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660B1 - 코크스오븐의 상승관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코크스오븐의 상승관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660B1
KR100806660B1 KR1020070018351A KR20070018351A KR100806660B1 KR 100806660 B1 KR100806660 B1 KR 100806660B1 KR 1020070018351 A KR1020070018351 A KR 1020070018351A KR 20070018351 A KR20070018351 A KR 20070018351A KR 100806660 B1 KR100806660 B1 KR 100806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valve opening
valve
closing
fing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민수
Original Assignee
(주)새텍
손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새텍, 손민수 filed Critical (주)새텍
Priority to KR1020070018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1/00Safety devices, e.g. signalling or controlling devices for use in the discharge of coke
    • C10B41/08Safety devices, e.g. signalling or controlling devices for use in the discharge of coke for the withdrawal of the distillation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7/00Arrangements for withdrawal of the distillation gases
    • C10B27/06Conduit details, e.g. 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크스오븐의 상승관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크스오븐의 상승관에 형성된 고압안수밸브(122)를 작동케하는 안수밸브 개페장치(10)의 헤드부(20)에 제한된 각도로 좌우 회전하는 한 쌍의 핑거(22a)(22b)를 연동하도록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핑거(22a)(22b) 모두가 고압안수밸브(122)의 레버에 접촉하기까지의 준비구간과 실제 고압안수밸브(122)를 회전하는 구동구간의 회전각도를 인식하여 제어되도록 한 안수밸브 개폐장치(10)와, 상기 상승관에서 분기된 가스포집관에 형성된 댐퍼밸브(123)를 개폐하는 댐퍼밸브 개폐장치(30)의 유압실린더(31) 선단에 마그넷헤드(34)를 유니버셜조인트(35)로 체결한 댐퍼밸브 개폐장치(30)를 포함한 상승관 제어장치를 구성함으로써, 고압안수밸브(122)와 안수밸브 개폐장치(10) 사이에 회전중심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고압안수밸브(122)의 원활한 개폐작업이 가능하고, 안수밸브 개폐장치(10)의 준비구간과 구동구간의 정확한 시작 및 종료 시점을 파악할 수 있어 안수밸브 개폐장치(10)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며, 댐퍼구동링크(124)의 부착판(125)이 변형되더라도 안정적으로 구동력을 댐퍼밸브(123)에 전달할 수 있는 코크스오븐의 상승관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크스오븐, 상승관, 고압안수밸브, 제련시설, 개폐장치

Description

코크스오븐의 상승관 제어장치{Control apparatus of the ascension pipe in a coke ovens}
도 1은 일반적인 코크스오븐 및 상승관의 구성을 나타태는 개략도
도 2는 종래 안수밸브 개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종래 안수밸브 개폐장치의 작용상태도
도 4는 종래 안수밸브 개폐장치의 문제점을 도시한 작용상태도
도 5는 종래 댐퍼밸브 개폐장치의 작용상태도
