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714B1 -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및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의 흡입공개폐방법 - Google Patents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및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의 흡입공개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714B1
KR100806714B1 KR1020060020871A KR20060020871A KR100806714B1 KR 100806714 B1 KR100806714 B1 KR 100806714B1 KR 1020060020871 A KR1020060020871 A KR 1020060020871A KR 20060020871 A KR20060020871 A KR 20060020871A KR 100806714 B1 KR100806714 B1 KR 100806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steam
vacuum
uni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0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1418A (ko
Inventor
김강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020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714B1/ko
Publication of KR20070091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1Regulation of the cleaning machine by electric means; Control systems and remote control syste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흡입공을 개폐하는 흡입덮개를 포함하여, 상기 흡입공을 통해 스팀의 수분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스팀이 진공흡입본체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스팀, 진공청소기, 스프링, 회동

Description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및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의 흡입공 개폐방법{steam combined use vacuum cleaner and opening method of induction hol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흡입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흡입부 A-A'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흡입부 횡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워터팩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워터팩 설치 사시도.
도 8의 도 6의 워터팩 캡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부 110 : 호스
120 : 스위치 121 : 손잡이
130 : 연장관 131 : 이송관
132 : 지지부 140 : 흡입부
141 : 흡입공 142 : 바퀴
145 : 가이드돌기
150 : 흡입덮개 160 : 고정핀
210 : 워터팩 220 : 펌프
230 : 보일러 240 : 스팀분사호스
251 : 측부토출관 252 : 중앙토출관
253 : 스팀분사노즐 260 : 캡
261 : 캡본체 262 : 하부플랜지
263 : 스프링 264 : 상부플랜지
270 : 뚜껑 271 : 힌지
272 : 날개부
한국등록실용 제20-0401868호
본 발명은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흡입공을 개폐하는 흡입덮개를 포함하여, 상기 흡입공을 통해 스팀의 수분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스팀이 진공흡입본체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청소기는 크게 분류하면 일반 진공청소기, 스팀분사만 가능한 스팀 청소기, 스팀과 동시에 흡입이되는 스팀-진공 겸용 청소기로 나눌 수 있다.
스팀분사가 가능한 청소기는 흡입이 되는 타입과 흡입이 되지 않는 타입으로 나눌 수 있는데 흡입이 되는 타입은 고가로써 스팀을 흡수시 모터에 흡입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중간에 저장공간을 두고 수위밸브의 설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무거워지고 부피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또한 일반 먼지봉투나 사이클론 방식을 채택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이러한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는 한국등록실용 제20-0401868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스팀분사가 가능하나 흡입이 되지 않는 타입은 발생한 스팀을 자동분사하는 타입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분사조절이 가능한 타입이 있는 데 조절기능이 있는 타입이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흡입공을 개폐하는 흡입덮개를 포함하여, 상기 흡입공을 통해 스팀의 수분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스팀이 진공흡입본체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진공흡입본체와 스팀을 토출하는 스팀부를 구비한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입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흡입본체에 전원 인가시 흡입공을 통해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공을 개폐하는 흡입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흡입공을 통해 스팀의 수분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스팀이 진공흡입본체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흡입덮개는 상기 진공흡입본체의 진공압에 의해서 열리거나 닫혀서, 자동으로 흡입덮개가 열리거나 닫혀서 편의성이 증대되며, 흡입덮개가 자동으로 열리게 하기 위해 별도의 부재가 더해지지 않아서 청소기가 컴팩트해지고 단순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흡입덮개는 일단이 상기 흡입부에 