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8967B1 - 전기화학식 오폐수처리장치의 챔버 세척방법 - Google Patents

전기화학식 오폐수처리장치의 챔버 세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8967B1
KR100808967B1 KR1020050049509A KR20050049509A KR100808967B1 KR 100808967 B1 KR100808967 B1 KR 100808967B1 KR 1020050049509 A KR1020050049509 A KR 1020050049509A KR 20050049509 A KR20050049509 A KR 20050049509A KR 100808967 B1 KR100808967 B1 KR 100808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washing
water
washing water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9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8245A (ko
Inventor
김현호
이재창
고준호
김선호
임철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인스트루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인스트루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인스트루먼트
Priority to KR1020050049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8967B1/ko
Publication of KR20060128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8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챔버의 내부를 효율적으로 세척하기 위한 전기화학식 오폐수처리장치의 챔버 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챔버를 통한 오폐수처리가 일정 시간이상 실행된 후에는 챔버에 대한 세척처리가 자동으로 실행된다. 챔버에 대한 세척처리는 챔버내에 유입되어 있는 오폐수를 배출하는 오폐수 배출단계(ST10)와, 챔버내로 세척수를 투입하는 세척수 투입단계(ST20), 챔버내로 투입된 세척수를 챔버로부터 배출하여 다시 세척조로 회수하는 세척수 회수단계(ST30), 챔버(10)내로 수돗물을 투입하여 챔버내에 남아 있는 세척수를 제거하는 수돗물 투입단계(ST40) 및, 챔버로부터 수돗물을 배출하는 수돗물 배출단계(ST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챔버에 대한 세척처리가 자동으로 실행되므로 챔버(10)의 세척처리가 용이해짐은 물론 챔버내의 블레이드에 스케일이나 이물질이 생성 및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따라서, 챔버를 통한 오폐수처리를 지속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챔버를 통해 대량의 오폐수처리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전기화학식 수처리장치, 챔버, 세척조, 스케일.

Description

전기화학식 오폐수처리장치의 챔버 세척방법{Chamber cleaning method in electrochemical wastewater disposal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기화학식 오폐수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도 1에서 챔버(10)와 세척조(20)를 구비하는 오폐수처리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오폐수처리장치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오폐수처리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도 2에 나타낸 오폐수처리장치를 챔버를 중심으로 바라본 배면도.
도 6은 도 2에 나타낸 오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챔버(10)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2에서의 챔버(10)의 외관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챔버(10)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세척조의 일구성예로서, 그 내부 구성을 도시한 계략 단면 사시도.
도 10은 도 2에 나타낸 오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챔버와 세척조에 연결되는 배관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배관 시스템의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챔버 내부에 대한 세척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 : 챔버, 20 : 세척조,
40 : 배관, 70 : 제어수단,
110a : 처리수 배출관, 113 : 오폐수 유입구,
412 : 세척수 유입관, 413 : 세척수 배출관,
V1~V7 : 전동벨브, P1 : 펌프,
본 발명은 폐수 및 오수를 전기와 금속의 이온화 반응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전기화학식 오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폐수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챔버의 내부를 효율적으로 세척하기 위한 전기화학식 오폐수처리장치의 챔버 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급속도로 높아지면서 특히 중금속이나 그 밖의 다양한 무기물 등을 포함하는 오수 및 폐수의 배출문제가 사회적으로 큰 문제로서 대두되고 있고, 이에 따라 이러한 오폐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시도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오폐수를 정화하는 효율적인 방법으로서 전기응집(electro coagulation)을 이용하는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장치에 관해서는 미국특허등록 제4063호, 제20631호, 제40855호, 제70919호, 제70993호, 제106854호, 제6663783호, 제111426호, 제136686호, 제3974070호, 제4728403호, 제4728410호, 제5004531호, 제6689271호, 제6358398호, 제6613217호, 제6719894호 등에 제안된 바 있다. 