도 6은 종래 댐퍼밸브 개폐장치의 문제점을 도시한 작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수밸브 개폐장치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수밸브 개폐장치의 헤드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수밸브 개폐장치의 핑거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안수밸브 개폐장치의 핑거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수밸브 개폐장치의 핑거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수밸브 개폐장치의 복귀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수밸브 개폐장치의 작용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밸브 개폐장치의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밸브 개폐장치의 작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안수밸브 개폐장치 11: 엑추에이터
11a: 회전구동부 11b: 직선구동부
12: 서보밸브 13: 압력센서
14: 엔코더 15: 제어기
20: 헤드부 21: 핑거축
22a, 22b: 핑거 23: 기준면
24a, 24b: 경사면 25a, 25b: 하우징
26a, 26b: 판스프링 27: 스토퍼
30: 댐퍼밸브 개폐장치 31: 유압실린더
32: 플레이트 33: 스프링
34: 마그넷헤드 35: 유니버셜조인트
본 발명은 코크스오븐의 상승관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석탄장입차가 코크스오븐의 탄화실에 원료석탄을 장입할 때, 상기 석탄장입차의 상승관 제어장치가 코크스오븐의 상승관 덮개를 개방함에 있어서, 상기 상승관으로부터 방출되는 유해가스의 포집을 위하여 상승관내에 암모니아를 살포하도록 하는 고압안수밸브의 원활한 작동과, 상기 원료석탄 장입시 발생한 다량의 분탄(粉炭)이 상승관에서 분기된 가스포집관을 통하여 유해가스 처리시설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댐퍼밸브의 원활한 작동을 보장할 수 있는 상승관 제어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코크스오븐의 원료석탄 장입작업을 완전 무인화 할 수 있도록 한 코크스오븐의 상승관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제련시설에 주로 설비되는 코크스오븐은 원료석탄을 고온으로 건류하여 코크스를 생산하는 장치로서 상기 코크스오븐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 1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코크스오븐(100)은 공급된 원료석탄을 고온으로 건류하여 코크스(C)를 생성하는 탄화실(110)과, 상기 탄화실(110)에서 발생한 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는 상승관(120)과, 상기 탄화실(110)에 원료석탄을 공급하는 석탄장입차(130)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승관(12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상승관(120)의 상단에는 덮개(121)를 형성하여 평상시 상기 덮개(121)가 폐쇄함으로써 탄화실(110)에서 발행한 황화수소 등을 포함하는 유해가스가 상승관(120)에서 분기된 가스포집관(126)을 통하여 유해가스 처리시설(흡수탑)로 유출되어 처리되도록 하고, 건류를 마친 코크스(C)를 탄화실(110)로부터 압출하여 배출한 후 석탄장입차(130)로부터 원료석탄을 탄화실(110)에 재장입 할 경우에는 상기 상승관(120)의 덮개(121)를 개방하는바, 이때 개방된 상승관(120)을 통하여 대기로 방출되는 유해가스 중에서 황화수소를 포집하기 위하여 상승관(120)의 내부에는 암모니아를 살포하는데 상기 상승관(120)의 일측에 암모니아의 살포를 제어하는 고압안수밸브(122)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가스포집관(126)의 내부에는 댐퍼밸브(123)를 형성하여 상기 댐퍼밸브(123)를 폐쇄함으로써 원료석탄의 장입시 발생하는 다량의 분탄이 가스포집관(126)을 통하여 유해가스 처리시설(흡수탑)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석탄장입차(130)에는 상승관(120)의 덮개(121)를 개방하는 상승관덮개 개방장치와, 상승관(120)의 고압안수밸브(122)를 개폐하는 안수밸브 개폐장치와, 상승관(120)에서 분기된 가스포집관(126)의 댐퍼밸브(123)를 개폐하는 댐퍼밸브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상승관 제어장치가 장착되는바, 상기 석탄장입차(130)에 장착된 상승관 제어장치에 있어 안수밸브 개폐장치와 댐퍼밸브 개폐장치의 종래 구성 및 작용을 하기에서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종래 안수밸브 개폐장치(131)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안수밸브 개폐장치(131)는 