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001B1 - Earth reinforcement method based on the control for settlement of the concrete pavement comprising reinforced concrete slab - Google Patents

Earth reinforcement method based on the control for settlement of the concrete pavement comprising reinforced concrete slab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001B1
KR100809001B1 KR1020060113193A KR20060113193A KR100809001B1 KR 100809001 B1 KR100809001 B1 KR 100809001B1 KR 1020060113193 A KR1020060113193 A KR 1020060113193A KR 20060113193 A KR20060113193 A KR 20060113193A KR 100809001 B1 KR100809001 B1 KR 100809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reinforcing
concrete
grouting material
reinforced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1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규동
Original Assignee
임규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규동 filed Critical 임규동
Priority to KR1020060113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900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0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0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aising or levelling sunken paving; for filling voids under paving; for introducing material into sub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1Devices or auxiliary means for setting-out or checking the configuration of new surfacing, e.g. templates, screed or reference line supports; Applications of apparatus for measu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surface configuration of existing surfacing, e.g. profilograph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cement or like binders
    • E01C7/14Concrete paving
    • E01C7/147Repairing concrete pavings, e.g. joining cracked road sections by dowels, applying a new concrete covering

Abstract

A ground reinforcement method for controlling the settlement of a concrete paved road having a reinforced concrete slab is provided to reduce the lowering of ride comfort or the risk of an accident by controlling the relative differential settlement around an uneven roadbed and reinforcing the surrounding ground with grouting materials, thereby preventing the excessive differential settlement, crack and fracture of a pavement concrete layer and a lean concrete layer on an uneven roadbed. A ground reinforcement method for controlling the settlement of a concrete paved road having a reinforced concrete slab comprises the steps of laying horizontal and vertical grouting material injection pipes(100) in the lower part of a reinforced concrete slab(90) supporting a pavement concrete layer and a lean concrete layer of a bank whose ground bearing capacity having low ground bearing capacity, and injecting grouting materials through the grouting material injection pipes if the relative settlement of the bank having low ground bearing capacity against a cut slope having high ground bearing capacity exceeds the normal value.

Description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구비한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침하량 제어 기반의 지반 보강 방법{Earth Reinforcement Method based on the Control for Settlement of the Concrete Pavement comprising Reinforced Concrete Slab}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ed concrete slab,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단면도.Figures 1a and 1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concrete paveme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a는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절성경계부에서의 침하 발생 패턴도.FIG. 2A is a pattern diagram showing settlement occurrence on a concrete pavement of a concrete pavement. FIG.

도 2b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구비한 절성경계부의 콘크리트 포장 도로 단면도.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crete pavement of a folding step with a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도 2c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절성경계부에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설치하고 그 하부에 그라우팅재 주입관을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FIG. 2C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is installed on a folding-type scaffol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grouting material injection pipe is disposed on a lower portion of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도 2d 및 도 2e는 그라우팅재 주입관이 배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Fig. 2d and Fig. 2e are plan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grouting re-injection tube is arranged. Fig.

도 2f 내지 도 2h는 절성경계면이 경사진 경우에 설치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설치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FIGS. 2f to 2h are plan views showing an installation form of a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installed when the cut facet is inclined. FIG.

도 2i는 절성경계면이 경사진 경우에 설치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 하부에 보강재의 그라우팅재 주입관이 경사져 설치되는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FIG. 2I is a plan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a grouting reinforcement pipe of a reinforcing material is sloped below a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installed when a cut-off interface is inclined. FIG.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이 구현된 절성경계부의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횡단면도로서 도 2i의 A-A선 단면도.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crete pavement of a folding step with a ground reinforce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2I.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이 구현된 절성경계부의 콘 크리트 포장 도로의 종단면도로서 도 2i의 B-B선 단면도.FIG. 3B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oncrete pavement of a folding step of a folding step with a ground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B-B of FIG. 2I.

도 3c는 도 3b에 도시된 종방향 그라우팅 주입관의 상세도.Figure 3c is a detailed view of the longitudinal grouting injection tube shown in Figure 3b.

도 3d는 도 3a에 도시된 횡방향 그라우팅 주입관의 상세도.Figure 3d is a detailed view of the lateral grouting injection tube shown in Figure 3a.

도 3e는 그라우팅 주입관의 작동 상태도.Figure 3e also shows the operating state of the grouting injection tube.

도 4a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이 구현된 박스 또는 지중라멘 구간의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종단면도로서 횡방향 그라우팅 주입관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FIG. 4A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crete pavement in a box or underground ramen section in which a ground reinforcement is implemente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horizontal grouting injection pipe is arranged. FIG.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이 구현된 박스 또는 지중라멘 구간의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그라우팅 주입관 배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FIG. 4B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routing injection pipe is arranged on a concrete pavement in a box or underground ramen section in which a ground reinforcement is implemente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4c는 도 4b의 A-A선 단면도.4C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4B. Fig.

도 4d는 도 4b의 B-B선 단면도.FIG. 4D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4B. FIG.

도 5a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이 구현된 교량과 토공 구간의 접속부의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그라우팅 주입관 배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FIG. 5A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routing pipe is installed on a concrete pavement of a bridge having a ground reinforcem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ridge portion. FIG.

도 5b는 도 5b의 A-A선 단면도.5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도 5c는 도 5b의 B-B선 단면도.5C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5B. Fig.

도 5d는 도 5b의 C-C선 단면도.5D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5B.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SYMBOLS

10 : 절토부 20 : 성토부10: Cutting section 20:

30 : 절성경계면 40 : 보조기층30: Bible interface 40: Supporting layer

50 : 린 콘크리트층 60 : 포장 콘크리트층50: lean concrete layer 60: pavement concrete layer

90 :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 100 : 그라우팅재 주입관90: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100: grouting reinforcement pipe

100h :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 100v : 종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100h: transverse grouting re-injection tube 100v: longitudinal grouting re-injection tube

200 : 박스 구조물 300 : 교량200: box structure 300: bridge

320 : 교량 접속 슬래브320: Bridge connection slab

본 발명은 콘크리트 포장을 채택한 도로의 절토부와 성토부의 경계를 이루는 절성경계부 등과 같이 부등침하의 문제를 야기하는 불균일성 노반에서의 포장 콘크리트층 및 린 콘크리트층(Lean Concrete Layer)의 과도한 부등 침하와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슬래브를 설치하는 경우에 침하량의 지속적인 제어 방법을 구축하고 그리하여 보강 슬래브의 적정한 규격을 제시하기 위한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구비한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침하량 제어 기반의 지반 보강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crete pavement comprising a pavement concrete layer and a lean concrete layer in a nonuniform roadbed causing a problem of unequal settlement, such as a stepped boundary between a cut- A ground reinforcement method based on settlement control of a concrete pavement with a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for constructing a continuous control method of settlement amount in case of installing a reinforcing slab to prevent breakage and thus presenting an appropriate standard of the reinforcing slab will be.

일반적으로 경사 지형에서 고속도로와 도로를 건설하는 경우에 도로가 설치되는 기준 레벨 보다 높은 지점의 지반은 절토하고 기준 레벨 보다 낮은 지점의 지반은 성토하여 수평적인 레벨을 맞추게 되는데, 절토부의 지반은 자연 상태에서 이미 오랜 기간 동안 압밀이 진행되어서 충분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어서 도로 건설 및 공용 후에도 침하가 발생하는 정도가 크지 않는 반면에, 이와 반대로 성토부 지반의 경우에는 인공 다짐된 지반으로서 성토된 토양의 종류나 상태, 다짐 정도 및 다짐 기간에 따라 지지력의 차이가 크고 또한 그 침하의 정도가 절토부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편이다.Generally, in the case of constructing highways and roads in sloped terrain, the ground at a point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at which the road is installed is cut, and the ground at a point lower than the reference level is set to a horizontal level so that the ground level of the cut- , The consolidation has already been carried out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sufficient support force can be exerted, so that the settlement does not occur even after road construction and public use.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the underfloor ground, The difference of the bearing capacity is large according to the state, the compaction degree and the compaction period, and the degree of the settlement is relatively large as compared with the cut part.

첨부된 도면 도 1a과 같이 지반 위에 형성되는 보조기층(4)과 그 위의 린 콘크리트층(5)의 상부에 포장 콘크리트층(6)이 설치되는 도로의 경우에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토부(1)와 성토부(2)의 경계면, 즉 절성경계면(3) 주위의 양 지반은 그 지지력의 차이가 크기에 부등 침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부등 침하가 발생하게 되면 포장 콘크리트층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 등의 하중에 의해 파손되어 균열의 발생을 야기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이러한 균열로 우수가 침입하여 지반 및 콘크리트 포장층의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또한 콘크리트 포장층(6)에 균열로 인한 단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도로 위를 달리는 차량에 충격을 주어서 승객의 승차감을 저하시키고 나아가 안전에 위협이 되기도 한다.In the case of a road in which a packing concrete layer 6 is provided on an auxiliary concrete layer 4 formed on a ground and a lean concrete layer 5 thereon as shown in FIG. 1A, The uneven settlement occurs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portion 1 and the embankment 2, that is, between the two grounds around the folding boundary 3, The concrete pavement layer 6 may be damaged due to the load of the vehicle or the like passing through the road to cause the occurrence of cracks and also the durability of the ground and concrete pavement layer may be lowered due to intrusion of the cracks, When a step due to cracks occurs, a shock is applied to a vehicle running on the road, thereby reducing the riding comfort of the passenger and further posing a safety hazard.

