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584B1 - 글루코사민과 피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글루코사민과 피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584B1
KR100809584B1 KR1020050057923A KR20050057923A KR100809584B1 KR 100809584 B1 KR100809584 B1 KR 100809584B1 KR 1020050057923 A KR1020050057923 A KR 1020050057923A KR 20050057923 A KR20050057923 A KR 20050057923A KR 100809584 B1 KR100809584 B1 KR 100809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cosamine
weight
pinitol
inflammatory
finit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7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2401A (ko
Inventor
윤영철
최치만
전영중
신용철
Original Assignee
아미코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미코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미코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7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9584B1/ko
Publication of KR20070002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2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8Compounds having an amino group directly attached to a carbo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e.g. D-galactosamine, ranimust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4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75Ethers or acet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루코사민(glucosamine)과 피니톨(pinitol)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글루코사민과 피니톨의 병용에 의해 상승적인 항염증 효과(synergistic inflammatory effect)를 나타내므로 퇴행성관절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글루코사민과 피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 COMPRISING GLUCOSAMINE AND PINITOL}
도 1은 만성염증모델로서 면포 펠렛(cotton pellet)에 의한 육아종형성시험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만성염증모델에서 피니톨과 글루코사민의 단독 또는 병용투여시의 육아종 형성 억제효과를 습중량 기준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만성염증모델에서 피니톨과 글루코사민의 단독 또는 병용투여시의 육아종 형성 억제효과를 건중량 기준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글루코사민(glucosamine)과 피니톨(pinitol)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임상질환 가운데 종양을 제외한 거의 모든 질환이 염증성 질환으로, 염증에 의한 조직손상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은 현대의학의 큰 과제이다. 염증성 질환 중에는 항생제 투여로 치료가 가능한 세균성 질환도 있지만, 대부분의 염증성 질환은 그 발병이 자가면역반응에 의한 조직손상에 기인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는 난치병으로 인식되고 있다. 염증성 질환의 주요 치료제들은 스테로이드성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제제들(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로서, 이들은 강력한 소염작용을 나타내지만 만성 염증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장기간의 지속적인 투약은 위장관독성, 신장독성, 간독성, 면역독성, 신경독성 등과 같은 부작용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Lichtenstein et al., Arthritis Rhum. 38: 5-18, 1995; Lester et al., Dermatol.Clin. 16: 277-288, 1998; Patino et al., J. Rheumatol. 30: 2680-2688, 2003). 따라서, 전신성 만성 염증성 질환의 치료제로서 장기간 사용에 따른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소염진통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퇴행성관절염은 65세 이상의 노인인구 중 80% 이상이 경험하는 염증성 질환으로 사람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연골이 마모되면서 발생하는 질병이다. 그 결과로 연골의 충격흡수 능력은 현저히 저하되고 관절의 변형과 통증, 운동능력의 제한 등 많은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퇴행성관절염의 치료법에는 약물요법, 물리요법 및 인공관절 수술법이 있는데, 이 중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방법이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와 진통제의 복용, 스테로이드나 히알루론산의 주사 등과 같은 약물요법이다. 그러나, 약물치료제의 경우는 통증이나 염증반응 자체를 비특이적으로 완화시키는 효과만 가지고 있고, 히알루론산 주사요법은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과는 뛰어나지만, 여러 번 반복적으로 관절에 주사해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환자들이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비하여 글루코사민 제제는 경구복용의 편리성과 우수한 연골재생 및 통증완화효과로 근래 그 적용빈도가 급증하고 있다.