석탁장입차(130)에 장착되는 것으로, 유압에 의하여 전후진 및 회전작동을 하는 통상의 엑추에이터(132)와, 상기 엑추에이터(132)에 의하여 작동하는 한 쌍의 핑거(133)(134)로 구성되는바, 석탄장입차(130)가 원료석탄을 장입하고자 하는 탄화실(110)로 이동하여 원료석탄을 장입함과 아울러 석탄장입차(130)에 설치된 상승관덮개 개방장치(미도시)가 해당 탄화 실(110)의 상승관 덮개(121)를 개방하면, 상기 안수밸브 개폐장치(131)의 핑거(133)(134)가 엑추에이터(132)의 작동에 따라 상승관(120)의 고압안수밸브(122)측으로 전진한 후 회전함으로써 상기 고압안수밸브(122)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안수밸브 개폐장치(131)의 작용을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고압안수밸브(122)의 개방시 수직상태의 고압안수밸브(122)에 대하여 한 쌍의 핑거(133)(134)가 45°의 사선방향으로 전진하여 정위치한 다음 일측으로 회전하여 고압안수밸브(122)를 수평상태로 개방한 후 후퇴 및 회전하여 원상태로 복귀하고(도 3a 참고), 고압안수밸브(122)의 폐쇄시에는 수평상태의 고압안수밸브(122)에 대하여 한 쌍의 핑거(133)(134)가 45°의 사선방향으로 전진하여 정위치한 다음 개방시의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압안수밸브(122)를 수직상태로 폐쇄한 후 후퇴 및 회전하여 원상태로 복귀한다(도 3b 참고). 이때 안수밸브 개폐장치(131)의 전체 회전구간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45°의 사선방향에서 회전하여 수직 또는 수평상태의 고압안수밸브(122)와 접촉하기까지의 준비구간과 실제 고압안수밸브(122)를 90°회전시키는 구동구간으로 나누어지데, 종래 준비구간과 구동구간의 회전은 회전개시에서 회전종료까지의 전체 회전구간을 타이머로 제어하였다. 한편, 상기에 있어 준비구간은 45°보다 X°만큼 작은데 이는 핑거(133)(134) 및 고압안수밸브(122)의 레버가 갖는 직경에 의하여 한 쌍의 핑거(133)(134)가 수직 또는 수평상태가 되기 전에 상기 고압안수밸브(122)와 접촉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안수밸브 개폐장치의 경우 안수밸브 개폐장치(131)의 회전중심과 고압안수밸브(122)의 회전중심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였는데 이를 하기에서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온도변화에 따른 변형이나 물리적인 외력에 의한 고압안수밸브(122)의 변형, 또는 석탄장입차의 정지위치 오차에 의하여 도 4의 (A)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수밸브 개폐장치(131)의 중심이 고압안수밸브(122)의 중심에서 이탈하여 제1사부면(A) 또는 제3사부면(C)에 위치할 경우 타이머에 의하여 회전량이 제어되는 안수밸브 개폐장치(131)의 핑거(133)(134)가 전체 회전구간{(45°-X°)+90°}을 모두 회전하면 고압안수밸브(122)의 개방위치를 넘어서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고압안수밸브(122)의 휨과 같은 변형을 유발하거나 안수밸브 개폐장치(131)에 과부하를 유발한다. 그리고, 도 4의 (B)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수밸브 개폐장치(131)의 중심이 고압안수밸브(122)에서 이탈하여 제2사부면(B) 또는 제4사부면(D)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안수밸브 개폐장치(131)의 핑거(133)(134)가 전체 회전구간{(45°-X°)+90°}을 모두 회전하더라도 고압안수밸브(122)가 완전히 개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도 4의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수밸브 개폐장치(131)의 회전중심이 고압안수밸브(122)의 회전중심에서 벗어날 경우, 안수밸브 개폐장치(131)에 형성된 한 쌍의 핑거(133)(134)가 고압안수밸브(122)의 레버 양측단에 모두 접촉하지 못하고 어느 한 쪽의 핑거(도 4에서 해칭한 부분의 핑거)만이 고압안수밸브(122)의 레버 일측단에 접촉함으로써, 안수밸브 개폐장치(131) 및 고 압안수밸브(122)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오작동 및 변형의 원인이 된다.
이하 도 1 및 도 5를 참고하여 석탄장입차(130)에 장착된 상승관 제어장치에 있어 상승관(120)에서 분기된 가스포집관(126)의 댐퍼밸브(123)를 개폐하는 댐퍼밸브 개폐장치(136)의 종래 구성 및 작용을 살펴본다.
