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799B1 -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799B1
KR100806799B1 KR1020060090069A KR20060090069A KR100806799B1 KR 100806799 B1 KR100806799 B1 KR 100806799B1 KR 1020060090069 A KR1020060090069 A KR 1020060090069A KR 20060090069 A KR20060090069 A KR 20060090069A KR 100806799 B1 KR100806799 B1 KR 100806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nsor
liner oxide
oxide layer
trench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현
Original Assignee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0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799B1/ko
Priority to US11/849,771 priority patent/US2008007042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83Processes or apparatus peculiar to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3Pixel isolation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상에 구비된 하드 마스크를 이용하여 플라즈마를 이용한 건식 식각으로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 내측에 라이너 산화막을 형성하고 상기 라이너 산화막에 대해 치밀화(Densification)를 위한 열경화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라이너 산화막에 대해 보론 계열의 도펀트를 주입하는 STI 임플란트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하드 마스크를 제거하기 위한 에싱 및 세정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 내부를 포함하여 상기 절연물질로 갭 필(gap fill)하는 단계; 및 상기 갭 필된 절연물질을 평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 센서, 전위(Dislocation), 치밀화(Densification)

Description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Image Sensor}
도 1은 종래의 이미지 센서에서 발생한 전위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STI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반도체 기판 110: 하드 마스크
111: 산화막 112: 질화막
120: 트렌치 130: 라이너 산화막
140: 절연막
본 발명은 이미지 센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위(Dislocation)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CMOS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 센서(image sensor)는 광학적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형시키는 소 자로서, 이미지 센서는 크게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ilicon) 이미지 센서와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로 구분될 수 있다. CCD 이미지 센서는 CMOS 이미지 센서에 비하여 광감도(Photo sensitivity) 및 노이즈(noise)에 대한 특성이 우수하나, 고집적화에 어려움이 있고, 전력 소모가 높다. 이에 반하여, CMOS 이미지 센서는 CCD 이미지 센서에 비하여 공정들이 단순하고, 고집적화에 적합하며, 전력 소모가 낮다.
따라서, 최근에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기술이 고도로 발전함에 따라, CMOS 이미지 센서의 제조 기술 및 특성이 크게 향상되어 CMOS 이미지 센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CMOS 이미지 센서의 화소(pixel)는 빛을 받아들이는 포토 다이오드들과 포토 다이오드들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들을 제어하는 CMOS 소자들을 구비한다. 포토 다이오드들에서는 칼라 필터를 통해 입사되는 적색(Red)광, 녹색(Green)광 및 청색(Blue)광의 파장과 세기에 따라 전자(electron)-정공(hole) 쌍이 발생하고, 발생한 전자들의 양에 따라 출력신호가 변화됨으로써 이미지를 감지할 수 있다.
CMOS 이미지 센서와 같은 이미지 센서는 포토다이오드와 같은 광전변환부가 형성되는 화소 영역과 화소 영역에서 검출되는 신호들을 검출하기 위한 주변회로 영역을 구비하고, 주변회로 영역은 화소 영역을 둘러싸도록 위치한다.
이와 같은 CMOS 이미지 센서는 제조 과정에서 STI 주입공정(Implantation)을 수행함에 따라서 갭 필(Gap Fill) 및 CMP 진행 후, 스트레스(stress)를 감소시키기 위한 치밀화(Densification) 공정을 수행할 수 없다. 치밀화 공정을 수행하면 STI 주입공정에서 주입된 불순물이 확산(Diffusion)함으로써, 소자분리막이 베리어(Barrier)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치밀화 공정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I를 형성하기 위한 식각 공정중 발생한 손상에 의한 스트레스에 의하여 A와 같은 전위(Dislocation)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 발생한 전위는 누설 전류(Junction Leakage Current, Off Leakage Current)의 원인이 되어 CMOS 이미지 센서의 성능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위(Dislocation)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CMOS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상에 구비된 하드 마스크를 이용하여 플라즈마를 이용한 건식 식각으로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 내측에 라이너 산화막을 형성하고 상기 라이너 산화막에 대해 치밀화(Densification)를 위한 열경화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라이너 산화막에 대해 보론 계열의 도펀트를 주입하는 STI 임플란트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하드 마스크를 제거하기 위한 에싱 및 세정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 내부를 포함하여 상기 절연물질로 갭 필(gap fill)하는 단계; 및 상기 갭 필된 절연물질을 평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제조방법에 따른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제조방법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00) 상에 산화막(111)과 질화막(112)으로 이루어진 적층막을 하드 마스크(110)로서 이용하여 플라즈마를 이용한 건식 식각으로 트렌치(120)를 형성한다(S201). 여기서, 플라즈마를 이용한 건식 식각은 Cl2 플라즈마 또는 Cl2 플라즈마에 HBr이 첨가된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식각하거나, 선택적으로 산소 플라즈마를 소정 함량으로 첨가하여 트렌치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트렌치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플라즈마로 HBr과 Cl2를 5:1의 비율로 혼합한 플라즈마를 사용한다.
