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048B1 - 철근 결속 이동틀 및 이를 통한 옹벽 조립공법 - Google Patents

철근 결속 이동틀 및 이를 통한 옹벽 조립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048B1
KR100809048B1 KR1020070029082A KR20070029082A KR100809048B1 KR 100809048 B1 KR100809048 B1 KR 100809048B1 KR 1020070029082 A KR1020070029082 A KR 1020070029082A KR 20070029082 A KR20070029082 A KR 20070029082A KR 100809048 B1 KR100809048 B1 KR 100809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reinforcing
lower angles
retaining wal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8085A (ko
Inventor
안병모
Original Assignee
안병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모 filed Critical 안병모
Publication of KR20080018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7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결속 이동틀 및 이를 통한 옹벽 조립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면 바닥에서 철근 결속의 작업을 마친 후에 이를 필요한 장소로 이동시켜 벽체 등의 옹벽 조립(시공)에 사용함으로써, 사다리나 비계 등을 이용하여 높은 위치에서 작업하는데 따른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불필요하게 소요되는 인력을 줄일 수 있어 공사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보다 안정적으로 벽체 등의 옹벽 시공 작업을 할 수 있기에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고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철근 결속 이동틀 및 이를 통한 옹벽 조립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철근 결속 이동틀은, 평면 바닥에서 조립된 후에 시공 대상의 벽체 등으로 일체로 이송되는 것으로서, 세로방향의 외곽틀을 형성하는 복수의 세로지지대; 상기 세로지지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가로방향의 외곽틀을 형성하는 상부 및 하부 앵글; 상호 결합된 상기 세로지지대, 상기 상부 및 하부 앵글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틀에 배치되는 철근; 및 상기 철근을 상기 세로지지대, 상기 상부 및 하부 앵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하는 철근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세로지지대, 상기 상부 및 하부 앵글, 상기 철근은 상기 벽체 등의 세로 및 가로 길이에 대응되는 크기의 일체형으로 선택되어 상호 조립됨으로써 상기 벽체 등의 면적으로 한번에 제작되거나, 각각이 단위 길이로 제작되어 상호 접촉되는 부분끼리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벽체 등의 면적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철근, 결속, 이동틀, 시공, 벽체

Description

철근 결속 이동틀 및 이를 통한 옹벽 조립공법{Moving structure for joining steel reinforcement and concrete wall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 이동틀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철근을 제외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영역에 대한 확대도로서 철근이 배치된 상태의 도면,
도 4는 도 3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철근 결속 이동틀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 이동틀을 통한 옹벽 조립공법에 대한 순서도,
도 7은 도 6의 공법을 이용하여 시공된 일 실시예로서의 옹벽 구조,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철근 결속 이동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철근 10 : 철근 결속 이동틀
12 : 세로지지대 14 : 상부 앵글
16 : 하부 앵글 18 : 다리부
20 : 철근고정부 21,22,23 : 제1 내지 제3 압착판
24 : 스페이서 25 : 체결부재
30 : 이동용 고정부 40 : 옹벽
본 발명은, 철근 결속 이동틀 및 이를 통한 옹벽 조립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면 바닥에서 철근 결속의 작업을 마친 후에 이를 필요한 장소로 이동시켜 벽체 등의 옹벽 조립(시공)에 사용함으로써, 사다리나 비계 등을 이용하여 높은 위치에서 작업하는데 따른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불필요하게 소요되는 인력을 줄일 수 있어 공사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보다 안정적으로 벽체 등의 옹벽 시공 작업을 할 수 있기에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고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철근 결속 이동틀 및 이를 통한 옹벽 조립공법에 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에 쓰이는 보강근으로서의 철근(steel reinforcement)은 모양과 기계적 성질에 따라 서로 다르게 분류된다.
모양에 따라서는 원형철근(round bar)과 이형철근(deformed bar)으로 분류된다. 원형철근은 이형철근에 비해 부착력이 낮기 때문에 철근콘크리트 공사에는 주로 이형철근이 사용된다.
철근을 정착하거나 잇는 경우, 철근에 작용하는 외력으로 인하여 철근이 콘 크리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길이를 확보해야 한다. 철근의 정착 및 이음길이는 철근이 받는 힘의 크기와 콘크리트의 부착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힘을 많이 받는 철근일수록 콘크리트에서 분리되려는 힘도 강하기 때문에 정착 및 이음 길이도 더 길게 하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콘크리트는 강도가 높을수록 부착강도도 높아지기 때문에 같은 힘을 받는 철근인 경우 콘크리트의 강도가 높아질수록 정착 및 이음 길이는 짧아진다.