상기 댐퍼밸브 개폐장치(136)는 석탁장입차(130)에 장착되는 것으로, 전후진 하는 통상의 유압실린더(137)와, 상기 유압실린더(137)의 선단에 형성하되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마그넷헤드(138)로 구성되는바, 석탄장입차(130)가 원료석탄을 장입하고자 하는 탄화실(110)로 이동하여 원료석탄을 장입함에 있어, 석탄장입차(130)에 설치된 상승관덮개 개방장치(미도시)가 해당 탄화실(110)의 상승관 덮개(121)를 개방함과 아울러 안수밸브 개폐장치가 해당 고압안수밸브(122)를 개방하면, 상기 댐퍼밸브 개폐장치(136)의 마그넷헤드(138)에 자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137)를 진전하여 가스포집관(126)에 형성된 댐퍼구동링크(124)의 부착판(125)에 상기 마그넷헤드(138)가 접합되도록 한 후, 상기 유압실린더(137)로 마그넷헤드(138)를 후퇴시켜 상기 댐퍼구동링크(124)의 작동에 따라 댐퍼밸브(123)를 개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댐퍼밸브 개폐장치(136)에 의하면, 온도변화에 따 른 변형이나 물리적인 외력 등 여러가지 요인에 의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구동링크(124)의 부착판(125)이 수직상태에서 변형할 경우, 상기 댐퍼구동링크(124)의 부착판(125)과 댐퍼밸브 개폐장치(136)의 마그넷헤드(138) 사이에 접합이 견고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댐퍼밸브(123)의 정상적인 개폐가 되지 않는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코크스오븐에 원료석탄 장입시 상승관 덮개의 개방과 함께 고압안수밸브를 개방함과 아울러 댐퍼밸브를 폐쇄함에 있어서, 고압안수밸브와 안수밸브 개폐장치 사이에 회전중심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고안압수밸브의 변형이나 안수밸브 개폐장치의 과부하가 없이 고압안수밸브의 원활한 개폐작업이 가능함과 아울러 댐퍼밸브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댐퍼구동링크의 부착판이 변형되더라도 안정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코크스오븐의 상승관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 안수밸브 개폐장치의 회전구간에 있어 준비구간과 구동구간의 정확한 시작 및 종료 시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압안수밸브의 개폐작업을 보다 안정적으로 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개폐작업간 작업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한 상승관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크스오븐의 상승관 제어장치의 구성을 하기에서 도 7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상세히 살펴보되, 도 1 내지 도 6과 동일한 구성은 설명의 중복을 피하고자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상승관 제어장치는 코크스오븐의 석탄장입차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코크스오븐의 탄화실에 원료석탄을 장입하는 경우 상기 코크스오븐의 상승관에 형성된 고압안수밸브(122)를 개폐하는 안수밸브 개폐장치(10)와, 상기 상승관에서 분기된 가스포집관에 형성된 댐퍼밸브(123)를 개폐하는 댐퍼밸브 개폐장치(30)로 구성되는바, 상기 안수밸브 개폐장치(10)와 댐퍼밸브 개폐장치(30)를 포함하는 상승관 제어장치에 있어 우선 안수밸브 개폐장치(10)의 구성을 하기에서 살펴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안수밸브 개폐장치(10)는, 전후진 및 회전하는 통상의 엑추에이터(11)에 의하여 작동하는 헤드부(20)를 핑거축(21)과 한 쌍의 하우징(25a)(25b)으로 구분하여 형성하되, 상기 핑거축(21)은 한 쌍의 핑거(22a)(22b)를 양측단에 형성하여 상기 한 쌍의 핑거(22a)(22b)가 연동하도록 하고, 환봉(丸棒) 형태를 갖는 핑거축(21)의 일측면은 평면으로 가공하여 기준면(23)을 형성하며, 상기 기준면(23)에는 상기 기준면(23)의 가상의 축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 측 하향으로 경사진 다수의 경사면(24a)(24b)을 서로 엇갈리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핑거축(21)이 설치되는 한 쌍의 하우징(25a)(25b)은 상기 핑거축(21)이 제한된 각도로 좌우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하우징(25a)(25b) 중에서 일측 하우징(25a)의 내부에는 평상시 핑거축(21)의 기준면(23)에 접하되 핑거축(2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 핑거축(21)의 경사면(24a)(24b)에 각각 