글루코사민(2-amino-2-deoxy-D-glucose, glucosamine)은 뮤코다당체와 키틴의 필수성분인 아미노 단당류(aminomonosaccharide)의 일종으로서, 골관절염이나 상해로부터의 손상을 복구하는데 필요한 물질을 관절에 제공한다(Barclay et al., Ann. Pharmacother. 32: 574-579, 1998; Anderson et al., Food Chem. Toxicol. 43: 187-201, 2005). 특히, 글루코사민은 연골의 주성분인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 내 글루코사미노글리칸(glucosaminoglycan)의 전구물질이며, 그 외에 점액성 분비물과 결합조직 피부, 건, 인대를 포함한 신체조직의 대부분을 이루는 물질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글루코사민은 골관절염 증상을 완화시키고, 관절 및 연골을 보호하고 강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oupt et al., J. Rheumatol. 26: 2423-2430, 1999). 그러나, 글루코사민이 상기와 같은 치료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최소한 6 내지 8주정도 장기적으로 복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피니톨(pinitol)은 콩이나 알팔파, 소나무 등에서 추출된 천연물질로서 인슐린 유사작용으로 혈당강하효과(Narayan et al., Curr. Sci. 56: 139-141, 1987; Bates et al., Br. J. Pharmacol. 130: 1944-1948, 2000; Davis et al., Diabetes Care 23: 1000-1005, 2000) 뿐만 아니라 심혈관질환 감소효과(Kim et al., Eur. J. Clin. Nutr. 59: 456-458, 2005)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또한, 피니톨은 근육세포에 크레아틴(creatine)과 기타 영양성분의 공급을 활성화시켜 근육의 발달과 회복을 촉진시키며(Bates et al., Br. J. Pharmacol. 130: 1944-1948, 2000), 암이나 AIDS 환자의 소모성 질환의 처치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미국특허 제5,827,896호). 이 외에도, 카라기난을 이용하여 흰쥐의 발에 급성부종을 유발시키는 경우에 미리 피니톨을 복강주사하면 부종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Singh et al., Fitoterapia 72: 168-70, 2002).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글루코사민의 장점을 살리면서 단시간 안에 효과적인 항염증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복합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피니톨을 글루코사민과 병용하여 투여하는 경우 상승적인 항염증 효과가 나타나 퇴행성관절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글루코사민 단독 투여시보다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글루코사민의 복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글루코사민과 피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염증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글루코사민과 피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염증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완화시키기 위한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활성성분으로 포함되는 글루코사민과 피니톨은 염증성 질환에 대해 상승적 억제작용을 나타낸다.
무명 펠렛의 삽입에 의해 육아종이 형성된 만성염증모델에서, 피니톨 단독투여군에 의해 육아종의 습중량과 건중량은 모두 대조군에 비해 다소 감소되므로 미미하게 육아종 형성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글루코사민 단독투여에 의해서 육아종의 습중량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고, 건중량은 약간 감소한다. 반면, 글루코사민과 피니톨의 병용투여는 대조군에 비해 육아종의 습중량 및 건중량을 모두 유의성 있게 감소시키는데, 두 물질의 병용투여에 의한 육아종 형성 억제효과는 기존에 소염제로 사용되고 있는 아미노피린(aminopyrine)의 억제효과보다 우수한 것이다. 이로부터 글루코사민과 피니톨의 병용투여가 만성염증에 의한 육아종 형성억제에 매우 효과적이며, 두 물질의 병용투여에 의해 소염작용의 상승효과가 나타난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글루코사민을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는 글루코사민과 피니톨을 병용 투여하는 것이 항염증 작용의 상승효과를 유발하여 퇴행성관절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글루코사민을 1 내지 99중량%로, 피니톨을 1 내지 99 중량%로 함유하며, 퇴행성관절염, 천식, 염증 성 장질환 또는 동통성 견구축증(오십견) 등과 같은 만성 염증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글루코사민 및 피니톨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절한 담체 또는 부형제와 혼합하거나 희석제로 희석하여 상기한 기능을 갖는 약학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디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은 정제, 알약, 분말, 새세이(sachet), 엘릭서(elixir), 현탁액, 에멀젼, 용액,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멸균 주사용액, 멸균 분말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통상적인 1일 투여량은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할 때 글루코사민은 5 내지 50 ㎎/㎏ 체중,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 체중의 범위이고, 피니톨은 1 내지 50 ㎎/㎏ 체중,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 체중의 범위이며,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활성성분의 실제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유효량의 글루코사민과 피니톨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는 건강 증진용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글루코사민과 피니톨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면 각종 식품류, 음료수, 비타민 복합제, 및 그 밖의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글루코사민과 피니톨은 식품 제조시 원료 물질에 첨가하거나 조리된 식품에 적절히 혼합하여 상기한 건강 증진용 식품 또는 음료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최종적으로 제조된 식품 또는 음료 중에 글루코사민과 피니톨의 함량은 각각 10 내지 90 중량% 범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만성염증모델에서의 항염증 효과
라자 등(Raza et al., Gen. Pharmacol. 27: 1395-1400, 1996)의 방법에 따라 하기와 같이 육아종 형성시험을 수행하여 만성염증모델에서 피니톨과 글루코사민의 단독 또는 병용투여에 의한 항염증 효과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1-1> 실험방법
실험동물은 (주)오리엔탈(서울)로부터 구입한 특정병원체부재(specific-pathogen free) 스프라그-다우리(Sprague-Dawley) 랫트를 이용하였다. 5주령의 수컷 랫트 92마리를 1주일간의 순화 및 검역기간 동안 관찰한 후 건강한 동물(6주령, 체중 170 내지 210 g)만을 선별하여 하기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은 전남대학교 수의과대학(광주)의 약리독성실험실에서 실시하였는데, 순화 및 검역기간 중에는 스테인레스제 망 사육상자(220W×410L×200H ㎜)에 사육상자당 5마리 이하로 수용하였고, 실험기간 중에는 사육상자당 2마리씩 수용하였다. 사료는 실험동물용 고형사료(삼양사료, 원주)를, 물은 상수도수를 사용하여 자유롭게 급식시켰다.