이처럼 철근은 콘크리트 구조물, 다시 말해 건물 등의 공사 현장에 많이 사용되는 요소로서, 철근을 사용하지 않고 건물 등의 바닥이나 벽체 등의 옹벽을 시공할 경우에는 그 강도가 약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반드시 사용되고 있다.
한편, 건물의 바닥을 시공함에 있어 바닥틀 내에 철근을 엮어서 배치하고 그 위로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고화시키면 되기 때문에 작업에 위험성은 적다.
하지만, 벽체 등의 옹벽 시공은, 현장에서 거푸집 설치, 철근 배근(결속), 레미콘 타설, 양생, 거푸집 해체, 되메우기 등의 공정을 거쳐서 한 층을 완성하고, 다시 그 층 위로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여 그 위의 층을 완성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는데, 특히, 한 층 한 층의 옹벽을 쌓아 올리기 위해 뼈대인 철근을 배근함에 있어,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사다리나 비계 등을 통해 높은 위치로 올라가서 그 위치에서 일일이 하나씩의 철근을 개별적으로 결속하는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상당히 위험할 수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옹벽 시공시에는 별도의 보조 인원이 더 필요하기 때문에 나날이 높아지고 있는 인건비에 따른 공사비 증가의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그러나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옹벽 시공을 위한 철근 결속 등의 작업에는 상당한 위험성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인원이 많이 투입됨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효율은 떨어질 수밖에 없어 생산성 저하를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평면 바닥에서 철근 결속의 작업을 마친 후에 이를 필요한 장소로 이동시켜 벽체 등의 옹벽 조립(시공)에 사용함으로써, 사다리나 비계 등을 이용하여 높은 위치에서 작업하는데 따른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불필요하게 소요되는 인력을 줄일 수 있어 공사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보다 안정적으로 벽체 등의 옹벽 시공 작업을 할 수 있기에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고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평면 바닥에서 철근 결속의 작업을 마친 후에 이를 필요한 장소로 이동시켜 벽체 등의 옹벽 조립(시공)에 사용함으로써, 사다리나 비계 등을 이용하여 높은 위치에서 작업하는데 따른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불필요하게 소요되는 인력을 줄일 수 있어 공사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보다 안정적으로 벽체 등의 옹벽 시공 작업을 할 수 있기에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고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철근 결속 이동틀 및 이를 통한 옹벽 조립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철근의 복배근을 완료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어 고소작업이 전혀 필요치 않는 효율성을 가진 철근 결속 이동틀 및 이를 통한 옹벽 조립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평면 바닥에서 조립된 후에 시공 대상의 벽체 등으로 일체로 이송되는 것으로서, 세로방향의 외곽틀을 형성하는 복수의 세로지지대; 상기 세로지지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가로방향의 외곽틀을 형성하는 상부 및 하부 앵글; 상호 결합된 상기 세로지지대, 상기 상부 및 하부 앵글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틀에 배치되는 철근; 및 상기 철근을 상기 세로지지대, 상기 상부 및 하부 앵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하는 철근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세로지지대, 상기 상부 및 하부 앵글, 상기 철근은 상기 벽체 등의 세로 및 가로 길이에 대응되는 크기의 일체형으로 선택되어 상호 조립됨으로써 상기 벽체 등의 면적으로 한번에 제작되거나, 각각이 단위 길이로 제작되어 상호 접촉되는 부분끼리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벽체 등의 면적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 이동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앵글을 지나치는 상기 철근의 노출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하부 앵글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세로지지대, 상기 상부 및 하부 앵글, 상기 철근 각각이 단위 길이로 제작될 경우, 상기 다리부는 인접한 단위 철근 결속 이동틀의 상부 앵글과 상호 용접될 수 있다.
