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875B1 - 톤휠 제작용 캠 피어싱 장치 - Google Patents

톤휠 제작용 캠 피어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875B1
KR100809875B1 KR1020060057535A KR20060057535A KR100809875B1 KR 100809875 B1 KR100809875 B1 KR 100809875B1 KR 1020060057535 A KR1020060057535 A KR 1020060057535A KR 20060057535 A KR20060057535 A KR 20060057535A KR 100809875 B1 KR100809875 B1 KR 100809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 wheel
lift
sensing hole
block
process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164A (ko
Inventor
송재환
허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성에프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성에프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성에프티
Priority to KR1020060057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9875B1/ko
Publication of KR20080000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04Special adaptations of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26F1/14Punching tools; Punching d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6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amplitude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 G01P3/465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amplitude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by using dynamo-electro tachometers or electric genera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톤휠 제작용 캠 피어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센싱홀 가공블록(40)에 형성된 슬릿(45)을 향하는 선단부(35c)의 단면이 원호모양으로 형성된 피어싱펀치(35)와, 리프트스프링(61)에 의한 최대 상승시 리프트부(71)의 상단이 상기 피어싱펀치(35)의 선단부(35c)와 상기 센싱홀 가공블록(40)의 슬릿(45)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리프트블록(70)과, 상기 피어싱펀치(35)의 측부에 위치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면서 그 하단이 상기 센싱홀 가공블록(40)을 관통하여 상기 리프트블록(70)의 걸림턱부(73)에 고정 설치되는 푸시로드(8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져, 상기 피어싱펀치(35)에 의한 센싱홀(13)의 가공시 톤휠(10) 및 센싱홀 가공블록(40)이 받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톤휠(10) 및 센싱홀 가공블록(40)의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센싱홀(13)을 가공 종료한 후에는 리프트블록(70)에 의한 톤휠(10)의 리프트 양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센싱홀 가공블록(40)으로부터 가공 완료된 톤휠(10)의 취출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톤휠 제작용 캠 피어싱 장치{Cam pierc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one wheel}
도 1은 톤휠의 사용예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도 1에 적용된 톤휠의 사시도 및 종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캠 피어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상태의 구성도,
도 5는 종래의 캠 피어싱 장치에 설치된 센싱홀 가공블록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캠 피어싱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캠 피어싱 장치에 설치된 센싱홀 가공블록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톤휠 11 - 축경부
13 - 센싱홀 15 - 센싱부
30 - 캠 피어싱 장치 35 - 피어싱펀치
35c - 선단부 40 - 센싱홀 가공블록
45 - 슬릿 61 - 리프트스프링
70 - 리프트블록 71 - 리프트부
73 - 걸림턱부 80 - 푸시로드
본 발명은 톤휠 제작용 캠 피어싱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톤휠은 드라이브 샤프트(drive shaft)나 바퀴(wheel)등과 같이 회전하는 물체의 회전속도를 감지하기 위해 회전체에 설치되어지는 부품이다.
그 일례로서 도 1에는 차량 바퀴의 회전속도를 감지하기 위해 휠의 허브(1)에 장착된 톤휠(10)이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톤휠(10)은 휠의 허브(1)에 압입되어 있는 상태로서, 그 구성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기 허브(1)에 끼워지는 부분인 원통형상의 축경부(11)와,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센싱홀(13)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요철을 이루도록 되어 있는 센싱부(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축경부(11)와 상기 센싱부(15)는 다단 원통형의 형상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톤휠(10)의 주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톤휠센서(20)가 장착되는 바, 상기 톤휠센서(20)는 회전체와 함께 톤휠(10)이 회전을 할 때 상기 센싱홀(13)에 의하여 센싱부(15)에서 발생되는 펄스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차량에 탑재된 제어장치(콘트롤러)에서는 결과적으로 상기 톤휠센서(20)로부터 전달된 펄스를 분석하여 차량 바퀴의 회전속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톤휠(10)과 톤휠센서(20)는 제어장치와 함께 ABS(Anti- Lock Brake System), TCS(Traction Control System) 및 VDC(Vehicle Dynamic Control System) 등에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톤휠(10)은 바퀴와 같은 회전체의 회전속도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톤휠센서(20)가 감지하는 부분인 센싱부(15)는 매우 정밀한 평면도를 유지하고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센싱홀(13)의 형상 및 간격의 균일도도 매우 높아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톤휠(10)에 구비된 센싱홀(13)은 톤휠의 제작장비 중 하나인 캠 피어싱 장치에 의해 가공된다.
