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0628B1 - 필름 시트 - Google Patents

필름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0628B1
KR100810628B1 KR1020070033725A KR20070033725A KR100810628B1 KR 100810628 B1 KR100810628 B1 KR 100810628B1 KR 1020070033725 A KR1020070033725 A KR 1020070033725A KR 20070033725 A KR20070033725 A KR 20070033725A KR 100810628 B1 KR100810628 B1 KR 100810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ilm
film sheet
writing
release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코스
Priority to KR1020070033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06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09Coatings prepared by radiation-curing, e.g. using photopolymerisable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필름 시트는 소정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판 형상의 단일 기지, 또는 투명소재의 PET 필름으로 이루어진 메인 기지와, 바탕색으로 사용되도록 소정 색상을 가지는 PVC 또는 PP 합성지로 이루어진 보조 기지를 접착제로 상호 합지하여 구성하는 기지와, 상기 기지의 어느 일면에 접착층을 설치하고 상기 접착층을 보호할 수 있게 상기 기지와 동일 크기를 가지게 형성되어 상기 기지의 일면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이형지 및 상기 이형지가 부착된 기지의 반대면에 필기면을 제공하도록 메틸레이트 멜라민 수지와 변성 아크릴 수지등의 합성수지에 유기 및 무기 필러를 첨가하여 나노 분산하여 그라비아 키스 및 마이크로 그라비어 도포하고, UV경화시켜서 상기 기지의 다른 일면 전체에 형성되는 UV경화도막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지계로 바인딩된 폴리에스터 필름을 사용하여 필기층의 탈락을 방지하고, 필기층 도막을 합성수지에 유기 및 무기 필러를 첨가하여 나노 분산하여 그라비아 키스 및 마이크로 그라비어 도포한 후, UV 경화를 행함으로서, 가필성과, 소거성(지움성) 및 내용제성을 향상하여 보드의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난반사에 의한 사각지대를 최대로 감소하고, 특수점착제를 사용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부착력이 우수함과 동시에 사용이 편리하고 경제적인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필름 시트{FILM SHEET}
도 1은 종래의 필름 시트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시트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UV경화도막을 형성하는 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필름 시트 210 : 기지
220 : 메인 기지 240 : 보조 기지
250, 270 : 접착제층 260 : 이형지 또는 이형 필름
280 : UV경화도막
본 발명은 필름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지계로 바인딩된 폴리에스터 필름을 사용하여 필기층의 탈락을 방지하고, 필기층 도막을 합성수지에 유기 및 무기 필러를 첨가하여 나노 분산하여 그라비아 키스 및 마이크로 그라비어 도포한 후, UV 경화를 행함으로서, 가필성과, 소거성(지움성) 및 내용제성을 향상하여 보드의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난반사에 의한 사각지대를 최대로 감소하고, 특수점착제를 사용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부착력이 우수함과 동시에 사용이 편리하고 경제적인 특징을 가지는 보드용 필름 시트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각종 회의장, 학교, 사무실 등에는 칠판 혹은 보드를 설치하여 각종 공지사항 및 광고내용을 게시하고 있다. 이러한 보드는 경질의 합판이나 합성수지판 또는 금속판등으로 이루어지는 일정크기의 판체형으로, 그 전면에 마커펜과 같은 특수 필기구를 사용하여 각종 내용을 기록할 수 있고, 기록된 내용을 지워서 재차 사용할 수 있도록 폴리우레탄수지나 에폭시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가 코팅처리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보드는 일정한 형태를 갖추어 제작된 것으로서, 부피가 크고 무거워 운반 및 보관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고, 더구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공정이 난이한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한국실용신안등록 제 20-0430341호에는 사용자가 임의의 크기로 절단한 후, 칠판, 벽, 유리판, 합판이나 보드등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편리성과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어디든지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필기가능한 필름 시트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필름 시트(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색 혹은 유색, 통상은 눈의 피로도를 줄이고자 백색 혹은 녹색의 소정 면적 판 형상으로서, 투명한 PET, 그 외에 소정 두께를 가지는 비닐 혹은 종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기 지 또는 기재(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기지(11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투명소재의 제 1기지와 소정 색상을 가지는 제 2기지를 접착제로서 상호 협지하여 구성한 것도 있다.
