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526B1 - 해상용 오물수거 장치 - Google Patents

해상용 오물수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526B1
KR100806526B1 KR1020070089613A KR20070089613A KR100806526B1 KR 100806526 B1 KR100806526 B1 KR 100806526B1 KR 1020070089613 A KR1020070089613 A KR 1020070089613A KR 20070089613 A KR20070089613 A KR 20070089613A KR 100806526 B1 KR100806526 B1 KR 100806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fixed
buckets
coupled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숙
한상운
Original Assignee
임정숙
한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숙, 한상운 filed Critical 임정숙
Priority to KR1020070089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13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0/00Liquid purification or separation
    • Y10S210/918Miscellaneous specific techniques
    • Y10S210/922Oil spill cleanup, e.g. bacterial
    • Y10S210/923Oil spill cleanup, e.g. bacterial using mechanical means, e.g. skimmers, pump

Abstract

본 발명은 어장에서 와이어에 연결된 버켓을 물속에 잠기게 한 후 버켓을 오므려 버켓의 내부에 오물을 담아 인양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저에 퇴적되어 있는 오물을 수거하여 깨끗한 어장을 형성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두 개의 버켓이 결합봉을 힌지로 결합시켜 서로 맞물리거나 벌어지게 하되 상기 버켓의 선단은 일자형으로 형성하되 선단에 버켓이 맞물릴 때 서로 끼워지는 돌기를 형성하여 뻘을 깊숙이 파주는 한편 뻘이 흘러나가게 하고, 상기 버켓의 양측에는 구멍을 형성하여 뻘이 빠지게 하며, 상기 버켓의 중심에는 프레트바를 결합시키되 상기 프레트바의 중심은 결합봉을 결합시킨 힌지에 결합되게 하고, 상기 프레트바의 선단은 버켓 이동로프가 끼워지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버켓의 돌기에 의해 뻘 속 깊숙이 파지도록 하는 한편 버켓에서 뻘이 쉽게 빠지도록 하는 것이다.
바다, 오물제거, 버켓, 뻘