시험물질인 피니톨((주)아미코젠)과 글루코사민((주)아미코젠)은 99% 이상의 순도를 갖는 것을 이용하여 부형제인 멸균 생리식염수(중외제약)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항염증 효과에 대한 양성대조물질로는 생리식염수에 용해한 아미노피린(Sigma Co.) 100 ㎎/㎏을 사용하였다.
이전의 연구결과(Singh et al., Fitoterapia 72: 168-70, 2001)에 따르면, 랫트에서 피니톨은 2.5 내지 10 ㎎/㎏ 용량으로 투여시 카라기난에 의해 유발된 족척부종을 약 50% 정도 억제하였다. 상기 결과에 근거하여 본 실험에서는 피니톨 투여용량을 20 ㎎/㎏으로 설정한 후, 피니톨의 병용투여에 의한 글루코사민 항염증 효과의 상승여부와 용량의존성을 조사하기 위해 5 ㎎/㎏의 저용량과 20 ㎎/㎏의 고 용량을 피니톨 병용투여 용량으로 설정하였다. 글루코사민의 투여용량은 기존 문헌과 임상적 사용량을 근거로 하여 25 ㎎/㎏으로 설정하였다. 임상에서 글루코사민은 아침과 저녁, 즉 1일 2회로 나누어서 투약하나 약물의 약리효능을 평가하는 경우에는 1일 1회 투약하는 것이 통상적이므로(Gepdiremen et al., J. Ethnopharmacol. 94: 191-195, 2004; Park et al., Phytother. Res. 18: 930-933, 2004), 본 실험에서도 1일 1회 투약하였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용량에 따라 실험군은 생리식염수가 투여된 대조군(음성대조군); 소염제 아미노피린이 투여된 T1군(양성대조군); 피니톨 20 ㎎/㎏이 투여된 T2군(피니톨 단독투여군); 글루코사민 25 ㎎/㎏이 투여된 T3군(글루코사민 단독투여군); 글루코사민 25 ㎎/㎏과 피니톨 5 ㎎/㎏이 병용 투여된 T4군(저농도 피니톨 병용투여군); 및 글루코사민 25 ㎎/㎏과 피니톨 20 ㎎/㎏이 병용 투여된 T5군(고농도 피니톨 병용투여군)으로 나누어 수행하였고, 각 군당 수컷 6마리씩으로 구성하였다.
<1-2> 항염증 효과 평가
멸균된 무명 펠렛의 삽입으로 인해 생성되는 육아종 형성을 지표로 하여 만성염증모델에서의 항염증 효과를 조사하였다.
수컷 랫트에 10 ㎎/㎏의 케타민 염산염(ketamine hydrochloride, 유한양행, 서울)을 복강에 투여하여 전신 마취시킨 후 흉부피부를 절개하여 액와부위에 멸균된 무명 펠렛(30±0.5 ㎎)을 삽입한 후 피부를 봉합하였다. 마취에서 회복된 1시 간 후부터 1일 1회씩 7일간 시험물질 및 양성대조물질을 반복하여 경구투여하였다. 투여종료 익일에 에테르(ether)로 마취하여 방혈·치사시킨 후 형성된 육아종을 채취하여 습중량을 측정하였다. 이후 50℃의 항온기에서 항량이 되도록 3일간 건조한 다음 건중량을 측정하여 대조군과 각각 비교하였다.