이러한 부등 침하의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는 성토부를 형성할 때 양호한 성토 재료의 선정에 각별히 유의하고 충분한 다짐 작업을 수행하고 가능한 초기 침하가 완료되어 성토부의 지반이 안정화된 이후에 콘크리트 포장층을 설치하는 공정에 착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와 같이 시공 관리에 만전을 기한다고 하더라도 절토부와 성토부의 노반 지지력을 사실상 동일하게 유지할 수는 없음을 고려할 때 부등 침하의 문제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는 없기에, 예컨대 도로 콘크리트 포장 공법과 관련하여서는 공개특허공보 특2000-0012376호(2000. 03. 06. 공개)에서 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절성경계면에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를 설치하는 보강 공법을 제시하고 있다.In order to avoid the problem of uneven settlement, it is necessary to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selection of good embankment materials when forming the embankment, to perform sufficient compaction work, to set the concrete pavement layer after stabilization of the ground in the embankment is completed, Is started. However, even if the construction management is performed in this way, it is impossible to completely eliminate the problem of the unequal settlement considering that the support force of the slope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can not be substantially maintained. For example,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0012376 (published on Mar. 06, 2000), a reinforcement method of installing a reinforced concrete slab at the intersection of a folding and curved surface is proposed.

그러나, 이와 같은 위 공개공보를 통하여 제시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절성경계부에 배치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길이에 대하여 절토부 방향으로 연이어진 길이는 6m 그리고 반대로 성토부 방향으로 연이어진 길이는 12m로 한정하여 총 18m 길이의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설치하는 방안이 제시되었으며, 이러한 방안을 일부 수정하여 반영한 한국도로공사의 절성경계부 보강 슬래브 설계 기준에 따르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토부 방향으로 연이어진 길이는 5m 그리고 반대로 성토부 방향으로 연이어진 길이는 15m로 한정하여 총 20m 길이의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설치하는 것을 표준으로 삼고 있을 뿐이고, 성토부의 성토고의 차이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길이에 대한 기준을 전혀 제시하고 있지 못하고서 일률적인 길이만을 제시하고 있는데 성토고가 높아서 부등 침하량이 크며 그 영향 거리가 큰 경우에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길이가 필요한 값에 미치지 못하고, 이와 반대로 성토고가 높지 않아서 부등 침하량이 크지 않으며 또한 그 영향 거리도 짧은 경우에는 오히려 과도한 보강을 실시한 것에 지나지 않아서 설계의 합리성을 결하게 되는 문제점을 도출하였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chnique disclosed in the above publication, the length of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disposed in the cut-off step is 6 m, and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concrete slab in the direction of the embankment is limited to 12 m And a reinforcing concrete slab having a total length of 18 m has been proposed. According to the design standard of the reinforced concrete slab of Korea Highway Corporation, which reflects some modifications of such a method, The length of the reinforced concrete slab is 5m and the length of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is limited to 15m and the total length of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is 20m. I do not have any standards at all, The length of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is not enough to meet the required value when the settlement height is high and the settlement is large and the effect distance is large. On the contrary, if the settlement height is not high, But rather the excessive reinforcement, which led to the problem of design rationality.

아울러서, 절토부에서의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 연장 길이도 아무런 기술적 근거도 없이 5m(또는 6m)의 길이로 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과도한 보강을 실시하여 철근과 콘크리트가 과도하게 사용되는 문제점을 나타내었다.In addition, the extension length of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ed slab at the cut - off site was determined to be 5 m (or 6 m) without any technical reason, resulting in excessive reinforcement, which resulted in excessive use of reinforced concrete and concrete.

이와 같이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절성경계부 등과 같이 지반 지지력이 불균일한 영역에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와 같은 보강재를 도입한다고 하더라도 장기적으로 침하가 진행됨에 따라 불균일 영역의 경계부에 설치된 보강 슬래브의 저면에 공 극이 발생할 우려가 높은데 그러한 공극은 보강 슬래브 자체의 내구성이나 안전에 또 다른 위험 요소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Even if a reinforcing material such as a reinforced concrete slab is introduced into a region where the ground supporting force is uneven, such as a folding step of a concrete pavement, a porosity is generated at the bottom of the reinforcing slab installed at the boundary of the non- There is a problem that such a gap acts as another risk factor to the durability and safety of the reinforcing slab itself.

지금까지 절성경계부를 중심으로 콘크리트 포장이 적용된 도로의 부등 침하 로 야기되는 문제점 및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한계를 언급하였으나, 콘크리트 포장 도로 하부에 박스 또는 지중라멘 구조물이 횡단하는 경우, 그리고 토공과 교량의 접속부 등의 경우에도 지반 지지력의 편차를 나타내는 불균일 지점에서 발생하는 부등 침하로 인하여 콘크리트 포장 도로를 구성하는 포장 콘크리트층 및 린 콘크리트층에 균열이나 과도한 침하가 발생할 수 있는 동일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그 해결 방안에 대하여서도 동일한 수준의 기술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In the past, the problems of the uneven settlement of the concrete pavement centered on the Biblical steps and the limitations of the prior art for solving the problems have been mentioned. However, when a box or a ground raymen structure is crossed under the concrete pavement, And bridges have the same problems that cracks or excessive settlement can occur in the pavement concrete layer and the lean concrete layer constituting the concrete pavement due to the uneven settlement occurring at the uneven point indicating the deviation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Also, it can be said that the solution has the same technical limit.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포장을 적용한 도로의 절성경계부 등과 같이 지반 지지력의 불균일성을 나타내는 경계부를 기준으로 그 주위에서 일정 값 이상의 부등 침하가 발생하는 경우에 사후에도 그 침하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이를 보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콘크리트 포장의 과잉 침하, 균열, 파괴 및 이로 인하여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승차감 저하 또는 사고 발생 가능성을 축소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삼고 있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the settlement amount of a road when applying a concrete pave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ans for reinforcing it so as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excessive settlement, cracking, destruction of the concrete pavement, .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포장을 적용한 도로의 절성경계부 등과 같이 지반 지지력의 불균일성을 나타내는 경계부 주위에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설치하 는 경우에, 경계부를 기준으로 지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연약한 지반의 계속적인 침하가 발생하더라도 이와 같은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저면을 보다 충실히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와 하부 지반이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파손이나 하부 지반의 훼손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높은 안전도를 확보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삼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reinforced concrete reinforced concrete slab which is installed around a boundary portion indicating a nonuniformity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ch as a cut-to-length portion of a road to which a concrete pavement is applied, Even if the settlement occurs, it is possible to more firmly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thereby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and the lower ground,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and damage to the lower ground. And to provide a means for ensuring that the user is in a safe place.

특히, 본 발명은 지반 지지력의 불균일성을 나타내는 경계부를 기준으로 지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영역의 포장 콘크리트층 및 린 콘크리트층을 지지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하부에 그라우팅재 주입관을 사전에 매설하되 지반의 침하가 진행됨에 따라서 그 침하량을 계측하여 침하량이 규정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추후 그라우팅의 재주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routing reinforcement pipe is embedded in the lower part of a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supporting a pavement concrete layer and a lean concrete layer in a region where the ground supporting force is relatively weak, based on a boundary showing the non- The grouting amount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settlement of the grouting, and when the settling amount exceeds the specified value, the grouting can be re-injected at a later time.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포장을 적용한 도로의 절성경계부에서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설치하는 경우에 절토부의 연장 길이를 가능한 최소화하는 설계 기준을 제시하며, 아울러 성토고의 높이에 따라서 결정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적절한 성토부 연장 길이를 제공함으로써 설계의 안정성과 합리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design standard that minimizes the extension length of the cut-out portion when installing a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in a folded-step portion of a road where concrete pavement is applied, and also provides a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To ensure the stability and rationality of the design.

본 발명은 콘크리트 포장이 적용된 도로에서 지반 지지력의 불균일성을 나타내는 경계부 주위에 적용되는 지반 보강 방법에 있어서, 지반 지지력의 불균일성을 나타내는 경계부를 기준으로 지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강한 영역과 상대적으로 약한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걸쳐서 콘크리트 포장체의 내부 또는 하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설치하되, 지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강한 영역에 대한 지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영역의 상대 침하량을 계측하여 상대 침하량이 규정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하부에 그라우팅재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지지하며 주위 지반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그라우팅재 주입관을 상기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하부에 사전에 매설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구비한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침하량 제어 기반의 지반 보강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 reinforcement method applied around a boundary showing a nonuniformity of a ground supporting force on a road to which a concrete pavement is applied, in which a ground supporting force is relatively strong and a relatively weak area is included based on a boundary showing unevenness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A relative reinforcing slab extending along the inside or the lower portion of the concrete pavement is provided over the area where the relative strength of the ground is relatively high and the relative settlement of the region where the ground supporting force is relatively weak is measured, The grouting material injection pipe is pre-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in order to support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by injecting a grouting material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Steps to provide a controlled subsidence of the ground-based reinforcing method of a concrete pavement comprising a reinforced concrete slab,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ement made, which comprises a.