상기 철근은, 상기 세로지지대, 상기 상부 및 하부 앵글에 접하게 배치되는 제1 철근; 및 상기 제1 철근에서 전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 철근을 포함하 되, 상기 제1 및 제2 철근은 상기 철근고정부에 의해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철근고정부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앵글의 전면으로 압착되되 상기 제1 철근을 상기 상부 및 하부 앵글의 판면에 압착시켜 상기 상부 및 하부 앵글과 함께 상기 제1 철근을 고정하는 제1 압착판; 상기 제1 압착판의 전방에 위치하되, 상기 제2 철근을 고정하는 제2 및 제3 압착판; 상기 제1 압착판과 상기 제2 압착판을 상호 이격시키는 스페이서;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앵글에 대해 상기 제1 내지 제3 압착판과 상기 스페이서를 상호 일체로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는 상기 세로지지대, 상기 상부 및 하부 앵글, 상기 제1 압착판, 상기 스페이서, 상기 제2 및 제3 압착판을 통과한 후, 상기 너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압착판에는 상기 볼트가 통과하는, 일측이 개방된 장공 형태의 볼트통과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로지지대, 상기 상부 및 하부 앵글, 상기 제1 내지 제3 압착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이동용 고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용 고리부는, 상기 상부 앵글의 상면에 마련되는 제1 고리부; 및 상기 제3 압착판의 판면에 결합되는 제2 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로지지대와 상기 상부 및 하부 앵글 각각은, "ㄷ"자 및 "ㄱ"자 형태의 형강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a) 세로방향의 외곽틀을 형성하는 복수의 세로지지대와, 상기 세로지지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 어 가로방향의 외곽틀을 형성하는 상부 및 하부 앵글과, 상호 결합된 상기 세로지지대, 상기 상부 및 하부 앵글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틀에 배치되는 철근과, 상기 철근을 상기 세로지지대, 상기 상부 및 하부 앵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하는 철근고정부와, 상기 하부 앵글을 지나치는 상기 철근의 노출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하부 앵글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철근 결속 이동틀을 평면 바닥에서 조립하는 단계; (b) 옹벽이 설치될 현장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거푸집 내에 상기 (a) 단계에서 조립된 철근 결속 이동틀 전체를 그대로 옮겨 배치하는 단계; (d) 상기 거푸집 내에 레미콘을 타설하고 양생하는 단계; 및 (e) 양생 후, 상기 (b) 단계에서 설치된 거푸집을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에서 제작되는 상기 철근 결속 이동틀은, 상기 옹벽의 면적에 대응되는 크기의 일체형으로 한번에 조립되거나, 상기 옹벽의 면적에 대응하도록 다수의 단위 철근 결속 이동틀이 상호 측방향으로 접면 결합되어 한 몸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 이동틀을 통한 옹벽 조립공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f) 상기 거푸집을 해체한 후, 되메우기 작업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 내지 상기 (f) 단계는 상기 옹벽을 형성하는 층마다 연속해서 반복 시공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 이동틀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철 근을 제외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영역에 대한 확대도로서 철근이 배치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 상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철근 결속 이동틀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면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철근 결속 이동틀(10)이라는 것을 이용하여 평면 바닥에서 철근(1,2) 결속의 작업을 마친 후에 이를 필요한 장소로 이동시켜 벽체 등의 옹벽 조립(시공)에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철근 결속 이동틀(10)을 사용할 경우, 종래기술과 같이, 사다리나 비계 등을 이용하여 높은 위치에서 작업하는데 따른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불필요하게 소요되는 인력을 줄일 수 있어 공사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보다 안정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기에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고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필로티 부분 등 층고가 높을수록 생산성 향상에 의한 비용 감축이 크며 층고가 높은 부분에서 특히 안전 문제의 해결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면, 이러한 벽체 등의 옹벽 조립(시공)을 위해, 평면의 바닥 등에서 조립(제조)된 후, 해당 위치로 이동되는 철근 결속 이동틀(10)의 구조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반복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 이동틀(10)은 평면 바닥 등에서 도 1과 같은 상태로 조립된 후, 기중기나 크레인 등에 의해 도 1이 그대로 옮겨져 건물의 벽체 등의 옹벽 시공시 사용된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도 1과 같은 형태로 철근 결속 이동틀(10)을 조립, 제작 하기 위한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세로지지대(12), 상부 앵글(14), 하부 앵글(16), 다리부(18), 다수의 철근(1,2) 및 철근고정부(20) 등의 구성요소가 갖춰진다.
세로지지대(12)는 이동틀(10)에서 세로방향의 외곽틀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호 이격되게 3개가 배치되어도 좋고, 혹은 2개가 마련되어도 좋다.