실험결과에 대한 통계분석은 그래프패드 인스탯 프로그램(GraphPad InStat v. 3.0, GraphPad Software, Inc., CA, USA)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는데, 실험결과는 평균값과 표준편차로 표기하였으며,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실시한 후 유의성이 인정되면 군간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다중비교법(Dunnett et al., Biometrics 20: 482-491, 1964)으로 유의성을 조사하였다. 전체적으로 검정의 유의수준은 1% 혹은 5%에서 검사하였다.
도 1은 만성염증모델로서 면포 펠렛에 의한 육아종형성시험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육아종형성시험을 위한 실험동물, 부검기구 및 마취제를, (B)는 서혜부에 형성된 육아종을, (C)는 대조군(왼쪽)과 피니톨 투여군(오른쪽)의 건조 전 육아종을, (D)는 대조군(왼쪽)과 피니톨 투여군(오른쪽)의 건조 후 육아종을 나타낸 것이다.
<1-3> 실험결과
무명 펠렛이 유발한 육아종의 습중량과 건중량 및 육아종 형성 억제율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35437528-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명 펠렛 삽입 후 7일째에 동물을 부검하여 육아종 형성을 관찰한 결과, 육아종이 주위조직과 경계가 명료하게 형성되어 있었고, 습중량과 건중량이 각각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소염제인 아미노피린 100 ㎎/㎏을 투여한 양성대조군에서는 육아종의 습중량과 건중량이 대조군에 비해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피니톨 단독투여군에서 측정된 육아종의 습중량과 건중량은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지만, 약간 감소(약 12%씩)하였다. 글루코사민 단독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육아종의 습중량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 건중량 역시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지만 다소 감소(14.5%)하였다. 한편, 글루코사민 25 ㎎/㎏과 피니톨 5 또는 20 ㎎/㎏을 병용투여한 실험군에서는 육아종의 습중량과 건중량이 대조군에 비해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도 23은 각 실험군에서 측정된 육아종의 습중량과 건중량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결과로부터 글루코사민을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는 글루코사민과 피니톨을 병용 투여하는 것이 더욱 상승적인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어 퇴행성관절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글루코사민과 피니톨은 약제학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들과 함께 약제학적으로 통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산제, 정제, 캡슐제, 주사제, 액제 등과 같은 제제형태로 제제화하여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하기에 제제 실시예를 예시한다.
<제조예 1> 산제
글루코사민 750 ㎎
피니톨 300 ㎎
유당 500 ㎎
비타민 C 410 ㎎
스테아린마그네슘 20 ㎎
오렌지향분말 2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2> 정제
글루코사민 375 ㎎
피니톨 150 ㎎
결정셀룰로즈 110 ㎎
해조칼슘 7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7.5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3> 캡슐제
글루코사민 250 ㎎
피니톨 100 ㎎
건생강추출물분말 80 ㎎
상어연골분말 50 ㎎
비타민 C 64.5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5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4> 주사제
글루코사민 750 ㎎
피니톨 300 ㎎
주사용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 제조방법에 따라 활성성분을 주사용 증류수에 용해하고 pH를 약 7.5로 조절한 다음 전체를 주사용 증류수로 2 ㎖ 용량의 앰플에 충진하고 멸균시켜서 주사제를 제조한다.
또한,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건강식품과 음료를 제조한다.
<제조예 5> 선식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만들었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만들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및 종실류에 글루코사민과 피니톨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과립을 만들었다.
곡물류 : 현미 25중량%, 율무 10 중량%, 보리 17 중량%, 찹쌀 9 중량%,
종실류 : 들깨 7 중량%, 검정콩 8 중량%, 검정깨 7 중량%,
글루코사민 10 중량%, 피니톨 6 중량%, 영지 0.5 중량%, 지황 0.5중량%
<제조예 6> 건강 음료
꿀 0.26 중량%, 치옥토산아미드 0.0002 중량%, 니코틴산아미드 0.0004 중량%,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0.0001 중량%, 염산피리독신 0.0001 중량%, 이노시톨 0.001 중량%, 오르트산 0.002 중량% 및 물 97.6362 중량%와 본 발명의 글루코사민 1.5 중량% 및 피니톨 0.6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7> 건강보조식품
스피루리나 55 중량%, 구아검효소 분해물 10 중량%, 비타민 B₁염산염 0.01중량%, 비타민 B6 염산염 0.01 중량%, DL-메티오닌 0.23 중량%,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7 중량%, 유당 22.2 중량% 및 옥수수전분 1.85 중량%와 본 발명의 글루코사민 7 중량% 및 피니톨 3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정제형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글루코사민과 함께 피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단시간 내에 글루코사민의 상승적인 항염증 효과를 유도하므로 퇴행성관절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 다.