본 발명은 보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관은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으로서 상기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철근에 현가되어 고정되도록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 방법을 제공하며, 나아가 상기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상행선과 하행선 사이의 중심부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서 상기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하부 또는 동상방지층에까지 연장되는 종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을 추가적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구비한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침하량 제어 기반의 지반 보강 방법을 제공하기도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ting reinforcement pipe is installed as a transverse grouting material injection pipe by using a fixing means so as to be suspended on the reinforcing bars of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Further comprising a longitudinal grouting material injection pipe exten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or an in-phase preventing lay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a central portion between an upper line and a lower line of the concrete pave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ound reinforcement method based on settlement control of a concrete pavement.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고속도로 등의 각종 도로에 콘크리트 포장을 적용하는 경우와 관련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포장이 적용된 도로의 경우에 있어서 토 공 구간의 취약부, 예컨대 절토부와 성토부의 경계면(절성경계면), 성토 구간 내부의 BOX 또는 지중라멘 통과 구간, 및 교량과 토공 구간의 접속부 등에서 나타나는 과도한 부등 침하로 인한 안전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where a concrete pavement is applied to various roads such as a highway, and in the case of a road to which concrete pavement is applied, a weak portion of the pavement section, , The BOX inside the embankment section or the underground ramen passage section, and the bridge and the bridge section.

예시적으로 절성경계부의 보강과 관련하여 성토 구간을 형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공법을 먼저 살펴보면, 성토 구간의 성토고에 맞추어서 필요한 양의 적절한 토양을 성토한 후에 인공 다짐을 수행하고 또한 일정 기간(약 6개월) 이상 자연 상태로 방치함으로써 1차 침하가 발생하도록 한 다음에 절성경계부를 포함한 전 영역에 걸쳐서 콘크리트 포장을 시공 설치하게 되는데. NAVFAC DM 7.1('82.5)에서 제안한 다음의 수학식 1에 따르면 이와 같이 시공된 콘크리트 도상 하부의 성토부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라 다음의 표 1과 같은 침하량(h)이 발생할 정도로 2차 압축 침하가 진행된다고 알려져 있다.As an example, the basic method for forming the embankment section in relation to the reinforcement of the Biblical step is to first take the necessary amount of suitable soil in accordance with the embankment of the embankment section and then to perform the artificial compaction, ) To allow the first settling to occur, and then concrete pavement is installed over the entire area including the section of the cutter.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1) proposed by NAVFAC DM 7.1 ('82 .5), the secondary compression settlement progresses to such an extent that the settlement amount (h) .

h = αx Hh =? x H

단, 여기에서 H는 성토고(절성경계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20m 이격된 위치의 성토고를 기준으로 함)이고, 그리고 Where H is the sea level (relative to the sea level at 20 m transversely spaced from the Biblical interface), and

α는 침하 계수로서 3년의 단기 침하량 계산의 경우에는 0.15%, 15년~20년의 장기 침하량 계산의 경우에는 0.45%가 적용됨.α is a settlement factor of 0.15% for 3-year short-term settlement calculations and 0.45% for 15-year to 20-year long-term settlement calculations.

성토고(m)Clay soil (m) 22 44 66 88 1010 1212 1414 1616 1818 2020 2222 2424 2525 침하량 3년 (cm) Settlement 3 years (cm) 0.2 0.2 0.6 0.6 0.9 0.9 1.2 1.2 1.5 1.5 1.8 1.8 2.1 2.1 2.4 2.4 2.7 2.7 3.0 3.0 3.3 3.3 3.6 3.6 3.8 3.8 침하량 15~20년 (cm) Settlement 15-20 years (cm) 0.9 0.9 1.8 1.8 2.7 2.7 3.6 3.6 4.5 4.5 5.4 5.4 6.3 6.3 7.2 7.2 8.1 8.1 9.0 9.0 9.9 9.9 10.8 10.8 11.9 11.9

이러한 현상을 고려할 때, 본 발명에서는 절성경계면의 보강 방법으로서, 성토부의 성토고에 따라 성토부에 설치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 길이를 다음의 식에 따라 선정되는 길이 만큼 계속 연장설치하는 방안을 제공하며, Considering such a phenomen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tinuously extending the length of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installed in the clayey part according to the embankment of the embankment so as to satisfy the following formula ,

L = h / tanθL = h / tan?

단, 여기에서 h는 성토고(H)에 따른 침하량이고, θ는 허용침하각으로서 침하 길이가 6m 연장될 때 허용되는 침하량 3.6cm를 고려하여 산정되는 값, tanθ = (3.6/600) = 0.006 이 적용된다. (도 2b 참조)Where θ is the permissible sinking angle and tan θ = (3.6 / 600) = 0.006, which is calculat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allowable sinking amount of 3.6 cm when the sinking length is extended by 6 m. . (See FIG. 2B)

위의 수학식 2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성토부 연장 길이를 성토고에 따라 산정한 표는 다음과 같다. The length of the embankment of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according to Equation (2)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embankment height.

성토고(m)Clay soil (m) 55 66 88 1010 1212 1414 1616 1818 2020 2121 2222 2323 2424 2525 보강재의 성토부 길이(m)Length of fillet of reinforcing material (m) 3. 75 3.75 4. 5 4.5 6. 00 6.00 7. 50 7. 50 9. 00 9.00 10. 50 10.50 12. 00 12. 00 13. 50 13. 50 15. 00 15. 00 15. 75 15.75 16. 50 16. 50 17. 25 17. 25 18. 00 18. 00 18. 75 18.75

한편, 절토부의 경우에는 성토부의 높이와 상관없이 집중하중 재하시의 변형특성과 응력특성의 영향 범위가 4 ~ 5m로 일정하여 그 범위로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길이를 한정하는 것이 종래 기술에서는 보편적인 방법이나,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절토부(10)에서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가 설치되는 경계부(30) 양측의 변위량('S1 및 'S2')의 정량적인 크기를 분석하여 그 분석 결과로부터 절토부(10)의 변위량(도면부호 'S1'으로 도시)의 크기가 대체로 3mm 정도에 불과하여 허용 침하량이 되는 3.6cm와 비교할 때 결국 이와 같은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의 설치 길이는 과잉 설계에 해당하고 오히려 보강 슬래브 자체 중량에 따른 영향이 발생함을 파악함으로써 절토부(10)에 설치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의 길이(L2)를 1m ~ 3m의 범위, 그 중에서도 예컨대 2m의 길이로 특정하여 경제적인 관점 등에서 더욱 바람직한 설치 범위를 특정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절토부(10)에 설치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의 길이(L2)를 1m 이상으로 한 것은 절성경계면이 직선이 아니고 일부 곡선 구간을 가지는 경우에도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의 단부가 절토부 상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3m 이하로 한정한 것은 이를 초과하는 범위에서는 과잉 설계의 문제점이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ut-off portion, the range of influence of the deformation characteristic and the stress characteristic at the concentrated load is constant at 4 to 5 m irrespective of the height of the embankment, and the limitation of the length of the reinforced concrete- 2A, the quantitative size of the displacement amounts 'S1' and 'S2' on both sides of the boundary 30 where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is installed in the cut slab 10 is analyzed The size of the displacement amount (indicated by reference symbol 'S1') of the cut-out portion 10 is only about 3 mm from the analysis result and it is compared with 3.6 cm which is the allowable settlement amount. The length L2 of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installed on the cut-out portion 10 is set to 1 (1) by grasping that the installation length corresponds to an excess design and rather an effect is caused by the own weight of the reinforcing slab m to 3 m, and in particular, a length of 2 m, for example, to specify a more preferable installation range from the viewpoint of economy. When the length L2 of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installed in the cut-off portion 10 is set to 1 m or more,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has a length L2 of not more than a straight line, To provide stability that the end portion can be seated on the cut-out portion, and furthermore, considering that the limit is limited to 3 m or less, there is a problem of over designing in the range exceeding this limit.

이를 정리하여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콘크리트 포장이 적용된 도로에서 지반 지지력의 불균일성을 나타내는 절성경계부 주위의 지반을 보강하는 방법으로서, 지반 지지력의 불균일성을 나타내는 절토부와 성토부의 절성경계부 주위에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절토부에 설치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설치 길이는 1m 내지 3m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길이, 바람직하기로는 2m로 한정하고, 그리고 상기 성토부에 설치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설치 길이는 성토부의 성토고에 따라 추산되는 장기 침하량에 비례하여 설정되는 길이 만큼 연장 설치하고, 그리고 지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강한 영역에 대한 지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영역의 상대 침하량을 계측하여 상대 침하량이 규정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하부에 그라우팅재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지지하며 주위 지반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그라우팅재 주입관을 상기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하부에 사전에 매설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구비한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침하량 제어 기반의 지반 보강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reinforcing a ground around a cut-off step, which indicates unevenness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on a road to which concrete pavement is applied,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installed in the cut-off portion is limited to a length selected from the range of 1 m to 3 m, preferably 2 m, and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installed in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The installation length of the concrete reinforced slab is extended by a length set in proportion to the long-term settlement estimated according to the embankment of the embankment, and the relative settlement of the region where the supporting capacity of the ground is relatively weak is measured If the relative settlement exceeds the specified value And a step of embedding a grouting material injection pipe in a lower portion of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in order to support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by injecting a grouting material into a low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ound reinforcement method based on settlement control of a concrete pavement provided with a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 도 2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through 5D.