연결되며 고무로 형성되어, 진공압이 가해지면 고무는 플랙서블한 소재이기 때문에 구부려져 흡입공을 열게 되고, 진공압이 가해지지 않으면 고무의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흡입덮개를 단순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흡입덮개는 상기 흡입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진공압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흡입덮개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진공압에 의해 상기 흡입덮개는 용이하게 들어올려져서 상기 흡입공을 열게 되며, 진공압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흡입덮개를 흡입부에 밀착시킬 수 있어서 흡입공으로 스팀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흡입덮개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흡입덮개가 스팀의 고온에 약간 변형이 일어나더라도 가이드돌기가 상기 흡입덮개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여 흡입공이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출부는 상기 흡입부 하부 양측으로 상기 스팀을 토출하는 측부토출관과, 상기 측부토출관에 분기되어 형성되어 상기 흡입부 하부 중앙으로 분사하는 중앙토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측부토출관의 직경보다, 상기 중앙토출관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되어, 측부토출관과 중앙토출관에서 동일한 양의 스팀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의 흡입공 개폐방법은, 진공흡입본체 또는 스팀부의 사용여부를 입력받는 입력단계와, 상기 진공흡입본체 사용시에는 상기 진공흡입본체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스팀부에는 전원을 인가하지 않고, 상기 스팀부 사용시에는 상기 스팀부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진공흡입본체에는 전원 인가하지 않는 전원인가단계와, 상기 진공흡입본체에 전원이 인가되면 흡입부의 흡입공을 열고, 상기 스팀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흡입부의 흡입공을 닫는 흡입공개폐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흡입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흡입부 A-A'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흡입부 횡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워터팩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1의 워터팩 설치 사시도이고, 도 8의 도 6의 워터팩 캡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는, 진공흡입본체와, 상기 진공흡입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흡입본체에 전원 인가시 흡입공(141)을 통해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부(140)와, 물통과 상기 물통의 물을 가열하는 보일러(230)와 상기 보일러(230)에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230)에 전원인가시 스팀을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스팀부와, 상기 흡입공(141)을 개폐하는 흡입덮개(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진공흡입본체는 먼지흡입을 위한 모터와 코드를 보관하기 위한 코드릴과 먼지통을 가지는 본체부(100), 손잡이(121)와 본체부(100)를 연결하며 전원공급용 코일을 지닌 호스(110), 손잡이(121)와 흡입부(140) 사이를 연결하며 길이 조정이 가능한 연장관(130)을 포함한다.
상기 진공흡입본체는 종래의 진공청소기에 적용되는 것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흡입부(140)는 상기 진공흡입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흡입본체에 전원 인가시 관통형성된 흡입공(141)을 통해 먼지를 흡입한다.
흡입부(140)의 하면은 청소바닥에 밀착될 수 있도록 평면으로 형성되며, 상면은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면과 상면 사이에는 먼지 등이 모일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흡입부(140) 하단 전방 양측에는 청소가 용이하도록 바퀴(142)가 설치된다.
이송관(131)은 상기 진공흡입본체의 연장관(130)과 흡입부(140)를 연결하며, 흡입부(140)로 흡입된 먼지를 먼지통 등으로 이송한다.
상기 물통은 양측면에 물결모양으로 굴곡부가 형성되고, 플랙서블한 소재로 형성되며 유출구가 형성된 워터팩(210)으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워터팩(210)은 재질을 투명 수지를 사용하여 물의 잔존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132)는 이송관(131)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내통과, 상기 내통에 수직하게 연결된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수직하게 연결된 외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지지부(132)의 바닥면은 상기 내통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통은 상기 이송관(131)에 일체로 형성된다.
워터팩(210)은 상기 내통과 상기 외벽 사이에 끼워져서 배치된다.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는 캡(260)이 구비되며, 상기 캡(260)은, 상면에 유출공이 형성된 캡본체(261)와, 상기 유출공에 삽입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캡본체(261) 외측에 배치되는 상부플랜지(264)와, 상기 프레임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캡본체(261) 내측에 배치되는 하부플랜지(262)와, 상기 상부플랜지(264)와 상기 캡본체(261)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263)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캡(260)은 가습기의 물통에 쓰이는 캡과 같은 원리로 적용될 수 있다.
지지부(132)의 바닥면에는 상기 상부플랜지(264)를 누르는 누름돌기가 형성된다.