상기 캠 피어싱 장치(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형(31)과 하형(32)으로 구성되는 바, 상기 상형(31)에는 상기 하형(32)을 향해 돌출된 캠드라이브(33) 및 가압패드(34)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하형(32)에는 상기 캠드라이브(33)와의 접촉시 직선이동을 하면서 상기 센싱홀(13)을 가공하는 피어싱펀치(3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형(32)에는 상기 피어싱펀치(35)와 함께 톤휠(10)의 센싱홀(13)을 가공하는데 사용되는 센싱홀 가공블록(40)이 일체로 조립되어 있다.
상기 센싱홀 가공블록(40)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형(32)상에 고정부재(볼트)를 매개로 일체로 조립되는 바디부(41)와, 상기 바디부(41)의 윗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중간부(42)와, 상기 중간부(42)의 윗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톤휠(10)의 센싱부(15)가 끼워지는 상단부(43)를 구비하고 있으며, 아울러 상기 바디부(41)와 중간부(42) 및 상단부(43)를 일체로 관통하 는 중공홀(4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중공홀(44)은 센싱홀 가공블록(40)의 상하면 중간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원형의 구멍으로서, 이로 인해 상기 바디부(41)와 중간부(42) 및 상단부(4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 원통형의 형상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센싱홀 가공블록(40)의 상단부(43)에 톤휠(10)의 센싱부(15)가 끼워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톤휠의 형상에 따라 축경부(11)가 끼워질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상단부(43)의 바깥 둘레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슬릿(45)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바, 상기 슬릿(45)은 상기 피어싱펀치(35)가 삽입되는 구멍이고, 또한 상기 피어싱펀치(35)에 의한 톤휠(10)의 센싱홀(13) 가공시 상기 피어싱펀치(35)에 의해 절단된 톤휠(10)의 스크랩(도시않됨)이 피어싱펀치(35)의 가압력에 의해 밀어내기식으로 이동하는 구멍으로서, 상기 슬릿(45)에 의해 톤휠(10)의 센싱홀(13)이 형성된다.
즉, 센싱홀 가공블록(40)상에 톤휠(1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캠 피어싱 장치(30)의 구동으로 피어싱펀치(35)가 톤휠(10)의 센싱부(15)를 관통하여 슬릿(45)으로 삽입되면 상기 슬릿(45)과 동일한 형상의 센싱홀(13)이 톤휠(10)의 센싱부(15)에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캠 피어싱 장치(30)에는 톤휠(10)에 가공되는 전체 센싱홀(13)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캠드라이브(33) 및 피어싱펀치(35)가 원주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형(31)의 한번 구동시 원하는 개수의 센싱홀(13)이 상 기 톤휠(10)의 센싱부(15)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캠 피어싱 장치(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어싱펀치(35)에 의한 센싱홀(13)의 가공 종료 후 상기 센싱홀 가공블록(40)으로부터 톤휠(10)을 강제로 승강 이동시키는 리프트블록(50)을 함께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프트블록(50)은 상기 센싱홀 가공블록(40)에 톤휠(10)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센싱부(15)의 밑면을 지지하는 리프트부(51)와, 상기 리프트부(51)의 하단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리프트부(51)의 승강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부(5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프트부(51)는 상기 센싱홀 가공블록(40)에서 바디부(41)와 중간부(42)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한 가이드구멍(46)내에 위치하여 승하강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걸림턱부(53)는 상기 하형(32)에 구비된 블록홈(32a)으로 수납되어 리프트스프링(61)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홀 가공블록(40)의 상단부(43)로 톤휠(10)의 센싱부(15)를 끼운 상태에서 상형(31)을 하강시키게 되면, 먼저 가압패드(34)가 축경부(11)의 상단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상기 톤휠(10)은 리프트블록(50)과 함께 하강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톤휠(10)의 하강이동은 축경부(11)와 센싱부(15)의 연결부가 상기 센싱홀 가공블록(40)의 상단부(43)와 접촉할 때까지 진행된다.