먼저, 절성경계부와 관련하여 절토부(10)의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의 길이에 대하여 도 2a를 참조하여 살펴본다면, 절토부(10) 구간 중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가 위치하는 곳의 침하량과 그러하지 않은 곳의 침하량을 비교하여 보면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가 위치하는 곳의 절토부 침하량이 도면에 'S1'으로 도시한 만큼의 차이(성토부의 경우에는 'S2'로 도시한 만큼의 차이)를 나타내며 더 클 수 있지만 그 차이가 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가 있는 성토부(20)와 그러하지 않은 절토부(10)의 하중 재하시 강성 차이로 인하여 전체가 완만한 경사구간으로 접속되어서 사실상 절토부의 침하량 자체는 큰 문제를 도출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절토부(10) 구간의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의 길이(L2)는 이를 축소하여 1~3m,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2m 정도로 한정하여도 설계 및 시공 후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착안한 새로운 원리는 절토부의 침하량 차이를 허용하는 원리이며, 이로써 절토부 연장 침하 길이(L3)를 포함한 절토부 침하 길이(L2+L3))가 절토부 보강 슬래브 길이(L2) 보다 길어지더라도 기능 측면에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 반면 비용 측면에서는 상당한 수준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2A, the length of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of the cut part 10 in relation to the folding part 10 is firstly referred to as the location of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in the section of the cut part 10 The settlement amount of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is compared with the settlement amount of the place where the reinforcement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is located, The difference is not large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iffness of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and the non-reinforced slab portion 10 due to the difference in stiffness between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and the non- It is connected by a gentle slope section, so that the settlement amount of the cut-out portion itself does not lead to a big problem. Therefore, even if the length L2 of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in the section of the cut-off portion 10 is reduced to 1 to 3 m, and more preferably to about 2 m, the safety afte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can be sufficiently secured . The new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inciple that allows the difference in settlement amount of the cut soil portion so that the cut soil portion settlement length (L2 + L3) including the cut soil portion extended settlement length L3) is longer than the cut soil portion reinforcing slab length Even if it does not,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function, but it is possible to secure a considerable level of economics in terms of cost.

그리고, 도 2c 내지 도 5d의 첨부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들을 상호 구분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나의 적용례로서 포장 콘크리트층과 그 하부의 린 콘크리트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포장체를 형성하는 방식의 콘크리트 포장이 적용된 도로에서 지반 지지력의 불균일성을 나타내는 경계부들 중에서 가장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는 절토부와 성토부의 경계부인 절성경계면(본 발명에서 터널과 터널 입구의 성토부가 이루는 절성경계면을 포함함)에서의 보강에 관련한 실시예들을 도 2c~i 및 도 3a~e에 나타내고 이들 실시예를 제 1실시예로서 설명하고 있으며, 박스·지중라멘 통과 구간의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지반 보강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도 4a~d에 나타내고 이들 실시예를 제 2실시예로서 설명하고 있으며, 그리고 도 5a~d는 교량·토공 접속부에 대한 제 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2d 내지 도 3e에 도시된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형상 및 그라우팅재 주입관의 구조와 배치에 대한 세부적인 실시예들은 제 2 실시예 및 제 3실시예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나, 도면의 중복과 설명의 반복을 피하는 차원에서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FIGS. 2C to 5D, one example of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lude a pavement concrete layer and a lean concrete layer below the pavement concrete lay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undary between the cut-out portion and the embankment portion, whi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of the boundary portions showing the non-uniformity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in the road on which the concrete pavement is formed, Examples of reinforcement in the reinforced concrete section including the embankment boundary are shown in Figs. 2C-i and 3A-E, and these embodiments are explained as the first embodiment, and concrete in the box- Embodiments related to ground reinforcement of a pavement are shown in Figs. 4A to 4D, and thes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as a second embodiment And, Fig. 5a and ~ d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bridges, earth mov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s and the grouting re-injection pipes shown in FIGS. 2d to 3e can be applied in common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However, And descriptions and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order to avoid repetition of the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첨부 도면에는 각 부재의 크기나 길이 등과 관련한 수치들이 나타나 있으나 이들 수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계 또는 시공에서 적용함에 있어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밝혀두고자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도면에 예시되고 상세한 설명에 예시된 것보다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함이 마땅하다.The numerical values relating to the size and length of each member are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numerical values are merely for reference in order to assist those skilled in the art in understanding the applic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sign or construction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scope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 도면 도 2c 내지 도 3e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포장이 적용된 도로에서 지반 지지력의 불균일성을 나타내는 경계부 주위에 적용되는 지반 보강 방법에 있어서, 첨부된 도 2c,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 지지력의 불균일성을 나타내는 절성경계부(30)를 기준으로 지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영역인 성토부(20)의 포장 콘크리트층(60) 및 린 콘크리트층(50)을 지지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의 하부에 그라우팅재 주입관(100h, 100v)을 사전에 매설한 후, 지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강한 영역인 절토부(10)에 대하여 지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영역인 성토부(20)의 상대 침하량이 규정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관(100h, 100v)을 통하여 그라우팅재를 주입함으로써 주위 지반을 강화시키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구비한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침하량 제어 기반의 지반 보강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관(100h, 100v) 중에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는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100h)은 도 2d 및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노견을 따라 일정 간격(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1500mm의 간격)을 두고서 다수개가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데 도 2d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상행선(또는 하행선) 노견으로부터 도로 노반의 중심선까지의 거리(B)의 각각 1/2 및 1/4이 되는 장형 그라우팅재 주입관 및 단형 그라우팅재 주입관을 번갈아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때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행선 및 하행선의 장형 그라우팅재 주입관 및 단형 그라우팅재 주입관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행선 및 하행선의 장형 그라우팅재 주입관 및 단형 그라우팅재 주입관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2C to 3E, in a ground reinforcement method applied around a boundary showing irregularity of a ground supporting force on a road to which concrete pavement is applied, 3B, the pavement concrete layer 60 and the lean concrete layer 50 of the embankment 20, which are regions where the ground supporting force is relatively weak on the basis of the cut facet 30 indicating the nonuniformity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supporting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is buried in advance with the grouting material injection pipes 100h and 100v and then the ground supporting force is relatively increased with respect to the cut- When the relative settlement amount of the fillet 20 which is a weak region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the grouting material is injected through the grouting material injection pipes 100h and 100v to reinforce the surrounding grou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ound reinforcement method based on settlement control of a concrete pavement with a reinforced concrete slab, wherein a lateral grouting material injection pipe (100h) installed in the grouting reinjecting pipes (100h, 100v) Are arranged in a later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for example, an interval of 1500 mm as shown) along the road surface, as shown in Figs. 2d and 2e. As shown in the plan view of Fig. 2d, It is preferable to alternately arrange the long grouting material injection pipe and the short grouting material injection pipe, which are 1/2 and 1/4 of the distance (B) from the upstream line (or downline) line to the center line of the roadbed road,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2d, the long grouting re-injection pipe and the short grouting material injection pipe of the upstream line and the downline can be staggered La may be arranged to see sanghaengseon and elongate grouting material injection tube and a Monotype grouting material injection tube of the hahaengseon face each other as shown in Figure 2e.

한편, 각각의 그라우팅재 주입관(100h)에서 그라우팅재가 주입되는 후단부는 보호캡(101b)(상세"B"는 도 3d에 도시됨)을 씌워서 노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고 추후 이 보호캡(101b)을 제거하고 그라우팅 장비를 연결하여 그라우팅재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grouting material injection hole 100h through which the grouting material is injected is covered with the protective cap 101b (detailed "B" is shown in FIG. 3D) And the grouting equipment is connected to allow the grouting material to be injected.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행선과 하행선 사이의 노반 중심부를 따라서 일정 간격(예컨대, 도 2d 및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1500mm의 간격)을 두고서 중앙분리대 구조물(80), 중앙분리대 기초 콘크리트(70), 제 2동상방지층(45b), 린 콘크리트층(50), 및 제 1동상방지층(45a)을 관통하여 지반 내부의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의 하부 또는 제 1동상방지층(45a)에 이르도록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종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100v) 역시 그라우팅재가 주입되는 후단부는 보호캡(101a)(상세"A"는 도 3c에 도시됨)을 씌워서 노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고 추후 이 보호캡(101b)을 제거하고 그라우팅 장비를 연결하여 그라우팅재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한편, 중앙분리대 구조물(80) 사이의 공간부로 돌출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중앙분리대 구조물이 없는 경우에 도로의 중앙선 영역에 설치하되 안정을 고려하여 과도하게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n, as shown in FIG. 3B, the center separating structure 80, the median separating base concrete 80, and the median separating base concrete 80 are separated at regular intervals (for example, an interval of 1500 mm as shown in FIGS. 2d and 2e) along the bed- The first and second frostbreak prevention layers 45a and 45b penetrat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rostbreak prevention layers 70 and 45b and the lean concrete layer 50 and the first frostbreak prevention layer 45a, The longitudinal grouting material injection tube 100v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so covers the protective cap 101a (detail "A" is shown in FIG. 3C) The protection cap 101b is removed and the grouting equipment is connected to allow the grouting material to be injected. In addition, it may be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space between the median separating structures 80. In addition, when there is no median separating structur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medial separating structure 80 in the center line region of the road so as not to excessively protrude in consideration of stability.

한편, 도 3c에 도시된 종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100v)의 관경(50mm로 예시)은 도 3d에 도시된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100h)의 관경(12.5mm로 예시) 보다 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바람직하기로는 40mm ~ 60mm(약 50mm)의 직경을 구비하도록 하여 이를 통하여 간편한 기구 등을 통하여 침하량을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며, 또한 전술한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100h)을 통하여 그라우팅재가 주입되는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종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100v)은 그라우팅재의 주입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에어 벤트로서 작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ipe diameter (exemplified by 50 mm) of the longitudinal grouting material injection tube 100v shown in Fig. 3C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pipe diameter (exemplified by 12.5 mm) of the lateral grouting material injection pipe 100h shown in Fig. 3D It is preferable to have a diameter of 40 mm to 60 mm (about 50 mm), and it is also possible to measure the settlement amount through a simple instrument or the like, and it is also possible to measure the settlement amount through the above-mentioned lateral grouting material injection tube 100h When the grouting material is injected, the longitudinal grouting material injection tube 100v provid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can act as an air vent to smoothly inject the grouting material.