이로써, 워터팩(210)은 평상시에는 스프링(263)의 힘에 의해 하부플랜지(262)가 캡본체(261)에 밀착되어 물이 빠져나오지 않게 되며, 워터팩(210)을 상기 내통과 상기 외벽 사이에 끼워넣으면 상기 누름돌기가 상부플랜지(264)를 눌러서 하부플랜지(262)가 캡본체(261)로부터 이격되어 물이 상기 관통공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한편, 물교환등을 위하여 워터팩(210)을 들어 올릴 경우 스프링(263)의 장력에 의해 하부플랜지(262)가 캡본체(261)에 밀착되어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펌프(220)는 상기 내통 또는 이송관(131)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관통공에 연결되어 스팀발생을 위한 물을 공급하는 워터팩(210)으로부터 보일러(230)로 이송해준다.
보일러(230)는 상기 내통 또는 이송관(131) 내부에 배치되며, 공급된 물을 히터를 이용하여 끓여 스팀으로 만들어준다.
나아가, 펌프(220)가 작동을 해 워터팩(210)에서 제공된 물을 끌어올려 보일러(230) 안으로 뿜어줄 때, 보일러(230) 안으로 안개 형태로 분사해 주도록 미세한 크기의 분사구를 가지는 분사노즐이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보일러(230)에 유입된 물은 순간적으로 스팀으로 변환가능하게 되고 스팀발생 대기시간도 줄어들게 된다.
상기 분사노즐의 형상 및 종류 등은 보일러(230) 내부의 형상 및 스팀분사량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스팀분사호스(240)는 상기 내통 또는 이송관(131)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보일러(230)에서 발생된 스팀을 토출부로 이동시켜주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펌프(220), 보일러(230), 스팀분사호스(240)는 상기 내통 또는 이송관(131) 내부에 배치되어, 스팀청소에 관련한 부품들을 진공청소기 부품의 내부에 배치하여 장치를 전체적으로 컴팩트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워터팩(210)은 지지부(132)의 상기 내통과 상기 외벽 사이에 삽입하는데 이때 청소기의 사용시 흔들림에 의해서 지지부(132)와 상기 워터팩(210) 사이로 누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워터팩(210) 상부에 오도록 상기 내통과 상기 외벽 사이에 뚜껑(270)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뚜껑(270)은 뚜껑본체와 상기 뚜껑본체에 힌지(271)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날개부(272)가 구비된다.
상기 힌지(271)는 지지부(132)의 외벽에 설치되어, 상기 뚜껑본체도 날개부(272)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된다.
또한, 뚜껑(270)과 지지부(132) 사이에는 실링부재를 배치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날개부(272)와 상기 뚜껑본체를 회동시켜서 양단 사이 간격을 벌어지게 하여 상기 외벽과 상기 내통 사이에 워터팩(210)을 끼워넣고 날개부(272)와 상기 뚜껑본체를 회동시켜서 날개부(272)와 상기 뚜껑본체의 양단을 고리 등으로 연결시켜서 워터팩(210)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워터팩(210)을 지지부(132)에 삽입시에는 둥그렇게 말아서 상기 내통을 둘러싸도록 삽입하게 되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지지부(132)의 지름 방향의 부피증가를 줄일 수 있고, 워터팩(210)의 무게가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아서 지지부(132) 둘레로 고른 힘을 분포시킬수 있기 때문에 청소시 균형을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미관상으로도 지지부(132)가 컴팩트하게 유지되어 슬림하게 느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플랙서블한 워터팩(210)으로 하여 전체적으로 중량이 감소되며, 워터팩(210)의 탈부착 및 물교환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워터팩(210)의 높이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외벽 상단까지의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뚜껑(270)을 닫게 되면 워터팩(210)이 약간 눌리도록 하여 상기 바닥면과 상기 캡(260)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부는 상기 보일러(230)에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230)에 전원인가시 흡입부(140) 하부로 스팀을 토출한다.
상기 토출부는 흡입부(140) 하부 양측으로 상기 스팀을 토출하는 측부토출관(251)과, 상기 측부토출관(251)에 분기되어 형성되어 상기 흡입부(140) 하부 중앙으로 분사하는 중앙토출관(252)을 포함한다.