이들 오폐수처리장치들은 기본적으로 고전압이 가해진 금속재질의 블레이드 사이에 오폐수를 통과시켜 이온화된 금속과 오염물질을 결합시켜 응집 또는 응고시키는 방법을 통해 오폐수를 정화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395731호에는 전기응집방법을 구현하는 하나의 효율적인 장치에 대해 소개되어 있다. 이 장치는 챔버내에 다수의 블레이드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폐수를 챔버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급하여 지속적으로 정화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장치는 특히 오폐수의 공급방향과 평행하게 블레이드를 배치함으로써 블레이드의 마모를 균일화하면서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 소개된 오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종래의 오폐수처리장치는 챔버내를 세척하기 위한 수단이 강구되어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전기응집방법을 채용하는 폐수처리장치의 경우에는 금속이온과 오염물질의 결합을 이용하여 오폐수를 정화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챔버를 통해 지속적으로 폐수처리를 실행하게 되면 챔버의 내측 및 바닥면이나 블레이드의 측면 등에 다량의 스케일(scale)이나 이물질이 생성 및 부착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챔버나 블레이드의 표면에 생성 및 부착되는 스케일이나 이물질을 방치하게 되면 블레이드로부터 방출되는 금속이온의 양이 적어지고, 또한 블레이드 사이의 좁은 공간을 통해 흐르는 폐수의 흐름이 스케일이나 이물질에 의해 방해받게 됨으로써 폐수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오폐수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이상 폐수처리를 실행한 후에는 챔버 내부와 블레이드의 측면에 생성 및 부착되는 스케일이나 슬러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게 된다. 그러나, 챔버 내부에는 블레이드가 조밀하게 구비되어 있고, 또한 블레이드는 챔버의 깊이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챔버 내부를 세척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챔버내부의 블레이드에 생성 및 부착되는 스케일이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된 전기화학식 오폐수처리장치의 챔버 세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화학식 오폐수처리장치의 챔버 세척방법은 오폐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폐수를 정화처리하는 챔버와, 챔버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가 저장됨과 더불어 세척수를 유입하기 위한 세척수 유입관과 저장된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세척수 배출관이 구비되는 세척조 및, 다수 의 전동밸브와 구동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세척수 유입관 및 배출관과 상기 챔버의 오폐수 유입구간에 결합되는 배관을 구비하는 세척조 및 오폐수처리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전기화학식 오폐수처리장치에 적용되어 챔버를 세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챔버의 오폐수 유입구를 통해 챔버내의 오폐수를 배출하는 오폐수 배출단계와,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세척조의 세척수 배출관으로부터 세척수를 배출하여 상기 챔버의 오폐수 유입구로 투입하는 세척수 투입단계 및,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챔버의 오폐수 유입구로부터 세척수를 배출하여 세척조의 세척수 유입구로 유입하는 세척수 회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수 회수단계의 실행 후에,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챔버의 오폐수 유입구를 통해 수돗물을 투입하는 수돗물 투입단계와,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챔버의 오폐수 유입구를 통해 수돗물을 배출하는 수돗물 배출단계를 추가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챔버의 상측에는 챔버내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세척수 투입단계는 상기 수위센서의 검출신호를 근거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수 회수단계 후에 상기 제어수단이 챔버를 가동하여 오폐수를 정화처리하는 챔버 가동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오폐수 배출단계 내지 세척수 회수단계는 챔버를 통해 오폐수처리가 일정 시간이상 이루어질 때마다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기화학식 오폐수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면에서 전기화학식 오폐수처리장치는 기본적으로 챔버(10)와 세척조(20)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챔버(10)에는 선택적으로 버퍼탱크(31)를 통해 응고물 분리장치(30)가 결합된다.
상기 챔버(10)에는 내부에 다수의 블레이드(160)가 구비된다. 챔버(1)의 하측으로 유입된 폐수는 챔버(10)의 상측으로 배출되어 버퍼탱크(30)에 저장된다. 상기 세척조(20)에는 챔버(10)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가 저장된다. 상기 챔버(10)와 세척조(20)는 다수의 전동밸브(V1~V7)와 펌프(P1)를 구비하는 배관(40)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응고물 분리장치(30)는 다수, 예컨대 3대의 싸이클론(32)을 구비한다. 상기 챔버(10)로부터의 처리수는 버퍼탱크(31)에 저장되고, 이와 같이 저장된 처리수는 펌프(P2)에 의해 싸이클론(32)으로 유입된다. 싸이클론(32)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처리수로부터 응고물을 분리하고, 이때 분리된 응고물, 즉 슬러지는 싸이클론(32)의 하측으로 인도되어 슬러지 저장탱크(33)에 저장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응고물이 분리된 처리수는 싸이클론(32)의 상측을 통해 배출된다.