Description

해상용 오물수거 장치{Scrapped collection apparatus for marine}
본 발명은 어장에서 와이어에 연결된 버켓을 물속에 잠기게 한 후 버켓을 오므려 버켓의 내부에 오물을 담아 인양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저에 퇴적되어 있는 오물을 수거하여 깨끗한 어장을 형성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양식어업으로 인하여 양식어장이 많이 형성되고 있으나, 상기 양식 어장에는 다양한 형태의 오물이 가라앉아 퇴적되어 있게 되고, 이러한 퇴적물은 주기적으로 인양하여 제거해 주어야만 깨끗한 어장을 만들 수 있는 것으로, 기존에는 퇴적물을 인양하기 위하여 두 개의 바가지를 서로 결합시킨 상태의 버켓에 고정된 와이어를 당기거나 풀어줌에 따라 두 개의 버켓이 서로 맞닿거나 벌어지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 해저에 버켓이 벌어진 채로 닿도록 한 후 버켓을 오므려 오물을 버켓에 담아 인양하도록 하고 있다.
이 같이 버켓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해저의 오물과 함께 뻘도 같이 인양되게 되고, 뻘과 오물은 바지선에 올리게 되면 고압의 물을 분사시켜 뻘은 제거하고 오물을 분리하고 있으나, 이 경우 버켓에서 오물만 인양하지 못하고 뻘도 같이 인양하게 되어 오물 제거량이 적게 되는 한편 뻘을 고압의 물로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 로움 및 바다가 오염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그리고 버켓을 사용하는 경우 버켓으로 잡는 범위가 좁게 되고, 이로 인하여 폐기물인 로프가 인양되지 못하고 끊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끊어진 로프는 수중에 떠 있다가 항해하는 선박의 스크류를 감게 되어 선박 운항에 지장을 주는 경우를 초래하게 되고, 특히 오물과 함께 인양되는 뻘을 오물에서 분리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수질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한편 바닷속에서 끌고 다니다가 해저의 오물이 걸리게 되면 인양하여 제거하도록 하는 끌이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뻘에 박힌 앵커 등을 빼내지 못하고 연결된 로프만 끊어놓게 되므로, 로프가 수중에서 부유하다가 운항하는 선박의 스크류에 감기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끌이를 사용하는 경우 대형 폐기물은 감지하여 건져낼 수 있으나, 소형의 폐기물은 인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버켓을 이용하여 해저의 오물을 인양 제거할 수 있도록 하되 버켓을 집어 올릴 때 뻘은 버켓에서 빠져나가도록 함으로써 버켓으로 오물만 인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뻘이 인양되지 않아 뻘을 분리하기 위한 고압의 물 분사와 함께 수질이 오염되는 경우를 없애도록 하는 한편 뻘 속에 박혀있는 앵커도 인양할 수 있으며, 인양과정에서 로프가 끊어진다 하여도 촘촘히 작업을 하여 끊어진 로프도 인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두 개의 버켓이 결합봉을 힌지로 결합시켜 서로 맞물리거나 벌어지게 하되 상기 버켓의 선단은 일자형으로 형성하되 선단에 버켓이 맞물릴 때 서로 끼워지는 돌기를 형성하여 뻘을 깊숙이 파주는 한편 뻘이 흘러나가게 하고, 상기 버켓의 양측에는 구멍을 형성하여 뻘이 빠지게 하며, 상기 버켓의 중심에는 프레트바를 결합시키되 상기 프레트바의 중심은 결합봉을 결합시킨 힌지에 결합되게 하고, 상기 프레트바의 선단은 버켓 이동로프가 끼워지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버켓의 돌기에 의해 뻘 속 깊숙이 파지도록 하는 한편 버켓에서 뻘이 쉽게 빠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버켓을 상하 이동시키되 버켓을 벌리거나 오므려 가면서 해저의 오물을 인양함에 있어서, 버켓에서 오물이 인양될 때 뻘은 버켓에서 빠져나가 오물만 인양되어 폐기물에서 뻘을 제거하는 수고를 덜어주는 한편 해상오염을 줄이게 되고, 또한 버켓으로 오물을 인양할 때 로프가 절단되더라도 반복적인 인양작업으로 인하여 끊어진 로프도 완전 인양할 수 있어, 스크류에 로프가 걸리게 되는 사고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버켓의 선단에 돌출되게 고정된 수 개의 돌기를 이용하여 뻘 층을 파고들며 오물을 수거하게 되므로, 뻘 속에 박힌 앵커를 빼 내어 인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두 개의 버켓(110)(120)이 서로 결합봉(111)(121)으로 힌지(130)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리거나 벌어지도록 하되 상기 버켓(110)(120)의 중앙에 프레트바(150)를 결합시켜 프레트바(150)를 들거나 놓음에 따라 버켓(110)(120)이 맞물리거나 벌어지게 하고, 상기 버켓(110)(120)은 고정로프(10)의 올리고 내림에 따라 상하 이동하게 되는 한편 프레트바(150)에 끼워진 이동로프(20)를 풀거나 감음에 따라 버켓(110)(120)이 맞물리거나 벌어지게 하며, 상기 버켓(110)(120)에는 뻘이 빠지는 구멍(140)을 형성하는 한편 버켓(110)(120)의 선단에는 버켓(110)(120)이 서로 맞물릴 때 사이사이로 끼워지게 하는 돌기(112)(122)가 돌출 형성되게 한다.
본 발명은 바지선의 크레인(30)에서 고정로프(10)를 감거나 풀음에 따라 두 개의 버켓(110)(120)으로 이루어진 버켓 장치(100)가 상하 이동하게 되고, 바지선의 크레인(30)에서 이동로프(20)를 감거나 풀음에 따라 버켓(110)(120)이 서로 맞물려지게 하거나 벌어지게 한다.
버켓(110)(120)은 바가지 형태를 갖는 것으로, 버켓(110)(120)상측으로는 결합봉(111)(121)이 돌출되게 고정시키되 두 개의 결합봉(111)(121)은 힌지(130)로 결합되어 힌지(130)를 중심으로 버켓(110)(120)이 벌어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도록 하고, 버켓(110)(120)이 완전히 벌어진 상태에는 버켓(110)(120) 사이에 결합봉(111)(121)과 힌지(130)가 위치되게 하며, 버켓(110)(120)이 오므려진 상태에서는 결합봉(111)(121)과 힌지(130)가 세워지게 한다.
여기서 결합봉(111)은 버켓(110)(120)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 있게 되며, 힌지(130)는 그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게 된다.
상기 버켓(110)(120)에는 내측으로 오물이 담겨지게 되고, 양측으로는 뻘이 빠지게 되는 구멍(140)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버켓(110)(120)의 선단에는 일정 길이를 갖고, 일정 간격으로 돌기(112)(122)를 형성하며, 상기 돌기(112)(122)는 버켓(110)(120)이 서로 맞물릴 때 사이사이로 끼워지도록 한다.