여기서, 스팀분사노즐(253)에 멀리 배치된 상기 측부토출관(251)의 직경보다, 스팀분사노즐(253)에 가깝게 배치된 상기 중앙토출관(252)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되어, 측부토출관(251)과 중앙토출관(252)에서 동일한 양의 스팀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양이 분사될 수 있도록 측부토출관(251)과 중앙토출관(252)의 곡률도 다르게 변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스팀이 효과적으로 분사되도록 스팀분사노즐(253)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스팀분사 물걸레청소모드를 선택할 경우 상기 내통 중간에 위치한 펌프(220)가 작동을 해 워터팩(210)에서 제공된 물을 끌어올려 보일러(230) 안으로 뿜어주게 된다.
보일러(230)를 통과한 물은 스팀으로 변하여 상기 토출부를 통해 걸레로 이송된다.
제어부는 상기 진공흡입본체에 전원 인가시에는 상기 보일러(230)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고, 상기 보일러(230)에 전원을 인가시에는 상기 진공흡입본체에 전원 인가하지 않는다.
즉, 상기 제어부에 의해 스팀분사를 이용한 물걸레 청소와 일반 흡입청소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스위치(120)로 구비되거나, 각각 별도의 전원버튼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를 통해 흡입력을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
흡입덮개(150)는 흡입공(140)을 개폐하며, 진공압에 의해서 열리거나 닫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40)에 연결되어 진공압이 가해질 경우에는 상기 흡입공(141)을 열고, 진공압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흡입공(141)을 닫는다.
흡입덮개(150)는 흡입부(140) 내측에 배치되어, 가요성이 있어서 탄성변형이 가능한 부드러운 재질의 고무나 합성 수지 재료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어느 정도 열을 견디는 재질로 하면 바람직하다.
흡입덮개(150)는 일단이 고정핀(160)에 의해 흡입부(140)에 연결되고 고무로 형성되어, 진공압이 가해지면 고무는 플랙서블한 소재이기 때문에 상기 흡입력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구부려져 흡입공(141)을 열게 되고, 진공압이 가해지지 않으면 탄성변형되었던 고무는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흡입덮개(150)를 단순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흡입덮개(150)는 일반적인 보관상태나 스팀분사 물걸레 청소를 행하는 경우에는 흡입공(141)를 덮고 있으나 진공흡입청소가 시작되면 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덮개(150) 고정된 부분의 반대부분이 들어올려지게 되어 흡입공(141)은 열리게 되어 일반 먼지의 흡입이 이뤄지게 된다.
따라서, 스팀분사 물걸레 청소시에 분사되는 스팀이 흡입부(140) 내벽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해주어 흡입부(140) 내벽의 오염을 방지하고 또한 물걸레 청소 후 바로 흡입청소를 시행할 경우 잔존하고 있는 스팀이 흡입되는 먼지와 결합하여 먼지통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주게 된다.
흡입덮개(150)는 흡입부(140) 전면 또는 후면 바닥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수도 흡입력과 흡입덮개(150)의 재질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상기 흡입덮개(150)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흡입덮개(150)가 흡입공(141)을 막을 때 상기 흡입부(140)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145)가 형 성되어, 보관중이나 스팀분사 물걸레 청소시에 흡입덮개(150)를 잡아 당겨주는 역할을 하여 흡입덮개(150)가 열에 의해 변형 되거나 늘어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상기 흡입덮개(150)는 상기 흡입부(14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진공압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흡입덮개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진공압에 의해 상기 흡입덮개는 용이하게 들어올려져서 상기 흡입공(141)을 열게 되며, 진공압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흡입덮개(150)를 흡입부(140)에 밀착시킬 수 있어서 흡입공(141)으로 스팀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은 흡입부(140)에 연결되고 타단은 흡입덮개(150)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탄성부재가 별도로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흡입덮개(150)는 플랙서블한 재질이 아닌 단단한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덮개(150)를 흡입부(14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흡입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는 흡입덮개(150)가 자중에 의해 회동되어 흡입공(141)을 막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흡입덮개(150)가 일정각도 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흡입공(140)에 흡입덮개(150)를 끼우거나 빼서 흡입덮개(150)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흡입덮개(150)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물걸레 청소를 위하여 사용되는 물걸레는 물흡수 및 단면적이 넓은 극세사 섬유로 구성되며 끝단에는 고무줄을 연결하여 흡입부(140)에 결합하고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의 흡입공 개폐방법은, 진공흡입본체 또는 스팀부의 사용여부를 입력받는 입력단계와, 상기 진공흡입본체 사용시에는 상기 진공흡입본체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스팀부에는 전원을 인가하지 않고, 상기 스팀부 사용시에는 상기 스팀부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진공흡입본체에는 전원 인가하지 않는 전원인가단계와, 상기 진공흡입본체에 전원이 인가되면 흡입부(140)의 흡입공(141)을 열고, 상기 스팀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흡입부(140)의 흡입공(140)을 닫는 흡입공개폐단계를 포함한다.
