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504B1 - 흘림 방지 조임 빨대 - Google Patents

흘림 방지 조임 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504B1
KR100809504B1 KR1020060044240A KR20060044240A KR100809504B1 KR 100809504 B1 KR100809504 B1 KR 100809504B1 KR 1020060044240 A KR1020060044240 A KR 1020060044240A KR 20060044240 A KR20060044240 A KR 20060044240A KR 100809504 B1 KR100809504 B1 KR 100809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beverage
screw
uneven por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4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9391A (ko
Inventor
이찬희
Original Assignee
이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찬희 filed Critical 이찬희
Publication of KR20070039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6Details of bendable stra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빨대를 사용하는데 있어 물이나 음료수의 흘림을 방지하기 위한 흘림 방지 조임 빨대의 형상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나사선 형상의 요철부가 형성된 빨대를 개시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용기를 기울이거나 흔드는 경우에도 음료수의 흘림없이 음료수를 섭취할 수 있다.
요철부, 나사선, 섭취구멍, 음료용 포장, 흘림 방지 조임 빨대

Description

흘림 방지 조임 빨대 {straw which prevent leakin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인 도 1의 요철부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 제 3 실시예, 제 4 실시예의 요철부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인 도 6의 A-A 단면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인 사용상태도인 도 8의 A-A 단면에 관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 부호의 설명 **
10 : 나사선 형상의 요철부 20 : 요철부의 소정지점
30 : 요철부의 일정지점 40 : 요철부의 일정지점
50 : 나사산 60 : 하단부의 빨대 몸통
70 : 상단부의 빨대 몸통 80 : 섭취구멍
90 : 음료용 포장 100 : 흘림 방지 조임 빨대
110 : 몸체 120 : 주름부
본 발명은 음료를 섭취하기 위한 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빨대 몸체의 소정 부위에 나사선 형상의 요철부를 포함하여 음료의 흘림 방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흘림 방지 조임 빨대의 형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빨대는 물이나 음료수 따위를 빨아 먹는데 쓰는 가는 대롱이다. 근래에는 물 또는 음료수 등이 사각 종이팩 등에 넣어 판매되고 있다. 이 경우 물 또는 음료수를 섭취하게 하기 위하여 포장용기는 알루미늄 박판으로 봉합된 섭취구멍에 스트로를 꽂아 빨대로 빨아 먹을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빨대를 함께 포장하여 판매하기도 한다.
이 경우 알루미늄 박판으로 봉합된 음료 섭취 구멍과 빨대의 몸체가 밀착되지 않아 음료가 섭취 중에 새어 나와 흐르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사용의 편리상 및 포장의 용이성 등을 위하여 빨대의 중간 부분에 주름부를 형성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도 주름부는 빨대가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할 뿐 앞에서 지적한 음료의 흘림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유아나 어린이들의 경우에도 우유, 두유 등을 섭취하기 위하여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포장용기에 형성된 알루미늄 박판으로 봉합된 음료 섭취 구멍 및 주름 빨대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해당 음료의 흐름은 무척 곤란한 일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빨대 몸체의 일부 부분을 나사선의 구조로 함으로써 음료 용기에 기밀을 유지하면서 용기를 기울이는 경우에도 흘림없이 음료를 마실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료용 포장에 삽입되어 음료를 섭취하기 위한 빨대에 있어서, 내부에 음료 이동 공간을 구비하는 관형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소정 부위에 구비된 나사선 형상의 요철부를 포함하되, 상기 요철부는 음료섭취시 음료용 포장에 조여짐으로서 밀착되어 상기 나사선 형상에 의하여 음료의 흘림 방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흘림 방지 조임 빨대를 개시한다.
나사선의 구조란 일반적으로 나사못 등에서 볼 수 있는 구조이다. 나사선은 원기둥에 직각삼각형의 종이를 감을 때 직각삼각형의 빗변이 원기둥의 측면 상에 감기어 이루어지는 곡선이라고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사선 형상의 요철부는 상기 나사선 형상의 요철부의 소정지점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회전반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나사못의 형상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사선 형상의 요철부의 상단부의 빨대 몸통의 직경이 상기 요철부의 하단부의 빨대 몸통의 직경보다 더 크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사선 형상의 요철부가 주름 빨대의 주름부에 위치하도 록 할 수 있다. 주름 빨대란 빨대의 일부분에 주름부를 형성하여 빨대가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한 것을 말한다. 주름부란 빨대의 몸통에 일정간격으로 굴곡이 형성되어 굴신(屈伸) 즉 구부러지거나 신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인 흘림 방지 조임 빨대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인 도 1의 요철부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본 도면의 요철부(10)는 종래 빨대의 몸체의 일부분을 나사선의 구조로 한 것이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음료용 포장(90)의 섭취구멍(80)은 알루미늄 박판으로 봉합되어 있는데 종래 빨대를 꽂는 경우 알루미늄 박판이 빨대의 사용 상태에 따라 더 큰 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용기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리는 경우, 특히 유아 및 어린이들이 섭취하는 경우 종래의 주름 빨대와 종이팩 용기의 섭취 구멍사이의 틈으로 물 또는 음료수 등이 흘러나오는 경우가 발생된다.