대응하여 요입되는 다수의 판스프링(26a)(26b)을 형성하며, 아울러 상기 일측 하우징(25a)의 내부에 상측면이 양측으로 대칭하여 경사진 스토퍼(27)를 형성하여 핑거축(21)의 좌우 회전시 핑거축(21)의 기준면(23)이 상기 스토퍼(27)의 경사면에 접함으로써 핑거축(21)의 좌우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안수밸브 개폐장치(10)의 헤드부(20)에 의하면,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안수밸브(122)의 회전중심과 상기 안수밸브 개폐장치의 헤드부(20) 회전중심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고압안수밸브(122)의 실질적인 구동구간이 항상 일정하게 됨을 알 수 있는바, 이는 고압안수밸브(122)의 중심에서 안수밸브 개폐장치의 헤드부(20) 중심이 벗어나 상기 헤드부(20)에 형성한 한 쌍의 핑거(22a)(22b)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핑거가 고압안수밸브(122)의 레버에 먼저 닿더라도 그 즉시 고압안수밸브(122)가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핑거축(21)의 양측단에 형성단 한 쌍의 핑거(22a)(22b)가 제한된 각도내에서 자유롭게 연동함 에 따라 어느 하나의 핑거가 고압안수밸브(122)의 레버에 먼저 닿더라도 다른 일측의 핑거가 고압안수밸브(100)의 레버에 마져 접촉하여 상호 구속력으로 작용한 후에야 비로소 안수밸브 개폐장치의 회전력이 고압안수밸브(122)에 전달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20)의 핑거축(21)은 제한된 각도내에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면서도 한편으론 무부하시 그 중심을 유지하는데, 이는 다수의 판스프링(26a)(26b)이 평상시에는 핑거축(21)의 기준면(23)과 접하고 있고, 핑거축(21)이 어느 일측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스프링판(26b)은 핑거축(21)의 상승된 일측 기준면(23)에 의하여 탄성력이 작용하는 반면, 타측의 스프링판(26a)은 핑거축(21)에 형성한 경사면(24a)에 요입되어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안수밸브 개폐장치에 있어 엑추에이터 구동장치에 대하여 도 7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엑추에이터(11)는 회전구동부(11a)와 직선구동부(11b)로 구분되는바, 상기 회전구동부(11a)는 서보밸브(12)를 통하여 압력공급원의 유압을 공급받음에 따라 제어기(15)에 의하여 컨트롤되는 서보밸브(12)의 토출유량을 조절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고압안수밸브를 개방하는 헤드부(2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서보밸브(12)에서 엑추에이터(11)의 회전구동부(11a)로 공급되는 유압 공급라인에 압력센서(13)에 형성하여 상기 엑추에이 터(11)의 회전구동부(11a)에 부가되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제어기(15)로 전달할 수 있으며, 한편으론 상기 엑추에이터(11)에 엔코더(14)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구동부(11a)에 의한 안수밸브 개폐장치(10)의 실제 회전량을 감지하여 제어기(15)로 전달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기(15)는 압력센서(13)와 엔코더(14)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저장하는 통상의 기억장치와 상기 저장된 정보를 연산하여 서보밸브(12)를 제어하는 연산장치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엑추에이터 구동장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안수밸브 개폐장치(10)에 의하면, 압력센서(13)에 의하여 안수밸브 개폐장치(10)의 양측 핑거(22a)(22b) 모두가 고압안수밸브의 레버에 접촉하여 실질적으로 고압안수밸브를 회전하는 순간 및 고압안수밸브가 회전을 다한 시점의 압력변화를 감지할 수 있고, 이때 안수밸브 개폐장치(10)에 부착된 엔코드(14)로써 상기 압력변화 시점의 회전각도를 알 수 있음에 따라 안수밸브 개폐장치(10)의 회전에 있어 실제 준비구간과 구동구간의 시작 및 종료 시점을 각도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안수밸브 개폐장치(10)를 구동함에 있어 준비구간 및 구동구간의 정확한 시작 및 종료 각도를 알 수 있으므로, 다음 구동시 이를 인식하는 제어기(15)가 구동구간에 임박할 때까지 서보밸브(12)를 제어하여 준비구간의 구동을 신속히 하고, 구동구간의 개시 시에는 서보밸브(12)를 제어하여 저속으로 구동구간에 진입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의 향상에 도움될 뿐만 아니라 고압안수밸브 뿐만 아니라 안수밸브 개폐장치(10)에 대한 충격을 피할 수 있다.