플라즈마를 이용한 건식 식각으로 형성된 트렌치(120) 내부의 측벽에 라이너 산화막(130)을 형성하고 이와 같은 라이너 산화막(130)에 대해 치밀화(Densification)를 위한 열경화 공정을 수행한다(S202).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렌치(120)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100)에 대해 산소 가스를 예컨대, 1 ~ 5SLM으로 주입하고 600 ~ 800℃의 분위기 온도에서 30분 내지 3시간 동안 산화공정을 수행하여 100 ~ 500Å의 두께를 가지는 라이너 산화막(130)을 형성한다. 이어서, 산소 가스를 배출함과 동시에 질소 가스를 1 ~ 20SLM으로 주입하여 질소 가스의 분위기로 형성한 후, 900 ~ 1100℃로 가열하는 어닐링(annealing) 처리의 열경화 공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라이너 산화막(130)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라이너 산화막(130)에 대해 열경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전위(Dislocation)의 원인인 식각 손상 및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어 전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라이너 산화막(130)은 이후 공정에서 버퍼막(Buffer Layer)으로 작용하여 불순물의 침투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열경화 공정을 통해 경화된 라이너 산화막(130)에 대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론 계열의 도펀트를 주입하는 STI 임플란트 공정을 수행한다(S203). 여기서, STI 임플란트 공정은 예를 들어, 90KeV의 에너지로 BF를 라이너 산화막(130)으로 1E13 ~ 1E14 atoms/㎠의 도즈량으로 주입하도록 수행할 수 있다.
STI 임플란트 공정을 통해 보론 계열의 도펀트를 라이너 산화막(130)에 주입한 후, 산화막(111)과 질화막(112)으로 이루어진 하드 마스크(110)를 제거하기 위한 에싱 및 세정 공정을 수행하고,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렌치(120) 내부를 포함한 반도체 기판 위에 실리콘 산화막의 절연막(140)으로 갭 필(gap fill)하는 공정을 수행한다(S204).
갭 필 공정을 통해 형성된 절연막(140)에 대해 소정의 평탄화 공정, 예를 들어 에치 백(etch back) 공정을 수행하여 절연막(140) 표면을 평탄화한다(S205).