또한 필름 시트(100)는 상기 기지(110)와 동일한 크기로 상기 기지(110)의 일면에 접착제층(112a)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이형지(120)를 구비하고 있어, 이형지(120)를 분리한 후, 기지(110)를 칠판 혹은 유리판등에 부착하여 사용한다.
한편, 이형지(120)의 이면에는 가로 세로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재단선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형지(120)의 이면에 50mm의 간격을 갖도록 정사각형의 재단선을 표시함에 따라 표시된 재단선을 기준으로 기지(110)의 절단을 용이하게 한다.
이와 같이 이형지(120)가 부착된 기지(110)의 반대면에는 필기면을 제공하고자 통상 무광으로 이루어진 1∼3㎛ 두께의 수지층(130)이 코팅되며, 이 수지층(130)에 의해 마커펜등의 필기구를 이용하여 필기하고 또한 용이하게 지울수 있게 되며, 기지(110)의 표면이 긁힘을 방지하여 기지(110)를 보호하게 된다.
또한, 수지층(130)의 표면에는 엠보싱 롤러등을 이용하여 가압함으로서 미세한 요철면(140)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요철면(140)에 의해 필기시 필기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필기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필기 내용의 선명도를 향상시키게 될 뿐만아니라, 필기 내용을 지우고자 하는 경우에도, 기지(110)와 수지층(130)이 가지는 자체 쿠션력에 의해 요철면(140)에 위치된 잉크를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필름 시트는 미세 요철면(140)을 엠보싱 롤러로 가압하여 형성하고 있지만, 필기층의 탈락이 발생하고, 난반사에 의해 사각지대가 생성되어, 가필성과, 소거성(지움성) 및 내용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수지계로 바인딩된 폴리에스터 필름을 사용하여 필기층의 탈락을 방지하고, 필기층 도막을 합성수지에 유기 및 무기 필러를 첨가하여 나노 분산하여 그라비아 키스 및 마이크로 그라비어 도포한 후, UV 경화를 행함으로서, 가필성과, 소거성(지움성) 및 내용제성을 향상하여 보드의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난반사에 의한 사각지대를 최대로 감소하고, 특수점착제를 사용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부착력이 우수함과 동시에 사용이 편리하고 경제적인 특징을 가지는 필름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필름 시트는 소정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판 형상의 기지와, 상기 기지의 어느 일면에 접착층을 설치하고 상기 접착층을 보호할 수 있게 상기 기지와 동일 크기를 가지게 형성되어 상기 기지의 일면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이형지 및 상기 이형지가 부착된 기지의 반대면에 필기면을 제공하도록 상기 기지의 다른 일면 전체에 형성된 UV경화도막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환경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기지와 보조 기지로서 PVC 및 PP 합성지를 사용하여 경제성을 확보하고 시공성에 따라 보조 기지의 색상을 선택 적용하여 바탕색이 다양한 색상의 보드를 생산할 수 있으며, 필기면 도막을 합성수지에 유기 및 무기 필러를 첨가하여 정밀하게 나노 분산하여 그라비아 키스 및 마이크로 그라비어 도포하고, UV 경화함으로서 가필성, 소거성(지움성) 및 내용제성을 향상하여 좀 더 선명한 필기면을 확보하면서도 보드의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하였으며, 더구나 난반사에 의한 사각지대를 최대로 감소함으로서, 무인쇄 및 흰색의 경우, 프로젝터 투사 스크린 대용으로도 적용가능하고, 특수한 접착제의 사용에 의해 부착력이 우수하여 시공이 간편한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름 시트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시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필름 시트(200)는 무색 혹은 유색, 통상은 눈의 피로도를 줄이고자 백색 혹은 녹색의 소정 면적 판 형상으로서, 소정 두께 바람직하기로는 12∼50㎛ 두께를 가지는 투명한 PET 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지(210)를 구비한다. PET 필름의 기지(210)는 아크릴 수지계로 바인딩 처리됨에 따라 상부에 도포되는 필기면 도막에 대해 강력한 부착력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기지의 두께를 한정하는 것은 온도의 차이를 고려하여(즉 추운지방은 얇게, 더운지방은 두껍게 제조), 딱딱함과 부드럼움 등과 같은 물적 경도의 적합성에 따른 시공의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를 반영한 것이다.