이하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하여 석탄장입차에 장착되는 상승관 제어장치에 있어 댐퍼밸브 개폐장치(30)의 구성을 살펴보면, 전후진 하는 통상의 유압실린더(31) 및 그 선단에 형성한 플레이트(32)와, 상기 플레이트(32)에 통상의 유니버셜조인트(35)를 이용하여 유동적으로 설치하되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마그넷헤드(34)와, 상기 플레이트(32)에 설치하여 마그넷헤드(34)의 하부를 받쳐주는 스프링(33)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밸브 개폐장치(30)에 의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밸브 개폐장치(30)의 마그넷헤드(34)에 자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31)를 전진하여 가스포집관(126)에 형성된 댐퍼구동링크(124)의 부착판(125)에 상기 마그넷헤드(34)가 접합되도록 한 후, 상기 유압실린더(31)로 마그넷헤드(34)를 후퇴시켜 상기 댐퍼구동링크(124)의 작동에 따라 댐퍼밸브(123)를 개방하는바, 도 15에 도시와 같이 댐퍼구동링크(124)의 부착판(125)이 수직상태에서 변형되더라도 상기 부착판(125)과 접하는 마그넷헤드(34)가 유니버셜조인트(35)에 의하여 가변적으로 유압실린더(31) 선단의 플레이트(32)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부착판(125)의 변형과 관계없이 마그넷헤드(34)의 접합력을 보장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코크스오븐에 원료석탄 장입시 상승관 덮개의 개방과 함께 고압안수밸브를 개방함과 아울러 댐퍼밸브를 폐쇄함에 있어서, 고압안수밸브와 안수밸브 개폐장치 사이에 회전중심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고안압수밸브의 변형이나 안수밸브 개폐장치의 과부하가 없이 고압안수밸브의 원활한 개폐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안수밸브 개폐장치의 준비구간과 구동구간의 정확한 시작 및 종료 시점을 파악할 수 있음에 따라 안수밸브 개폐장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댐퍼밸브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댐퍼구동링크의 부착판이 변형되더라도 안정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코크스오븐의 석탄장입차에 장착되는 것으로, 코크스오븐의 탄화실에 원료석탄의 장입시 상기 코크스오븐의 상승관에 형성된 고압안수밸브(122)를 개폐하는 안수밸브 개폐장치(10) 및 상기 상승관에서 분기된 가스포집관에 형성된 댐퍼밸브(123)를 개폐하는 댐퍼밸브 개폐장치(30)를 포함하는 코크스오븐의 상승관 제어장치에 있어서;
    전후진 및 회전하는 통상의 엑추에이터(11)에 의하여 작동하되 핑거축(21) 및 상기 핑거축(21)이 제한된 각도로 좌우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하우징(25a)(25b)으로 이루어진 헤드부(20)와; 환봉(丸棒)의 일측면을 평면으로 가공하여 기준면(23)을 형성하되 상기 기준면(23)에는 기준면(23)의 가상의 축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 하향으로 경사진 다수의 경사면(24a)(24b)을 서로 엇갈리게 형성한 상기 핑거축(21)과; 상기 핑거축(21)의 양측단에 형성하여 서로 연동하는 한 쌍의 핑거(22a)(22b)와; 상기 한 쌍의 하우징(25a)(25b) 중에서 일측 하우징(25a)의 내부에 형성하되 평상시에는 핑거축(21)의 기준면(23)에 접하고 상기 핑거축(2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핑거축(21)의 경사면(24a)(24b)에 대응하여 요입되는 다수의 판스프링(26a)(26b)과; 상측면을 양측으로 대칭하여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핑거축(21)의 좌우 회전시 핑거축(21)의 기준면(23)이 상기 경사진 면에 접하여 핑거축(21)의 좌우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하는 스토퍼(27)를 포함하는 안수밸브 개폐장치(1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오븐의 상승관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후진 및 회전이 가능토록 회전구동부(11a)와 직선구동부(11b)로 이루러진 통상의 엑추에이터(11)의 회전구동부(11a)에 토출유량을 조절하여 유압을 공급하는 서보밸브(12)와; 상기 서보밸브(12)에서 엑추에이터(11)의 회전구동부(11a)로 공급되는 유압 공급라인에 형성하여 회전구동부(11a)에 부가되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13)와; 안수밸브 개폐장치(10)의 실제 회전량을 감지하도록 상기 엑추에이터(11)에 형성한 엔코더(14)와; 상기 안수밸브 개폐장치(10)의 양측 핑거(22a)(22b) 모두가 고압안수밸브(122)의 레버에 접촉하는 순간 및 고압안수밸브(122)가 회전을 다함에 따른 압력변화를 상기 압력센서(13)로부터 전달 받고 이때 엔코더(14)와 연결되어 상기 안수밸브 개페장치(10)의 양측 핑거(22a)(22b) 모두가 고압안수밸브(122)의 레버에 접촉하기까지의 준비구간과 실제 고압안수밸브(122)를 회전하는 구동구간의 회전각도를 인식하여 다음 준비구간 및 구동구간의 구동시 서보밸브(12)를 제어하여 회전속도를 달리 할 수 있도록 한 제어기(15)를 포함하는 안수밸브 개폐장치(1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관 제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후진 하는 통상의 유압실린더(31)의 선단에 플레이트(32)를 형성하여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마그넷헤드(34)를 상기 플레이트(32)에 설치하되 상기 플레이트(32)에 마그넷헤드(34)가 유동적으로 설치되도록 상기 플레이트(32)와 마그넷헤드(34)를 체결하는 통상의 유니버셜조인트(35)와; 상기 마그넷헤드(34)의 하부를 받쳐주도록 플레이트(32)에 형성한 스프링(33)을 포함하는 댐퍼밸브 개폐장치(3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오븐의 상승관 제어장치.
