조절부(84) 구동을 중지시켜 스피커(185)를 출력 전용 유닛으로 이용한다. 그러나 S13 과정과 같이 음향 출력 값 추출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 스피커(185)는 주변 소음이 입력되는 용도로 사용된다. 따라서, 이 경우, 제어부(190)는 음량 조절부(84)를 구동시키게 되고, 구동된 음량 조절부(84)는 소음 등으로 인하여 스피커(185)에서 발생되는 유도 전류를 입력받게 된다.
다음으로, S132 과정에서 음량 조절부(84)는 주변 소음을 검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주변 소음이 스피커(185)로 입력되어 스피커(185)의 진동판을 진동시키면,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스피커(185)의 코일에는 전류의 흐름이 발생된다. 그리고 전류의 흐름에 의해 발생된 유도 기전력이 소음 증폭부(846)에 인가된다.
이때, 소음 증폭부(846)는 인가된 유도 기전력은 매우 작은 전압이므로, 소음 증폭부(846)는 이를 증폭한 후, 소음 측정부(848)로 전달한다. 이에 소음 측정 부(848)는 S133 과정에서 증폭된 유도 기전력을 이용하여 소음 값(예컨대 dB)을 산출한 후, 이를 음량 설정부(842)로 전송한다.
소음 값을 전송받은 음량 설정부(842)는 S134 과정에서 해당 소음 값에 대응되는 음향 출력 값을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음량 설정부(842)는 음향 출력 DB(86)를 이용하여 해당 소음 값이 포함되는 레코드를 추출한 후, 해당 레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음향 출력 값을 추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소음 측정부(848)로부터 전송된 소음 값이 -20 dB(86)인 경우, 음량 설정부(842)는 음향 출력 DB(86)로부터 4mW의 음향 출력 값을 추출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음향 출력 값 추출 과정이 수행되어 음향 출력 값이 추출되면, S14 과정에서 음량 설정부(842)는 추출된 음향 출력 값을 음량 증폭부(82)로 전송한다. 이에 음량 증폭부(82)는 전송된 음향 출력 값을 따라 스피커(185)로 출력되는 음량의 출력 크기를 설정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음량 출력이 설정되면, 제어부(190)는 S15 과정에서 통화를 수행한다. 이때, 전술한 S12 과정에서 통화 요청이 호 수신에 의한 통화 요청인 경우, 제어부(190)는 설정된 음량 출력으로 호 수신을 알리는 벨 소리를 출력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S12 과정에서 통화 요청이 발신을 위한 통화 요청인 경우, 제어부(190)는 설정된 음량 출력으로 통화연결음을 출력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통화가 수행되는 과정에서 음량 조절 키(162)가 입력되는 S16 과정이 진행된다. 통화를 수행하던 사용자가 음량 출력을 높이거나 낮추기 위해 음량 조절 키(162)를 조작하게 되면, 제어부(190)는 이를 인지하고, S17 과정에서 음량 증폭부(82)를 통해 출력되는 음량을 조절한다. 즉, 사용자가 상향 키를 입력한 경우, 음량 출력부는 음량의 출력을 높이게 되며, 하향 키를 입력한 경우 음량 출력부는 음량의 출력을 낮추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변경하며 설정하는 음향 출력 값을 기준으로하여 음향 출력 DB(86)의 음향 출력 값을 수정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이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량 설정부(842)가 음향 출력 DB(86)를 참조하여 4mW로 음향 출력 값을 설정한 경우, 통화가 시작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음향은 4mW로 출력된다. 그러나 통화 과정에서 사용자가 음량 조절 키(162)를 이용하여 음향 출력 값을 8mW로 변경시킨 후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현재의 소음 값에서 사용자가 가장 용이하게 통화할 수 있는 음향 출력 값은 8mW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음향 출력 값은 사람의 신체적 특성에 따라 각 사람에게 알맞은 음향 출력 값이 모두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서는 통화 중 사용자가 설정하는 음향 출력 값을 기준으로 하여 음향 출력 DB(86)를 수정한다. S18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음량 조절 키(162)가 일회 또는 다수 회 입력되어 음향의 출력이 변경되고, 제어부(190)가 출력의 변경이 완료된 것을 인지하게 되면, 제어부(190)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현재의 음향 출력 값을 음향 출력 DB(86)에 저장한다. 여기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어부(190)는 음량 조절 키(162)가 입력된 후 일정 시간 내에 반복적인 입력이 없으면 음향 출력 변경이 완료된 것으로 인지하여 음향 출력 값 저장 과정을 수행하게 된 다. 또한, 음향 출력 값을 음향 출력 DB(86)에 저장하는 과정에서, 제어부(190)는 S133 과정에서 산출된 소음 값을 갖는 레코드의 음향 출력 값 필드에 현재의 음향 출력 값을 저장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어부(190)는 S19 과정에서 통화 종료 요청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본 실시예에서 통화 종료 요청은 상대방이 통화를 종료시킴으로 인하여 기지국으로부터 통화 종료 신호가 수신되는 것과, 사용자가 직접 키 입력 등을 통해 수행하는 통화 종료 요청을 모두 포함한다. 통화 종료 요청이 없이 통화가 지속적으로 수행되면, 제어부(190)는 S16 과정 내지 S18 과정을 반복하며 통화를 수행한다.