도 2 내지 도 5는 상기 챔버(10)와 세척조(20)를 구비하는 본 발명이 적용된 오폐수처리장치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는 본 오폐수처리장치를 정면과 측면이 이루는 모서리 부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오폐수처리장치를 배면과 측면이 이루는 모서리 부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오폐 수처리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5는 그 배면도이다.
도면에서 오폐수처리장치는 전면에 제어반(70)이 설치되고, 후측에 챔버(1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반(70)과 챔버(10) 사이에 세척조(20)가 설치되면서, 상기 세척조(20)와 챔버(10)의 하측에는 배관(40)이 구비된다. 상기 제어반(70)에는 전면에 다수의 조작 버튼과 표시기가 구비된다. 이 제어반(70)은 운영자의 조작이나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본 장치 전체를 제어하고, 특히 배관(40)에 구비되는 전동밸브(V1~V7) 및 모터(P1, P2)를 구동하여 챔버(10)에 대한 오폐수의 유입을 제거하고,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챔버(10)의 세척처리를 실행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반(70)은 필요에 따라 응고물 분리장치(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챔버(10)와 세척조(20) 및 제어반(70)은 프레임(80)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80)의 하측에는 바퀴(87)가 설치되어 본 오폐수처리장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80)의 하부에는 배관(40)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대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챔버(10)를 지지하기 위한 챔버 지지대(81)가 프레임(80)의 내측으로 한쌍이 구비된다. 챔버(10)는 챔버 지지대(81)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 6은 챔버(10)와 챔버 지지대(81)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챔버(10)의 양측 중심부분에는 회동축(131)이 구비되고, 이 회동축(131)에는 베어링이 내장된 클램프(86)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86)는 챔버 지지대(81)의 상측에 나사결합된다.
또한, 챔버(10)의 양측 하부에는 챔버(10)가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동제한돌기(132)가 설치된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회동제한돌기(10)는 챔버(10)를 챔버 지지대(81)에 결합하였을 때 챔버 지지대(81)의 일측면과 접촉되어 챔버(10)의 상측이 세척조(20)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챔버 지지대(81)의 앞쪽에는 세척조(20)를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세척조 지지대(82)(85)가 설치되고, 이 세척조 지지대(82, 85)의 상측에는 세척조 지지판(84)을 통해 세척조(20)가 놓여진다.
그리고, 챔버(10)의 상측에는 챔버(10)내의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원기둥 형상의 수위센서(90)가 구비되는데, 상기 수위센서(90)는 프레임(80)에 설치된 센서 고정대(83)를 통하여 챔버(10)의 상측에 결합된다.
이어, 챔버(10)의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챔버(10)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고, 도 8은 챔버(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챔버(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 본체(110)와, 챔버 덮개(120) 및 챔버 본체(110)를 에워싸는 본체 프레임(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 프레임(130)의 양측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동축(131)과 회동제한돌기(132)가 구비되고, 상기 챔버 덮개(120)의 중앙 부분에는 상술한 수위센서(90)를 삽입하기 위한 홀(12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챔버 본체(110)의 내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전극판(140)이 설 치된다. 이 전극판(140)은 외부적으로 "+" 또는 "-"의 고전압이 인가되는 전극(15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전극판(140)의 사이에는 다수의 블레이드(160)가 설치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상기 챔버 본체(110)의 양 측벽에는 블레이드(160)를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챔버 본체(110)의 하부에는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다수, 예컨대 4개의 공기 유입관(170)과, 오폐수의 유입을 위한 오폐수 유입구(113)가 구비된다. 상기 공기 유입관(170)은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콤프레셔나 에어 블로워 등의 공기 공급기와 결합된다.