여기에서, 지반 속에 횡방향으로 매립되는 상기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100h)의 선단부(상세 "C" 부분)의 세부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그 선단부는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층의 콘크리트 타설 시의 콘크리트 구성재료 등과 같은 이물질이 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캡(104)으로 캡핑되어 있고 또한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방출공(102)이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100h)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방출공(102)을 고무 슬리이브(103)로 감싸도록 하는 맨제트(Manjet) 튜브 타입의 역류 방지 밸브 구조(일방향 밸브 구조)를 가짐으로써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100h)에 채워지는 그라우팅재의 압력이 일정 값을 초과하는 경우 고무 슬리이브(103)가 팽창되고 이로써 방출공(102)이 개방되어서 그라우팅재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하며, 나아가 주입이 종료되어서 내부의 압력이 일정 값 이하가 되면 고무 슬리이브(103)가 수축되어서 방출공(102)을 폐쇄하게 되면 지반으로 주입된 그라우팅재가 관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이러한 구조의 선단부를 구비한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100h)의 경우에는 1차 그라우팅재의 주입이 종료한 후에도 추후 시간 경과에 따른 침하량의 증대로 추가로 그라우팅재의 주입이 필요한 경우에도 재주입이 가능하게 된다. 도면을 통하여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대안적으로, 상술한 맨제트(Manjet) 튜브 타입의 밸브 구조를 채택하는 대신에 간단한 구성으로서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100h)의 원주면에 다수개의 방출공을 천공하고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100h)의 선단부를 비닐커버 등으로 덮어두는 방안도 채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100h) 하부의 성토부(20) 지반의 침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100h)이 침하되는 성토부(20) 지반을 따라 하강하지 않고 상부의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 측에 고정된 위치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100h)이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의 철근(91 또는 92)에 현가되어 고정되도록 고정수단(예컨대, 철선(105)) 등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Here,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front end portion (detailed "C" portion) of the lateral grouting material injection tube 100h embedded in the lateral direction in the ground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3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02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grouting material injection tube 100h at regular intervals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concrete constituent materials at the time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pipe, (A one-way valve structure) of a Manjet tube type which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grouting material injection tube 100h and which allows the discharge hole 102 to be surrounded by the rubber sleeve 103, When the pressure of the grouting material filled in the grouting material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the rubber sleeve 103 is inflated so that the discharge hole 102 is opened so that the grouting material can be injected, When the inner pressur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due to the completion of the injection, the rubber sleeve 103 is contracted to close the discharge hole 102 to prevent the grouting material injected into the ground from flowing back into the pipe. In the case of the horizontal grouting material injection tube 100h having the front end portion, even after the injection of the primary grouting material is completed, the grouting material can be re-injected even when the grouting material is further injected due to an increase in the settlement amount with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nstead of adopting the above-described Manjet tube type valve structure,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are drilled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verse grouting material injection tube 100h as a simple structure It is of course possible to adopt a method of covering the tip end of the lateral grouting reinjection tube 100h with a vinyl cover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settlement of the ground of the embankment 20 under the transverse grouting material injection pipe 100h occurs, the embankment of the embankment material in which the transverse grouting material injection pipe 100h sinks A lateral grouting material injection pipe 100h is provided on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of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so as to maintain the position fixed to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side of the upper part without descending along the ground.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a fixing means (for example, a wire 105) or the like so as to be fixed on the stator 92 in a suspended manner.

여기에서, 맨제트(Manjet) 튜브 타입의 밸브 구조를 채택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100h)를 예를 들어서 설명하였지만 종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100v)에도 적용 가능함은 당연하다.Herein, the lateral grouting material injection tube 100h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employing the Manjet tube type valve structure, but it is also applicable to the longitudinal grouting material injection tube 100v. Do.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강한 영역인 절토부(10)에 대한 지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영역인 성토부(20)의 상대 침하량이 규정치(예컨대, 15mm, 30mm 또는 50mm)를 초과하는 경우에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와 성토부(20)의 지반 상부, 예컨대 보조기층(40)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을 메우기 위하여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를 설치하기 전에 그 하부에 매립한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관(100)을 통하여 그라우팅재를 주입함으로써 주위 지반을 강화시켜 콘크리트 포장체에 대한 강화된 지지를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그라우팅재로는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지만 예컨대 시멘트 밀크(물+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블리딩(bleeding)의 최소화를 위하여 물/시멘트비(w/c) 0.45 ~ 0.5의 최대한으로 부배합된 시멘트 밀크를 사용하며, 또한 필요시에는 적당량의 팽창제를 시멘트 밀크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시멘트 밀크의 주입 압력은 상부 구조물의 히빙(heaving)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저압 그라우팅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로의 중앙선에 종방향(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종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100v)이나 또는 횡방향(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100h) 중 일부는 주입 공간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하는 에어 벤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relative settlement amount of the embankment 20, which is a region where the ground supporting force is relatively weak for the grounded portion 10, is relatively high (for example, 15 mm, 30 mm or 50 mm)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is embed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before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is installed to fill the voids formed between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embankment 20, The grouting material is injected through the grouting material injection pipe 100 to reinforce the surrounding ground so as to provide reinforced support to the concrete pavement. Various materials can be used as the grouting material to be used at this time. However, It is preferable to use water + cement and to maximize the bleeding, the maximum amount of water / cement ratio (w / c) 0.45 to 0.5 When uses a large, and required for it is more preferred to use a mixture of a suitable amount of swelling agent in the cement milk. The injection pressure of the cement milk is preferably a low pressure grouting method in order to prevent a heaving phenomenon of the upper structure, and as described above, the vertical grouting material injection Some of the plurality of transverse grouting material injection pipes 100h provided in the pipe 100v or in the lateral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may be used for an air vent to allow air in the injection space to escape.

나아가, 본 발명의 다양한 추가적인 변형 실시예로서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토부(10)와 성토부(20)의 절성경계면(30)의 주향선(strike)이 곡선 또는 사선을 이루는 경우에는, 도로 노반폭(D0)을 형성하는 평행선과 교차되는 점(a, b)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이 연결선(평균 주향선)이 도로 진행 방향과 이루는 각도(θ)의 크기에 따라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의 형태를 직사각형(도 2g 참조)과 평행사변형(도 2h 참조)으로 나누어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각도(θ)가 7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 2g에 도시된 직사각형의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를 적용하게 되는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앞서 설명된 a점 및 b점을 연결하는 연결선(평균 주향선)과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의 폭(D1)을 나타내는 양쪽 경계선과의 교차점 중에서 절토부 근점(a')으로부터 절토부(10) 방향으로 2m 그리고 성토부(20) 방향으로 길이 Lm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가 설치되게 된다. 한편, 상기 각도(θ)가 75°이하인 경우에는 도 2h에 도시된 평행사변형의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를 적용하게 되는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h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b점을 연결하는 연결선(평균 주향선)과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의 폭(D1)을 나타내는 양쪽 경계선과의 교차점 중에서 절토부 근점(a')으로부터 절토부(10) 방향으로 2m까지 연장된 점에서 상향 75°의 각도로 연장된 절토부 한계선(90a)과 그리고 성토부 근점(b')으로부터 성토부(20) 방향으로 Lm까지 연장된 점에서 하향 75°의 각도로 연장된 성토부 한계선(90b)에 의해 형성되는 평행사변형 형상을 가지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가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평행사변형 형상의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 구조는 추후 설명될 다른 실시예들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urther, in various further modifi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rike of the cut surface portion 30 of the cut surface portion 10 and the cut surface portion 30 is curved or oblique as shown in FIG. 2F road subgrade width point (a, b) for connecting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line (average primary hyangseon) reinforced concrete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road heading direction and an angle (θ) (D 0) which is parallel to and intersecting to form a It is preferable to divide the shape of the slab 90 into a rectangle (see FIG. 2G) and a parallelogram (see FIG. 2H). When the angle θ exceeds 75 °, A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is applied to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More specifically, the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is applied to both the connection line (average main line) connecting the points a and b and the width D 1 of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At the intersection with the border, A rectangular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having a length Lm of 2 m in the direction of the cut-off portion 10 and a length Lm in the direction of the embankment 20 is provided. When the angle? Is less than 75 degrees,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of the parallelogram shown in FIG. 2H is applied.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h, points a and b A point extending from the cut-off portion nearest to the cut-off portion 10 in the direction of the cut-off portion 10 among the intersections between the connecting line (average main line) connecting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boundary line indicating the width D 1 of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And an embankment boundary line extending at an angle of 75 DEG downward from a point extending from the embankment point nearest point b 'to the embankment 20 direction Lm Reinforced concrete slabs 90 having a parallelogram shape formed by the reinforcing concrete slabs 90a and 90b. The structure of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of the parallelogram shape can be similarly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첨부 도면 도 2f 내지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토부(10)와 성토부(20)가 접하는 절성경계면(30)이 도로 노반 진행방향에 직각으로 형성되지 않고 사선을 이루는 경우에는, 도 2i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100h)을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의 하부에서 절성경계면(30)에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성경계면이 곡선을 이루는 경우에는, 도로 노반폭(Do)을 형성하는 평행선과 교차되는 점(a, b)을 직선으로 연결하면 이 연결선(평균 주향선)이 절성경계면(30)이 되고 상기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100h)은 이러한 평균 주향선에 의해 설정되는 절성경계면(30)에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2f to 2g, when the cutaway interface 30 in which the cut soil 10 and the fillet 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not formed at a right angle to the road surface roughness progression direction and is formed diagonally, It may be desirable to arrange the transverse grout reinjection tube 100h parallel to the cut facet interface 30 at the bottom of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ement slab 90 as shown in Figure 2i. If the intersections of the folded surfaces are curved, if the points (a, b) intersecting the parallel lines forming the road wheel width Do are connected by a straight line, the connecting line (average main line) ) And the transverse grouting reinjection tube 100h would preferabl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cut facet interface 30 set by this average dominant line.