이러한 세로지지대(12)는 일정한 강성이 있는 금속재질로 선택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한글 "ㄷ"자 형태의 형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ㄷ"자 형태의 형강 외에 다른 것을 세로지지대(12)로서 대체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H 빔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부 및 하부 앵글(14,16)은 각각 상호 이격배치된 세로지지대(12)의 상부 및 하부에서 가로방향의 외곽틀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부 및 하부 앵글(14,16)은 세로지지대(12)와 마찬가지로 강성이 있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 형상 역시, 세로지지대(12)와 동일한 것이 채용되어도 무방하다. 하지만, 작업이 편리해질 수 있도록 상부 앵글(14) 및 하부 앵글(16)은 한글 "ㄱ"자 형태의 형강이 사용된다.
세로지지대(12)에 상부 앵글(14)과 하부 앵글(16)이 결합되고 나면, 세로지지대(12)와 상부 및 하부 앵글(14,16)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으로 철근(1,2)이 배치된다. 철근(1,2)은 상부 및 하부 앵글(14,16)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가로 철근(1a)과 세로지지대(12)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세로 철근(1b) 으로 나뉜다. 가로 및 세로 철근(1a,1b)은 상호 교차되는 지점에서 별도의 철사로 엮어지거나 혹은 용접되어 상호간 고정된다.
다리부(18)는 하부 앵글(16)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다리부(18)는 하부 앵글(16)을 지나서 배치되는 철근(1,2)의 길이, 특히 세로 철근(1b)의 노출 길이에 따라 그 길이가 결정된다.
따라서 다리부(18)는 세로지지대(12)와는 분리된 상태에서 추후에 결합된다. 결합시, 용접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다리부(18) 역시, 세로지지대(12)에 볼트 결합되어도 좋다.
한편, 철근고정부(20)는 세로지지대(12), 상부 및 하부 앵글(14,16)에 의해 사각틀이 완성되고, 사각틀 내에 철근(1,2)이 배치될 경우, 철근(1,2)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철근(1,2)이 전방으로 상호 이격되게 두 층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이러한 철근(1,2)의 배치 관계를 고려하여 철근고정부(20)가 마련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세로지지대(12), 상부 및 하부 앵글(14,16)에 접하게 배치되는 철근을 제1 철근(1)이라 하고, 제1 철근(1)에서 전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철근을 제2 철근(2)이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제1 및 제2 철근(1,2) 모두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가로 및 세로 철근(1a,1b)의 조합으로 형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할 때, 철근고정부(20)는, 상부 및 하부 앵글(14,16)의 전면으로 압착되되 제1 철근(1)을 상부 및 하부 앵글(14,16)의 판면에 압착시켜 상부 및 하부 앵글(14,16)과 함께 제1 철근(1)을 고정하는 제1 압착판(21)과, 제1 압착판(21)의 전방에 위치하되 제2 철근(2)을 고정하는 제2 및 제3 압착판(22,23)과, 제1 압착판(21)과 제2 압착판(22)을 상호 이격시키는 스페이서(24)와, 상부 및 하부 앵글(14,16)에 대해 제1 내지 제3 압착판(21~23)과 스페이서(24)를 상호 일체로 체결하는 체결부재(25)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압착판(21~23) 모두는 일정한 두께의 강판으로 제조되며, 상호간 실질적으로 유사한 면적을 갖는다. 또한 제1 내지 제3 압착판(21~23) 모두는 그 면들이 굴곡되지 않은 평평한 판상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 압착판(21~23)에는 체결부재(25)의 한 요소로서의 볼트(25a)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볼트통과공(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의 볼트통과공(26)은 볼트(25a)가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장공으로 형성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내지 제3 압착판(21~23)에 형성된 볼트통과공(26)들에는 모두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스페이서(24)는 제1 및 제2 압착판(21,22)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스페이서(24)는 제1 및 제2 압착판(21,22) 사이를 상호 이격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철근(1,2)이 상호간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스페이서(24)의 길이에 따라서 제1 및 제2 철근(1,2)의 상호간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이는 시공되는 벽체 등의 옹벽 두께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다.
스페이서(24) 역시, 일정한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내부로 볼트(25a)가 통과할 수 있는 관상체로 형성된다. 물론,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바, 스페이서(24)가 제1 및 제2 압착판(21,22)에 직접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 체결부재(25)는 다른 위치에서 상부 앵글(14)에 대해 제1 내지 제3 압착판(21~23)을 체결하면 된다.
참고로, 상부 및 하부 앵글(14,16)은 세로지지대(12)에 대해 각각 볼트 결합되어도 좋고, 혹은 용접 결합되어도 좋다.