한편, S19 과정에서 통화 종료 요청이 입력되면, 제어부(190)는 S20 과정에서 통화를 종료시킨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수행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 요청 시, 음향의 출력을 자동으로 주변 소음에 대응하는 음향 출력 값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통화 시마다 매번 음량의 출력을 조절해야 하는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음량 자동 조절 장치(180)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포함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이어폰이나 무선 헤드 셋의 스피커를 음향 출력 유닛으로 이용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음향 출력 유닛으로 이어폰의 스피커(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는 경우, 오디오 신호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오디오 처리부(140)로부터 이어폰 잭(earphone jack; 142)을 통해 이어폰으로 전송된다. 이 경우, 이어폰의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유도 기전력은 이어폰의 스피커와 이어폰 잭(142)을 연결하는 이어폰 라인을 통해 이어폰 잭(142)으로 인가된다. 따라서, 음량 자동 조절 장치(180)를 이어폰 잭(142)과 직접 연결하여 유도 기전력을 획득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이어폰 라인의 자체 저항으로 인하여 유도 기전력이 음량 자동 조절 장치(180)에 인가되기 전에 소멸되는 문제가 발생 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출력 유닛이 이어폰의 스피커인 경우 음량 자동 조절 장치(180)는 이어폰 잭(142)에 근접하게 설치되지 않고 이어폰의 스피커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어폰 라인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제어부(190)와 음량 자동 조절 장치(180) 간의 신호 전송을 위한 전송 라인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무선 헤드 셋의 스피커를 음향 출력 유닛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도 음량 자동 조절 장치(180)는 무선 헤드 셋의 스피커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자동 조절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이 스피커로 출력되는 경우, 음량 자동 조절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어폰이나 무선 헤드 셋 등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이 출력되는 경우, 음량 자동 조절 장치는 이어폰이나 무선 헤드 셋의 스피커에 직접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모두에 각각 설치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량 자동 조절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통화 요청 입력 시에 음향 출력 값을 추출하는 방법을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 외에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악을 감상하거나 영상을 시청하는 등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 출력 유닛을 통해 음향이 출력되는 모든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음향 출력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하나의 소음 값에 대해 음향 출력 값이 저장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소음 값에 대해 다수개의 음향 출력 값을 저장하고, 해당 각 음향 출력 값의 평균 값을 이용하거나, 가장 이용 빈도가 높은 음향 출력 값을 검색하여 이용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더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향자동 출력 방법을 수행하는 예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음향 출력 유닛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전자 기기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량 자동 조절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 요청에 따라 스피커 등을 통해 음향을 내보낼 때, 자동으로 주변 소음에 대응하는 음향 출력 값으로 조절하며 음향을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통화 시 마다 매번 음량의 출력을 직접 조절해야 하는 불편 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20)

  1. 통화 연결 요청이 입력되는 통화 요청 과정과,
    음향 출력 유닛을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주변 소음을 입력받는 소음 검출 과정과,
    상기 검출된 주변 소음의 정도에 따라 상기 통화 연결 시 출력되는 음향 출력 값을 설정하는 음량 설정 과정, 및
    상기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음향 출력 유닛을 통해 상기 음향 출력 값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통화 수행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량 자동 조절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요청 과정은,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를 요청하는 통화 키가 입력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량 자동 조절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요청 과정은,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통화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량 자동 조절 방법.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검출 과정은,
    상기 음향 출력 유닛을 통해 입력된 상기 주변 소음을 증폭하는 소음 증폭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량 자동 조절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량 설정 과정은,
    상기 검출된 주변 소음의 정도에 따른 소음 값을 추출하고, 상기 소음 값에 대응하는 음향 출력 값을 선택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량 자동 조절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는 음향 출력 유닛을 갖는 음향 출력 기기의 음량 자동 조절 장치에 있어서,