Claims (6)

  1. 글루코사민 및 피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관절염, 천식, 염증성 장질환 또는 동통성 견구축증(오십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글루코사민을 1 내지 99 중량%로, 피니톨을 1 내지 99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삭제
  4. 글루코사민 및 피니톨을 함유하는, 퇴행성관절염, 천식, 염증성 장질환 또는 동통성 견구축증(오십견)을 예방하거나 완화시키기 위한 건강 증진용 식품.
  5. 제 4항에 있어서,
    식품 총 중량에 대해서 글루코사민을 1 내지 99 중량%로, 피니톨을 1 내지 99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증진용 식품.
  6. 삭제
KR1020050057923A 2005-06-30 2005-06-30 글루코사민과 피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09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923A KR100809584B1 (ko) 2005-06-30 2005-06-30 글루코사민과 피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923A KR100809584B1 (ko) 2005-06-30 2005-06-30 글루코사민과 피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401A KR20070002401A (ko) 2007-01-05
KR100809584B1 true KR100809584B1 (ko) 2008-03-06

Family

ID=37869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7923A KR100809584B1 (ko) 2005-06-30 2005-06-30 글루코사민과 피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95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18376B1 (fr) 2007-07-04 2011-10-28 Mathieu Borge Compositions liquides ou pateuses destinees a l'apport en elements essentiels a la synthese et a la constitution des proteoglycanes, notamment pour le traitement de la degradation du cartilage
JP6736251B2 (ja) * 2014-10-31 2020-08-05 小林製薬株式会社 経口組成物
KR101671502B1 (ko) 2015-07-13 2016-11-02 주식회사 디와이내츄럴 피니톨, d-카이로-이노시톨, 또는 이들의 유사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1840257A (zh) * 2020-07-22 2020-10-30 广东省林业科学研究院 木榄果d-松醇在制备治疗溃疡性结肠炎药物中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5979A (ko) * 2003-01-16 2004-07-23 김정식 황산 글루코사민과 비타민 비12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퇴행성 관절염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5979A (ko) * 2003-01-16 2004-07-23 김정식 황산 글루코사민과 비타민 비12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퇴행성 관절염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401A (ko) 200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3942B2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the effects of diseases and maladies
RU2334523C2 (ru)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лечения ожирения и ассоциированного метаболического синдрома
US6841544B2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the effects of diseases and maladies
US6787164B2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the effects of diseases and maladies
US6576267B2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the effects of diseases and maladies
KR101735151B1 (ko) 항피로 조성물, 그의 제형 및 용도
US10076527B2 (en) Standardized extract and its use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KR102121153B1 (ko) 체중감량용 한약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체중감량용 한약환 및 이의 제조방법
US6759062B2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the effects of diseases and maladies
CN103099948A (zh) 一种治疗咽炎的药物组合物和制备方法
KR100809584B1 (ko) 글루코사민과 피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060222722A1 (en) Sublingual methods of treatment to alleviate or prevent arthritis
KR100813187B1 (ko) 비만 예방 및 억제능 갖는 한약재 추출 조성물
US20020034555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the effects of diseases and maladies
KR20150033797A (ko) 아토피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4470042B (zh) 一种防治动物肝损伤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3655735B (zh) 一种治疗脚气、皮肤瘙痒症泡洗剂
CN102058699B (zh) 一种治疗尘肺的药物
JP4355967B2 (ja) 医薬組成物
WO2008010335A1 (fr) Extrait végétal ayant un effet préventif sur l&#39;arthrite
JP2958198B2 (ja) 鎮痛用医薬組成物
CN101297941A (zh) 防治兔球虫病中西药联合缓释剂及其制备方法
KR101824016B1 (ko) 포공영, 어성초, 금은화, 몰약, 위령선, 택사, 목통, 차전자, 유근피, 죽엽, 결명자, 당귀, 작약 및 감초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03104901A (ja) 健康指向性組成物
US20010043959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the effects of diseases and malad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