만일, 볼트 결합이 된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25)의 볼트(25a)는 세로지지대(12)의 관통공(12a)과 상부 앵글(14)의 관통공(14a)을 통과한 후에, 제1 압착판(21)의 볼트통과공(26), 스페이서(24), 제2 및 제3 압착판(22,23)의 볼트통과공(26)을 통과한 다음, 최종적으로 너트(25b)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결합방법 역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제1 내지 제3 압착판(21~23), 그리고 스페이서(24) 등은 각각 개별적으로 상부 앵글(14)에 결합되어도 무방한 것이다.
세로지지대(12), 상부 앵글(14), 제1 내지 제3 압착판(21~23), 그리고 스페이서(24)가 체결부재(25)에 의해 조립되어 제1 및 제2 철근(1,2)이 고정된 도 1의 이동틀(10)을 원하는 작업위치로 옮기기 위해, 이동틀(10)에는 이동용 고리부(30)가 더 마련된다.
이동용 고리부(30)를 굳이 이동틀(10)의 하부영역에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동용 고리부(30)는 이동틀(10)의 상부영역에만 마련되면 족하다.
이러한 이동용 고리부(30)는 상부 앵글(14)의 상면에 마련되는 제1 고리 부(31)와, 제3 압착판(23)의 판면에 결합되는 제2 고리부(3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고리부(31,32)를 해당 부분에 미리 용접시켜 둘 경우, 작업이 더욱 편리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갖는 철근 결속 이동틀(10)을 제조(조립)하는 방법에 대해 도 3 및 도 4, 그리고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도 3 및 도 4는 이동틀(10)의 좌상귀 영역을 도시한 도면으로써, 이에는 하부 앵글(16)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하부 앵글(16) 역시, 도 3 및 도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립되므로 하부 앵글(16) 영역의 조립에 대한 도면은 도 2를 참조하는 수준으로 한다.
세로지지대(12), 상부 앵글(14), 제1 및 제2 철근(1,2), 제1 내지 제3 압착판(21~23), 스페이서(24) 및 체결부재(25)가 준비된 상태에서, 세로지지대(12)의 상부에 상부 앵글(14)을 배치한다(S11).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세로지지대(12)의 상부에 상부 앵글(14)을 배치한 후에, 세로지지대(12)와 상부 앵글(14)을 상호 용접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라면, 세로지지대(12)에는 관통공(12a)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세로지지대(12)와 상부 앵글(14)을 조립한 후, 그 사이에 형성되는 사각틀 내에 제1 철근(1)을 배치한다(S12). 그리고는 상부 앵글(14)의 전면으로 제1 압착판(21)을 배치하여 제1 철근(1)을 압착시켜 놓는다(S13).
다음, 제2 및 제3 압착판(22,23) 사이에 제2 철근(2)을 배치한다(S14). 그런 다음, 스페이서(24)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압착판(21,22)이 상호 이격되도록 한 다(S15).
그리고는 체결부재(25)의 볼트(25a)를 세로지지대(12)의 관통공(12a), 상부 앵글(14)의 관통공(14a), 제1 압착판(21)의 볼트통과공(26), 스페이서(24), 제2 및 제3 압착판(22,23)의 볼트통과공(26)으로 통과시킨 다음, 최종적으로 볼트(25a)의 단부에 너트(25b)를 체결한다(S16).
그런 연후에, 하부 앵글(16) 측에 다리부(18)를 고정함으로써(S17), 쉽게 이동틀(10)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작업은 평면의 바닥에서 행해지게 되므로 작업에 위험요소를 상당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과 같은 상태로 이동틀(10)에 대한 제조(조립) 과정이 완료되고 나면, 이를 이용한 벽체 등의 옹벽 조립(시공)이 이루어진다. 옹벽 조립공법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 이동틀을 통한 옹벽 조립공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공법을 이용하여 시공된 일 실시예로서의 옹벽 구조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의 공법을 이용하여 도 7의 옹벽(40) 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도 7의 옹벽(40) 구조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옹벽(40) 구조가 반드시 도 7과 같은 형태를 취할 필요는 없다.
우선,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철근 결속 이동틀(10)을 평면 바닥에서 조립하여(S21), 도 1과 같이 만들어 준비한다. 이 때의 철근 결속 이동틀(10)은 옹벽(40)을 형성하는 층의 개수만큼 준비된다.
다음, 옹벽(40)이 설치될 현장에 거푸집(41)을 설치한다(S22). 거푸집(41)은 레미콘(C, 콘크리트)이 타설될 공간을 형성한다.