    주변 소음의 입력에 따라 상기 음향 출력 유닛에서 유도되는 전류를 전송받아 음향 출력 값을 설정하는 음량 조절부 및
    상기 음량 조절부로부터 상기 음향 출력 값을 전송받고, 상기 음향 출력 유닛으로 전송되는 상기 음향을 상기 음향 출력 값에 대응되도록 증폭하여 상기 음향 출력 유닛으로 전송하는 음량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 자동 조절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음량 조절부는,
    상기 음향 출력 유닛에서 유도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소음 값을 검출하는 소음 검출부와,
    상기 소음 검출부에서 검출된 주변 소음의 정도에 따라 상기 통화 연결 시 출력되는 음향 출력 값을 설정하는 음량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 자동 조절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 유닛은,
    상기 통화 수행 시 출력 장치로 사용되며, 소음 검출 시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 자동 조절 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는 음향 출력 유닛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주변 소음의 입력에 따라 상기 음향 출력 유닛에서 유도되는 전류를 전송받아 음향 출력 값을 설정하는 음량 조절부 및
    상기 음량 조절부로부터 상기 음향 출력 값을 전송받고, 상기 음향 출력 유닛으로 전송되는 상기 음향을 상기 음향 출력 값에 대응되도록 증폭하여 상기 음향 출력 유닛으로 전송하는 음량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 자동 조절 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음량 조절부는,
    상기 음향 출력 유닛에서 유도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소음 값을 검출하는 소음 검출부 및
    상기 소음 검출부에서 검출된 소음 값과, 상기 주변 소음의 정도에 따라 여러 단계로 분류된 상기 소음 값과, 상기 각 소음 값들에 대응하는 상기 음향 출력 값이 저장되어 있는 음향 출력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음향 출력 값을 설정하는 음량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음량 자동 조절 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60121660A 2006-12-04 2006-12-04 음량 자동 조절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810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660A KR100810702B1 (ko) 2006-12-04 2006-12-04 음량 자동 조절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660A KR100810702B1 (ko) 2006-12-04 2006-12-04 음량 자동 조절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0702B1 true KR100810702B1 (ko) 2008-03-10

Family

ID=39397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660A KR100810702B1 (ko) 2006-12-04 2006-12-04 음량 자동 조절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07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166A (ko) * 2014-08-21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오디오 출력 조절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7419A (ko) * 2004-06-10 2005-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소음에 따른 발신음 크기 조절 및외부소음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7419A (ko) * 2004-06-10 2005-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소음에 따른 발신음 크기 조절 및외부소음 제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166A (ko) * 2014-08-21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오디오 출력 조절 방법
KR102318006B1 (ko) * 2014-08-21 2021-10-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오디오 출력 조절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40900B (zh) 音量调节方法及相关产品
JP2010524407A (ja) 聴力損失を補償するための動的ボリューム調整及びバンドシフト
JP2007520943A (ja) ノイズの大きい環境における電話機の拡張された使用
CN101552823B (zh) 音量管理系统及方法
KR100664564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계 발생 장치
US10121491B2 (en) Intelligent volume control interface
US8159517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output volume of audio signal to prevent acoustic shock in mobile terminal
US20080220820A1 (en) Battery saving selective screen control
KR102155555B1 (ko) 보청기 호환성 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0810702B1 (ko) 음량 자동 조절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
CN108900706B (zh) 一种通话语音调整方法及移动终端
JP2000295318A (ja) 携帯電話装置
JP4269019B2 (ja) 携帯通信端末機
JP5644610B2 (ja) 通信装置および受話音量設定プログラム
JP4299768B2 (ja) 音声認識装置、方法及び音声認識方法を用いた携帯型情報端末装置
KR20120115941A (ko) 휴대 단말기에서 볼륨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2144887A1 (en) Voice immersion smartphone application or headset for reduction of mobile annoyance
JP2004242050A (ja) 無線端末及びその受話音量調節方法
KR1006197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음량 조정이 가능한 이어폰-마이크장치
US20200098363A1 (en) Electronic device
CN116074696A (zh) 一种主动改善骨传导扬声器音质的方法及装置
CN113660572A (zh) 耳机通话控制方法、装置、耳机设备及存储介质
JP6166059B2 (ja) 通話装置およびその音声補正方法
KR200276557Y1 (ko) 외부 소음 감지에 따른 전자 음향기기의 음량 자동 조절장치
KR101025041B1 (ko) 고령자용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