또한, 챔버 본체(110)의 하부에는 계단 형상의 단턱(111)이 설치되어 있다. 이 단턱(111)은 전극판(140)과 블레이드(160)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지도록 하여 상기 공기 유입관(170)과 오폐수 유입구(113)를 통해 유입된 공기 및 오폐수가 각 블레이드(160)의 사이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챔버 본체(110)의 상측에는 블레이드(160)를 통해 정화처리된 처리수를 모아 배출하기 위한 처리수 배출부(112)가 구비되고, 이 처리수 배출부(112)의 하측에는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처리수 배출관(110a)과 처리수의 오염도를 조사하기 위해 처리수 샘플을 배출하기 위한 처리수 샘플 배출관(110b)이 설치된다.
도 9는 세척조(20)의 일부를 절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조(20)는 속이 비어 있는 함체로 구성되어 내부에 세척수를 저장하게 된다. 이때, 세척수로서는 특정한 것이 이용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액체 이송관 등의 막힘을 제거하고, 또한 액체 이송관 내부에 생성되는 스케일을 제거하는 용도로 사 용되는 세척수가 사용된다. 상기 세척조(20)의 상부에는 세척조 덮개(21)가 세척조(20)에 나사결합되고, 세척조 덮개(21)의 중심에는 세척조(20)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초음파 센서(22)가 결합된다. 또한, 세척조 덮개(21)의 일측에는 세척수를 유입하기 위한 세척수 유입구(23)가 형성되고, 세척조(20)의 일측면 하부에는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세척수 배출구(24)가 형성된다.
도 10는 챔버(10)와 세척조(20)를 연결하는 배관(40)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배관 구조를 평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배관(40)은 다수의 전동밸브(V1~V7)와 수동밸브(1V~6V) 및 펌프(P1)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동밸브(V1~V7) 및 펌프(P1)는 제어반(70)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배관(40)을 통해 유입 및 유출되는 모든 유체는 펌프(P1)를 통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배관(40)에는 오폐수 투입구(421), 세척수 투입구(422), 수돗물 투입구(423), 오폐수 배출구(424), 측정용 오폐수 배출구(425)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오폐수 투입구(421)는 챔버(10)에 오폐수를 유입하기 위한 것이다. 오폐수 투입구(421)로 유입된 오폐수는 수동 밸브(V1)와 전동밸브(V1)를 통해 펌프(P1)로 공급되고, 이어 펌프(P1)로부터 전동밸브(V2)와 수동밸브(5V)를 통해 오폐수 유입관(411)으로 인도되어 챔버(10)로 유입된다.
상기 세척수 투입구(422)는 세척조(20)에 세척수를 유입하기 위한 것이다. 세척수 투입구(422)로 유입된 세척수는 수동밸브(2V)를 통해 펌프(P1)로 공급되고, 이어 펌프(P1)로부터 전동밸브(V6)를 통해 세척수 유입관(412)으로 인도되어 세척 조(20)로 유입된다.
상기 수돗물 투입구(423)는 챔버(10)에 수돗물을 유입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챔버(10) 세척시 챔버(10) 내부의 세척수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수돗물 투입구(423)로 유입된 수돗물은 수동밸브(3V)와 전동밸브(V7)를 통해 펌프(P1)로 공급되고, 펌프(P1)로부터 전동밸브(V2) 및 수동밸브(5V)를 통해 오폐수 유입관(411)으로 인도되어 챔버(10)로 유입된다.
상기 오폐수 배출구(424)는 블레이드의 교환시나 챔버(10)의 내부를 세척할 때 챔버(10) 내부의 오폐수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챔버(10) 내부의 오폐수는 수동밸브(5V), 전동밸브(V4), 전동밸브(V5) 및 수동밸브(6V)를 통해 펌프(P1)로 공급되고, 이어 펌프(P1)로부터 전동밸브(V3)를 통해 오폐수 배출구(424)로 배출된다.
측정용 폐수 배출구(425)는 챔버(10)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오염상태를 측정하고자 할 때 챔버(10)로 유입되는 오폐수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측정용 오폐수 배출구(425)로 측정용 오폐수를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오폐수가 오폐수 투입구(421)로부터 챔버(10)로 유입되는 상태에서 수동밸브(4V)를 개방하여 원하는 양의 오폐수를 배출한다.