한편, 이러한 기지(210)의 어느 한면에는 필기시 또는 도형을 표시할 때, 자 를 사용하지 않도록 가로, 세로의 도시선과 그림, 글자, 도형 등이 인쇄된 인쇄층(220)을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고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소재의 메인 기지(220)와 바탕색으로 사용되도록 소정 색상을 가지며 50∼120㎛의 두께를 가지는 보조 기지(240)를 3∼15㎛ 두께의 접착제층(250)으로 상호 합지하여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조 기지(240)는 그 두께가 두꺼우면 가격이 비싸게 되고, 바탕색을 인쇄하게 되면 인쇄층이 탈락 및 탈색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원착형 PVC 또는 PP 합성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원착형 PVC란 투명원료에 칼라안료를 첨가하여 원하는 고유의 색상을 가지는 필름을 만듬에 따라 칼라인쇄나 코팅이 필요없게 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필름 시트(200)는 상기 기지(210)와 동일한 크기로 상기 기지(210)의 일면에 12∼50㎛ 두께의 접착제층(270)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12∼100㎛ 두께의 이형지 또는 이형 필름(260)을 구비하고 있어, 이형지 또는 이형 필름(260)을 분리한 후, 기지(210)를 칠판, 유리판, 혹은 기타 벽면 등에 부착하여 사용한다. 접착제로서는 아크릴계와 우레탄계의 중합물에 첨가제를 넣어 PET, PVC, PP 소재의 물적 특성과 상관없이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특수하게 고안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형지 또는 이형 필름(260)의 이면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가로 세로 방향으로 소정, 즉 10cm, 10cm 단위의 간격을 이루는 눈금이 인쇄된 재단선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형지 또는 이형 필름(260)의 이면에 눈금이 인쇄됨에 따라 사용시 요구되는 규격을 자로 측정하지 않고 기지(210)를 용이하게 절단한다.
이와 같이 이형지 또는 이형 필름(260)이 부착된 기지(210)의 반대면에는 필기성과, 지움성과, 내마모성 및 내용제성이 뛰어난 필기면을 제공하고자 1∼6㎛ 두께의 반광 혹은 무광의 합성수지 UV경화도막(280)이 형성된다.
UV경화도막(28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틸레이트 멜라민 수지와 변성 아크릴 수지등의 합성수지에 유기 및 무기 필러를 첨가하여 나노 분산하는 단계와, 그라비아 키스 및 마이크로 그라비어 도포하여 코팅하는 단계와, UV경화시켜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서, 가필성, 소거성, 내용제성, 내마모성이 우수하면서 반사성이 감소된다. 더구나, 멜라민과 불소를 중합가공한 수지를 첨가하여 표면에 물질의 부착성을 낮춤으로서 지움성이 형성되고, 내용제성이 확보된다.
상세히 설명드리면, 나노 분산 단계에서는 프리(free) 분산시 메인수지에 유기 및 무기 필러와 분산제를 투입하여 입자의 결합을 방지하고, 이어 메인 분산시 갭 타입 핀(Gap type Pin) 분산기를 이용하여 프리 분산된 액에 아크릴 수지계의 분자결합용 바인더(Binder)를 투입함으로서 나노 분산이 행해진다. 이때 메인 수지중에는 석회질과 입자가 작은 소광제의 크레이(Clay)등을 필러로서 사용함으로서 표면 거칠기가 형성됨에 따라 난반사가 방지되고 필기성이 좋아진다.
이어지는 코팅 단계에서는, 그라비어 키스 코팅(Gravure Kiss Coating)과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팅(Micro Gravure Coating)를 행하는데, 통상적으로 그라비어(Gravure) 코팅은 그라비어 롤이 필름의 주행방향으로 정회전하나 그라비아 키스 코팅은 직경 300mm의 그라비어 롤이 필름의 주행방향에 대해 역회전하므로 코팅층의 평활성을 좋아지게 되는 반면, 이어지는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팅시의 그라비어 롤은 그 직경이 50mm로서 회전수가 빨라서 매끄러운 도포가 이루어지므로(smoooting 효과) 그라비어 키스 코팅보다 평활도가 더 우수하다.
마지막으로, UV 경화 단계에서는 상기 단계에서 액이 공급되어 코팅되면, 50℃로 열건조하고, UV 램프로 경화하여 도막을 형성한다. 이때의 도막의 두께는 목적하는 물성을 취하는 최소의 두께로 경제성(원가)을 확보와 소재의 꺽임 발생시의 크랙(clack)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액 공급시, UV 경화를 위하여 적정량의 광계시제를 첨가하여 경화를 행함으로서 열경화 대비 도막강도가 우수하고 내구성이 좋게 된다.