물론, 거푸집(41)을 설치하기 전에, 콘크리트 기초(42)를 다지는 작업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콘크리트 기초(42)를 다지기 위해서는, 우선, 터파기라는 작업을 통해 땅을 파서 기초가 들어갈 자리를 만든다. 이 후, 터 파놓은 자리에 자갈 등을 다져서 바닥에 깔고 바닥을 단단하게 해준다. 그리고는, 잡석다짐위에 얇게 콘크리트를 부어 콘크리트 기초(42)를 만든다.
거푸집(41)이 설치되고 나면, 거푸집(41) 내에 하나의 철근 결속 이동틀(10)을 배치한다(S23). 이 때는, 별도의 크레인이나 기중기에 로프를 매달고, 이 로프를 이동틀(10)의 제1 및 제2 고리부(31,32)에 걸어 이동틀(10) 전체를 이동시켜 배치하면 편리하다.
이러한 철근 결속 이동틀(10)은 옹벽(40)에서 인장강도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종래기술과 같은 경우에는 일일이 철근을 엮어서 시공해야 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철근 결속 이동틀(10)이란 것을 그대로 옮기면 되기 때문에 작업이 더욱 편리해진다.
그런 다음, 거푸집(41) 내에 레미콘(C)을 타설한 후(S24), 일정 시간을 방치하여 타설된 레미콘(C)을 양생한다(S25). 일정 시간이 지나,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41)을 해체한다(S26). 그리고는 되메우기 작업을 실시한다(S27). 이에 더하여, 옹벽(40)의 앞부분(40a) 및 뒷부분(40b)을 다지는 작업을 더 실시할 수도 있으며, 배수유공관(45)의 시공도 함께 수반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과정은 옹벽(40)을 형성하는 층마다 연속해서 반복 시공되며, 도 7과 같은 단순한 옹벽(40)이 아닌, 건물 등의 벽체라면, 전기나 하수 시설 등을 위한 설비틀도 함께 시공될 필요가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 바닥에서 철근(1,2) 결속의 작업을 마친 후에 이를 필요한 장소로 이동시켜 벽체 등의 옹벽 시공에 사용함으로써, 사다리나 비계 등을 이용하여 높은 위치에서 작업하는데 따른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불필요하게 소요되는 인력을 줄일 수 있어 공사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보다 안정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기에 벽체 등의 옹벽 시공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고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철근 결속 이동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시공 대상의 벽체의 면적이 도 1에 도시된 하나의 철근 결속 이동틀(10) 면적에 대응된다면, 앞서 기술한 방법대로 하나의 철근 결속 이동틀(10)을 바닥에서 만든 후에, 벽체로 옮기면 된다.
만약에, 시공 대상의 벽체의 면적이 도 1에 도시된 하나의 철근 결속 이동틀(10) 면적보다 크다면, 이러한 벽체의 세로 및 가로 길이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세로지지대(12), 상부 및 하부 앵글(14,16), 철근(1,2), 다리부(18)를 도 1보다 긴 것을 사용하여 도 1의 모양대로 조립하여 하나의 철근 결속 이동틀(미도시)을 만든 후, 이를 사용하면 된다.
하지만, 시공 대상의 벽체 면적이 실질적으로 거대하여 그만한 크기의 철근 결속 이동틀 하나를 일체형으로 만들기가 다소 곤란하거나 아니면, 효율을 고려하여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만들어진 동일 크기의 단위 철근 결속 이동틀(110a~110d)을 사용하려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을 쓰면 된다.
예컨대, 도 8a와 같이, 시공 대상의 벽체 면적이 대략 2개의 단위 철근 결속 이동틀(110a,110b)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다면, 우선 2개의 단위 철근 결속 이동틀(110a,110b)을 전술한 방법대로 바닥에서 조립한 후, 이 2개의 단위 철근 결속 이동틀(110a,110b)을 측방향으로 접면해 놓는다. 그리고는 상호 접촉되는 부분끼리 상호 결합시켜 2개의 단위 철근 결속 이동틀(110a,110b)이 마치 한 몸체와 같이 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이러한 경우, 상호 접촉되는 부분끼리는 상호 용접되거나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즉, 상호 접촉되는 세로지지대(112a,112b) 끼리, 상호 접촉되는 상부 및 하부 앵글(114a,114b,116a,116b) 끼리 용접하거나 혹은 볼트 결합시킴으로써 이들이 도 8a와 같이, 상호 결합되어 한 몸체를 형성하도록 하면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한번에 해당 벽체로 옮기면 된다.