지금까지 절토부와 성토부가 이루는 절성경계면에 대하여 본 발명이 적용된 다양한 실시예들을 살펴보았으나, 이하에서는, 박스·지중라멘 통과 구간의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지반 보강과 관련된 제 2실시예를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The following is a description of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interdimensional boundary between the cut part and the embankment. Hereinafter, the second embodiment related to the reinforcement of the concrete pavement in the box- Referring to FIG. 4D, FIG.

도 4a를 살펴보면, 본 실시예는 박스 구조물(200) 및 이를 덮고 있는 박스 덮게층(210, 보조 기층(40)과 동일한 재료로 덮고 있음)과 성토부(20) 및 이를 덮고 있는 보조기층(40) 사이에서 지반 지지력의 불균일성이 나타나게 되는 영역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제 1실시예의 절성경계부와 같이 포장 콘크리트체(200s)의 하부에 박스 구조물(200)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예컨대 6m 그리고 박스 구조물(200)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예컨대 6m 정도 연장되도록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를 설치하되, 지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영역인 성토부(20) 구간의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 하부에 그라우팅재 주입관(100; 100h, 100v)을 사전에 매설한 후, 지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강한 영역인 박스 구조물(200)에 대하여 지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영역인 성토부(20)의 상대 침하량이 규정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관(100; 100h, 100v)을 통하여 그라우팅재를 주입함으로써 주위 지반을 강화시키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구비한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침하량 제어 기반의 지반 보강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관(100) 중에서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100h)은 도 4c의 도로 횡단면도(도 4b의 A-A 단면)를 통하여 살펴보면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 하부에 매설되며 그 후단부는 도로의 노견에서 외부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100h)의 상세도는 도 3d 및 도 3e와 동일하다.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100h)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노견을 따라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예컨대, 1500mm의 간격)을 두고서 다수개가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면서 그 평면적인 배치구조는 앞서 설명된 도 2e 및 도 2f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할 수 있는데, 특별한 경우로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구조물(200)이 도로를 경사지게 횡단하여 절성경계면(30)이 경사져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절성경계면(30)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의 자체의 형상에 대해서는 앞서 도 2f ~ 도 2h를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들이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로 중앙의 중앙분리대 구조물(80)에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100v)이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종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100v)는 중앙분리대 구조물(80)을 관통하여 노반 내부로 연장되는데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의 하부 또는 린 콘크리트층(50) 아래의 제 1동상방지층(45a) 하부에 이르도록 연장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달리 중앙분리대 구조물(80) 사이의 공간부로 돌출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중앙분리대 구조물이 없는 경우에 중앙선 영역에 설치하되 안정을 고려하여 과도하게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라우팅재 주입관(100; 100h, 100v) 자체의 세부적인 구성이나 활용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4A,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ox structure 200 and a box covering layer 210 covering the box structure 200, covering the box structure 200 with the same material as the auxiliary base layer 40, a filler 20, and an auxiliary layer 40 In this case, the lower portion of the packed concrete body 200s is moved fo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box structure 200, for exampl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acked concrete structure 200s as in the above-described folded step of the first embodiment.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is installed to extend from the rear end of the box structure 200 to the rear side of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in the region of the embankment 20 where the ground supporting force is relatively weak, A grouting reinforcement pipe 100 (100 h, 100 v) is buri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x structure 200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is higher than that of the box structure 200, which is a region where the ground supporting force is relatively strong. A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reinforcing the surrounding ground by injecting the grouting material through the grouting material injection pipe 100 (100h, 100v) when the relative settlement amount of the fillet 20 which is a weak region is exceeded, The grouting reinforcement pipe 100h in the grouting reinjection pipe 100 is seen through a road cross-sectional view (section AA in FIG. 4B) of FIG. 4C, Reinforced concrete slab 90, and the rear end thereof is installed so as to extend outward from the road surface. The detailed view of this lateral grouting re-injection tube 100h is the same as Figs. 3d and 3e. As shown in FIG. 4A, the horizontal grouting re-injection pipes 100h are arran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or example, at an interval of 1500 mm) along the road, As shown in the plan view of Figs. 2e and 2f, described above. In a special case, as shown in Fig. 4b, when the box structure 200 traverses the road obliquely and the inclined boundary surface 30 is inclined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m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is refractory interface. For the shape of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itself in this cas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F to 2H can be effectively applied. 4d, a longitudinal grouting material injection tube 100v is installed in the middle center structure 80 at the center of the road, and the longitudinal grouting material injection tube 100v is connected to the center separation structure 80, Of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or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frostbreak prevention layer 45a below the lean concrete layer 50. Alternatively, the median separator structure 80, and in the absence of a median strip structur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median strip in such a manner that it is not excessively projected in consideration of stability.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detailed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the grouting re-injection tube 100 (100h, 100v) itself can be expl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교량·토공 접속부 구간에 적용되는 제 3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300)의 단부를 지지하는 교대(310)와 그 후방의 토공 구간(성토부, 교량 뒷채움) 사이에는 교량 접속 슬래브(320)와 완충 슬래브(330)가 철근 콘크리브 보강 슬래브로서 설치되는데, 상기 교량 접속 슬래브(310)의 하부에 매입되는 그라우팅재 주입관(100; 100h, 100v)은 완충 슬래브(330) 하부로까지 연장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그라우팅재 주입관(100; 100h, 100v) 중에서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100h)은 도 5b(도 5a의 A-A선 단면도) 및 도 5c(도 5a의 B-B선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면 포장체(300s) 및 교량 접속 슬래브(320)의 하부 그리고 성토부(20, 교량 뒷채움)의 동상방지층(340)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게 되고, 그리고 종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100v)은 도 5d(도 5a의 C-C선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분리대 구조물(80)을 관통하여 노반 내로 연장 설치된다.Referring to FIGS. 5A to 5D,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ridge-to-earth connection section. Referring to FIG. 5A, the bridge 310 supports the end of the bridge 300, A bridge connecting slab 320 and a buffering slab 330 are installed as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s between the bridge connecting slab 310 and the bridge connecting slab 310. The bridge connecting slab 320 and the buffering slab 330 are installed as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s. 100h and 100v are extend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uffering slab 330. In the grouting re-injection tube 100 (100h, 100v) thus installed, the transverse grouting material injection tube 100h is shown in Fig. 5B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5A) and Fig. 5C Is installed transversely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ridge pavement 300s and the bridge connecting slab 320 an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version prevention layer 340 of the fillet 20 and bridge backfill as shown in Fig. 100v) extends through the median strip structure 80 and extends into the bedpan as shown in Figure 5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ure 5a).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첨부 도면 도 3c 내지 도 3e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그라우팅재 주입관(100)의 상세 구조, 배치 또는 작용 등에 대한 설명 등은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도 2d 내지 도 2i를 참조하여 설명된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90)의 상세 구조, 배치 또는 작용 등에 대한 설명은 모든 실시예들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structure, arrangement, or operation of the grouting re-injection tub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C to 3E, And the description of the detailed structure, arrangement, or operation of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9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D to 2I can be applied to all the embodiments in common.

콘크리트 포장이 적용되는 도로의 노반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포장 콘크리트층(60) 및 린 콘크리트층(50)의 하부에 설치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슬래브(90; 320, 330)는 부등 침하로 인한 노반의 단차 발생을 방지하는 기본적 역할과 함께 부등 침하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체의 종방향 처짐 길이를 연장하여 그 상부를 주행하는 차량의 승차감과 안정성을 제고하는 작용을 하고, 그리고 콘크리트 포장체 및 노반의 균열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며, 또한 경계부를 기준으로 지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연약한 지반의 계속적인 침하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지지하고 있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 또는 교량 접속 슬래브와 같은 보강 슬래브의 저면을 보다 충실히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보강 슬래브와 하부 지반이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보강 슬래브의 파손이나 그 상부의 포장체와 하부의 지반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높은 안전도를 확보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s 90 and 320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s of the pavement concrete layer 60 and the lean concrete layer 50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roads to which the concrete pavement is applied, And the longitudinal deflection length of the concrete pavement due to the uneven settlement is extended to improve ride comfort and stability of the vehicle traveling on the upper part of the concrete pavement, And a reinforcing slab such as a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or a bridge connecting slab supporting the ground, even if continuous settlement of the ground is relatively weak on the basis of the boundary, So that the reinforcing slab and the lower groun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Prevented, and provides the effect of ensuring a higher safety so as to prevent damage or by tha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ackage body and the lower reinforcement of the ground slab is impaired.

또한,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길이를 경제적인 관점에서 일정 길이(절토부: 2m, 성토부는 성토고에 따른 길이 Lm)로 제한하되, 추가적인 규정치 이상의 침하량이 관측 내지는 검출되는 경우에는 지반 내로 사전에 매설한 그라우팅재 주입관(100)으로 그라우팅재를 주입합으로써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노반과 이를 지지하는 지반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공극을 충진하여 그 침하의 정도를 제한하도록 할 수 있음으로써 포장 콘크리트층을 보호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is limited to a certain length (cut length: 2 m, the length of the embankment is Lm along the embankment length) from an economical point of view. The grouting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grouting re-injection pipe 100 to fill the gap between the roadbed formed by the concrete and the ground to support the roadbed to limit the degree of settlement, thereby protecting the pavement concrete layer Effect.