즉 버켓(110)(120)이 맞물릴 때 돌기(112)(122)가 서로 맞물리며 결합되게 되고, 상기 돌기(112)와 돌기(122) 사이의 틈새가 벌어지는 한편 돌기(112)(122)의 선단과 버켓(110)(120)과의 사이에 틈새가 벌어져 오물을 들어 올릴 때 뻘이 빠져나가도록 한다.
그리고 버켓(110)(120)의 중간 외측에는 지지대(160)를 양쪽으로 결합시키되 지지대(160)의 하부가 회동되게 결합시키고, 상기 지지대(160)의 상측에는 고정롤러(170)를 회동되게 결합시키며, 상기 고정롤러(170)는 상측으로 고정로프(10)가 고정되는 한편 두 개의 롤러(171)(172)로 이루어져 이동로프(20)가 롤러(171)(172)에 끼워지게 된다.
한편 버켓(110)에 결합된 지지대(160)가 서로 만나는 중앙 위치에 프레트바(150)를 힌지(113)로 결합시키고, 상기 프레트바(150)의 중앙은 힌지(130)에 결합시키도록 하며, 상기 프레트바(150)의 선단에 롤러(155)를 설치하여 이동로프(20)가 끼워지게 하고, 상기 롤러(155)에 끼워진 이동로프(20)의 선단은 지지대(16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고리(161)에 고정되게 한다.
상기 프레트바(150)의 선단에 결합된 롤러(155)는 두 개로 이루어지고, 고정롤러(170)도 두개의 롤러(171)(172)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크레인(30)에서 당겨지거나 풀어주는 이동로프(20)는 롤러(171)를 돌아 제1롤러(155a)에 끼워지게 하 고, 상기 제1롤러(155a)에 끼워진 이동로프(20)는 롤러(172)에 끼워진 후 제2롤러(155b)를 거쳐 고정고리(161)에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서 고정롤러(170)의 상부에 고정된 고정로프(10)를 크레인(30)에서 풀어주느냐 감아 주느냐에 따라 본 발명의 버켓장치(100)가 하강하거나 상승하게 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바지선에 설치되는 크레인(30)에서 고정로프(10)를 감거나 풀음에 따라 버켓장치(100)를 상하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크레인(30)에서 이동로프(20)를 당겨주면 버켓(110)(120)이 맞물려지게 되고, 이동로프(20)를 풀게 되면 버켓(110)(120)이 벌어지게 되는 것으로, 이동로프(20)를 풀게 되면 고정롤러(170)의 롤러(171)(172)와, 롤러(155)의 제1,2롤러(155a)(155b)를 거쳐 고정고리(161)에 고정된 이동로프(20)가 느슨해지게 되고, 그러면 프레트바(150)의 선단을 상부로 당겨주는 힘이 없어지게 된다.
그러면 프레트바(150)의 무게에 의해 롤러(155)쪽이 하부로 내려가게 되고, 이로 인하여 힌지(130)도 하부로 내려가면서 양쪽의 버켓(110)(120)을 벌려주게 되는 것으로, 버켓(110)(120)은 프레트바(150)의 무게로 인하여 벌어지게 된다.
이 같이 이동로프(20)를 풀어 버켓(110)(120)이 벌어지게 한 상태에서 고정로프(10)를 풀어 버켓장치(100)를 해저로 내리게 되면 버켓장치(100)가 해저에 닿게 되고, 이때 버켓장치(100)의 무게(약 1.5톤)로 인하여 버켓(110)(120)의 선단에 고정된 돌기(112)(122)가 약 80cm 깊이로 뻘 속에 박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이동로프(20)를 당기게 되면 이동로프(20)가 당겨지면서 프레트바(150)의 롤러(155)를 상부로 들어 올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버켓(110)(120)은 힌지(130)를 중심으로 맞닿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뻘 속에 박힌 돌기(112)(122)로 인하여 뻘 속의 폐기물이 버켓(110)(120)의 내부에 담아지게 된다.
즉 버켓(110)(120)을 벌린 상태에서 해저로 내린 후 돌기(112)(122)가 뻘 속에 박히면 버켓(110)(120)을 오므려주어 버켓(110)(120)의 내측으로 폐기물이 채워지게 하는 것으로, 돌기(112)(122)가 뻘 속에 깊숙이 박히게 되어 앵커 등 여러 가지 오물을 제거할 수 있다.
버켓(110)(120)이 오므려지면 고정로프(10)를 상부로 당기게 되고, 이로 인하여 버켓장치(100)는 오르려진 상태로 수면위로 올려 지게 되며, 이때 버켓(110)(120)에 담긴 오물 중 뻘은 버켓(110)(120)에 형성된 구멍(140)과 돌기(112)(122)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수면으로 빠지게 된다.
즉 버켓(110)(120)의 내부에 오물이 채워져 인양되게 되면 뻘도 함께 인양되나 뻘은 바닷물과 함께 버켓(110)(120)의 구멍(140)과 돌기(112)(122)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추후에 폐기물과 뻘을 분리하는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버켓(110)(120)이 완전히 물위로 인양되어 바지선 위로 이동하게 되면 고정로프(10)를 풀어주는 동시에 이동로프(20)를 풀어주어 버켓장치(100)가 바지선위에 근접하면서 버켓(110)(120)을 벌려 오물을 바지선 위에 올려주게 된다.
그리고 다시 버켓장치(120)를 상부로 이동시킨 후 옆으로 회전시켜 버켓(110)(120)이 벌어진 상태에서 해저로 투입되어 전술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오물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정을 촘촘히 수행하게 되어 오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한편 끊어진 로프도 제거가 가능하며, 특히 뻘을 퍼 올리며 뒤집어주게 되므로, 어장의 바닥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버켓장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버켓장치가 벌어진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버켓장치가 오므라진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지지대와 버켓의 연결부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프레트바 연결 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고정롤러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롤러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고정롤러와 롤러의 이동로프 연결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0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고정롤러와 롤러의 이동로프 끼움 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로프 20 : 이동로프
100 : 버켓장치 110,120 : 버켓
111,121 : 결합봉 112,122 : 돌기
130 : 힌지 140 : 구멍
150 : 프레트바 160 : 지지대
170 : 고정롤러