만약, 도 8b와 같이, 시공 대상의 벽체 면적이 대략 4개의 단위 철근 결속 이동틀(110a~110d)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다면, 2개의 단위 철근 결속 이동틀(110a,110b)은 위의 방법대로 결합시키고, 나머지 2개의 단위 철근 결속 이동틀(110c,110d)은 위의 단위 철근 결속 이동틀(110a,110b)의 하부에 접면시킨 후, 역시 상호 접촉되는 부분끼리, 즉 세로지지대(112c,112d) 끼리, 상호 접촉되는 상부 및 하부 앵글(114c,114d,116c,116d) 끼리, 그리고 다리부(118a,118b)의 하단과 상부 앵글(116c,116d)의 상면 간을 상호 용접하거나 볼트 결합시킴으로써 4개의 단위 철근 결속 이동틀(110a~110d)이 한 몸체를 형성하도록 하면 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평면 바닥에서 철근 결속의 작업을 마친 후에 이를 필요한 장소로 이동시켜 벽체 등의 옹벽 조립(시공)에 사용함으로써, 사다리나 비계 등을 이용하여 높은 위치에서 작업하는데 따른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불필요하게 소요되는 인력을 줄일 수 있어 공사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보다 안정적으로 벽체 등의 옹벽 시공 작업을 할 수 있기에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고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철근의 복배근을 완료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어 고소작업이 전혀 필요치 않는 효율성을 가지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평면 바닥에서 조립된 후에 시공 대상의 벽체 등으로 일체로 이송되는 것으로서,
    세로방향의 외곽틀을 형성하는 복수의 세로지지대;
    상기 세로지지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가로방향의 외곽틀을 형성하는 상부 및 하부 앵글;
    상호 결합된 상기 세로지지대, 상기 상부 및 하부 앵글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틀에 배치되는 철근; 및
    상기 철근을 상기 세로지지대, 상기 상부 및 하부 앵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하는 철근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세로지지대, 상기 상부 및 하부 앵글, 상기 철근은 상기 벽체 등의 세로 및 가로 길이에 대응되는 크기의 일체형으로 선택되어 상호 조립됨으로써 상기 벽체 등의 면적으로 한번에 제작되거나, 각각이 단위 길이로 제작되어 상호 접촉되는 부분끼리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벽체 등의 면적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 이동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앵글을 지나치는 상기 철근의 노출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하부 앵글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세로지지대, 상기 상부 및 하부 앵글, 상기 철근 각각이 단위 길이로 제작될 경우, 상기 다리부는 인접한 단위 철근 결속 이동틀의 상부 앵글과 상호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 이동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은,
    상기 세로지지대, 상기 상부 및 하부 앵글에 접하게 배치되는 제1 철근; 및
    상기 제1 철근에서 전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 철근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철근은 상기 철근고정부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철근고정부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앵글의 전면으로 압착되되 상기 제1 철근을 상기 상부 및 하부 앵글의 판면에 압착시켜 상기 상부 및 하부 앵글과 함께 상기 제1 철근을 고정하는 제1 압착판;
    상기 제1 압착판의 전방에 위치하되, 상기 제2 철근을 고정하는 제2 및 제3 압착판;
    상기 제1 압착판과 상기 제2 압착판을 상호 이격시키는 스페이서;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앵글에 대해 상기 제1 내지 제3 압착판과 상기 스페이서를 상호 일체로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 이동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는 상기 세로지지대, 상기 상부 및 하부 앵글, 상기 제1 압착판, 상기 스페이서, 상기 제2 및 제3 압착판을 통과한 후, 상기 너트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압착판에는 상기 볼트가 통과하는, 일측이 개방된 장공 형태의 볼트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 이동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지지대, 상기 상부 및 하부 앵글, 상기 제1 내지 제3 압착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이동용 고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용 고리부는,
    상기 상부 앵글의 상면에 마련되는 제1 고리부; 및
    상기 제3 압착판의 판면에 결합되는 제2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 이동틀.