그리고, 톤휠(10)의 하강이동이 종료되면 캠드라이브(33)가 피어싱펀치(35)를 가압하게 되어 상기 피어싱펀치(35)는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센싱홀 가공블 록(40)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하게 되고, 이 결과 피어싱펀치(35)의 선단이 톤휠(10)의 센싱부(15)를 관통하여 슬릿(45)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톤휠(10)의 센싱부(15)에는 상기 슬릿(45)과 동일한 형상을 갖춘 다수개의 센싱홀(13)이 원주방향을 따라 한번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후, 톤휠(10)의 센싱홀(13) 가공이 종료되면 상형(31)은 승강 이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바, 이때 캠드라이브(33)에 의한 피어싱펀치(35)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피어싱펀치(35)는 도시된 화살표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복귀하게 되고, 계속해서 가압패드(34)에 의한 축경부(11)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리프트블록(50)은 리프트스프링(61)의 복원력에 의해 승강 이동을 하게 되며, 이 힘에 의해 가공 완료된 톤휠(10)은 그 축경부(11)가 센싱홀 가공블록(4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리프팅된다.
그리고, 리프팅 된 톤휠(10)을 센싱홀 가공블록(40)으로부터 취출하면 센싱홀(13) 가공이 완료된 완제품의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캠 피어싱 장치(30)는, 센싱홀(13)의 가공 종료 후 리프트블록(50)에 의해 톤휠(10)이 들어올려지는 길이가 짧음으로 인해 센싱홀 가공블록(40)으로부터 가공 완료된 톤휠(10)을 취출하는가 쉽지 않고, 이 결과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캠 피어싱 장치(30)에서 리프터블록(50)이 최대한 상승하였을 때를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부(51)의 최상단은 센싱홀 가공블록(40)에 형성된 슬릿(45)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구조이다.
따라서, 가공 완료된 톤휠(10)이 리프터블록(50)에 의해 들어올려지더라도 그 길이가 짧아 톤휠(10)을 취출하는가 쉽지 않고, 이 결과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만약, 리프터블록(50)이 최대로 상승하였을 때 리프트부(51)의 상단이 도 4의 상태보다 더 높게 위치하도록 설치되면 가공 완료된 톤휠(10)의 리프트 양은 더 늘어나게 되지만, 센싱홀 가공블록(40)에 톤휠(10)이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다이의 최초 셋팅작업을 위해 상형(10)이 하강하게 되면 리프터블록(50)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인해 피어싱펀치(35)가 리프트부(51)를 파손시키거나 또는 피어싱펀치(35)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캠 피어싱 장치(30)는, 피어싱펀치(35)의 선단부(35a) 단면형상이 슬릿(45)의 모양과 동일한 직사각 평면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이 결과 센싱홀(13) 가공시 센싱부(15)와의 접촉면적이 커서 큰 펀칭력을 필요로 하게 되고, 이에 따라 톤휠(10) 및 센싱홀 가공블록(40)이 받는 충격력도 커지게 되어 톤휠(10)과 센싱홀 가공블록(40)의 강도가 점차적으로 약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센싱홀 가공블록에 톤휠이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다이의 최초 셋팅작업을 위해 상형이 하강할 때에는 피어싱펀치와 리프트부의 접촉을 예방하여 피어싱펀치 및 리프트블록의 파손을 방지하고, 아울러 센싱홀의 가공 종료 후에는 리프트블록에 의한 톤휠의 리프트 양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센싱홀 가공블록으로부터 톤휠을 쉽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하고 이 결과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톤휠 제작용 피어싱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센싱홀 가공시 센싱부와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도록 피어싱펀치의 선단부 단면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피어싱펀치의 펀칭력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톤휠 및 센싱홀 가공블록이 받는 충격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톤휠과 센싱홀 가공블록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예방하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캠 피어싱 장치는, 센싱홀 가공블록에 형성된 슬릿을 향하는 선단부의 단면이 원호모양으로 형성된 피어싱펀치와; 리프트스프링에 의한 최대 상승시 리프트부의 상단이 상기 피어싱펀치의 선단부와 상기 센싱홀 가공블록의 슬릿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리프트블록과; 상기 피어싱펀치의 측부에 위치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면서 그 하단이 상기 센싱홀 가공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리프트블록의 걸림턱부에 고정 설치되는 푸시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캠 피어싱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캠 피어싱 장치에 설치된 센싱홀 가공블록의 