Claims (3)

  1. 바가지 형태를 갖는 두 개의 버켓(110)(120)에 상측에서 양쪽으로 일정 길이의 결합봉(111)(121)을 고정시키되 상기 결합봉(111)(121)은 힌지(130)로 결합되게 하고,
    상기 버켓(110)(120)의 선단에는 일정 길이로 돌출되고 서로 이격되게 수 개의 돌기(112)(122)를 형성하되 버켓(110)(121)이 오므려질 때 돌기(112) 사이에 또 다른 돌기(122)가 끼워지게 하며,
    상기 버켓(110)(120)의 양측면에는 뻘이 빠지는 구멍(140)을 형성하고,
    상기 버켓(110)(120)의 회동 중심점에는 양쪽으로 지지대(160)를 결합시키는 한편 중앙에는 프레트바(150)를 힌지(113) 결합시키되 상기 프레트바(150)의 중앙은 힌지(130)에 결합되게 하며,
    상기 프레트바(150)의 일측 선단에는 롤러(155)를 결합시키는 한편 지지대(160)의 상부에는 고정롤러(170)가 결합되게 하고,
    상기 고정롤러(170)의 상부에는 고정로프(10)를 고정시키는 한편 이동로프(20)는 고정롤러(170)와 롤러(155)에 끼워져 지지대(160)의 고정고리(161)에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용 오물 수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힌지(130)는 중앙에 프레트바(150)가 결합되고, 양쪽으로 결합봉(111)(121)이 결합되며, 프레트바(150)와 함께 상하 이동하며 버 켓(110)(120)을 벌리거나 오므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용 오물 수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버켓(110)의 선단에 고정된 돌기(112)는 버켓(120)의 선단에 고정된 돌기(122) 사이에 끼워지게 되고, 상기 돌기(110)(122) 사이의 틈새로 뻘이 빠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용 오물 수거장치.
KR1020070089613A 2007-09-04 2007-09-04 해상용 오물수거 장치 KR100806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613A KR100806526B1 (ko) 2007-09-04 2007-09-04 해상용 오물수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613A KR100806526B1 (ko) 2007-09-04 2007-09-04 해상용 오물수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6526B1 true KR100806526B1 (ko) 2008-02-25