Claims (22)

삭제delete 삭제delete 콘크리트 포장이 적용된 도로에서 지반 지지력의 불균일성을 나타내는 경계부 주위에 적용되는 지반 보강 방법에 있어서, 지반 지지력의 불균일성을 나타내는 경계부를 기준으로 지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강한 영역과 상대적으로 약한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걸쳐서 콘크리트 포장체의 내부 또는 하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설치하되, 지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강한 영역에 대한 지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영역의 상대 침하량을 계측하여 상대 침하량이 규정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하부에 그라우팅재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지지하며 주위 지반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철근에 현가되어 고정되도록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을 상기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하부에 사전에 매설하고,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상행선과 하행선 사이의 중심부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서 상기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하부 또는 동상방지층에까지 연장되는 종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을 추가적으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구비한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침하량 제어 기반의 지반 보강 방법.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reinforce the ground reinforcement around the boundary, which shows the non - uniformity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on the road with concrete pavement. A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extending along the inside or the lower portion of the concrete pavement is installed so that the relative settlement amount of the region where the ground supporting force is relatively weak is measured in a region where the ground supporting force is relatively strong, Reinforcing slab is reinforced by inserting a grouting material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to fix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and to reinforce the surrounding ground, The reinforcing concrete slab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reinforcing concrete slab is a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isposing a longitudinal grouting reinforcement pipe extending to the bottom of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포장체는 린 콘크리트층과 그 상부의 포장 콘크리트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는 상기 린 콘크리트층의 내부 또는 하부를 따라서 연장 설치되고, 상기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은 상기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하부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종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은 상기 포장 콘크리트층 상부의 중앙 분리대 구조물, 중앙 분리대 기초 콘크리트, 동상방지층 및 린 콘크리트층을 관통하여 노반으로 연장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구비한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침하량 제어 기반의 지반 보강 방법.[5]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crete pavement comprises a lean concrete layer and a pavement concrete layer thereon,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extending along the inside or the lower portion of the lean concrete layer, The grouting re-injection pipe is disposed below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and the longitudinal grouting material injection pipe penetrates the median separating structure, the median separating base concrete, the in-phase preventing layer and the lean concrete layer on the pavement concrete layer, Wherein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is extended and disposed on the concrete pavemen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부는 절토부와 성토부 사이의 절성경계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구비한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침하량 제어 기반의 지반 보강 방법.[6]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oundary forms an abutment interface between the cut-out portion and the embankment so as to reinforce the settlement amount of the concrete pavement with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ement slab.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절성경계면의 주향선이 곡선 또는 사선을 이루는 경우, 도로의 노반 폭을 형성하는 평행선과 교차되는 점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이 연 결선이 도로 진행 방향과 이루는 각도의 크기에 따라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형태를 직사각형과 평행사변형으로 나누어 적용하고, 그리고 상기 각도가 7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직사각형의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적용하며, 상기 각도가 75°이하인 경우에는 평행사변형의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구비한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침하량 제어 기반의 지반 보강 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when the main line of the meshed boundary forms a curved line or a diagonal line, a point intersecting the parallel line forming the width of the road is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A rectangular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is applied when the angle exceeds 75 °, and when the angle is less than 75 °, the reinforcing concrete slab is divided into a parallelogram A method for reinforcing a ground based on settlement control of a concrete pavement with a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characterized in that a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is applied.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절성경계면의 주향선이 곡선 또는 사선을 이루는 경우에 상기 평행사변형 또는 직사각형의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을 절성경계면의 주향선에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구비한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침하량 제어 기반의 지반 보강 방법.[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in the case where the main line of the refractory interface forms a curved line or a diagonal line, the transverse grouting material injection tube disposed below the parallelogram or rectangular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Wherein the reinforcing slab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lab of the concrete pavemen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부는 콘크리트 포장 도로 하부의 박스 구조물 및 이를 덮고 있는 박스 덮게층과 성토부 및 이를 덮고 있는 보조기층 사이에서 지반 지지력의 불균일성이 나타나게 되는 경계면이 되고, 그리고 포장 콘크리트체의 하부에 상기 박스 구조물의 전단으로부터 전방 그리고 상기 박스 구조물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설치하되, 지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영역인 성토부 구간의 상기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 하부에 상기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 및 상기 종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을 사전에 매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구비한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침하량 제어 기반의 지반 보강 방법.5.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4, wherein the boundary is an interface between the box structure below the concrete pavement and the box covering layer covering the concrete pavement, the embankment and the auxiliary layer covering the box covering layer, A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so as to extend forward from a front end of the box structure and rearward from a rear end of the box structure, Wherein the grouting re-injection pipe and the longitudinal grouting material injection pipe are previously buried in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면의 주향선이 곡선 또는 사선을 이루는 경우, 도로의 노반 폭을 형성하는 평행선과 교차되는 점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이 연결선이 도로 진행 방향과 이루는 각도의 크기에 따라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형태를 직사각형과 평행사변형으로 나누어 적용하고, 그리고 상기 각도가 7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직사각형의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적용하며, 상기 각도가 75°이하인 경우에는 평행사변형의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구비한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침하량 제어 기반의 지반 보강 방법.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8, wherein, when the main line of the interface forms a curved line or an oblique line, a point intersecting the parallel line forming the width of the road is connected by a straight line, A rectangular reinforced concrete slab is applied when the angle is greater than 75 ° and a parallelogram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is applied when the angle is less than 75 °. Wherein a slab is applied to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ed concrete slab.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절성경계면의 주향선이 곡선 또는 사선을 이루는 경우에 상기 평행사변형 또는 직사각형의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을 절성경계면의 주향선에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구비한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침하량 제어 기반의 지반 보강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when the main line of the refractory interface forms a curved line or an oblique line, the transverse grouting material injection tube disposed below the parallelogram or rectangular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is connected to the main line Wherein the reinforcing slab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lab of the concrete pavemen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부는 도로 노반 중에 교량과 토공 구간의 접속부에서의 경계면이 되고, 상기 철근 콘크리브 보강 슬래브는 완충 슬래브와 교량 접속 슬래브의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교량 접속 슬래브의 하부에 매입되는 상기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 및 상기 종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은 절토부의 완충 슬래브 하부로까지 연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구비한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침하량 제어 기반의 지반 보강 방법.5. The bridge connecting slab as set forth in claim 4, wherein the boundary portion is an interface between a bridge and a connection portion of the bridge during road rolling,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buffering slab and a bridge connecting slab, Wherein the lateral grouting material injection tube and the longitudinal grouting material injection tube are extend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uffer slab of the cut-off portion. The ground reinforcement method for controlling the settlement amount of the concrete pavement with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 콘크리트 포장이 적용된 도로에서 지반 지지력의 불균일성을 나타내는 절성경계부 주위의 지반을 보강하는 방법으로서, 지반 지지력의 불균일성을 나타내는 절토부와 성토부의 절성경계부 주위에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절토부에 설치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설치 길이는 1m 내지 3m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길이로 한정하고, 그리고 상기 성토부에 설치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설치 길이는 성토부의 성토고(H)에 따라 다음의 식 (1)에 따라 추산되는 장기 침하량(h)에 대하여 다음의 식 (2)에 따라 비례하여 설정되는 길이(L) 만큼 연장 설치하고, A method of reinforcing a ground around a cut-off step, which indicates non-uniformity of the ground support force on a road to which concrete pavement is applied, is characterized in that in installing a reinforced concrete reinforcement slab around the cut- The installation length of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installed in the cut-out portion is limited to a length selected from the range of 1 m to 3 m, and the installation length of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installed in the embankment is (L) that is set in proportion to the following formula (2) with respect to the long-term settlement amount h estimated according to the equation (1) (1) h = αx H(1) h =? X H 단, 여기에서 H는 성토고(절성경계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20m 이격된 위치의 성토고를 기준으로 함)이고, 그리고 α는 침하 계수로서 3년의 단기 침하량 계산의 경우에는 0.15%, 15년~20년의 장기 침하량 계산의 경우에는 0.45%가 적용되고,In this case, H is the sedimentation coefficient (based on the embankment height of 20 m in the lateral direction from the Biblical interface), and α is the settlement coefficient, 0.15% for the 3-year short- For long-term settlement calculations, 0.45% is applied, (2) L = h / tanθ (2) L = h / tan? 단, 여기에서 h는 성토고(H)에 따른 침하량이고, tanθ에서의 θ는 허용 침하각이 적용되며,Where h is the settling amount according to the embankment height (H), θ at tan θ is the allowable subsidence angle, 그리고, 지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강한 영역에 대한 지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영역의 상대 침하량을 계측하여 상대 침하량이 규정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하부에 그라우팅재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지지하며 주위 지반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을 상기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하부에 사전에 매설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구비한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침하량 제어 기반의 지반 보강 방법.In the case where the relative settlement amount of the region where the ground supporting force is relatively weak for the region where the ground supporting force is relatively strong is measured and the relative settlement amount exceeds the predetermined value, grouting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And a step of burying a lateral grouting material injection pipe in a lower portion of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in order to support the slab and reinforce the surrounding ground, wherein the settlement of the concrete pavement with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Control - based ground reinforcement method.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식 (2)에서의 상기 허용 침하각(θ)에 대한 tanθ의 값으로 0.006 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구비한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침하량 제어 기반의 지반 보강 방법.1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0.006 is applied to the value of tan? With respect to the allowable subsidence angle (?) In the equation (2). Reinforcement method.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상행선과 하행선 사이의 중심부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서 상기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하부 또는 동상방지층에까지 연장되는 종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을 추가적으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구비한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침하량 제어 기반의 지반 보강 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disposing a longitudinal grouting material injection pipe exten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or the anti-frost lay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a center portion between an upper line and a lower line of the concrete pavement Wherein the reinforcing steel reinforcing slab is a reinforced concrete reinforced concrete slab. 제 3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은 도로의 노견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서 다수개가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며, 상행선 및 하행선 노견으로부터 도로 노반의 중심선까지의 거리(B)의 각각 1/2 및 1/4이 되는 장형 그라우팅재 주입관 및 단형 그라우팅재 주입관을 번갈아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구비한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침하량 제어 기반의 지반 보강 방법.1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14, wherein the transverse grouting material injection pipes are arranged in a transverse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road surface, and the center grooves And the distance (B) between the long grouting material inlet pipe and the short grouting material injection pipe are alternately arranged on the basis of the control of the settlement amount of the concrete pavement with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 제 3, 4, 5, 6, 7, 8, 9, 10, 11, 및 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의 관경은 상기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의 관경 보다 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구비한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침하량 제어 기반의 지반 보강 방법.The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4, 5, 6, 7, 8, 9, 10, 11, and 14, wherein the diameter of the longitudinal grouting reinforcement tube i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transverse grouting reinforcement tube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inforcing steel slab is a reinforced concrete slab. 제 3, 4, 5, 6, 7, 8, 9, 10, 11, 및 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을 통하여 그라우팅재가 주입되는 경우에 상기 종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은 그라우팅재의 주입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에어 벤트로서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구비한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침하량 제어 기반의 지반 보강 방법.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3, 4, 5, 6, 7, 8, 9, 10, 11, and 14, wherein when the grouting material is injected through the transverse grouting material injection tube, Wherein the injection pipe acts as an air vent for smoothly injecting the grouting material. The method of reinforcing the ground based on the settlement amount of the concrete pavement with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제 3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의 선단부에는 방출공이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의 선단부를 비닐커버로 덮어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구비한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침하량 제어 기반의 지반 보강 방법.15.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14, characterized in that a discharge hole is formed at the tip end of the transverse grouting material injection tube and the tip end of the transverse grouting material injection tube is covered with a plastic cover A Method for Ground Reinforcement Based on Settlement Control of Concrete Pavement with Concrete Reinforced Slab. 제 3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의 선단부는 보호캡으로 캡핑되어 있고 또한 방출공이 상기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방출공을 고무 슬리이브로 감싸도록 하는 역류 방지 밸브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구비한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침하량 제어 기반의 지반 보강 방법.15.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14, wherein the leading end of the transverse grouting material injection tube is capped with a protective cap and a discharge hole is formed circumferentially in the transverse grouting material injection tube, Wherein the reinforcing concrete slab has a backflow prevention valve structure for surrounding the reinforced concrete slab with a rubber sleeve. 제 3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에서 그라우팅재가 주입되는 후단부는 보호캡을 씌워서 노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고 추후 이 보호캡을 제거하고 그라우팅 장비를 연결하여 그라우팅재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구비한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침하량 제어 기반의 지반 보강 방법.The grou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14, wherein a rear end portion of the grouting material injected from the lateral grouting material injection pipe is covered with a protective cap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bedrock, So that the grouting material can be injected into the concrete pavement. The ground reinforcement method based on the settlement amount control of the concrete pavement with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제 3, 4, 5, 6, 7, 8, 9, 10, 11, 및 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그라우팅재 주입관에서 그라우팅재가 주입되는 후단부는 보호캡을 씌워서 노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고 추후 이 보호캡을 제거하고 그라우팅 장비를 연결하여 그라우팅재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구비한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침하량 제어 기반의 지반 보강 방법.The grouting material as claimed in any one of claims 3, 4, 5, 6, 7, 8, 9, 10, 11, and 14, So that the grouting material can be connected to the grouting material to allow the grouting material to be injected. The method of reinforcing the ground based on the settlement amount of the concrete pavement with th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slab. 제 3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포장체에 대한 강화된 지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입되는 상기 그라우팅재는 물/시멘트비(w/c) 0.45 ~ 0.5의 시멘트 밀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 슬래브를 구비한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침하량 제어 기반의 지반 보강 방법.15.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14, wherein the grouting material injected to provide enhanced support to the concrete pavement comprises cement milk having a water / cement ratio (w / c) of 0.45 to 0.5 A method of reinforcing ground based on settlement control of concrete pavement with reinforcing concrete reinforcing slab.
KR1020060113193A 2006-11-16 2006-11-16 Earth reinforcement method based on the control for settlement of the concrete pavement comprising reinforced concrete slab KR1008090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193A KR100809001B1 (en) 2006-11-16 2006-11-16 Earth reinforcement method based on the control for settlement of the concrete pavement comprising reinforced concrete sla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193A KR100809001B1 (en) 2006-11-16 2006-11-16 Earth reinforcement method based on the control for settlement of the concrete pavement comprising reinforced concrete slab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9001B1 true KR100809001B1 (en) 2008-03-05