입력단계는 진공흡입본체 또는 스팀부의 사용여부를 사용자의 스위치(120) 작동을 통해 입력받는다.
전원인가단계는 상기 진공흡입본체 사용시에는 상기 진공흡입본체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스팀부에는 전원을 인가하지 않고, 상기 스팀부 사용시에는 상기 스팀부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진공흡입본체에는 전원 인가하지 않는다.
흡입공개폐단계는 흡입덮개(150)를 통해 상기 진공흡입본체에 전원이 인가되면 흡입부(140)의 흡입공(141)을 열고, 상기 스팀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흡입부(140)의 흡입공(140)을 닫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흡입공을 개폐하는 흡입덮개를 포함하여, 상기 흡입공을 통해 스팀의 수분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스팀이 진공흡입본체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팀분사 물걸레 청소시에 분사되는 스팀이 흡입부 내벽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해주어 흡입부 내벽의 오염을 방지하고 또한 물걸레 청소 후 바로 흡입청소를 시행할 경우 잔존하고 있는 스팀이 흡입되는 먼지와 결합하여 먼지통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주게 된다.
상기 흡입덮개는 상기 진공흡입본체의 진공압에 의해서 열리거나 닫혀서, 자동으로 흡입덮개가 열리거나 닫혀서 편의성이 증대되며, 흡입덮개가 자동으로 열리게 하기 위해 별도의 부재가 더해지지 않아서 청소기가 컴팩트해지고 단순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흡입덮개는 일단이 상기 흡입부에 연결되며 고무로 형성되어, 진공압이 가해지면 고무는 플랙서블한 소재이기 때문에 구부려져 흡입공을 열게 되고, 진공압이 가해지지 않으면 고무의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흡입덮개를 단순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흡입덮개는 상기 흡입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진공압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흡입덮개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진공압에 의해 상기 흡입덮개는 용이하게 들어올려져서 상기 흡입공을 열게 되며, 진공압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흡입덮개를 흡입부에 밀착시킬 수 있어서 흡입공으로 스팀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흡입덮개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흡입덮개가 스팀의 고온에 약간 변형이 일어나더라도 가이드돌기가 상기 흡입덮개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여 흡입공이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출부는 상기 흡입부 하부 양측으로 상기 스팀을 토출하는 측부토출관과, 상기 측부토출관에 분기되어 형성되어 상기 흡입부 하부 중앙으로 분사하는 중앙토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측부토출관의 직경보다, 상기 중앙토출관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되어, 측부토출관과 중앙토출관에서 동일한 양의 스팀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6)

  1. 진공흡입본체와 스팀을 토출하는 스팀부를 구비한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입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흡입본체에 전원 인가시 흡입공을 통해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공을 개폐하는 흡입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덮개는 상기 진공흡입본체의 진공압에 의해서 열리거나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덮개는 상기 흡입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진공압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흡입덮개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덮개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5. 제 1항에 있어서,
    스팀을 토출하는 토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토출부는 상기 흡입부 하부 양측으로 상기 스팀을 토출하는 측부토출관과, 상기 측부토출관에 분기되어 형성되어 상기 흡입부 하부 중앙으로 분사하는 중앙토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측부토출관의 직경보다, 상기 중앙토출관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6. 진공흡입본체 또는 스팀부의 사용여부를 입력받는 입력단계;
    상기 진공흡입본체 사용시에는 상기 진공흡입본체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스팀부에는 전원을 인가하지 않고, 상기 스팀부 사용시에는 상기 스팀부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진공흡입본체에는 전원 인가하지 않는 전원인가단계;
    상기 진공흡입본체에 전원이 인가되면 흡입부의 흡입공의 흡입덮개가 진공압에 의해 열리고, 상기 스팀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흡입부의 흡입공의 흡입덮개가 진공압에 의해 닫히는 흡입공개폐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의 흡입공 개폐방법.