따라서, 라이너 산화막(130)의 형성과 라이너 산화막(130)에 대해 치밀화(Densification)를 위한 열경화 공정을 동시에 수행하여 전위의 원인인 식각 손상 및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으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위가 발생하지 않은 STI를 구비한 이미지 센서를 제조할 수 있고 추가 공정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이미지 센서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미지 센서의 제조과정에서 라이너 산화막의 형성과 라이너 산화막에 대해 치밀화(Densification)를 위한 열경화 공정을 동시에 수행하여, 전위의 원인인 식각 손상 및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고 추가 공정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이미지 센서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6)

  1. 반도체 기판상에 구비된 하드 마스크를 이용하여 플라즈마를 이용한 건식 식각으로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 내측에 라이너 산화막을 형성하고 상기 라이너 산화막에 대해 치밀화(Densification)를 위한 열경화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라이너 산화막에 대해 보론 계열의 도펀트를 주입하는 STI 임플란트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하드 마스크를 제거하기 위한 에싱 및 세정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 내부를 포함하여 절연물질로 갭 필(gap fill)하는 단계; 및
    상기 갭 필된 상기 절연물질을 평탄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마스크는 산화막과 질화막의 순서로 적층된 적층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를 이용한 건식 식각은 Cl2 플라즈마 또는 Cl2 플라즈마에 HBr이 첨가된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1 ~ 5SLM으로 산소 가스를 주입하고 600 ~ 800℃의 분위기 온도에서 30분 내지 3시간 동안 산화공정을 수행하여 100 ~ 500Å의 두께를 가지는 라이너 산화막(130)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산소 가스를 배출함과 동시에 질소 가스를 1 ~ 20SLM으로 주입하고 900 ~ 1100℃로 가열하는 어닐링(annealing)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TI 임플란트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90KeV의 에너지로 BF를 1E13 ~ 1E14 atoms/㎠의 도즈량으로 상기 라이너 산화막에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하는 단계는 에치 백(etch back) 공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
KR1020060090069A 2006-09-18 2006-09-18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 KR100806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069A KR100806799B1 (ko) 2006-09-18 2006-09-18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
US11/849,771 US20080070420A1 (en) 2006-09-18 2007-09-04 Method of fabricating image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069A KR100806799B1 (ko) 2006-09-18 2006-09-18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6799B1 true KR100806799B1 (ko) 2008-02-27

Family

ID=39189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069A KR100806799B1 (ko) 2006-09-18 2006-09-18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070420A1 (ko)
KR (1) KR1008067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76502B (zh) * 2013-10-23 2018-08-10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隔离结构及其形成方法
US10818558B2 (en) 2015-04-24 2020-10-2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emiconductor structure having trenc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235A (ko) * 2002-05-13 2003-11-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20050001533A (ko) * 2003-06-25 2005-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트렌치형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KR20050070902A (ko) * 2003-12-31 2005-07-07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41664A (ja) * 1999-04-02 2002-12-03 シリコン ヴァレイ グループ サーマル システム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側壁ライナー酸化成長前にトレンチ充填酸化物を付着させるためのトレンチ分離方法。
TW426944B (en) * 1999-10-12 2001-03-21 Vanguard Int Semiconduct Corp Method of adjusting threshold voltage of MOSFET in integrated circuit
KR100379336B1 (ko) * 2000-12-01 2003-04-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분리영역 제조방법
KR100595065B1 (ko) * 2001-06-22 2006-06-30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드라이 에칭 방법
US6642128B1 (en) * 2002-05-06 2003-11-0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for high temperature oxidations to prevent oxide edge peeling
US6727160B1 (en) * 2002-10-15 2004-04-27 Silicon Integrated Systems Corp. Method of forming a shallow trench isolation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235A (ko) * 2002-05-13 2003-11-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20050001533A (ko) * 2003-06-25 2005-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트렌치형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KR20050070902A (ko) * 2003-12-31 2005-07-07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70420A1 (en) 2008-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9700B2 (en) Method of reducing leakage current of a photodiode
KR100801053B1 (ko) 소자 분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소자의 형성 방법
US7378695B2 (en)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440540B2 (en) Method for doping a selected portion of a device
KR20060046277A (ko) 고체 촬상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62064A (ko) 씨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EP1775771A2 (en) Method for producing shallow trench isolations (STI) of semiconductor devices
Park et al. Deep trench isolation for crosstalk suppression in active pixel sensors with 1.7 µm pixel pitch
JP2011086840A (ja) 半導体素子及び半導体素子の形成方法
KR100806799B1 (ko)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
CN100576511C (zh) Cmos图像传感器的制造方法
JP2009194269A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4883353A (zh) 一种图像传感器及其制造方法
JP2007141938A (ja) 固体撮像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31119A (ko) 화소격리영역을 갖는 이미지 센서
KR20070059234A (ko) 암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
KR100731102B1 (ko) 이미지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80150067A1 (en) Image s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834935B (zh) 鈍化全前側深溝槽隔離結構的方法
KR100670537B1 (ko) 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0806786B1 (ko)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25177A (ko) 씨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0853794B1 (ko) 언더컷 방지를 위한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
KR100824634B1 (ko)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
KR100468611B1 (ko) 암신호 감소를 위한 이미지센서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