Family

ID=39397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193A KR100809001B1 (en) 2006-11-16 2006-11-16 Earth reinforcement method based on the control for settlement of the concrete pavement comprising reinforced concrete slab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900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5322A (en) * 2018-07-02 2018-11-06 许昌学院 The pre- fine fisssure slip casting comprehensive strengthening method of cement concrete pavement
CN114508015A (en) * 2022-03-08 2022-05-17 河南城建学院 Method for reinforcing and repairing bridge-head bump road surfa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6603A (en) * 1993-06-11 1994-12-20 Kajima Corp Sink repair method of dirt floor concrete slab
JPH0874201A (en) * 1994-09-08 1996-03-19 Railway Technical Res Inst Improvement of railroad ground
JPH08170336A (en) * 1994-12-16 1996-07-02 Fujita Corp Correcting method of uneven settlement of baking ground
KR19980013898A (en) * 1996-08-05 1998-05-15 추지석 Prevention of stepping on roads with soft grounds
KR200217006Y1 (en) 2000-10-05 2001-03-15 주식회사경성엔지니어링 A structure for connecting slab of a bridge
KR200329151Y1 (en) 2003-06-24 2003-10-08 주식회사 공인기술 Soil nailing by pressure grout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6603A (en) * 1993-06-11 1994-12-20 Kajima Corp Sink repair method of dirt floor concrete slab
JPH0874201A (en) * 1994-09-08 1996-03-19 Railway Technical Res Inst Improvement of railroad ground
JPH08170336A (en) * 1994-12-16 1996-07-02 Fujita Corp Correcting method of uneven settlement of baking ground
KR19980013898A (en) * 1996-08-05 1998-05-15 추지석 Prevention of stepping on roads with soft grounds
KR200217006Y1 (en) 2000-10-05 2001-03-15 주식회사경성엔지니어링 A structure for connecting slab of a bridge
KR200329151Y1 (en) 2003-06-24 2003-10-08 주식회사 공인기술 Soil nailing by pressure grout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5322A (en) * 2018-07-02 2018-11-06 许昌学院 The pre- fine fisssure slip casting comprehensive strengthening method of cement concrete pavement
CN114508015A (en) * 2022-03-08 2022-05-17 河南城建学院 Method for reinforcing and repairing bridge-head bump road surf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8777B1 (en) Earth reinforcement method for railway track on the concrete base
CN106192646B (en) Vcehicular tunnel car-driving shock-absorbing denoising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102352590A (en) Method for splicing highfill roadbed by adopting pile-sheet retaining wall
CN102071607A (en) Railroad bed repair method without affecting existing running conditions
KR20090084054A (en) Structure of concrete track reinforced by piled raft foundation and its constructing and maintaining method
JP5187143B2 (en) Structure to prevent unevenness and eruption due to liquefaction
CN108222060A (en) High-speed railway, highway pile foundation joist buttress type pallet subgrade support retainer structure
KR100809001B1 (en) Earth reinforcement method based on the control for settlement of the concrete pavement comprising reinforced concrete slab
CN111809470A (en) Structure and method for preventing cracks of road base layer and road subbase layer
KR100948059B1 (en) Constructing method for widening road using steel casing retaining wall
CN113373750B (en) Steep slope high-fill-section roadbed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6145477A (en) Box-type roadbed structure with active vibration isolation performance and construction method
JP2013083144A (en) Liquefaction preventing structure
CN112695656B (en) Box culvert construction method for road widening and box culvert
CN206127789U (en) Structure of making an uproar falls in highway tunnel driving damping
CN211312037U (en) Roadbed and pavement structure for preventing uneven settlement of motor vehicle lane under viaduct
JP6263334B2 (en) Floor slab unit and pavement structure and method using the same
CN111235968A (en) Railway reinforced roadbed and railway settlement roadbed reinforcing method
CN207314485U (en) A kind of loessial gulch area bridge lower part drainage system
CN205134118U (en) Road vibration isolation system suitable for prevent underground space structural vibration
CN105369702A (en) Road vibration isolation system for preventing underground spatial structure vibr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215051703U (en) Road pavement repairing structure
CN212077496U (en) Reinforced railway bed
CN115506200B (en) Construction method of expressway roadbed and rapid drainage structure
CN214694946U (en) Be applicable to indiscriminate ground digging highway subgrade in jade h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