따라서, 흘림 방지 조임 빨대(100)의 요철부(10)를 나사선 구조로 하고 알루미늄 판박에 흘림 방지 조임 빨대(100)를 꽂고 섭취구멍(80)이 요철부(10)에 걸리는 지점에서 나사선의 조임방향으로 돌려주면 섭취구멍(80)의 알루미늄 판박이 뚫리는 정도가 종래의 것에 비하여 나사선 형상의 요철부(10)와 밀착을 유지하게 된다. 나사선은 원기둥에 직각삼각형의 종이를 감을 때 빗변이 원기둥의 측면 상에 감기어 이루어지는 곡선이라고도 할 수 있다.
나사선의 기울기(a)는 음료용 포장(90)과의 밀폐를 고려하여 20
Figure 112006503984986-pat00010
내지 70
Figure 112006503984986-pat00011
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음료용 포장(90)내의 내용물이 흘러 나오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이러한 흘림방지 기능은 종이팩의 알루미늄판박으로 봉합된 섭취구멍(80)뿐만 아니라 편의점·페스트 푸드점 등에서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료용기와 빨대의 개선에도 적합하다. 이러한 흘림 방지 조임 빨대(100)의 제조는 종래의 주름 빨대의 제조방법과 차이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섭취구멍의 구조를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고려하여 제작하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즉, 현재 일반적인 음료보관용 용기의 구조에 있어서, 섭취 구멍의 크기를 나사선의 규격과 적합하도록 하고, 알루미늄 판박으로 봉합하는 구조를 하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섭취구멍의 주변의 재질에 탄력을 주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나사선 형상의 요철부와 더욱 기밀을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의 요철부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흘림 방지 조임 빨대(100)의 요철부(10)는 요철부(10)의 소정지점(2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회전반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소정지점(20)은 바람직하게는 요철부가 시작되는 지점이 될 수 있다. 소정지점(2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일정 지점(30, 40)까지 나사선 형상의 요철부(10)의 회전반경이 커짐으로써 음료섭취시 음료용 포장(90)에 조여짐으로서 밀착되어 음료의 흘림 방지를 할 수 있는 기능이 더욱 우수해질 수 있다. 나사선 형상의 요철부(10)의 회전반경이 커지는 방법으로는 나 사산(50)의 높이가 점차 커지는 구조로 할 수 있으며 나사산(50)의 높이는 일정하더라도 몸체의 직경자체가 커지는 구조로도 할 수도 있다.
도 3의 흘림 방지 조임 빨대(100)의 경우에는 요철부가 시작되는 지점(20)으로부터 요철부(10)의 중간지점 중 어느 일정지점(30)까지 요철부(10)의 나사산(50)의 높이가 점차 커지는 구조이며, 도 4의 흘림 방지 조임 빨대(100)의 경우에는 요철부(10)가 시작되는 지점(20)으로부터 일정지점(40) 즉, 요철부(10)가 끝나는 부분까지 요철부(10)의 나사산(50)의 높이가 점차 커지는 구조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요철부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사선 형상의 요철부(10)의 상단부의 빨대 몸통(70)의 직경이 상기 요철부의 하단부의 빨대 몸통(60)의 직경보다 더 크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흘림 방지 조임 빨대(100)이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생산성을 고려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인 도 6의 A-A 단면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7에서와 같이 음료용 포장(90)에 나사선의 형상의 요철부(10)가 밀착(A)되어 음료의 흘림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인 사용상태도인 도 8의 A-A단면에 관한 단면도이다. 음료 섭취용 빨대에는 주름부(120)를 형성하기도 한다. 이를 일반적으로 주름빨대라 한다. 즉, 주름 빨대란 빨대의 일부분에 주름부(120)를 형성하여 빨대가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한 것을 말한다. 주름부란 빨대의 몸통에 일정간격으로 굴곡이 형성되어 굴신(屈伸) 즉 구부러지거나 신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앞에서 설명한 요철부(10)는 바람직하게는 주름 빨대에 있어서 주름부(120)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주름부(120)는 나사선 형상의 요철부(10)기능을 함께 하게 되는 것이며, 나사선 형상의 요철부(10)는 앞에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주름부(120) 겸 요철부(10)의 상단부의 빨대 몸통(70)의 직경이 주름부(120) 겸 요철부(10)의 하단부의 빨대 몸통(60)의 직경보다 더 클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흘림 방지 조임 빨대는 용기와 빨대의 기밀을 유지시켜 주게 되고 용기를 기울이거나 흔드는 경우에도 음료수의 흘림없이 음료수를 섭취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형상의 구조를 갖는 조임 빨대를 만드는 데에는 기존의 주름 빨대에 비하여 많은 제작 비용이 드는 것이 아니어서 경제성도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음료용 포장에 삽입되어 음료를 섭취하기 위한 빨대에 있어서,
    내부에 음료 이동 공간을 구비하는 관 형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소정 부위에 구비된 나사선 형상의 요철부를 포함하되,
    상기 요철부는 상기 요철부의 소정지점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회전반경이 커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음료섭취시 음료용 포장에 조여짐으로써 밀착되어 상기 나사선 형상에 의하여 음료의 흘림 방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흘림 방지 조임 빨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선 형상의 요철부의 상단부의 빨대 몸통의 직경이 상기 요철부의 하단부의 빨대 몸통의 직경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흘림 방지 조임 빨대.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선 형상의 요철부가 빨대의 몸통 중 일부분이 주름부로 형성되어 구부러질 수 있도록 되어있는 주름 빨대의 주름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흘림 방지 조임 빨대.
KR1020060044240A 2005-10-07 2006-05-17 흘림 방지 조임 빨대 KR1008095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8667 2005-10-07
KR2020050028667 2005-10-0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101U Division KR200407751Y1 (ko) 2005-10-07 2005-11-12 흘림 방지 조임 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391A KR20070039391A (ko) 2007-04-11
KR100809504B1 true KR100809504B1 (ko) 2008-03-06