상기한 각 상태에서 언급되지 않은 수동밸브 및 전동밸브는 닫혀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어, 챔버(10) 내부의 세척처리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챔버의 세척처리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챔버(10)를 통한 오폐수처리가 일정 시간이상 지속되면 챔버(10)에 대한 세 척처리가 실행된다. 이러한 세척처리는 운용자가 제어반(70)을 조작하거나 또는 제어반(70)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된다. 자동실행방식은 기본적으로 챔버(10)를 통한 오폐수처리시간을 근거로 실행되는데, 이 경우 챔버(10)의 전극(150)에 대한 인가전압이나 펌프(P1)의 구동상태에 대한 정보가 고려될 수 있다.
제어반(70)은 챔버(10)에 대한 세척조건이 만족되면 챔버(10)에 대한 세척처리를 실행한다. 챔버(10)에 대한 세척처리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챔버(10)내에 유입되어 있는 오폐수를 배출하는 오폐수 배출단계(ST10)와, 챔버(10)내로 세척수를 투입하는 세척수 투입단계(ST20), 챔버(10)내로 투입된 세척수를 챔버(10)로부터 배출하여 다시 세척조(20)로 회수하는 세척수 회수단계(ST30), 챔버(10)내로 수돗물을 투입하여 챔버(10)내에 남아 있는 세척수를 제거하는 수돗물 투입단계(ST40) 및, 챔버(10)로부터 수돗물을 배출하는 수돗물 배출단계(ST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때 필요에 따라 세척수의 투입 및 회수와 수돗물의 투입 및 배출 단계는 2회 이상 반복 실행될 수 있다.
1. 오폐수 배출단계(ST10)
도 10 및 도 11에서 제어반(70)은 우선 전동밸브(V4, V3)를 개방하고, 다른 전동밸브는 폐쇄한 상태에서 펌프(P1)를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챔버(10) 내부의 오폐수는 수동밸브(5V), 전동밸브(V4), 펌프(P1) 및 전동밸브(V3)를 통해 오폐수 배출구(424)로 배출되게 된다. 물론, 이 경우 제어반(70)은 전극(150)을 통한 전원공급을 차단함과 더불어, 공기공급기의 구동을 정지시켜 공기 유입관(170)을 통한 압축공기 공급도 정지하게 된다.
2. 세척수 투입단계(ST20)
챔버(10)에 대한 오폐수 배출동작이 종료되면, 제어반(70)은 전동밸브(V5, V2)를 개방하고 다른 전동밸브는 폐쇄한 상태에서 펌프(P1)를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척조(20)로부터 수동밸브(6V), 전동밸브(V5), 펌프(P1), 전동밸브(V2) 및 수동밸브(5V)를 통해 챔버(10)내로 세척수가 유입되게 된다. 이때 제어반(70)은 챔버(10) 상측에 설치된 초음파 센서(10)를 통해 세척수의 수위를 검출하면서 챔버(10)에 대한 세척수 투입을 실행한다.
3. 세척수 회수단계(ST30)
챔버(10)에 대한 세척수 투입이 적정량으로 이루어지면, 제어반(70)은 투입된 세척수에 의해 챔버(10)내의 스케일 등이 충분히 제거될 수 있도록 세척수가 투입된 상태로 챔버(10)를 예컨대 1분 동안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챔버(10)에 투입된 세척수를 다시 세척조(20)로 회수처리하게 된다. 즉, 제어반(70)은 전동밸브(V4, V6)를 개방하고 다른 전동밸브는 폐쇄한 상태에서 펌프(P1)를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챔버(10)내의 세척수는 수동밸브(5V), 전동밸브(V4), 펌프(P1) 및 전동밸브(V6)를 통해 세척조(20)로 회수된다. 즉, 상기 세척조(20)에 저장되는 세척수는 챔버(10)를 세척한 후에는 다시 회수되어 반복적으로 사용된다.