지금까지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필름 시트는 내환경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기지와 보조 기지로서 PVC 및 PP 합성지를 사용하여 경제성을 확보하고 시공성에 따라 보조 기지의 색상을 선택 적용하여 바탕색이 다양한 색상의 보드를 생산할 수 있으며, 필기면 도막을 합성수지에 유기 및 무기 필러를 첨가하여 정밀하게 나노 분산하여 그라비아 키스 및 마이크로 그라비어 도포하고, UV 경화함으로서 가필성, 소거성(지움성) 및 내용제성을 향상하여 좀 더 선명한 필기면을 확 보하면서도 보드의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하였으며, 더구나 난반사에 의한 사각지대를 최대로 감소함으로서, 무인쇄 및 흰색의 경우, 프로젝터 투사 스크린 대용으로도 적용가능하고, 특수한 접착제의 사용에 의해 부착력이 우수하여 시공이 간편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필름 시트에 있어서,
    소정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판 형상의 기지와,
    상기 기지의 어느 일면에 접착층을 설치하고 상기 접착층을 보호할 수 있게 상기 기지와 동일 크기를 가지게 형성되어 상기 기지의 일면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이형지 또는 이형 필름 및
    상기 이형지가 부착된 기지의 반대면에 필기면을 제공하도록 상기 기지의 다른 일면 전체에 형성된 UV경화도막을
    포함하는 필름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는 투명소재의 PET 필름으로 이루어진 메인 기지와, 바탕색으로 사용되도록 소정 색상을 가지는 PVC 또는 PP 합성지로 이루어진 보조 기지를 접착제로 상호 합지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V경화도막은 메틸레이트 멜라민 수지와 변성 아크릴 수지등의 합성수지에 유기 및 무기 필러를 첨가하여 나노 분산하여 그라비아 키스 및 마이크로 그라비어 도포하고, UV경화시켜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시트.
KR1020070033725A 2007-04-05 2007-04-05 필름 시트 KR100810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725A KR100810628B1 (ko) 2007-04-05 2007-04-05 필름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725A KR100810628B1 (ko) 2007-04-05 2007-04-05 필름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0628B1 true KR100810628B1 (ko) 2008-03-13

Family

ID=39397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725A KR100810628B1 (ko) 2007-04-05 2007-04-05 필름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06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251A (ko) * 2002-08-30 2004-03-09 코리아케미칼 주식회사 Uv 경화성 도료층이 형성된 다기능 열전사지 및 그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251A (ko) * 2002-08-30 2004-03-09 코리아케미칼 주식회사 Uv 경화성 도료층이 형성된 다기능 열전사지 및 그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1164A (en) Projection markerboard
JP5928474B2 (ja) パターン印刷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61485B1 (ko) 필기용 보오드/반사형 스크린 겸용 시트
US8454371B2 (en) Adhesive-backed chalkboard wall covering
KR20130120203A (ko) 물칠판용 소광 코팅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필름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17165030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KR100738517B1 (ko) 다기능성 플라스틱 쉬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5519185B2 (ja) 筆記シート
CN201610012U (zh) 白板书写膜
KR100808208B1 (ko) 필기보드용 무광 uv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코팅한필기보드용 무광 필름
JP2017132156A (ja) 装飾フィルム及び積層構造体
KR100810628B1 (ko) 필름 시트
JP2019081271A (ja) ホワイトボードおよび映写スクリーン兼用フィルム
KR20110087461A (ko) 스크린 및 판서용 다기능 시트
KR20090006452U (ko) 실사출력 또는 인쇄물을 이용하는 필름 시트
JP5741212B2 (ja) 筆記シート及び筆記カード
JP6878797B2 (ja) 広告表示化粧板、広告表示化粧板の施工方法、および広告体
KR20080016256A (ko) 필기 가능한 시트지
KR20090095216A (ko) 친환경적이며 지움성이 우수한 무광보드 및 그 제조방법
JP3158150U (ja) マグネット表示シート
WO2017038530A1 (ja) 路面、床面又は壁面設置用表示シート、及び路面、床面又は壁面設置用表示シート作製セット
KR20230008327A (ko) 실사출력을 이용한 도로표지판
JP2005007618A (ja) フィルムシート
JP5288841B2 (ja) 光拡散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部材
KR20140007585A (ko) 친환경 칠판용 자력 보드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