Family

ID=38160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240A KR100809504B1 (ko) 2005-10-07 2006-05-17 흘림 방지 조임 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95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3502A (zh) * 2018-06-21 2019-12-31 施淑瀞 纸制吸管结构
KR200495158Y1 (ko) * 2020-08-19 2022-03-16 강혁조 빨대 이탈 방지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798A (ko) * 2002-09-02 2004-03-06 정용석 나사구조를 갖는 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798A (ko) * 2002-09-02 2004-03-06 정용석 나사구조를 갖는 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391A (ko) 200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21396C2 (ru) Сосуд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RU2181097C2 (ru) Устойчивый гибкий пакет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10897981B2 (en) Collapsible container with straw
CN105433702A (zh) 饮料杯的盖子、杯子组件和制造盖子的方法
TW202000538A (zh) 具有口栓的紙容器
JP6114465B2 (ja) 幼児用飲料容器
TW200535060A (en) Container having an integral lid
MX2010005444A (es) Tapa de cierre a prueba de deglucion para contenedores, en particular contenedores para alimentos y en particular bolsas para bebidas.
KR100809504B1 (ko) 흘림 방지 조임 빨대
US20130240544A1 (en) Disposable cup
KR200407751Y1 (ko) 흘림 방지 조임 빨대
US10952567B2 (en) Food serving apparatus
AU2001261961B2 (en) Disposable cup with spill resistant lid
JP2021014286A (ja) 飲料容器用蓋
KR102099903B1 (ko)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
JP2009149329A (ja) 飲用ストロー
KR102146805B1 (ko)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 컵
US10556727B2 (en) Food container and related methods
JP4780861B2 (ja) ストロー
KR20130137492A (ko) 엎어져도 내용물이 새지 않는 빨대
US11465821B1 (en) Holder for food and beverage containers
KR200317779Y1 (ko) 공기 유입 요철부를 갖는 빨대
JP4229438B2 (ja) 液体紙容器
USD1003107S1 (en) Container lid
JP2004351046A (ja) 飲料用ストロ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