4. 수돗물 투입단계(ST40)
챔버(10)로부터 세척조(20)로 세척수 회수가 종료되면, 제어반(70)은 전동밸브(V7, V2)를 개방하고 다른 전동밸브는 폐쇄한 상태에서 펌프(P1)를 구동하게 된 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수돗물 투입구(423)로부터 수돗물이 유입되어 수동밸브(3V), 전동밸브(V7), 펌프(P1), 전동밸브(V2) 및 수동밸브(5V)를 통해 챔버(10)내로 유입된다. 제어반(70)은 챔버(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수위센서(90)를 근거로 수돗물 유입을 실행된다.
5. 수돗물 배출단계(ST50)
챔버(10)내로 수돗물을 투입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 되면, 제어반 전동밸브(V2)를 개방하고 다른 전동밸브는 차단한 상태에서 오폐수 배출구(425)를 통해 챔버(10)내의 수돗물을 자연낙하방식으로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을 통해 챔버(10)에 대한 세척처리가 종료되면, 제어반(70)은 다시 챔버(10)를 통한 오폐수처리를 실행제어하게 된다.
한편, 세척조(20)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를 소정 횟수 이상 사용한 후에는 세척조(20)에 저장되는 세척수는 폐기되고 다시 새로운 세척수로 충전된다.
세척수의 폐기는 세척조(20)로부터의 자연방류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운용자가 제어반(70)을 조작하여 세척수의 폐기처리를 선택하면, 제어반(70)은 전동밸브(V5)를 개방하고 다른 전동밸브는 폐쇠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세척조(20)로부터 수동밸브(6V), 전동밸브(V5) 및 수동밸브(2V)를 통해 세척수 투입구(422)로 세척수가 배출되게 된다.
이어, 상기한 세척수 배출처리가 종료된 후 운용자가 제어반(70)을 조작하여 세척수 충전기능을 선택함과 더불어, 상기 세척수 투입구(422)로 세척수 공급관을 연결하게 되면, 제어반(70)은 전동밸브(V6)를 개방하고 다른 전동밸브는 폐쇄한 상 태에서 펌프(P1)를 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수동밸브(2V)와 펌프(P1) 및 전동밸브(V6)를 통해서 세척조(20)에 세척수가 충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충전동작에 의해 세척조(20)에 세척수가 일정 이상 충전되면, 제어반(70)은 세척조(20) 상측에 설치되는 초음파 센서(22)로 이를 감지하여 펌프(P1)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세척조(20)에 대한 세척수 충전을 종료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챔버(10)와 세척조(20)가 배관(40)을 결합된다. 그리고, 제어반(70)은 챔버(10)가 일정 시간동안 가동되게 되면, 세척조(20)의 세척수를 챔버(10)내로 공급하여 챔버(10)에 대한 세척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또한, 챔버(10)로 공급된 세척수는 세척조(20)로 회수되어 반복적으로 사용되고, 챔버(10)에 대한 세척처리가 완료되면, 챔버(10)내로 수돗물을 공급하여 챔버(10)내에 남아 있는 세척수를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챔버(10)에 대한 세척처리가 자동으로 신속하게 실행되고, 또한 이러한 세척처리에 의해 챔버(10)내의 블레이드(160)에 생성 및 부착되는 스케일 및 이물질이 완벽하게 제거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챔버(10)의 가동에 있어 큰 문제로서 제기되었던 스케일 문제가 해결되어 챔버(10)를 지속적으로 가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챔버(10)를 통해 대량의 오폐수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챔버내의 세척이 세척조에 저장되는 세척수를 통해 일정 시간단위로 또한 자동방식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챔버내의 세척에 소모되는 시간을 대폭적으로 간소화하고, 또한 챔버내의 블레이드에 스케일이 생성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는 오폐수처리장치를 지속적이면서도 연속적으로 가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폐수처리장치를 이용하여 대량의 오폐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Claims (5)

  1. 오폐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폐수를 정화처리하는 챔버와, 챔버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가 저장됨과 더불어 세척수를 유입하기 위한 세척수 유입관과 저장된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세척수 배출관이 구비되는 세척조 및, 다수의 전동밸브와 구동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세척수 유입관 및 배출관과 상기 챔버의 오폐수 유입구간에 결합되는 배관을 구비하는 세척조 및 오폐수처리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전기화학식 오폐수처리장치에 적용되어 챔버를 세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챔버의 오폐수 유입구를 통해 챔버내의 오폐수를 배출하는 오폐수 