사시도로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품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병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피어싱펀치가 적은 힘의 펀칭력을 발휘하더라도 톤휠의 센싱홀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센싱홀의 가공 완료 후에는 톤휠의 리프트 양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캠 피어싱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톤휠(10)은 도 2와 도 3을 참조로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회전체에 끼워지는 부분인 원통형상의 축경부(11)와,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센싱홀(13)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요철을 이루도록 되어 있는 센싱부(15)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 톤휠(10)에 구비된 센싱홀(13)은 톤휠의 제작장비 중 하나인 캠 피어싱 장치(30)에 의해 가공되는데, 상기 캠 피어싱 장치(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형(31)과 하형(32)으로 구성되는 바, 상기 상형(31)에는 상기 하형(32)을 향해 돌출된 캠드라이브(33) 및 가압패드(34)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하형(32)에는 상기 캠드라이브(33)와의 접촉시 직선이동을 하면서 상기 센싱홀(13)을 가공하는 피어싱펀치(3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형(32)에는 상기 피어싱펀치(35)와 함께 톤휠(10)의 센싱홀(13)을 가공하는데 사용되는 센싱홀 가공블록(40)이 일체로 조립되어 있다.
상기 센싱홀 가공블록(40)은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형(32)상에 고정부재(볼트)를 매개로 일체로 조립되는 바디부(41)와, 상기 바디부(41)의 윗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중간부(42)와, 상기 중간부(42)의 윗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톤휠(10)의 센싱부(15)가 끼워지는 상단부(43)를 구비하고 있으며, 아울러 상기 바디부(41)와 중간부(42) 및 상단부(43)를 일체로 관통하는 중공홀(4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중공홀(44)은 센싱홀 가공블록(40)의 상하면 중간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원형의 구멍으로서, 이로 인해 상기 바디부(41)와 중간부(42) 및 상단부(4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 원통형의 형상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센싱홀 가공블록(40)의 상단부(43)에 톤휠(10)의 센싱부(15)가 끼워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톤휠의 형상에 따라 축경부(11)가 끼워질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상단부(43)의 바깥 둘레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슬릿(45)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바, 상기 슬릿(45)은 상기 피어싱펀치(35)가 삽입되는 구멍이고, 또한 상기 피어싱펀치(35)에 의한 톤휠(10)의 센싱홀(13) 가공시 상기 피어싱펀치(35)에 의해 절단된 톤휠(10)의 스크랩(도시않됨)이 피어싱펀치(35)의 가압력에 의해 밀어내기식으로 이동하는 구멍으로서, 상기 슬릿(45)에 의해 톤휠(10)의 센싱홀(13)이 형성된다.
즉, 센싱홀 가공블록(40)상에 톤휠(1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캠 피어싱 장치(30)의 구동으로 피어싱펀치(35)가 톤휠(10)의 센싱부(15)를 관통하여 슬릿(45)으로 삽입되면 상기 슬릿(45)과 동일한 형상의 센싱홀(13)이 톤휠(10)의 센싱부(15)에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캠 피어싱 장치(30)에는 톤휠(10)에 가공되는 전체 센싱홀(13)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캠드라이브(33) 및 피어싱펀치(35)가 원주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형(31)의 한번 구동시 원하는 개수의 센싱홀(13)이 상기 톤휠(10)의 센싱부(15)에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피어싱펀치(35)의 선단부(35c) 단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원호모양으로 형성되는 바, 즉 상기 피어싱펀치(35)의 선단부(35c)는 상기 슬릿(45)의 모양과 동일한 직사각형이면서 중간부위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피어싱펀치(35)의 선단부(35c) 단면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톤휠(10)의 센싱홀(13) 가공시 센싱부(15)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며, 이로 인해 피어싱펀치(35)가 종래에 비해 적은 힘의 펀칭력을 발휘하더라도 쉽게 센싱홀(13)을 가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피어싱펀치(35)가 적은 힘의 펀칭력으로 센싱홀(13)을 쉽게 가공하게 되면, 톤휠(10) 및 센싱홀 가공블록(40)이 받는 충격력이 종래에 비해 대폭 감소됨으로써 상기 톤휠(10) 및 센싱홀 가공블록(40)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캠 피어싱 장치(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어싱펀치(35)에 의한 센싱홀(13)의 가공 종료 후 상기 센싱홀 가공블록(40)으로부터 톤휠(10)을 강제로 승강 