Family

ID=39383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613A KR100806526B1 (ko) 2007-09-04 2007-09-04 해상용 오물수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5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90825A (zh) * 2015-05-27 2015-09-09 重庆大学 一种系缆绳杂物积存量的检测与卸积存方法
CN107794895A (zh) * 2017-09-19 2018-03-13 昆明理工大学 一种水面垃圾实时收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1191A (ja) 1999-05-11 2000-11-24 Nishimuragumi:Kk 流出油の粘度を簡易に測定する方法と流出油の油回収用バケットと流出油の油回収方法
JP2001311132A (ja) 2000-04-28 2001-11-09 Nishimuragumi:Kk 油の回収方法と油の回収装置
KR200324102Y1 (ko) 2003-03-14 2003-08-21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댐 내부 및 해상의 부유물질 제거를 위한 수거장비
JP2003247247A (ja) 2002-02-26 2003-09-05 Ando Corp 飛散防止機構を有するクラムシェ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1191A (ja) 1999-05-11 2000-11-24 Nishimuragumi:Kk 流出油の粘度を簡易に測定する方法と流出油の油回収用バケットと流出油の油回収方法
JP2001311132A (ja) 2000-04-28 2001-11-09 Nishimuragumi:Kk 油の回収方法と油の回収装置
JP2003247247A (ja) 2002-02-26 2003-09-05 Ando Corp 飛散防止機構を有するクラムシェル
KR200324102Y1 (ko) 2003-03-14 2003-08-21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댐 내부 및 해상의 부유물질 제거를 위한 수거장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90825A (zh) * 2015-05-27 2015-09-09 重庆大学 一种系缆绳杂物积存量的检测与卸积存方法
CN107794895A (zh) * 2017-09-19 2018-03-13 昆明理工大学 一种水面垃圾实时收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07059B2 (ja) 水面清掃船
US20040115003A1 (en) Floating river debris skimmer
JP2001311132A (ja) 油の回収方法と油の回収装置
KR101689630B1 (ko) 에어버블을 이용한 이동식 소음,진동 오탁 방지 장치
EP2336429B1 (de) Vorrichtung zur Nutzung von technischen Geräten im Unterwasserbereich
KR100806526B1 (ko) 해상용 오물수거 장치
KR100918557B1 (ko) 갈치낚시용 장치
KR100988053B1 (ko) 수질오염 방지를 위한 수중 구조물 철거시설
CN114197618B (zh) 市政道路排水系统
CN216892332U (zh) 一种生态河道护岸
KR20210051708A (ko) 조수 차를 이용한 해안 플라스틱 쓰레기 수거 시스템 및 수거방법
CN216973345U (zh) 河道垃圾清漂机及河道垃圾清漂系统
CN201826289U (zh) 水上漂浮物捕捞装置
CN211448572U (zh) 一种用于桩基施工的清孔装置
KR102580666B1 (ko) 호롱말뚝형 앵커를 이용한 친환경 오탁방지시설
CN206800354U (zh) 一种大型水渠排污设施
CN216273665U (zh) 一种河道淤泥疏浚用底泥松动装置
CN216746938U (zh) 一种用于海洋沉积物样品釆集和水深测量的装置
CN212052667U (zh) 一种水库垃圾打捞器
CN219798825U (zh) 一种带有滤水功能的采泥装置
JPH09209347A (ja) 汚濁水拡散防止フェンス用アンカー
CN211547657U (zh) 一种环保用水体污物快速打捞装置
CN213358549U (zh) 一种河道用水生态修复系统
CN110965530B (zh) 导轨式清污装置
CN220966105U (zh) 一种底栖软体动物采样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