배출단계와,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세척조의 세척수 배출관으로부터 세척수를 배출하여 상기 챔버의 오폐수 유입구로 투입하는 세척수 투입단계 및,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챔버의 오폐수 유입구로부터 세척수를 배출하여 세척조의 세척수 유입구로 유입하는 세척수 회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식 오폐수처리장치의 챔버 세척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회수단계의 실행 후에,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챔버의 오폐수 유입구를 통해 수돗물을 투입하는 수돗 물 투입단계와,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챔버의 오폐수 유입구를 통해 수돗물을 배출하는 수돗물 배출단계를 추가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식 오폐수처리장치의 챔버 세척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상측에는 챔버내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수위센서의 검출신호를 근거로 챔버에 대한 세척수의 투입단계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식 오폐수처리장치의 챔버 세척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회수단계 이후에 제어수단이 챔버를 가동하여 오폐수처리를 실행하는 챔버 가동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식 오폐수처리장치의 챔버 세척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오폐수 배출단계 내지 세척수 회수단계는 챔버를 통해 오폐수처리가 일정 시간이상 이루어질 때마다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버 세척방법.
KR1020050049509A 2005-06-09 2005-06-09 전기화학식 오폐수처리장치의 챔버 세척방법 KR100808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509A KR100808967B1 (ko) 2005-06-09 2005-06-09 전기화학식 오폐수처리장치의 챔버 세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509A KR100808967B1 (ko) 2005-06-09 2005-06-09 전기화학식 오폐수처리장치의 챔버 세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245A KR20060128245A (ko) 2006-12-14
KR100808967B1 true KR100808967B1 (ko) 2008-03-04

Family

ID=37730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9509A KR100808967B1 (ko) 2005-06-09 2005-06-09 전기화학식 오폐수처리장치의 챔버 세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89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731B1 (ko) * 1998-02-27 2003-08-25 스코트 웨이드 포웰 액체의 전기응집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731B1 (ko) * 1998-02-27 2003-08-25 스코트 웨이드 포웰 액체의 전기응집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245A (ko) 200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07984A1 (en) Immediate cleaning and recirculation of cleaning fluid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0866394B1 (ko) 전기화학식 오폐수처리장치
JP4508963B2 (ja) 洗濯水処理装置および当該処理装置付洗濯機
JP2003337130A (ja) 細胞洗浄遠心機
KR100808967B1 (ko) 전기화학식 오폐수처리장치의 챔버 세척방법
KR100721761B1 (ko) 재생 플라스틱 세척장치
JP2011218266A (ja) スカム機構を具備したマイクロバブル下水再生装置
KR101109551B1 (ko) 반도체 오염폐수 처리장치
KR100860832B1 (ko) 전기화학식 오폐수처리장치를 위한 챔버의 결합구조
KR101953670B1 (ko) 냉각용 순환수의 스케일 제거 기능을 가지는 냉각탑
KR200419211Y1 (ko) 침전장치
CN113248062B (zh) 一种医疗场所用智能化污水处理系统及方法
KR100879752B1 (ko) 전기화학식 오폐수처리용 챔버를 위한 블레이드 모듈
JP5768960B2 (ja) 電子材料洗浄方法および洗浄システム
CN212581567U (zh) 一种逆渗透净水装置的冲洗控制结构
JP4074927B2 (ja) 洗浄処理装置
CN208545801U (zh) 一种马桶污水提升器
KR100761457B1 (ko) 침전장치
JP6607897B2 (ja) 医療・介護用容器の処理装置
JP2008093552A (ja) 移床式ろ過装置
JPS5829122B2 (ja) 排水処理装置
JP2006095401A (ja) し渣処理装置
JP3396684B2 (ja) 洗浄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920010992B1 (ko) 세탁기의 세제거품 제거장치 및 그 방법
CN115253490B (zh) 一种兼具空气净化功能的空气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