이동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블록(70)을 함께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프트블록(70)은 상기 센싱홀 가공블록(40)에 톤휠(10)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센싱부(15)의 밑면을 지지하는 리프트부(71)와, 상기 리프트부(71)의 하단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리프트부(71)의 승강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부(7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프트부(71)는 상기 센싱홀 가공블록(40)에서 바디부(41)와 중간부(42)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한 가이드구멍(46)내에 위치하여 승하강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걸림턱부(73)는 상기 하형(32)에 구비된 블록홈(32a)으로 수납되어 리프트스프링(61)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리프트부(71)의 상단은 리프트블록(70)이 리프트스프링(61)에 의해 최대로 상승 이동하였을 때 상기 피어싱펀치(35)의 선단부(35c)와 상기 센싱홀 가공블록(40)의 슬릿(45)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리프트부(71)의 상단은 상기 리프트블록(70)의 최대 상승시 상기 슬릿(45)을 수평방향으로 이등분한 중심선(C1)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캠 피어싱 장치(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어싱펀치(35)의 측부에 위치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면서 그 하단이 상기 센싱홀 가공블록(40)을 관통하여 상기 리프트블록(70)의 걸림턱부(73)에 고정 설치되는 푸시로드(80)를 함께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센싱홀 가공블록(40)의 바디부(41)에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시로드(80)의 관통을 위한 로드구멍(47)이 형성되며, 상기 푸시로드(80)는 상기 로드구멍(47)을 통해 승하강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푸시로드(80)의 상단은 상기 리프트블록(70)의 최대 상승시 상기 센싱홀 가공블록(40)에 끼워진 톤휠(10)의 센싱부(15)보다는 높고 축경부(11)의 상단보다는 낮게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캠 피어싱 장치(30)는 센싱홀(13)의 가공 종료 후 리프트블록(70)에 의한 톤휠(10)의 리프트 양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비해 대폭 길어짐으로 인해, 센싱홀 가공블록(40)으로부터 가공 완료된 톤휠(10)을 취출하는 작업이 훨씬 수월해지고 이 결과 생산성이 증대되는 잇점을 갖출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캠 피어싱 장치(30)에서 리프터블록(70)이 최대한 상승하였을 때를 살펴보면 리프트부(71)의 상단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45)을 수평방향으로 이등분한 중심선(C1)보다 높게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리프터블록(70)에 의한 톤휠(10)의 리프트 양은 종래에 비해 대폭 증가된 상태가 되며, 이 결과 가공 완료된 톤휠(10)의 취출작업이 쉽게 이루어짐으로써 전체적으로 생산성이 증가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캠 피어싱 장치(30)는 센싱홀 가공블록(40)에 톤휠(10)이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다이의 최초 셋팅작업을 위해 상형(10)이 하강하더라도 피어싱펀치(35)가 리프트부(51)와 접촉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상기 피어싱펀치(35) 및 리프트블록(70)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즉, 다이의 최초 셋팅작업을 위해 상형(10)이 하강하면 가압패드(34)가 푸시로드(80)를 가압하여 리프트블록(70)을 하강시키게 됨으로써, 피어싱펀치(35)와 리프트부(51)의 접촉이 예방되고 이로 인해 상기 피어싱펀치(35) 및 리프트블록(70)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캠 피어싱 장치(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피어싱펀치(35)의 선단부(35c) 단면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피어싱펀치(35)의 펀칭력이 종래에 비해 적은 힘의 펀칭력을 발휘하더라도 쉽게 톤휠(10)의 센싱홀(13)을 쉽게 가공할 수 있게 되고, 이 결과 톤휠(10) 및 센싱홀 가공블록(40)이 받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상기 톤휠(10) 및 센싱홀 가공블록(40)의 강도(내구성)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갖출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피어싱펀치에 의한 센싱홀의 가공시 톤휠 및 센싱홀 가공블록이 받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톤휠 및 센싱홀 가공블록의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센싱홀을 가공 종료한 후에는 리프트블록에 의한 톤휠의 리프트 양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센싱홀 가공블록으로부터 가공 완료된 톤휠의 취출작업이 쉽게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4)

  1. 센싱홀 가공블록(40)에 형성된 슬릿(45)을 향하는 선단부(35c)의 단면이 원호모양으로 형성된 피어싱펀치(35)와;