  6. (a) 세로방향의 외곽틀을 형성하는 복수의 세로지지대와, 상기 세로지지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가로방향의 외곽틀을 형성하는 상부 및 하부 앵글과, 상호 결합된 상기 세로지지대, 상기 상부 및 하부 앵글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틀에 배치되는 철근과, 상기 철근을 상기 세로지지대, 상기 상부 및 하부 앵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하는 철근고정부와, 상기 하부 앵글을 지나치는 상기 철근 의 노출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하부 앵글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철근 결속 이동틀을 평면 바닥에서 조립하는 단계;
    (b) 옹벽이 설치될 현장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거푸집 내에 상기 (a) 단계에서 조립된 철근 결속 이동틀 전체를 그대로 옮겨 배치하는 단계;
    (d) 상기 거푸집 내에 레미콘을 타설하고 양생하는 단계; 및
    (e) 양생 후, 상기 (b) 단계에서 설치된 거푸집을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에서 제작되는 상기 철근 결속 이동틀은, 상기 옹벽의 면적에 대응되는 크기의 일체형으로 한번에 조립되거나, 상기 옹벽의 면적에 대응하도록 다수의 단위 철근 결속 이동틀이 상호 측방향으로 접면 결합되어 한 몸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 이동틀을 통한 옹벽 조립공법.
  7. 제6항에 있어서,
    (f) 상기 거푸집을 해체한 후, 되메우기 작업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 이동틀을 통한 옹벽 조립공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내지 상기 (f) 단계는 상기 옹벽을 형성하는 층마다 연속해서 반복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 이동틀을 통한 옹벽 조립공법.
KR1020070029082A 2006-08-23 2007-03-26 철근 결속 이동틀 및 이를 통한 옹벽 조립공법 KR1008090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918 2006-08-23
KR20060079918 2006-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085A KR20080018085A (ko) 2008-02-27
KR100809048B1 true KR100809048B1 (ko) 2008-03-03

Family

ID=39385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082A KR100809048B1 (ko) 2006-08-23 2007-03-26 철근 결속 이동틀 및 이를 통한 옹벽 조립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90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8018A (ko) * 1995-04-20 1996-11-19 김춘동 거푸집 판넬 조립체
KR20020014432A (ko) * 2000-08-18 2002-02-25 신훈 경사면 콘크리트 타설공법
KR20040076516A (ko) * 2003-02-26 2004-09-01 전대우 거푸집-철근 일체형 피씨패널 및 그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8018A (ko) * 1995-04-20 1996-11-19 김춘동 거푸집 판넬 조립체
KR20020014432A (ko) * 2000-08-18 2002-02-25 신훈 경사면 콘크리트 타설공법
KR20040076516A (ko) * 2003-02-26 2004-09-01 전대우 거푸집-철근 일체형 피씨패널 및 그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085A (ko) 200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847B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JP4094043B2 (ja) プレストレスト仮設構造物
KR100969586B1 (ko) 기초 및 벽체의 크기가 최소화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JP4528042B2 (ja) 箱桁橋の架設工法
KR100946940B1 (ko) 강관 기둥과 철근콘크리트 플랫슬래브 간의 전단보강 접합구조
JP2011511190A (ja) プレキャスト仮設構造体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110067961A (ko) 철근 선조립기둥의 상호 이음방법
KR101749959B1 (ko) 조립식 아치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60079458A (ko) 복합 교각 연결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16546B1 (ko) 지중 가시설 및 이 시공방법
KR200381303Y1 (ko) 흙막이벽과 슬래브간의 연결부를 위한 거푸집 구조체
KR20150075437A (ko) 내진 보강형 증축 리모델링 모듈러유닛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
KR101998822B1 (ko) 합성형 라멘교, 합성형 라멘교용 강거더 및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 방법
KR101216126B1 (ko) 축방향 및 종방향 연결철근을 이용한 아치 구조물 시공방법
KR102269141B1 (ko) 지하 흙막이 가시설을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합벽 설치공법
KR20010005431A (ko) 강콘크리트 구조시스템
KR200422887Y1 (ko) 무지보 보 거푸집 시공을 위한 트러스 구조물
KR200385376Y1 (ko) 지하층의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
KR101136895B1 (ko) 아치형 띠장 구조체
JP2005188102A (ja) 建物の構造および施工方法
KR100809048B1 (ko) 철근 결속 이동틀 및 이를 통한 옹벽 조립공법
KR100991750B1 (ko) 토류벽콘크리트용 트러스패널
US7144200B2 (en) Innovative prestressed scaffolding system
JP5750246B2 (ja) 合成梁、建築物、及び合成梁の施工方法
KR200370135Y1 (ko)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