KR1020070018351A 2007-02-23 2007-02-23 코크스오븐의 상승관 제어장치 KR100806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351A KR100806660B1 (ko) 2007-02-23 2007-02-23 코크스오븐의 상승관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351A KR100806660B1 (ko) 2007-02-23 2007-02-23 코크스오븐의 상승관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6660B1 true KR100806660B1 (ko) 2008-02-26

Family

ID=39383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351A KR100806660B1 (ko) 2007-02-23 2007-02-23 코크스오븐의 상승관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6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227B1 (ko) 2008-06-03 2011-04-06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코크스 오븐의 상승관 밸브 조작장치
CN102786974A (zh) * 2012-08-06 2012-11-21 山西鑫立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煤热解炉的荒煤气导出冷凝自动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172A (ko) * 2001-04-06 2002-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개 시피유의 메모리 공유 시스템
KR20020085051A (ko) * 2001-05-04 2002-1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중화 시스템에서 링크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96928A (ko) * 2002-12-30 2005-10-06 브로드로직 네트워크 테크놀로지스, 인크. 완전 병렬 다채널 복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172A (ko) * 2001-04-06 2002-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개 시피유의 메모리 공유 시스템
KR20020085051A (ko) * 2001-05-04 2002-1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중화 시스템에서 링크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96928A (ko) * 2002-12-30 2005-10-06 브로드로직 네트워크 테크놀로지스, 인크. 완전 병렬 다채널 복조기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78172
10-2002-85051
10-2005-96928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227B1 (ko) 2008-06-03 2011-04-06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코크스 오븐의 상승관 밸브 조작장치
CN102786974A (zh) * 2012-08-06 2012-11-21 山西鑫立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煤热解炉的荒煤气导出冷凝自动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6660B1 (ko) 코크스오븐의 상승관 제어장치
KR101398271B1 (ko) 원료탄 이송용 멀티 웨이 슈트장치 및 그 제어방법
RU2466191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закрытия и открытия отверстия, прежде всего выпускного отверстия загрузочного бункера доменной печи, и доменная печь с та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KR20110129478A (ko) 평평한 압출 코크스 습식 담금질 장치 및 방법
CN104114800B (zh) 车辆用开闭体控制装置
CN104169037B (zh) 用来填充用于电极帽盖的料库的装置
CN106808464A (zh) 利用协作机器人的车辆生产系统及生产方法
CN105220977B (zh) 用于两扇式转门设备的闭合顺序调节装置的锁止装置
CN112689695B (zh) 从作业机具释放的能量的再生系统和方法
CN100584429C (zh) 布袋除尘器中气动提升阀的限位装置
CN110039563A (zh) 一种机械手末端工具
CN106113032A (zh) 一种定点移位机械手臂机构
KR20180090844A (ko) 쇄석기
CN209025645U (zh) 一种固井作业用高压管汇远程控制系统
CN113832277A (zh) 一种高炉出铁智能判定及自动开口控制方法
CN106113177B (zh) 一种毛竹加工用次序拾取传送装置
CN201462015U (zh) 耐磨陶瓷气动侧滑阀
KR101597710B1 (ko) 밸브 개폐장치
CN106300068B (zh) 一种电力电气柜
CN203005464U (zh) 采区风门自动化阻车系统
CN107246478B (zh) 一种燃气轮机用提升阀的运维方法
CN205473463U (zh) 一种用于金属索药剂自动装填的隔爆阻药尘送药机构
KR101027227B1 (ko) 코크스 오븐의 상승관 밸브 조작장치
CN107617208A (zh) 一种模拟攀岩机
JP2013227478A (ja) コークス炉炭化室のコークス詰まり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