    리프트스프링(61)에 의한 최대 상승시 리프트부(71)의 상단이 상기 피어싱펀치(35)의 선단부(35c)와 상기 센싱홀 가공블록(40)의 슬릿(45)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리프트블록(70)과;
    상기 피어싱펀치(35)의 측부에 위치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면서 그 하단이 상기 센싱홀 가공블록(40)을 관통하여 상기 리프트블록(70)의 걸림턱부(73)에 고정 설치되는 푸시로드(8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톤휠 제작용 피어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어싱펀치(35)의 선단부(35c)는 상기 슬릿(45)의 모양과 동일한 직사각형이면서 중간부위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휠 제작용 피어싱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71)의 상단은 상기 리프트블록(70)의 최대 상승시 상기 슬릿(45)을 수평방향으로 이등분한 중심선(C1)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휠 제작용 피어싱 장치.
  4. 삭제
KR1020060057535A 2006-06-26 2006-06-26 톤휠 제작용 캠 피어싱 장치 KR100809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535A KR100809875B1 (ko) 2006-06-26 2006-06-26 톤휠 제작용 캠 피어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535A KR100809875B1 (ko) 2006-06-26 2006-06-26 톤휠 제작용 캠 피어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164A KR20080000164A (ko) 2008-01-02
KR100809875B1 true KR100809875B1 (ko) 2008-03-06

Family

ID=39212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535A KR100809875B1 (ko) 2006-06-26 2006-06-26 톤휠 제작용 캠 피어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98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719A (ko) * 2002-05-09 2003-1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스용 피어싱 장치
KR20060001518A (ko) * 2004-06-30 2006-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피어싱 프레스 장치
KR20060014678A (ko) * 2004-08-11 2006-0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합 피어싱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719A (ko) * 2002-05-09 2003-1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스용 피어싱 장치
KR20060001518A (ko) * 2004-06-30 2006-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피어싱 프레스 장치
KR20060014678A (ko) * 2004-08-11 2006-0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합 피어싱 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1020030087719
공개특허1020060001518
공개특허102006001467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164A (ko) 200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65290A1 (ja) プレス加工方法及び底付容器
CA130738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onstant velocity joint and the like
CN113701583B (zh) 一种浮动式螺纹牙规及应用有该螺纹牙规的自动螺纹检测装置
KR100809875B1 (ko) 톤휠 제작용 캠 피어싱 장치
KR101613631B1 (ko) 프레스의 트리밍장치
KR101004418B1 (ko) 동압베어링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0756022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가동스트리퍼 및 그 가공방법
EP1657006B1 (en) Drawing die with stabilizer
US20240051011A1 (en) Method to manufacture a cable tray component, crimp press to manufacture such cable tray component and cable tray component manufactured therewith
JPH11169999A (ja) 鍛造用金型装置
KR100735095B1 (ko) 톤휠 제작용 캠 피어싱 장치
KR101733168B1 (ko) 프레스용 금형장치
KR100737285B1 (ko) 차량용 톤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20210043405A (ko) 스티어링 휠 가공장치
JP3775072B2 (ja) シャフトの製造方法
KR100858184B1 (ko) 1,2차 딥 드로오잉 성형을 위한 소성가공장치
KR101520925B1 (ko) 프로그레시브금형의 태핑장치
KR101155616B1 (ko) 차량용 톤휠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톤휠
JP3717732B2 (ja) プレス型における突き上げ騒音防止方法及びプレス装置
KR20210017766A (ko) 핀 압입 툴
WO2015040461A1 (en) Center hole forming method and forging device
JP2806821B2 (ja) 鍛造成形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73827U (ja) プレス加工装置
KR20030005637A (ko) 피어싱 프레스
CN215614484U (zh) 一种用于壳体的冲压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