KR1020060020871A 2006-03-06 2006-03-06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및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의 흡입공개폐방법 KR100806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871A KR100806714B1 (ko) 2006-03-06 2006-03-06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및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의 흡입공개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871A KR100806714B1 (ko) 2006-03-06 2006-03-06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및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의 흡입공개폐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418A KR20070091418A (ko) 2007-09-11
KR100806714B1 true KR100806714B1 (ko) 2008-02-27

Family

ID=38689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0871A KR100806714B1 (ko) 2006-03-06 2006-03-06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및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의 흡입공개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7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580B1 (ko) * 2007-06-05 2008-10-09 주식회사 홈파워 스팀청소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2610A (ko) * 1988-02-09 1989-09-18 어거스토 아놀드 살균효과를 갖는 진공청소기
KR950026462A (ko) * 1994-03-16 1995-10-16 이헌조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의 로울러형 걸레구 제동장치
US5613271A (en) * 1994-10-17 1997-03-25 Robert Thomas Metall- Und Elektrowerke Vacuum cleaner
US6090174A (en) * 1997-04-01 2000-07-18 U.S. Philips Corporation Separator device provided with a cyclone chamber with a centrifugal unit, and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such a separator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2610A (ko) * 1988-02-09 1989-09-18 어거스토 아놀드 살균효과를 갖는 진공청소기
KR950026462A (ko) * 1994-03-16 1995-10-16 이헌조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의 로울러형 걸레구 제동장치
US5613271A (en) * 1994-10-17 1997-03-25 Robert Thomas Metall- Und Elektrowerke Vacuum cleaner
US6090174A (en) * 1997-04-01 2000-07-18 U.S. Philips Corporation Separator device provided with a cyclone chamber with a centrifugal unit, and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such a separa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418A (ko) 2007-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5783B1 (en) Water cleaning device and cleaner having the same
TWI769892B (zh) 清掃機
KR100662390B1 (ko) 증기발생장치, 증기발생장치의 제어방법, 이를 이용한청소기 및 청소기의 제어방법
RU2357642C2 (ru) Пылесос и его узел с всасывающим отверстием
US10004371B2 (en) Cleaner
CA1291854C (en) Arrangement of filter bags in electric vacuum cleaners
KR101217366B1 (ko) 로봇청소기
US20240138644A1 (en) Cleaner
KR100768008B1 (ko)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KR100806714B1 (ko)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및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의 흡입공개폐방법
CN113574232A (zh) 具有平坦的底部面的智能马桶盖本体
KR101610704B1 (ko) 가습기
KR100404114B1 (ko) 스팀청소기의 증기발생장치
KR20070078482A (ko) 진공청소기용 걸레물공급장치
KR100821920B1 (ko) 스팀-진공 겸용 청소기
KR100800185B1 (ko) 청소기
US20240130591A1 (en) Cleaner
EP4298976A1 (en) Cleaner
KR20220122473A (ko) 청소기
RU2455918C1 (ru) Насадка пылесоса
KR20240001990A (ko) 청소기
JPS6348265Y2 (ko)
WO2015024195A1 (zh) 一种风扇
JPS6014475Y2 (ja) スチ−ムアイロン用ユニツトポンプ装置
JPS5927581B2 (ja) 美顔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